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북한 정치 체제의 핵심 기관으로, 당, 정, 군의 인사, 사상 검열, 정책 결정 및 집행 등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김일성 시대에 권력 강화의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김정일 시기에는 권력 승계의 기반이 되었다. 김정은 시대에는 최룡해, 리만건, 김재룡, 조용원 등이 부장직을 역임하며 권력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조직지도부는 당 조직 운영, 인사, 사상 검열, 정책 승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최고 지도자의 유일 지배 체제를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유엔과 국제 사회는 조직지도부가 북한의 인권 침해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제재를 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군사 정책 결정 및 조선인민군 지휘의 핵심 기구로서 김일성, 김정일을 거쳐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권한과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군사 및 안보 분야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비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와 투명성 결여로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는 남북 관계 첩보 활동, 외교 및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대남 심리전, 해외 교포 및 위장 단체 관리, 대남 공작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총련을 통해 일본 내 친북 활동을 지원하고 정보를 수집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조직 개편 및 기능 조정이 이루어져 현재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0국으로 개편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관명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원어명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로마자 표기Joseonrodongdang Jojikjido bu
창설일1948년 9월 15일
관할, 국가, 군부
본부평양시, 북한
상위 기관중앙위원회
주요 인물
부장김재룡
제1부부장리병철
제1부부장김경옥
제1부부장김조국
부부장민병철
부부장황병서
부부장조용원
당 중앙위원회 조직 담당 비서조용원
기타
이전 기관총무부

2. 역사

조직지도부의 초대 국장은 북한의 창립자인 김일성이었고, 그의 후계자인 김정일은 1973년 9월부터 2011년 사망할 때까지 조직지도국을 지휘했다.[9] 김정일의 지휘 아래 조직지도국은 조선로동당 내의 권력 중심으로 변모했다.[9] 조직지도국 제1부국장과 부국장들은 북한 체제의 주요 인물들로, 이들의 지위는 특권과 비밀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종의 엘리트 사제 계급"으로 만들었다.[9] 1980년대 김정일이 발표한 각서 이후 조직지도국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국가 법률이나 당 규정의 관할을 받지 않는 부분적인 비밀 조직이 되었다.[9]

조직지도부의 구성원, 특히 국장과 부국장들은 최고 지도자에 의해 언제든지 해임될 수 있다.[3] 1990년대 윤성관은 부국장으로서 2년 동안 조직지도국의 업무를 장악했지만, 김정일이 그가 너무 많은 권력을 축적했다고 판단했을 때 해임되었다.[9] 2003년 장성택이 해임되었을 때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9]

김정일 사후, 김경희와 김정은이 조직지도국을 이끌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23] 2020년 2월, 리만건은 정치국에 의해 조선노동당 부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고, 조직지도국 국장직에서도 해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이는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조선노동당의 권력 남용 및 부패 스캔들 때문이었다.[10][11] 이후 김재룡2020년 조직지도국을 이끌도록 임명되었다.[12]

2014년에는 김정은이 아버지 김정일만큼 권력을 장악하지 못했고, 조선노동당 조직지도부가 권력 중심에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39] 같은 해 4월 황병서가 차수로 승진하고, 이듬해 5월 조직지도부를 떠나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취임하여 김정은, 김영남에 이어 당내 서열 3위가 되었으나, 최룡해2017년 10월 7일 제7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2차 총회에서 황병서를 대신하여 당내 서열 3위로 승격하고 오랫동안 공석이었던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면서[40][41][42][43][44] 군 총정치국이 조직지도부로부터 20년 만에 검열을 받았고, 그 결과 황병서는 부정 행위를 이유로 총정치국장 및 당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해임되었다.[45][46][47][48][49][50]

조직지도부의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의 과장 이상 간부와 대남 공작 부서 요원을 감시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65]

2. 1. 김일성 시대

김일성은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지도부를 적극 활용했다. 김일성의 친동생인 김영주가 1960년부터 1973년까지 조직지도부 부장을 역임하며 김일성의 통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9] 1973년, 김일성의 아들 김정일이 조직지도부 부장에 임명되면서 권력 승계 작업이 본격화되었다.[9] 김정일의 지휘 아래 조직지도부는 조선로동당 내의 권력 중심으로 변모했다.[9]

2. 2. 김정일 시대

김정일은 1973년부터 1994년까지 조직지도부 부장직을 겸임하며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9] 이후 부장직은 공석으로 유지되었으나, 김정일은 사실상 부장 역할을 계속 수행하며 조직지도부를 통해 당내 권력 중심으로 만들었다.[9] 그는 장성택, 리제강 등 자신의 측근들을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 임명하여 요직을 장악했다.

