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투아니아 6월 봉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 6월 봉기는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과 함께 리투아니아에서 일어난 반소 봉기이다. 1940년 소련에 병합된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회복하고 임시 정부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봉기는 카우나스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주요 시설을 장악하고 독립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독일군의 지원을 받아 소련군을 몰아냈다. 그러나 독일은 임시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동방 국가판무관부를 설치하여 통제력을 강화했으며, 임시 정부는 1941년 8월 해산되었다. 봉기는 리투아니아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되지만, 임시 정부의 반유대주의적 행적과 관련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리투아니아 -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1940년)
    소련의 발트 3국 점령은 1940년 소련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군사적으로 점령하고 정부를 강제 교체하여 소련에 병합한 사건으로,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른 소련의 영향력 확대 정책의 일환이다.
  • 1941년 리투아니아 - 알리투스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투아니아 -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한 발트 3국과 벨라루스 지역에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1941년 설립되어 독일화 계획, 강제 노동, 홀로코스트 등 나치의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1944년 해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투아니아 -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은 1939년 독일과 소련이 서로를 공격하지 않기로 약속하고 동유럽 분할을 비밀리에 합의한 조약이며,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소련 침공으로 파기되었다.
리투아니아 6월 봉기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941년 6월부터 8월까지의 독일군 진격
1941년 6월부터 8월까지의 독일군 진격
분쟁 명칭6월 봉기
주요 사건바르바로사 작전의 일부
제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 전투
기간1941년 6월 22일 – 1941년 6월 27일 (5일)
위치리투아니아
결과리투아니아의 승리
소련군 축출
리투아니아 임시 정부 수립
리투아니아의 홀로코스트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소련
붉은 군대
NKVD
교전국 2리투아니아 임시 정부
리투아니아 활동가 전선
지휘관
소련 측 지휘관해당 정보 없음
리투아니아 측 지휘관해당 정보 없음
병력 규모
소련 측 병력12–15개 사단 (137,605–158,775명)
리투아니아 측 병력20,000–30,000명
사상자 규모
소련 측 사상자5,000명
리투아니아 측 사상자600명

2. 배경과 준비

1918년 리투아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러시아 혁명의 혼란 속에서 독립을 쟁취하고 리투아니아 독립 전쟁을 통해 국가 지위를 확보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 리투아니아는 중립을 선언하고 리투아니아 의회에서 중립법을 통과시켰다.[2] 그러나 전쟁 직전, 주변 강대국들의 압력으로 인해 리투아니아는 여러 최후통첩을 받아들여야 했다.[24]

1938년 3월 17일, 폴란드는 외교 관계 수립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리투아니아는 주변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이를 수용했다. 1939년 3월 20일에는 나치 독일클라이페다 지역 할양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리투아니아는 이에 굴복했다.[25]

1939년 9월 2일, 빌뉴스에 리투아니아 영사관이 개설되어 유대인과 폴란드인 난민을 보호했다. 이는 리투아니아인들이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을 적극적으로 구한 사례 중 하나이다.[26][27] 한편 1934년 나치 독일은 리투아니아 국민에게 유대인에 대해서 어떤 보호에 관한 조치도 취하지 말라고 성명을 한 적이 있었다.

모스크바로 떠나기 전의 리투아니아 대표단. 이 대표단은 소련으로부터 소련-리투아니아 상호지원조약에 서명하라는 협박을 받았다.


소련은 리투아니아 정복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28] 1939년 10월, 리투아니아는 소련-리투아니아 상호지원조약을 강요받아 빌뉴스 지역을 얻는 대신 소련군 주둔을 허용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빌뉴스를 받든 받지 않든, 소련군은 리투아니아 내로 진주할 것"이라고 말했다.[29] 또한 스탈린은 유오자스 우르프시스에게 독일-소련 비밀 조약 내용과 영향력 배분 지도를 보여주었다.[30] 5개 중 2개 기지의 위치는 카우나스와 바로 맞닿아 있는 프리에나이와 가이주나이로 결정되었다.[31] 빌뉴스라는 역사적 수도를 되찾았으나 행정부 등 주요 정부 기관은 카우나스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32]

1940년 6월 14일 밤, 독립 리투아니아 정부의 마지막 내각회의가 열린 카우나스 구 대통령궁.


