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혜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 혜종은 1210년 아버지 고종의 사망으로 황위에 올랐으나, 어리석어 국정을 돌보지 못하고 외척인 쩐투도에게 정사를 위임했다. 1224년 쩐투도에 의해 폐위되었고, 그의 딸인 7세의 소황제 팟킴이 옹립되었다. 혜종은 정신 질환을 앓았으며, 1226년 쩐투도에 의해 자살을 강요받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4년 출생 - 아시시의 클라라
아시시의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의 영향을 받아 가난한 삶을 실천하고 여성 수도 공동체인 클라라회를 창설하여 여성 수도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의 수녀이자 성녀이다. - 1194년 출생 -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의 신성 로마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으로, 교황의 후견 아래 성장하여 제국과 왕국을 다스리며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나 교황과의 갈등, 반란, 전쟁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리 왕조의 황제 - 리 태조
리 태조는 불교 승려 출신으로 레 왕조의 혼란을 틈타 리 왕조를 건국하고 탕롱으로 천도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베트남 리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 리 왕조의 황제 - 리 신종
리 신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인종의 양자로서 즉위하여 송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참파, 크메르와의 군사적 충돌을 겪었으며 불교와 도교를 장려했다. - 1226년 사망 - 루이 8세
루이 8세는 필리프 2세의 아들로 1223년부터 1226년까지 프랑스 왕으로 재위하며 잉글랜드 침공과 알비 십자군을 지원하고 푸아투를 점령했으며, 몽팡시에 성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 1226년 사망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12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가톨릭 성인이자 프란치스코회의 창시자로, 세속적인 삶을 버리고 가난과 봉사의 삶을 통해 청빈, 겸손, 헌신을 강조하며 복음을 전파하고 자연과 소외된 이들을 사랑했다.
리 혜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참 (李旵) 또는 이호참 (李昊旵) |
묘호 | 혜종 (惠宗) |
시호 | 자천통어흠인굉효황제 (資天統御欽仁宏孝皇帝) |
종교 | 불교 |
신분 | |
직위 | 대월 황제 |
재위 기간 | 1210년 11월 15일 ~ 1224년 9월 3일 |
전임자 | 이 고종 |
후임자 | 이 소황 |
직위 2 | 은퇴한 이 왕조의 황제 |
재위 기간 2 | 1224년 ~ 1226년 |
전임자 2 | 숭현후 |
후임자 2 | 쩐 태조 (쩐 왕조) |
생애 | |
출생 | 1194년 7월 |
출생지 | 탕롱 |
사망 | 1226년 9월 3일 (31-32세) |
사망지 | 탕롱, 전 giáo pagoda (Chân Giáo pagoda) |
매장지 | Thọ Tomb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 고종 |
어머니 | 안 toàn hoàng hậu (An Toàn Empress) |
배우자 | 쩐 티 Dung |
자녀 | 투언 티엔 공주 Phật Kim (이 찌에우 황) |
왕조 | |
왕조 | 이 왕조 |
통치 | |
연호 | Kiến Gia (건가): 1210년 ~ 1224년 10월 |
기타 정보 | |
휘 | Lý Sảm (리삼, 李旵) 또는 Lý Hạo Sảm (리호삼, 李昊旵) |
시호 (전체) | Tự Thiên Thống Ngự Khâm Nhân Hoành Hiếu Hoàng đế (뜨 티엔 통 응으 흠 년 호아인 효 황제, 自天捅御欽仁橫孝皇帝) |
2. 생애
1209년 내란으로 아버지 고종과 함께 수도에서 쫓겨났을 때, 쩐 리와 쩐 쓰 켕에게 황제로 추대된 적이 있다. 121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황제가 되었지만, 어리석은 인물이라 국정을 돌보지 않아 외척인 쩐투도에게 정사를 위임했다. 1224년 황위 찬탈을 도모한 쩐투도에 의해 폐위되었고, 자신의 차녀로 불과 7살이었던 소황제가 옹립되었다. 이후 불교 승려가 되기 위해 물러났지만, 2년 후인 1226년 쩐투도에 의해 자살을 강요받아 죽음을 당하였다.
2. 1. 즉위 과정
1209년 내란으로 아버지 고종과 함께 수도에서 쫓겨났을 때, 쩐 리와 쩐 쓰 켕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1210년 아버지 고종의 사망으로 정식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아버지처럼 어리석은 인물이라 국정을 돌보지 않아 외척인 쩐투도에게 정치 실권을 빼앗기고 정사를 위임했다. [1]2. 2. 쩐투도의 섭정과 폐위
1210년 아버지 고종의 사망으로 황제로 즉위했지만, 아버지와 같이 어리석은 인물로 국정을 돌보지 않았기 때문에, 외척인 쩐투도에게 정사를 위임했다.[1]1224년 쩐투도가 황위 찬탈을 도모하면서 혜종을 폐위시켰고, 혜종의 차녀로 불과 7세였던 소황제 팟킴(Phật Kim|불금vie)이 옹립되었다.[1]
같은 해, 리 혜종은 정신 질환을 앓게 되었고, 왕위 계승 문제가 시급해졌다. 혜종은 아들을 낳지 못해, 일곱 살 된 딸 리 찌에우 호앙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비록 여성 통치자가 일반적으로 궁정에 받아들여지기 어려웠을지라도, 쩐투도는 리 왕조를 끝내고 쩐 왕조를 세우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어린 여제의 존재에 달려 있었기에 리 찌에우 호앙은 여제로 받아들여졌다.
2. 3. 죽음
1226년 폐위된 혜종은 쩐투도에 의해 절에서 자살을 강요받아 죽음을 당하였다. 쩐투도는 리 왕조의 잔존 세력과 잠재적인 왕위 দাবিদার(다비다르)들을 제거하여 쩐 왕조의 권력을 공고히 하고자 했다.[1]3. 가족 관계
항목 | 내용 |
---|---|
부왕 | 고종 |
모후 | 안전왕후 두씨(安全皇后 譚氏) |
왕후 | 영자국모 진씨용(靈慈國母 陳氏容) |
공주 | 소황제 |
4. 연호
Kiến Gia|끼엔자vi(建嘉)는 1211년부터 1224년까지 사용된 리 혜종의 연호이다.
혜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
서력 | 1211년 | 1212년 | 1213년 | 1214년 | 1215년 | 1216년 | 1217년 | 1218년 | 1219년 | 1220년 | 1221년 | 1222년 | 1223년 | 1224년 |
간지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갑신(甲申) |
연호 | 건가(建嘉)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