김정일 시대에 조직지도부는 북한 권력의 핵심 기관으로, 제1부부장은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다. 이들은 주요 인물들의 사상을 검열하고, 인사고과를 관리하며, 숙청 권한까지 쥐고 있었다.[37][38] 또한, 국가안전보위성(현 국가보위성)을 지휘하며 주민 감시와 통제를 강화했다.[37][38]

조직지도부 구성원들은 상당한 특권을 누렸는데, 특히 고위 간부들은 당 규정이나 국가 법률의 적용을 받지 않는 비밀스러운 존재였다.[9] 그러나 이들은 최고 지도자의 감시를 받았으며, 김정일은 윤성관, 장성택 등 너무 많은 권력을 가진 인물들을 해임하기도 했다.[9]

2. 3. 김정은 시대

김정은조직지도부를 통해 자신의 권력 기반을 다지고, 3대 세습 체제를 공고히 하려 했다. 최룡해, 리만건, 김재룡, 조용원 등이 조직지도부장을 역임하며 김정은의 통치를 보좌했다.[40][41][42][43][44][10][12][63][62] 2013년에는 조직지도부가 장성택 처형을 주도하며 김정은 유일 지배 체제 확립에 기여했다고 보도되었다.[37]

2014년에는 김정은이 아버지 김정일만큼 권력을 장악하지 못했고,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가 권력 중심에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39]

2019년 2월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고,[52] 같은 해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최룡해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선출, 리만건의 서열 상승 및 당 중앙위원회 부장 선출이 확인됨에 따라 리만건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이후 리만건은 2020년 2월 28일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김일성고급당학교에서의 부정 행위(부정입학)[54][55][56][57]를 이유로 당 부위원장·조직지도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9년 12월 말 제7기 제5차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새롭게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 취임한 것으로 관측되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58]

2020년 8월 25일, 한국의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김여정이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61]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고,[62] 조직지도부장에는 김재룡이 취임했다.[63] 김여정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을 역임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1년 3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전출했던 것이 확인되었다.[64]

3. 역할과 권한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OGD)는 당 조직 운영, 인사, 사상 검열, 주민 통제 등 북한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핵심 기관이다.[17][9][3] 민간, 군, 정부를 아우르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참모 역할을 수행하고, 고위 관리 임명 및 해임 권한을 통해 핵심 인사들을 통제한다.[2][17][3]

김씨 왕조에 대한 충성심을 확보하고 당 이념을 유지하기 위해 당 생활 지도를 담당하며, 지역 및 직장 단위까지 지도 이행을 감독한다.[3] 모든 북한 주민은 당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당 생활을 경험하므로, 조직지도부의 영향력은 사회 전반에 미친다.[3]

탈북자들의 증언과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조직지도부는 북한 정치 체제의 핵심이며, 실질적인 의사 결정 기관으로 평가받는다.[4][5] 일부에서는 조직지도부 지도자들이 북한의 실질적인 지도자이며, 최고 지도자는 상징적인 존재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8]

그러나 조직지도부의 권한은 최고 지도자의 의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장성택 처형 이후 조직지도부의 일부 권한이 축소되기도 했으며,[9] 황병서 해임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조직지도부 역시 최고 지도자의 견제를 받을 수 있다.[45][46][47][48][49][50]

3. 1. 당 조직 운영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참모 역할을 하며, 당 정책 결정 및 집행에 깊이 관여한다.[2][17][3] 하부 당 조직을 지휘, 감독하며, 당원의 훈련 및 사상 교육을 담당한다.[3]

조직지도부는 당 생활 정책 이행을 지도하고, 민간, 군, 정부 등 북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17][9][3] 특히, 감시, 기록 수집, 조사를 통해 고위 관리 임명 및 해임 권한을 행사하여 당 내에서 강력한 부서로 인식된다.[3]

또한, 김씨 왕조에 대한 충성심 확보와 당 이념 유지를 위해 당 생활 지도를 담당하며, 지역 및 직장 단위까지 지도 이행을 감독한다.[3] 모든 북한 주민은 당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당 생활을 경험하므로, 조직지도부의 지도는 최상위층부터 최하위층까지 모든 주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3]

조직지도부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산하 최대 부서로, 1,000여 명의 직원과 중앙 부서에 약 25명의 부국장이 있으며, 모두 총비서실에 보고한다.[25] 조직지도부 산하 부서는 당 내 다른 조직과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당과 조직지도부의 권력을 보장한다.[3][9]

조직지도부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부서들이 있다.

부서명주요 업무
당 중앙위원회 위원회최고 지도자를 제외한 모든 당원 훈련,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간부 및 가족 감시[1][26][25]
당 생활 지도 부서모든 북한 시민의 당 생활 지도 (군, 사법기관, 당 조직, 일반 주민)[3]
군사 지도 부서조선인민군 모든 장병의 당 및 정치 생활 지도[3]
간부 부서고위 관리 및 최고 지도자 개인 참모 선발, 임명, 해임 통제 (정치적 충성도 평가)[3]
제7부서사법 제도 전반에 대한 권한, 인민보안성 및 국가보위성 운영 감독[3]
검열 부서모든 조직 및 개인 조사 권한[3]
최고 지도자 비서실최고 지도자 개인 업무 (의전, 일정, 경호, 교육, 가족 재정)[3]
당원 등록 부서당 등록, 직업, 당 제명 및 해외 파견 처리[3]
총무 부서조직지도부 행정 업무[3]
보고 부서모든 조직지도부 보고서 수집 및 관리, 최고 지도자에게 보고[25]
민원 부서모든 북한 시민 민원 평가[3]
대중 당 지도 부서조직지도부 인력 지역 단위 배치[3]
65부서기쁨조 여성 선발 및 훈련[3]
3대 혁명 붉은 기 팀 지도 부서북한 장마당 활동 감시[29]
10대 원칙 지도 부서10대 원칙 이행 지도[29]
해외 지도 부서해외 조직 지도[29]
8.9부서만수대의사당 및 재정관리부 관리[29]
조약 부서국제 조약 참여 전략 감시 및 감독[29]
80호실김정은 경호부대인 974부대 감시 및 감독[30]