1940년 6월, 소련은 리투아니아에 대한 최후통첩을 보내 정권 교체와 붉은 군대의 무제한 주둔을 요구했다.[34] 안타나스 스메토나 대통령은 군사적 저항을 주장했으나, 이미 주둔 중인 소련군 때문에 저항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결국 최후통첩은 수용되었다.[36] 이날 밤 소련군은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국경 지대에서 리투아니아 국경수비대원인 알렉산드라스 바라우스카스를 살해하였다.[37]

소련 점령 후, 리투아니아 주요 관료들은 처형되거나 강제 추방되었으며, 리투아니아 군대는 소련군에 편입되었다.[38] 카지스 스쿠차스와 아우구스티나스 포빌라이티스는 모스크바로 끌려가서 처형당했다. 스타시스 라슈티키스는 부인의 설득으로 비밀리에 독일 국경을 월경하였다. 이 사실이 밝혀지자 NKVD는 라슈티키스의 가족들에게 테러를 가했다.[43] 그의 아내는 1살 난 딸과 강제로 떨어져 카우나스 감옥에서 고문받았으며, 아버지인 베르나르다스 라슈티키스, 3명의 딸, 두 형제자매는 시베리아로 강제 추방당했다. 리투아니아군은 처음에 리투아니아 인민군으로 개명했으나 나중에는 제29소총군단으로 개편되었다.[42]

1940년 카우나스에서 소비에트의 정치 장교(군 숄더 스트립 없음)과 소련 하에 있던 인민의회 의원 (자켓 옷깃에 빨간 장미가 달려 있음)이 리투아니아 인민군 부사관들에게 곧 "붉은 군대 휘하로 합쳐질 것이라고 발표하는 모습.


1940년 6월 17일, 리투아니아 인민정부가 수립되고, 리투아니아 공산당의 일당 독재 체제가 시작되었다.[44] 7월, 인민 세이마스 선거가 조작된 결과로 실시되어 리투아니아 노동인민연합이 승리하고, 유스타스 팔레츠키스가 리투아니아의 총리와 대통령이 되었다. 리투아니아 신정부는 국유화를 포함한 소련화 정책을 강행하고, 정치 운동가들과 "인민의 적"들을 대량 체포했다.[44]

1941년 6월, 17,000명의 리투아니아인들이 시베리아로 강제 추방되는 6월 추방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봉기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불러일으킨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45]

1940년 가을, 카지스 슈키르파를 중심으로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LAF)이 결성되어 리투아니아 독립 회복을 목표로 활동했다.[46] LAF는 통솔조직으로 발전했고[47] 베를린, 빌뉴스, 카우나스 본부 사이 통신과 협력은 빈약하였다.[49] 1941년 3월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은 베를린에서 나치 독일과 소련 간의 전쟁을 준비하는 지침을 다룬 비망록인 "친애하는 형제들에게"(''Brangūs vergaujantieji broliai'')를 출판하였다.[50]


3. 6월 봉기

3. 1. 독일의 진군과 소련의 후퇴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하며 리투아니아 SSR을 침공했다.[55] 독일군은 북부집단군중부 집단군으로 나뉘어 각각 리투아니아 서부 및 북부와 빌뉴스 지역을 공격했다.[55] 독일군은 40개 사단 70만 명의 병력, 1,500대의 전차, 1,200기의 항공기를 동원한 반면, 리투아니아 지역의 소련군은 발트 군구 산하 25개 사단 40만 명의 병력, 1,500대의 전차, 1,344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55][56]

1941년 6-7월, 빌뉴스에서 독일군이 소련군 포로를 끌고 가고 있다.


독일군의 첫 공격은 루프트바페의 리투아니아 주요 도시(케다이냐이, 라세이냐이, 카르멜라바, 파네베지스, 유르바르카스, 우크메르게, 샤울랴이 등) 및 비행장, 공항에 대한 공습으로 시작되었다.[56] 이 공습으로 민간인 4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소련 공군은 대부분의 항공기를 지상에서 잃었다.[56] 독일군은 칼티네나이, 라세이냐이, 샤울랴이 등지에서 소련군의 저항을 받았으나, 라세이냐이 전투에서 소련군의 전차 반격을 격퇴하는 등 큰 피해를 입히며 빠르게 진격했다.[57]

개전 첫 주 만에 독일군은 리투아니아 전역을 점령했지만, 3,362명의 사상자를 냈다.[58] 소련군은 12-15개 사단이 전멸하고, 항공기, 전차, 포 등 대부분의 장비를 상실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58][59]

