맨위로가기

리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제강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강동 출신의 북한 정치인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에서 활동하며 김정일의 측근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서 장성택과 북한 권력 서열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했으며, 김정철·김정은 형제의 후견인이었다. 김정일 집권 기간 동안 고위 관료 숙청을 지휘했으며, 1992년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2010년 교통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타살 의혹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동군 출신 - 이태희 (1911년)
    이태희는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법조인으로 해방 후 검찰총장,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강동군 출신 - 김대우 (1900년)
    김대우는 일제강점기 관료이며 해방 및 정부 수립 이후의 활동 기록은 미상이다.
  • 한국의 암살된 정치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한국의 암살된 정치인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로동당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리제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리제강
원어명李濟剛
로마자 표기Ri Jegang
출생1930년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강동군
사망2010년 6월 2일 (향년 81세)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거주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정치
정당조선로동당
직책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차장
임기1982년 10월 8일 ~ 2001년 7월 8일
주석김일성 북조선 국가주석
김정일 북조선 국방위원장
김영남 북조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직책2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제1차장
임기22001년 7월 8일 ~ 2003년 8월 21일
주석2김영남 북조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학력 및 경력
학력김일성종합대학
경력조선로동당 명예고문위원

2. 경력

리제강은 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강동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했다. 1992년 4월 김일성훈장을 받았으며, 2005년 10월 연형묵 사망 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3] 2010년 6월 2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4]

2. 1.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활동

리제강은 1973년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을 거쳐, 1982년 10월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겸 김정일 서기실 서기를 지냈다. 2001년 7월에는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되었다.[13] 1992년 4월에는 김일성훈장을 받았다.[13]

당 조직지도부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정부의 인사권과 숙청 권한을 가지며, 국가안전보위부를 수족처럼 부리는 사실상의 권력 중추 기관이었다.[7] 김정일이 조직지도부의 사실상의 부장을 맡고 있었고, 그 아래 3~4명의 제1부부장이 실무를 담당했다.[7] 리제강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조직 담당)으로서 큰 권세를 휘둘렀으며, 장성택과 권력 다툼을 벌였다.[6]

김정일 집권 기간 동안 리제강은 고위 정부 관료 숙청을 많이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제강은 재교육과 같은 더 가벼운 처벌을 부하들이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숙청된 많은 사람들에게 사형을 집행했다고 한다.[4]

2. 2. 김정일 측근 및 권력 투쟁

1973년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권력의 핵심 부서에 들어갔다. 1982년 10월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겸 김정일 서기실 서기를 지냈으며, 2001년 7월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되었다.[13] 그는 장성택과 오랜 경쟁 관계에 있었다.[2]

당 조직지도부는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정부의 인사권과 숙청 권한을 가졌으며, 국가안전보위부를 수족처럼 부리는 사실상의 권력 중추 기관이었다. 부장직은 공석이었지만 김정일 자신이 사실상의 부장을 맡고 있었고, 그 아래 3~4명의 제1부부장이 실무를 담당했다.[7] 리제강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조직 담당)으로서 큰 권세를 휘둘렀으며, 사실상의 북한 2인자 자리를 놓고 장성택과 라이벌 관계에 있었다.[6] 장성택·김경희 부부가 장남인 김정남의 후견인이었던 것에 반해, 리제강은 고영희의 후원을 받아[8] 차남과 삼남인 김정철·김정은 형제의 후견인이었다고 한다.[9][10]

리제강은 김정일 집권 기간 동안 일어난 고위 정부 관료 숙청을 많이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제강은 재교육과 같은 더 가벼운 처벌을 부하들이 권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숙청된 많은 사람들에게 사형을 집행했다고 한다.[4]

2010년 6월 2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같은 해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군사 담당)인 리용철이 심근 경색으로, 이듬해 1월에는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인 박정순이 폐암으로 사망하여, 9개월 사이에 3명의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잇따라 사망했기 때문에, 리제강과 다른 제1부부장이 장성택과의 권력 투쟁에서 암살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12]

3. 사망

2010년 6월 2일, 리제강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4] 리제강은 1982년에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겸 김정일 서기실 서기를 지냈고, 2001년에는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되었다.[13] 1992년에는 김일성훈장을 받았으며, 2005년 연형묵 사망 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13]