초대 최고 지도자 김일성 시절에는 그의 친동생 김영주와 아들 김정일이 조직지도부장을 역임했다. 김정일 시대에는 부장직이 공석이었고, 김정일이 사실상 부장직을 겸임했다. 김정일 직속 제1부부장은 북한 권력층 인사들의 사상 검열과 인사고과 및 숙청 권한을 쥐고 국가보위성을 통제하여 권력 핵심 기관으로 불렸다.[37][38] 장성택과 이제강이 대표적인 예이다.

김정은 시대 초기에는 조직지도부가 권력 중심이라는 분석도 있었다.[39] 황병서총정치국장에 취임하며 서열 3위가 되었으나, 최룡해가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면서 군 총정치국이 조직지도부의 검열을 받았고, 황병서는 해임되었다.[40][41][42][43][44][45][46][47][48][49][50]

2019년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고,[52] 이후 조직지도부장에서 해임되었다.[54][55][56][57] 김여정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8]

2021년 조선로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했고,[62] 김재룡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다.[63] 김여정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전출되었다.[64]

조직지도부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 과장 이상 간부와 대남 공작 부서 요원을 감시한다고 알려져 있다.[65]

3. 2. 인사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당, 정, 군 고위 간부의 임명 및 해임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8] 간부 후보자에 대한 검증 및 평가를 통해 충성심을 확보하고, 권력 유지를 위한 인적 기반을 구축한다.[3]

초대 최고 지도자 김일성 시절에는 그의 친동생 김영주와 친자 김정일이 조직지도부 부장을 역임했다. 2대 최고 지도자 김정일 체제 시절에는 부장직이 공석이 되어 김정일 자신이 사실상 부장직을 겸임했고, 김정일의 직속인 제1부부장이 북한 권력층 인물들의 사상 검열과 인사고과 및 숙청 권한을 쥐고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를 마치 손발처럼 부렸기 때문에 북한의 진정한 권력 중추 기관으로 불리게 되었다.[37][38] 장성택과 이제강이 김정일 체제 시절 절대적인 권력을 휘둘렀던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의 예로 들 수 있다.

김정은 체제로 이행한 후 2013년 12월 말 시점의 제1부부장 권력 서열은 통괄 제1부부장 김경옥, 검열 담당 조연준, 담당 황병서 순으로 알려졌으며, 조직지도부가 당 행정부장으로 전직했던 장성택의 처형을 주도했다고 보도되었다.[37]

2014년 4월 황병서가 차수로 승진하고, 이듬해 5월 조직지도부를 떠나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취임하여 김정은, 김영남에 이어 당내 서열 3위가 되었으나, 최룡해2017년 10월 7일 열린 제7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2차 총회에서 황병서를 대신하여 당내 서열 3위로 승격하고 오랫동안 공석이었던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면서[40][41][42][43][44] 군 총정치국이 조직지도부로부터 20년 만에 검열을 받았고, 그 결과 황병서는 부정 행위를 이유로 총정치국장·당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해임되었다.[45][46][47][48][49][50] 또한 조연준은 2015년 10월 조선노동당 창건 70주년 경축 중앙보고대회에서 당내 서열 18위가 되었으나,[51] 2017년 10월 7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차 총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검열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함에 따라 조직지도부에서 제1부부장으로 남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엇갈렸다.

2019년 2월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고,[52] 같은 해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최룡해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선출과 리만건의 서열 상승 및 당 중앙위원회 부장 선출이 확인됨에 따라 리만건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그 후, 리만건은 2020년 2월 28일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김일성고급당학교에서의 부정 행위(부정입학)[54][55][56][57]를 이유로 당 부위원장·조직지도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9년 12월 말 제7기 제5차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새롭게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 취임한 것으로 관측되는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58]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2020년 5월 시점의 제1부부장은 김조국과 조용원이며, 김여정은 소속 부서가 불명확한 부장 및 부부장직으로 분류되었다.[59] 또한 같은 해 8월 9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리만건이 제1부부장으로 강등되었음이 확인되었다.[60] 같은 해 8월 25일, 한국의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김여정이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61]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고,[62] 조직지도부장에는 김재룡이 취임했다.[63]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졌던 김여정은 같은 해 3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전출했던 것이 확인되었다.[64]

조직지도부의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의 과장 이상 간부와 대남 공작 부서 요원을 감시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65]

'''2020년 기준 제1부국장'''