독일군은 리투아니아 민간인들에게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아블링가와 알리투스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하는 등 징벌적 처형을 단행하기도 했다.[56] 한편, 후퇴하는 붉은 군대와 NKVD 역시 라세이냐이, 프라비에니슈케스, 파네베지스 등지에서 수용소 내 죄수들을 학살하고, 체르벤에서 리투아니아인 1천 명 이상을 학살하는 등 잔학 행위를 저질렀다.[56]

3. 2. 리투아니아의 봉기

1941년 6월 22일 새벽, 독소전쟁 발발과 동시에 카우나스를 중심으로 봉기가 시작되었다.[60]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LAF)은 카우나스의 대통령궁, 우체국, 전화국, 라디오 방송국 등 주요 시설을 장악했다.[60] 전화국 통제 덕분에 리투아니아는 알려진 모든 공산주의자의 전화 연결을 끊고 암호나 비화어 없이 서로 연락할 수 있게 되었다.[61]

카우나스에서 붉은 군대의 정치위원을 체포하는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원.


카우나스에서 붉은 군대의 T-38 전차를 검사하는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원.


1941년 6월 25일, 카우나스의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 병력.


6월 23일 아침, 레오나스 프라푸올레니스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문과 임시 정부 구성을 발표했다.[62] 이 방송은 리투아니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여러 차례 반복되었다.[62] 같은 날, 반군은 샨차이,[63] 파네무네, 빌리얌폴레의 소련군 무기고를 급습하여 무기를 확보했다.[64] 특히 네리스강을 가로지르는 빌리얌폴레 다리는 독일군 진입로로 예상되어 중요하게 여겨졌으나, 이미 소련군에 의해 폭파 준비가 되어 있었다. 유오자스 사불료니스라는 병사가 전선을 끊어 다리 폭파를 막았으나, 소련군의 총격에 사망하여 봉기의 첫 희생자 중 하나가 되었다.[65]

네무나스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후퇴하는 소련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수발키야 지역의 붉은 군대는 카우나스를 우회해야 했다. 메탈라스 공장은 샨차이 반군의 본부가 되었고, 이들은 소련군의 강 도하를 저지하려 했다.[63] 이 과정에서 약 100명의 반군이 사망하고, 소련군 100여 명이 포로로 잡혔다.[63] 제188소총병사단장인 피오트르 이바노프는 붉은 군대가 카우나스를 통해 후퇴하는 동안 반혁명분자들의 공격으로 많은 병력과 장비를 손실했다고 보고했다.[67][68]

6월 24일, 요나바의 붉은 군대 전차 부대가 카우나스 탈환 명령을 받았으나, 루프트바페의 폭격으로 저지되었다. 이는 최초의 독일군-리투아니아군 연합 작전이었다.[69] 6월 25일, 독일군 본대가 카우나스에 입성했고,[71] 6월 26일에는 반군 해산 및 무장 해제 명령을 받았다.[72]

빌뉴스에서도 봉기가 일어났으나, 리투아니아인 인구가 적어 규모가 작았다.[75][76] 반군은 우체국, 라디오 방송국 등을 장악하고 게디미나스 타워에 리투아니아의 국기를 게양했다. 6월 24일, 독일군이 빌뉴스에 입성했다.

봉기는 리투아니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반군들은 지역 기관을 장악하고 소련 활동가들을 체포하며 리투아니아 국기를 게양했다.[75] 반군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지역은 슈벤초니스, 마제이캬이, 파네베지스, 우테나였다.[75]

봉기 가담자 수는 16,000명에서 20,000명으로 추산되며, 리투아니아인 사상자는 600명 정도로 추정된다.[75]

리투아니아 사격 연맹 소속원들이 크루오니스에서 지역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공산주의자 및 소련군에 맞서 싸울 더 많은 무기를 요청하는 모습.

3. 3. 독립과 임시 정부

1941년 6월 23일 오전 9시 28분, 카우나스 라디오 방송을 통해 국가인 "타우티슈카 기에스메"가 송출되었고, 레오나스 프라푸올레니스는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문 "Atstatoma laisva Lietuva"(자유 리투아니아가 복원됨)을 발표하였다.[80][79] 그는 리투아니아 임시 정부 구성원을 발표하고 국민들에게 재산 보호와 질서 유지를 당부했다. 이 메시지는 리투아니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반복되었다.[79]

유오자스 암브라제비추스가 의장으로 진행한 리투아니아 임시 정부의 각료회의 모습.