3. 1. 의문사 의혹

리제강은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으로 사망했다. 사고 원인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있었으며, 타살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 특히, 국민대학교안드레이 란코프는 리제강의 죽음을 의심스럽게 여기며, 북한의 교통량 부족을 지적하고, 리제강의 죽음을 정치인이 미스터리한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오랜 전통의 일부"라고 묘사했다.[5] 반면, 세종연구소의 이성현은 리제강이 김정일이 주최한 파티에서 돌아온 후 음주 운전을 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조명이 부족하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도로에서 차량을 통제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보다 덜 의심스러운 설명을 제시했다.[2]

리제강은 2010년 6월 2일 교통사고로 사망했지만, 같은 해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군사 담당)인 리용철이 심근 경색을 이유로, 이듬해 1월에는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인 박정순이 폐암을 이유로 사망하여, 9개월 사이에 3명의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잇따라 사망했기 때문에, 리제강과 다른 제1부부장이 장성택과의 권력 투쟁에서 암살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12]

3. 2.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연쇄 사망

1973년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권력 중추 부문에 들어갔으며, 1982년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 겸 김정일 서기실 서기에 발탁되었다. 2001년부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조직 담당)을 역임했다.[6]

당 조직지도부는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정부의 인사권과 숙청 권한을 가지며, 국가안전보위부를 수족처럼 부리는 사실상 권력 중추 기관이다. 부장직은 공석이지만 김정일 자신이 사실상 부장을 맡고 있었고, 그 아래 3~4명의 제1부부장이 실무를 담당했다.[7] 리제강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조직 담당)으로서 큰 권세를 휘둘렀으며, 사실상 북한 2인자 자리를 놓고 같은 부 제1부부장(행정 담당)이었던 장성택과 경쟁 관계에 있었다.[6] 또한, 장성택·김경희 부부가 장남 김정남의 후견인이었던 것에 반해, 리제강은 고영희의 후원을 받아[8] 차남과 삼남인 김정철, 김정은 형제의 후견인이었다고 한다.[9][10]

2010년 6월 2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같은 해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군사 담당) 리용철이 심근 경색으로, 이듬해 1월에는 제1부부장 박정순이 폐암으로 사망하여, 9개월 사이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3명이 잇따라 사망했다. 이 때문에 리제강을 비롯한 제1부부장들이 장성택과의 권력 투쟁에서 암살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12]

참조

[1] 간행물 北韓勞動党第一副部長李濟剛車禍喪生 http://chn.chosun.co[...] 2010-06-04
[2] 뉴스 N. Korea Reports Death of Official Guiding Succession https://www.nytimes.[...] 2010-06-05
[3] 웹사이트 Profile: Ri Je-gang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4] 뉴스 North Korean Leader Redeems Honor Of Six Purged Senior Officials http://mainichi.jp/e[...] 2012-05-02
[5] 웹사이트 Son rising for a post Dear Leader era http://www.atimes.co[...] 2010-06-16
[6] 뉴스 北、李済剛の死亡で張成沢の独走時代 http://japan.dailynk[...] デイリーNK 2010-06-03
[7] 뉴스 拷問、犬刑、密告、政治収容所 恐怖支配強まる金正恩の北朝鮮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12-23
[8] 뉴스 発覚した「太っちょグマ」こと金正男暗殺計画 高英姫は「事故」で重体 後継者めぐる暗闘の行方は… https://www.sankei.c[...] 産経デジタル|産経ニュース 2016-02-23
[9] 뉴스 北朝鮮、李済剛氏が事故死 「三男後見役」軍部にも影響力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06-02
[10] 뉴스 金正哲後継者、急浮上説・・・信憑性は?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07-11-26
[11] 뉴스 拷問、犬刑、密告、政治収容所 恐怖支配強まる金正恩の北朝鮮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12-23
[12] 뉴스 北朝鮮の要職幹部が相次ぎ死亡、権力闘争説も http://japanese.yonh[...] 聨合ニュース 2011-01-24
[13] 웹인용 인물정보 http://nkinfo.kinu.o[...] 통일연구원 2011-10-07
[14] 뉴스인용 北 리제강 당 제1부부장, 교통사고 사망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