이름설명
김경옥 장군2007년부터 조직지도부 부국장, 1991년부터 조선노동당 부국장을 역임했으며, 당과 김씨 정권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3] 김정은의 안전이 그의 책임이다. 정규 군사 훈련을 받지 않은 김경옥 장군은 2010년 군부의 수장에 민간 지도력을 배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장군으로 임명되었다.[3][17] 김정은의 신임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김정은의 많은 공개 시찰에 동행한다.[17] 2016년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34]
리병철 장군40년 이상 인민군에서 복무했으며, 2010년에는 4성 장군으로 승진했다.[3] 조직지도국 제1부국장직 외에도 북한의 모든 무기 개발을 담당하는 조선노동당 군수공업부 부국장직도 맡고 있다.[3][13] 대량살상무기의 연구 및 생산을 감독하고 군 및 무기 프로그램의 인사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14] 군사 및 고위 당 경험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특히 위기 상황에서 김정은의 신뢰할 수 있는 고문이다.[15] 2017년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16]
김조국2019년 조직지도국 제1부국장으로 등장했다.[3] 군사 문제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2020년 기준 부국장'''

이름설명
황병서2017년 부패 혐의로 총정치국에서 해임된 황병서는 3개월간의 "혁명적 재교육" 후 조직지도국 부국장직을 유지했다.[3][19] 정규 군사 훈련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군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김정은의 군 관련 방문에 자주 동행한다.[3] 2017년 황병서는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20]
조용원2014년 정치 무대에 등장하여 고위급 회의에 참석하고 김정은을 자문하며 김정은의 시찰에 동행했다.[3] 그는 조직지도국 내 김정은의 개인 행동 책임자로 여겨진다.[3] 2017년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34]
민병철조직지도국 검열부의 책임자이며, 어떤 개인이든 조사하고 최고 지도자에게 보고서를 보낼 수 있는 권한으로 가장 두려운 기관 중 하나이다.[3] 2017년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
김여정김정은의 여동생인 김여정은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지만 조직지도국 부국장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7][22] 2017년 미국 재무부(OFAC)의 제재를 받았다.[34]


3. 3. 사상 검열 및 통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모든 당원과 근로자가 매주 '생활총화'를 실시한다. 생활총화는 자신을 비판하는 '자아비판'과 동료를 비판하는 '호상비판'(상호비판)으로 이루어진다.[70] 이 생활총화는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생활지도과가 담당하며, 사상 통제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특히 군 담당 생활지도 13과는 조선인민군 총참모장도 생활총화를 해야 할 정도로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66]

조직지도부 검열과는 고위 권력자라도 검열하고 숙청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닌다.[66] 그중 검열4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위층을 전문적으로 관리, 감시하며 숙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6]

조직지도부는 국가보위성과 협력하여 주민 감시 및 통제 시스템을 운영하며, 당 생활 지도를 통해 정책에 따르지 않는 주민들을 처벌한다.[15][3]

3. 4. 기타 권한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모든 정책의 승인 및 비준 권한을 가지며, 최고지도자의 유일지도체제 확립에 기여한다. 최고지도자의 의전, 일정, 경호, 교육, 재정 등 개인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비서실을 운영한다.[17][9][3] 대외 무역 기관, 국제 조약 참여 전략 등을 감독하며, 외교 및 경제 분야에도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직지도부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의 과장 이상 간부와 대남 공작 부서 요원을 감시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65]

4. 구조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당 정치국 산하의 가장 큰 부서로, 방대한 조직과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37][38] 2013년 12월 말에는 통괄 제1부부장 김경옥, 검열 담당 조연준, 담당 황병서 등이 주요 인물로 알려졌다.

2014년에는 김정은의 권력 장악이 완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직지도부가 권력의 중심이라는 분석도 있었다.[39] 황병서는 차수로 승진하고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취임하며 당내 서열 3위가 되었으나, 2017년 최룡해가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면서 군 총정치국은 조직지도부의 검열을 받았고 황병서는 해임되었다.[40][41][42][43][44][45][46][47][48][49][50]

2019년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고,[52] 최고인민회의에서 그의 서열 상승 및 당 중앙위원회 부장 선출이 확인되면서 조직지도부장 취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그러나 2020년 김일성고급당학교에서의 부정행위(부정입학)[54][55][56][57]로 인해 당 부위원장 및 조직지도부장직에서 해임되었고,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58]

2020년 5월 제1부부장은 김조국과 조용원이었으며,[59] 같은 해 8월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리만건이 제1부부장으로 강등되었음이 확인되었다.[60]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고,[62] 김재룡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다.[63]

조직지도부의 직속 부대로는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 간부 및 대남 공작 요원을 감시한다고 알려져 있다.[65]

4. 1. 지도부

직책이름비고
부장김재룡[12]
제1부부장김여정[58]
리만건[60]
김조국군사 담당[17]
조연준전당 담당[68]
부부장김인걸
민병철
조용원[21]