임시 정부의 첫 각료회의는 6월 24일에 열렸다.[79] 카지스 슈키르파가 베를린에 가택 연금되었기 때문에, 유오자스 암브라제비추스가 총리 대행을 맡았다.[79] 임시 정부는 국토 통제, 독립 확립, 탈소비에트화를 목표로 하였다.[79] 6주 동안 100여 가지의 법률을 반포하며 국유화 해제, 지방 행정 복원, 경찰 조직 수립 등을 추진했지만, 빌뉴스 지역에는 영향력이 없었다.[79]

임시 정부의 마지막 회의 참석자들을 촬영한 사진.


독일군은 임시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무력으로 해산하지는 않았다.[79] 처음에는 독일 군정부가 민간 기관 통제를 시도하지 않아 임시 정부 활동이 용인되었다.[79] 1941년 7월 17일, 독일 동방 국가판무관부가 수립되면서 임시 정부의 권한은 점차 약화되었다.[79] 독일은 임시 정부가 스스로 해산하거나 괴뢰정부가 되도록 유도하였다.[79] 임시 정부는 독일의 압력에 항의하며 1941년 8월 5일 스스로 해산했다.[81]

4. 여파와 논쟁

임시 정부 해산 이후에도 리투아니아의 공적 생활은 계속 침해받았다. 1941년 9월,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LAF)의 활동이 금지되고 일부 지도자들은 강제수용소로 끌려갔다. 1941년 12월에는 리투아니아 내 마지막 합법 정당이었던 친나치 계열 리투아니아 국민당도 금지되었다. 임시 정부가 발의한 법안 대부분은 실효성이 없었지만, 지방 행정과 교육 분야에서는 일부 영향력을 유지했다. 리투아니아는 무장친위대 사단 징집, 독일의 강제 노동자 할당량, 리투아니아 학교의 독일화 등에 저항했다.

카지스 슈키르파가 회고록에서 언급했듯이, 6월 봉기는 리투아니아 국민의 독립 의지를 보여주었고, 1940년 6월 리투아니아가 소련에 자발적으로 편입되었다는 주장을 반박했다.[82][16] 이 봉기는 독일군이 소련 내로 빠르게 진격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17일 만에 독일군은 프스코프에 도달했다.