조직지도부 고위 간부들은 조선로동당 내에서 상당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1부부장과 부부장들은 북한 체제의 주요 인물로, 이들에게는 특권과 비밀 유지가 보장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종의 엘리트 사제 계급"으로 불린다.[9] 이들은 최고 지도자의 감시를 받으며, 최고 지도자는 언제든지 이들을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3]

김정일 사후, 김경희와 김정은이 조직지도부를 이끌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23] 2020년 리만건은 조선로동당 부위원장직과 조직지도부 국장직에서 해임되었는데,[10] 이는 조선로동당의 권력 남용 및 부패 스캔들 때문이었다.[10][11] 이후 김재룡이 조직지도부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12]

초대 최고 지도자 김일성 시절에는 그의 친동생 김영주와 친아들 김정일이 조직지도부 부장을 역임했다. 2대 최고 지도자 김정일 체제에서는 부장직이 공석이었고, 김정일 자신이 사실상 부장직을 겸임했다. 김정일 직속 제1부부장은 북한 권력층 인사들의 사상 검열과 인사고과 및 숙청 권한을 쥐고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를 지휘하여 북한의 진정한 권력 중추 기관으로 불렸다.[37][38] 장성택과 이제강이 김정일 체제 시절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의 예시이다.

김정은 체제로 이행한 후 2013년 12월 말 시점의 제1부부장 권력 서열은 통괄 제1부부장 김경옥, 검열 담당 조연준, 담당 황병서 순으로 알려졌다.[37]

2014년 4월 황병서는 차수로 승진하고,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에 취임하여 당내 서열 3위가 되었으나, 최룡해2017년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면서[40][41][42][43][44] 군 총정치국은 조직지도부로부터 검열을 받았고, 황병서는 총정치국장 등에서 해임되었다.[45][46][47][48][49][50]

2019년 2월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고,[52] 같은 해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리만건의 서열 상승 및 당 중앙위원회 부장 선출이 확인됨에 따라 리만건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2020년 2월 리만건김일성고급당학교에서의 부정 행위(부정입학)[54][55][56][57]를 이유로 당 부위원장·조직지도부장직에서 해임되었다.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58]

2020년 5월 시점의 제1부부장은 김조국과 조용원이며,[59] 같은 해 8월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리만건이 제1부부장으로 강등되었음이 확인되었다.[60] 같은 해 8월,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김여정이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61]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고,[62] 조직지도부장에는 김재룡이 취임했다.[63] 김여정은 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전출했다.[64]

4. 2. 하부 조직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본부당부문, 전당부문, 군사부문, 행정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07년 6월, 행정부문은 당중앙위원회 행정부(부장 장성택)로 독립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69] 조직지도부는 업무별로 세분화되어 다음과 같은 과(課)들로 나뉜다.[69]

  • 생활지도과: 모든 당원과 근로자가 매주 '생활총화'(자아비판, 호상비판)를 실시하도록 지도한다.[70] 특히 생활지도 13과(군 담당)는 조선인민군 총참모장도 따라야 할 정도로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66]
  • 검열과: 고위 권력자라도 검열, 숙청할 수 있다. 검열4과는 고위층을 전문적으로 관리, 감시하며 숙청을 담당한다.[66]
  • 당원등록과: 모든 당원 등록, 조선로동당 당원증 발부 및 분배 권한을 갖는다.[71]
  • 간부과: 담당에 따라 여러 과로 나뉜다.
  • 1과, 2과(중앙), 3과(지방), 4과(군), 5과, 6과(호위사령부), 7과(인민보안부), 8과(국가안전보위부), 9과(내각), 10과(항일투사 유가족), 11과(대남 공작 부서)
  • 당, 군, 국가 기관 상위 권력층 인사를 담당하며,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임명도 조직지도부의 검증과 동의를 거친다.[66]
  • 통보과: 모든 정책을 승인, 비준하며 최고지도자의 유일지도체제를 뒷받침한다.[66]


조직지도부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 간부 및 대남 공작 요원을 감시한다.[65]

5. 비판 및 논란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OGD)는 북한 정치 체제의 핵심 기관으로, 그 권력과 영향력만큼이나 많은 비판과 논란에 휩싸여 있다. 탈북자들의 증언과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조직지도부는 북한의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5]

일부 학자와 탈북자들은 조직지도부 지도자들이 북한의 실질적인 권력자이며, 김정은은 허수아비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7][8] 탈북자 장진성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었던 황병서가 군 장교 인사권을 통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8] 그러나 북한인권위원회의 로버트 콜린스는 조직지도부가 최고 지도자의 지시를 이행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북한 지도부 감시의 마이클 매든은 조직지도부가 독자적인 지시를 내릴 만큼 강력하지 않다고 분석한다.[8][3]

5. 1. 인권 탄압

유엔 인권이사회는 조직지도부가 북한의 인권 침해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7][9][3] 조직지도부는 당 생활[3] 통제를 통해 주민들의 자유를 억압하고, 정치범 수용소 운영 등에 관여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5. 2. 국제사회의 제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7년에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와 민병철(2020년 기준 조직지도부 부국장), 조용준(전 조직지도부 부국장), 김경옥(2020년 기준 조직지도부 제1국장), 조용원(2020년 기준 부국장) 등 핵심 지도부에 대해 제재를 가했다.[32]