1941년 6월 26일 카우나스에서 열린 6월 봉기 희생자 장례식


1941년 6월의 사건은 여러 논란을 낳았다. 안타나스 스메토나 등 일부 리투아니아 외교관들은 6월 봉기가 나치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82][16] 이는 리투아니아가 나치의 동맹국이 아님을 서방 강대국에 설득하기 위한 시도였다는 분석도 있다.[83][17] 임시 정부는 반유대주의적인 구호와 법령, 특히 1941년 8월 1일에 발표된 "유대인의 지위에 관한 규정"(유대인 지위 규정/Žydų padėties nuostatailt)으로 비판받았다.[18] 임시 정부의 군사 조직인 국민노동방위대대(TDA)는 카우나스 요새 등에서 리투아니아계 유대인 학살에 동원되었다.[84] 유대인 생존자와 작가들은 리투아니아 운동 전선이 유대인에 대한 폭력과 학살을 자행했다고 증언했다.[85][19]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runivers.[...] runivers.ru 2012-07-18
[2] 서적 1939: The Year that Changed Everything in Lithuania's History https://books.google[...] Rodopi 2010
[3] 웹사이트 Lietuvių aktyvistų frontas: atlikę pareigą Tėvynei. D.Žygelis, A.Lukšas / "Karys" 2015 m. Nr.11 http://kariuomenesku[...] 2021-06-25
[4] 저널 1941 m. Lietuvos laikinosios vyriausybės atsiradimo aplinkybės http://www.voruta.lt[...] 2004-06-11
[5] 저널 1941 birželio sukilimas Kaune http://aidai.us/inde[...] 1971-06
[6] 문서 Gerutis (1984), p. 324
[7] 저널 Dzūkija ir dzūkai Lietuvos istorijos verpetuose http://www.xxiamzius[...] 2006-11-22
[8] 웹사이트 1941 metų Joninės. Šlovės savaitė: kaip lietuviai laimėjo hibridinį karą prieš Kremlių « Lietuvos Žurnalistų draugija http://www.lzdraugij[...] 2016-06-26
[9] 서적 Gimtoji istorija. Nuo 7 iki 12 klasės http://mkp.emokykla.[...] Elektroninės leidybos namai 2002
[10] 웹사이트 Tikros istorijos. Tverečiaus parapijai 500 metų (recording from 1:20 to 2:17) https://www.lrt.lt/m[...] 2001-06-28
[11] 웹사이트 Lietuvių savivalda ir vokiečių okupacinė valdžia: tarp kolaboravimo ir rezistencijos http://www.genocid.l[...] Genocide and Resistance Research Centre of Lithuania 2021-06-07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Lithuania's National Anthem http://www.draugas.o[...] 2015-09-15
[13] 문서 "Seimo Kronika", 23(162) pp. 5–7.
[14] 서적 Sukilimas Lietuvos suverenumui atstatyti http://www.partizana[...] Franciscan Fathers Press 2017-12-13
[15] 웹사이트 Vokiečių okupuota Lietuva (1941–1944) https://www.lituanis[...] Lithuanianistika 2023-12-22
[16] 저널 1941 m. sukilimo istorija http://www.aidai.eu/[...] 1975-06
[17] 저널 Apie Birželio sukilimą ir Lietuvos laikinąją vyriausybę http://ic.lms.lt/ml/[...] 2000-03-09
[18] 저널 Kauno karo komendantūros Tautinio darbo batalionas 1941 m. http://www.genocid.l[...] 2009-07-04
[19] 서적 The Jews of Lithuania: A History of a Remarkable Community 1316–1945 Gefen Books
[20] 웹인용 1941 m. Birželio sukilimas Lietuvoje ir jo įteisinimas valstybės aktais http://kariuomenesku[...] Kariuomeneskurejai.lt 2019-03-06
[21] 웹인용 Литва в период германской оккупации 1941 – 1944 г. http://www.runivers.[...] runivers.ru 2019-01-31
[22] 서적 Poland's Holocaust: Ethnic Strife, Collaboration with Occupying Forces and Genocide in the Second Republic, 1918–1947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9-03-25
[23] 서적 1939: The Year that Changed Everything in Lithuania's History https://books.google[...] Rodopi 2010
[24] 서적 World War Two: Nation by Nation https://archive.org/[...] Cassell
[25] 웹인용 Politiniai ir kariniai Klaipėdos krašto praradimo aspektai 1938-1939 metais http://briai.ku.lt/d[...] 2017-12-23
[26] 웹인용 Pirmoji pasaulyje „gyvybės vizas“ žydams išdavė Lietuva, bet pasaulis to nežino https://www.lzinios.[...] 2017-11-15
[27] 웹인용 Birutė Verkelytė-Fedaravičienė: Patriarchą užpylėm rankom http://alkas.lt/2015[...] alkas.lt 2015-06-04
[28] 서적 Baltic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2001) https://books.google[...]
[29] 웹인용 Ar Lietuva galėjo išsigelbėti 1939–1940 metais? https://kultura.lryt[...] 2010-06-30
[30] 저널 Lithuania and the Soviet Union 1939–1940: the Fateful Year http://www.lituanus.[...] 1989-06-01
[31] 저널 The Lithuanian–Soviet Treaty of October 1939
[32] 웹인용 Lietuvos sostinės atgavimo kaina https://www.15min.lt[...] 2009-10-28
[33] 서적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East-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1997-06-01
[34] 서적 Between Giants
[35] 웹인용 Šimtmečio belaukiant: Reikšmingiausi Pirmosios Lietuvos Respublikos (1918–1940 m.) įvykiai http://istorineprezi[...] 2017-11-03
[36] 서적 Prisiminimų fragmentai http://www.šaltiniai[...] Mintis 2017-12-10
[37] 웹인용 Aleksandras Barauskas http://genocid.lt/Us[...] 2018-01-30
[38] 웹인용 Didžiosios tautos aukos http://www.partizana[...] 2017-11-03
[39] 서적 Lithuania 1940: Revolution from Above https://archive.org/[...] Rodopi 2007
[40] 웹인용 Kaip raudonarmiečiai įžengė į Lietuvą: apverktinai atrodę kariai ir lygiame kelyje gedę tankai https://www.delfi.lt[...] 2017-12-10
[41] 백과사전 Reguliariosios pajėgos Science and Encyclopaedia Publishing Institute
[42] 웹인용 Lietuvos kariuomenės naikinimas (1940 m. birželio 15 d.–1941 m.) http://genocid.lt/GR[...] 2017-12-14
[43] 웹인용 Lemtingi metai generolo Raštikio dienoraščiuose http://lzinios.lt/lz[...] 2006-09-16
[44] 웹인용 Lietuvos okupacija (1940 m. birželio 15 d.) http://www.lrs.lt/si[...] 2017-12-04
[45] 문서 Anušauskas (2005), pp. 157–158
[46] 문서 Anušauskas (2005), p. 157
[47] 문서 Bubnys (1998), p. 26
[48] 문서 Bubnys (1998), p. 27
[49] 문서 Bubnys (1998), p. 32
[50] 문서 Anušauskas (2005), p. 167
[51] 문서 Anušauskas (2005), p. 168
[52] 문서 Bubnys (1998), p. 29
[53] 문서 Misiunas (1993), p. 46
[54] 저널 1941 m. Lietuvos laikinosios vyriausybės atsiradimo aplinkybės http://www.voruta.lt[...] 2004-06-11
[55] 문서 Anušauskas (2005), p. 161
[56] 문서 Anušauskas (2005), p. 162
[57] 문서 Anušauskas (2005), p. 163
[58] 문서 Anušauskas (2005), p. 164
[59] 문서 Anušauskas (2005), p. 165
[60] 문서 Bubnys (1998), p. 34
[61] 저널 1941 birželio sukilimas Kaune http://aidai.us/inde[...] 1971-06
[62] 문서 Bubnys (1998), p. 35
[63] 문서 Bubnys (1998), p. 36
[64] 문서 Gerutis (1984), p. 324
[65] 저널 Dzūkija ir dzūkai Lietuvos istorijos verpetuose http://www.xxiamzius[...] 2006-11-22
[66] 문서 Gerutis (1984), p. 325
[67] 웹인용 1941 metų Joninės. Šlovės savaitė: kaip lietuviai laimėjo hibridinį karą prieš Kremlių « Lietuvos Žurnalistų draugija http://www.lzdraugij[...] 2016-06-26
[68] 웹인용 1941 metų Joninės. Šlovės savaitė: kaip lietuviai laimėjo hibridinį karą prieš Kremlių http://kariuomenesku[...] 2016-06-26
[69] 문서 Gerutis (1984), pp. 325–326
[70] 문서 Bubnys (1998), p. 40
[71] 간행물 Misiunas (1993), p. 47
[72] 간행물 Bubnys (1998), p. 38
[73] 간행물 Anušauskas (2005), p. 169
[74] 간행물 Bubnys (1998), p. 39
[75] 서적 Gimtoji istorija. Nuo 7 iki 12 klasės http://mkp.emokykla.[...] Elektroninės leidybos namai 2009-07-04
[76] 웹인용 1941 m. birželio sukilimas Vilniuje https://alkas.lt/202[...] 2021-06-11
[77] 웹인용 Tikros istorijos. Tverečiaus parapijai 500 metų (recording from 1:20 to 2:17) https://www.lrt.lt/m[...] 2021-06-07
[78] 웹인용 Lietuvių savivalda ir vokiečių okupacinė valdžia: tarp kolaboravimo ir rezistencijos http://www.genocid.l[...] Genocide and Resistance Research Centre of Lithuania 2021-06-07
[79] 웹인용 The History of Lithuania's National Anthem http://www.draugas.o[...] 2015-09-15
[80] 간행물 "Seimo Kronika", 23(162) pp. 5–7.
[81] 서적 Sukilimas Lietuvos suverenumui atstatyti http://www.partizana[...] Franciscan Fathers Press 1973
[82] 저널 1941 m. sukilimo istorija http://www.aidai.eu/[...] 1975-06
[83] 저널 Apie Birželio sukilimą ir Lietuvos laikinąją vyriausybę http://ic.lms.lt/ml/[...] 2000-03-09
[84] 저널 Kauno karo komendantūros Tautinio darbo batalionas 1941 m. http://www.genocid.l[...]
[85] 서적 The Jews of Lithuania: A History of a Remarkable Community 1316–1945 Gefe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