2016년 미국은 북한 인권 문제를 의제로 올리고, 미국 재무부는 조직지도부 자체뿐 아니라 조용준, 김경옥, 그리고 북한 지도부의 다른 여러 구성원들을 인권 침해 혐의로 외국자산통제국 특별지정국가 명단(OFAC SDN)에 추가하여 제재를 가했다.[3][33] 2017년 후반에는 민병철, 조용원, 김여정이 인권 침해 혐의로 같은 명단에 추가되었다.[34]

대한민국은 2016년 황병서(2020년 기준 조직지도부 부국장)에 대해 제재를 가하고 위에 언급된 유엔 제재를 시행했다.[35]

2017년 영국은 조직지도부와 동일 인물들에 대해 자체적인 추가 제재를 가했다.[36]

6. 역대 조직지도부장 및 제1부부장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는 부장, 제1부부장, 그리고 여러 부부장들로 구성된다. 조직지도부 고위 간부들은 당 내에서 상당한 권력을 가지며, 국장은 종종 국가에서 두 번째로 권력이 큰 인물로 여겨진다.[9] 이는 초대 국장 김일성과 그의 후계자 김정일이 오랫동안 조직지도부를 지휘한 것에서 비롯된다.[9]

김정일 사후, 김경희와 김정은이 조직지도부를 이끌었다는 추측이 있었다.[23] 2014년에는 김정은이 김정일만큼 권력을 장악하지 못했고, 조직지도부가 권력 중심이라는 분석도 있었다.[39]

2014년 4월, 황병서는 차수로 승진, 총정치국장에 취임하며 당내 서열 3위가 되었으나, 2017년 최룡해가 당내 서열 3위로 승격,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하며 상황이 변했다.[40][41][42][43][44] 군 총정치국은 조직지도부로부터 20년 만에 검열을 받았고, 황병서는 부정행위로 해임되었다.[45][46][47][48][49][50] 조연준2015년 당내 서열 18위였으나, 2017년 당 중앙위 검열위원장에 취임하며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남았는지 분석이 엇갈렸다.

2019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최룡해상임위원장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선출, 리만건의 서열 상승 및 당 중앙위 부장 선출이 확인되어, 리만건의 조직지도부장 취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그러나 리만건은 2020년 2월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김일성고급당학교 부정입학 문제로 당 부위원장 및 조직지도부장에서 해임되었다.[54][55][56][57] 2019년 12월 제5차 당 중앙위 총회에서 제1부부장에 취임한 것으로 보이는 김여정이 해임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58]

2020년 8월 25일, 정경두 국방장관은 김여정이 조직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했다는 견해를 밝혔다.[61] 그러나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김여정은 선전선동부 부부장으로 전출되었고,[64] 김재룡이 조직지도부장에 취임했다.[63]

조직지도부 직속 부대로 창광보위부와 창광보안부가 있으며, 당 과장급 이상 간부와 대남 공작 부서 요원을 감시한다고 알려졌다.[65]

6. 1. 부장

취임 년도이름
1960년김영주
1973년김정일[23]
1994년김정일[23]
2017년최룡해[23]
2019년리만건
2020년김재룡
2022년조용원


6. 2. 제1부부장

역임 기간이름비고
1969년 ~ 1973년김정일[9]
1994년 ~ 2010년리용철
1995년 ~ 2004년장성택[9]
2001년 ~ 2010년리제강
2008년 ~ 현재김경옥
2012년 ~ 현재조연준
2014년 ~ 2018년황병서
2020년 ~ 2021년김여정
2021년 ~ 2022년조용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과 부부장들은 북한 체제 내의 주요 인물이다. 이들의 지위는 상당한 특권과 비밀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일종의 "엘리트 사제 계급"으로 여겨진다.[9] 1980년대 김정일이 발표한 각서 이후 조직지도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국가 법률이나 당 규정의 관할을 받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비밀 조직이 되었다.[9]

조직지도부 구성원, 특히 국장과 부국장들은 지속적이고 강력한 감시를 받으며, 최고 지도자에 의해 언제든지 어떤 이유로든 해임될 수 있다.[3] 예를 들어 1990년대 윤성관은 부국장으로서 2년 동안 조직지도부 업무를 장악했지만, 김정일이 그가 너무 많은 권력을 축적했다고 판단했을 때 해임되었다.[9] 2003년 장성택이 해임되었을 때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9]

김정일 체제에서는 장성택과 이제강이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서 절대적인 권력을 휘둘렀다.[37][38] 이들은 북한 권력층 인물들의 사상 검열과 인사고과 및 숙청 권한을 쥐고 국가안전보위부(현: 국가보위성)를 지휘했다.[37][38]

김정은 체제로 이행한 후 2013년 12월 말 시점의 제1부부장 권력 서열은 통괄 제1부부장 김경옥, 검열 담당 조연준, 담당 황병서 순으로 알려졌다.[37]

2019년 2월에는 리만건이 제1부부장에 취임했다는 분석이 있었다.[52]

2020년 5월 시점의 제1부부장은 김조국과 조용원이었다.[59] 같은 해 8월 9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리만건이 제1부부장으로 강등되었음이 확인되었다.[60]

2021년 1월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조용원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당 중앙위원회 조직담당 서기에 취임하여 조직지도부를 장악하게 되었다.[62]

참조

[1] Wikidata
[2] 웹사이트 Treasury Sanctions North Korean Senior Officials and Entities Associated with Human Rights Abuses https://www.treasury[...] United States Government 2020-07-17
[3] 웹사이트 North Korea's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https://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20-07-11
[4]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http://newfocusintl.[...] New Focus International 2013-06-27
[5] 웹사이트 'Worker's Party holds the real power in North Korea' http://www.koreahera[...] 2014-06-12
[6] 웹사이트 Senior Officials From Dismantled North Korean Department Demoted http://www.rfa.org/e[...] Radio Free Asia 2014-06-12
[7] 서적 Dear Leader: Poet, Spy, Escapee—A Look Inside North Korea 37 Ink
[8] 웹사이트 Kim Jong-un: North Korea's supreme leader or state puppet? https://www.theguard[...] 2014-06-12
[9] 웹사이트 KWP Central Committee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http://nkleadershipw[...]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4-06-12
[10] 웹사이트 Political Bureau Meeting Held http://www.nkleaders[...] 2020-07-16
[11] 웹사이트 Kim Jong Un sacks top officials for "corruption" in meeting on coronavirus https://www.nknews.o[...] 2020-07-16
[12] 웹사이트 KJU Attends 20th PB Meeting of the 7th Central Committee http://www.nkleaders[...] 2021-01-11
[13] 뉴스 North Korea's Ri Byong-chol Appointed KWP First Vice-Director https://www.yna.co.k[...] 2020-07-23
[14] 웹사이트 Ri Pyong-chol https://nkleadership[...] 2020-07-23
[15] 웹사이트 Pyongyang Republic https://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20-07-23
[16] 뉴스 North Korea missile developers hit by US sanctions https://www.bbc.com/[...] 2020-08-05
[17] 논문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leadership of the Organis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https://www.research[...] 2020-07-16
[18] 웹사이트 Hwang Pyong-so https://nkleadership[...] 2020-07-23
[19] 뉴스 N. Korea conducts rare inspection of key military organ: spy agency http://english.yonha[...] 2020-07-23
[20] 뉴스 U.S. sanctions on North Korea target officials close to Kim Jong Un https://www.upi.com/[...] 2020-08-05
[21] 웹사이트 Jo Yong Won, the mainstay of the Organization and Guidance Department: a profile https://www.nknews.o[...] 2020-07-23
[22] 웹사이트 The Political Status and Role of Kim Yo-jong http://www.kinu.or.k[...] Korean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20-07-24
[23] 웹사이트 Choe Ryong Hae to OGD? [revised 13 JAN 2018] http://www.nkleaders[...] 2019-01-26
[24] 웹사이트 Central Message Meeting Held http://www.nkleaders[...] 2018-10-17
[25] 논문 Joint Study of the Realities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f Organizations in North Korea 2007-01-01
[26] 서적 The Contemporary North Korean Politics: History, Ideology and Power System Hanul Publishing 2011-01-01
[27] 서적 KWP's Control System Over Nor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Research Studies 1998-08-01
[28] 웹사이트 From Cradle to Grave https://www.hrnk.org[...]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20-07-22
[29] 웹사이트 Exposing North Korea's Monster That Led the Execution of Jang Song-taek, the Party's OGD https://www.chogabje[...] 2020-07-16
[30] 웹사이트 Secret of 974 Guard Unit for Kim Jong-un Wrapped in a Veil http://www.sisaplusn[...] 2020-07-27
[31] 웹사이트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2020-08-20
[32] 웹사이트 The List established and maintained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 1718 (2006) https://scsanctions.[...] United Nations 2020-07-25
[33] 웹사이트 North Korea Designations https://www.treasury[...] US Treasury 2020-07-25
[34] 웹사이트 SDN BY PROGRAMS https://www.treasury[...] US Treasury 2020-07-14
[35] 뉴스 Korea, 36 additional sanctions including Hwang Byeong-seo and Choi Ryong-hae https://www.rfa.org/[...] 2020-07-25
[36] 웹사이트 CONSOLIDATED LIST OF FINANCIAL SANCTIONS TARGETS IN THE UK https://assets.publi[...] HM Treasury 2020-07-25
[37] 뉴스 拷問、犬刑、密告、政治収容所 恐怖支配強まる金正恩の北朝鮮3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12-23
[38] 뉴스 張氏処刑を主導 党組織指導部 強力な権限1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12-28
[39] 뉴스 「金正恩の権力強くない、台本を書いているのは組織指導部」「体制崩壊は5~7年後」 脱北者ら分析 https://web.archive.[...] 2014-09-26
[40] 뉴스 朝鮮労働党中央委員会の総会…金与正氏が党中央委員に http://dailynk.jp/ar[...] デイリーNK 2017-10-08
[41] 웹사이트 崔龍海の組織指導部長就任が正式確認された。 2018-03
[42] 웹사이트 习近平同金正恩举行会谈 http://www.cac.gov.c[...]
[43] 뉴스 「崔竜海は組織指導部長、朴光浩は宣伝担当副委員長に」国情院シンクタンクが予測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7-10-11
[44] 블로그 北朝鮮「新人事」を読む(2)「実質ナンバー2」誕生か!? http://blogos.com/ar[...] BLOGOS 2017-10-24
[45] 뉴스 北朝鮮が軍総政治局を20年ぶり検閲 局長ら処罰か=韓国情報機関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7-11-20
[46] 뉴스 北、正恩氏最側近を6階級降格か…収賄疑惑浮上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7-12-19
[47] 뉴스 焦点:北朝鮮の金正恩指導部に亀裂か、最側近の軍司令官を処罰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7-11-22
[48] 뉴스 北元No2処罰情報の背景 崔竜海副委員長の“復讐”か、最重要機関に異例査察 http://www.zakzak.co[...] ZAKZAK 2017-11-22
[49] 뉴스 金正恩氏夫人、李雪主氏に「女史」の呼称 軍総政治局長の交代確認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8-02-09
[50] 뉴스 【激動・朝鮮半島】南北対話の担当者を抜擢 軍統括幹部は政治局員止まり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4-22
[51] 뉴스 北朝鮮「党創建70周年」(下)「粛清疲れ」?人事は「安定性」を志向か http://www.fsight.jp[...] Foresight 2015-10-23
[52] 뉴스 北朝鮮ミサイル・核責任者、組織指導部の二番手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2-19
[53] 뉴스 正恩氏、北指導部を刷新 経済と対米交渉強化へ 最高人民会議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19-04-13
[54] 뉴스 突然クビになった党第二人者…正恩氏、平壌入試不正に激怒 https://s.japanese.j[...] 2020-03-03
[55] 뉴스 久保田るり子の朝鮮半島ウオッチ 金正恩氏が最大権力の要を解任、重大な危機の兆候 https://special.sank[...] 2020-03-07
[56] 뉴스 コロナウイルス渦中でもマスクなしの金正恩氏 3ヶ月ぶりミサイル発射、幹部大量粛清も… https://sp.fnn.jp/po[...] 2020-03-04
[57] 뉴스 【第660回・特別版】北朝鮮で権力中枢の党幹部を解任 https://jinf.jp/week[...] 2020-03-02
[58] 뉴스 コロナウイルス渦中でもマスクなしの金正恩氏 3ヶ月ぶりミサイル発射、幹部大量粛清も… https://www.fnn.jp/a[...] FNNニュース 2020-03-04
[59] 뉴스 最新の北朝鮮人物情報公表 正恩氏妹は「所属部署不明」=韓国政府 https://s.wowkorea.j[...] 2020-05-13
[60] 뉴스 北朝鮮労働党序列1位部署長の李万建氏、不正腐敗で降格 https://japanese.joi[...] 2020-08-10
[61] 뉴스 韓国国防相「金与正氏が党組織指導部を掌握」 北の挑発には「軍事的措置」 https://jp.yna.co.kr[...] 2020-08-25
[62] 뉴스 사회주의건설의 지역적거점들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의 계기 제1차 시, 군당책임비서강습회 개강 조선로동당 총비서이신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개강사를 하시였다(社会主義建設の地域拠点を強化するための重要な転換の契機 第1次市・郡の責任秘書講習会開講 朝鮮労働党総書記である敬愛する金正恩同志が開講の辞を述べた) http://www.rodong.re[...] 労働新聞 (朝鮮労働党) 2021-03-04
[63] 웹사이트 Press release of First Plenary Meeting of Eighth WPK Central Committee issued(朝鮮労働党第8期中央委員会第1回全体会議公報) https://kcnawatch.or[...] 2021-01-11
[64] 뉴스 金与正氏が韓国大統領非難 肩書は「党宣伝扇動部副部長」 https://www.sankei.c[...] 2021-03-30
[65] 뉴스 「特別委」は目くらまし 犯罪者が自分の犯罪を再調査する愚行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4-07-05
[66] 뉴스인용 拷問、犬刑、密告、政治収容所 恐怖支配強まる金正恩の北朝鮮3 http://sankei.jp.msn[...] 2013-12-23
[67] 뉴스인용 張氏処刑を主導 党組織指導部 強力な権限1 http://sankei.jp.msn[...] 2013-12-28
[68] 뉴스인용 북 주석단 서열 공개, 김경희.장성택 부상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2-04-18
[69] 웹인용 조직지도부를 알면 조선로동당이 보인다 http://www.tongilnew[...] 2012-04-10
[70] 웹인용 하루생활 및 생애과정 http://nkinfo.unikor[...]
[71] 웹인용 장성택 처형을 주도한 북한의 괴물 당조직지도부를 파헤친다. http://www.newfocus.[...] 2013-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