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21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15년은 남송, 금나라, 일본, 서하 등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잉글랜드의 존 왕이 귀족들의 요구에 따라 대헌장에 서명했고,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지었으며, 포선만노가 대진국을 건국했다. 또한 몽골군이 중도를 함락하고, 제4차 라테란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이 해에는 쿠빌라이 칸, 첼레스티누스 5세 등 여러 인물이 태어났으며, 호조 도키마사, 알리 이븐 무하마드 이븐 알왈리드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215년
지도
연도 정보
기원1215년
년대
13세기1210년대
주요 사건
정치제4차 라테란 공의회 개최
잉글랜드 왕국의 존 왕이 마그나 카르타에 서명
몽골 제국이 금나라를 침공
문화아르브로스 선언 발표
탄생
인물쿠빌라이 칸 (몽골 제국의 황제)
교황 요한 21세 (로마 가톨릭 교황)
알렉산더 네프스키 (러시아의 성인)
교황 첼레스티노 5세 (로마 가톨릭 교황)
이자벨 드 루지 (프랑스의 귀족)
사망
인물니콜라스 데 베르됭 (프랑스 조각가)
에제르바드 (리보니아의 주교)
존 왕 (잉글랜드의 왕)
마리아 드 몽페라 (예루살렘 왕국의 여왕)
조지 (러시아의 왕자)

2. 연호

남송 가정 8년

정우 3년

일본 겐포(건보/建保일본어) 3년

서하 광정 5년

리 왕조 끼엔자(建嘉) 5년

대진국 천태 원년 음력 10월 ~

동요 원통 3년

몽골 제국 태조(칭기스칸) 10년

대리국 천개 11년

고려 고종 2년

3. 기년

4. 사건

4. 1. 유럽

잉글랜드의 존 왕은 귀족, 성직자, 기사들의 집단 요구로 대헌장에 서명했다. 1215년 3월 4일, 존 왕은 반란 귀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십자군 원정 서약을 했고,[2], 인노첸시오 3세는 존을 자신의 봉신으로 선포했다.

5월 5일, 로버트 핏츠월터가 귀족들에 의해 총사령관으로 선출되어 존 왕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노섬프턴 성을 포위했지만 실패했다.[3] 5월 17일, 반란 귀족들의 지지자들이 런던의 문을 열었고, 6월 15일, 캔터베리 대주교 스티븐 랭턴이 이끄는 귀족들이 런니미드에서 존 왕에게 대헌장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 존 왕은 6월 19일에 배심원 재판의 지위를 확인하면서 영국의 법치주의에 종속되었다.[4]

여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4세가 파문당하고, 독일 귀족들은 프리드리히 2세를 다시 로마 왕으로 선출했다. 8월, 존 왕은 대헌장을 거부하고 인노첸시오 3세에게 편지를 써서 헌장 취소를 요청했고, 8월 24일, 교황은 대헌장을 무효화했다.[1]

11월 11일~30일,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제4차 라테란 공의회가 로마에서 끝나고 제5차 십자군 원정에 대한 교황의 제안을 승인했다.[5] 9월 13일, 존 왕은 귀족들과의 싸움에서 인노첸시오 3세의 도움을 요청했고, 10월, 귀족들은 프랑스의 루이에게 잉글랜드 왕위를 제안했다. 12월, 제1차 남작전쟁이 발발하여 존 왕은 미들랜드에서 성공적인 원정을 수행했고, 스코틀랜드 왕국의 알렉산더 2세가 귀족들에게 합류하여 잉글랜드 북부를 침략했다.[7]

4. 2. 아시아


  •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지음[8]
  • 포선만노가 대진국을 세움[8]
  • 6월 1일 – 몽골의 금나라 정복: 장기간에 걸친 중도 전투 이후, 몽골군이 중도(현재의 베이징)를 함락합니다. 한편, 칭기즈칸은 초원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케를렌 강으로 돌아가는 길에 있습니다. 그의 억제력이 없자 몽골군은 폭주합니다. 그들은 도시를 파괴하고 약탈하며 수천 명을 살해합니다. 왕궁은 화염에 휩싸이고, 수도의 일부는 한 달 동안 불타오릅니다.[8]
  • 인도의 깔링가 지방 출신의 칼링가 마가 왕이 2만 4천 명의 군대를 이끌고 스리랑카에 상륙하여 폴로나루와 도시를 함락하고 그곳의 왕 파라크라마 판디야를 폐위시킵니다.[8]

4. 3. 기타

잉글랜드의 존 왕이 귀족, 성직자, 기사들의 집단 요구로 대헌장에 서명했다. 6월 15일에는 영국 귀족들이 국왕 존에게 「대헌장」을 제출했다.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지었다. 포선만노가 대진국을 세웠다. 제4차 라테란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1215년~1216년 – 이란에서 제작된 "메이시 항아리"(The Macy Jug)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뉴욕(New York City)에 소장되어 있다.

5. 탄생

원나라 초대 황제 쿠빌라이 칸이 태어났다. 몽골 제국의 황제 쿠빌라이 칸(Kublai Khan)은 9월 23일에 태어났다.(†1294년) 아그네스 폰 메라니아(Agnes of Merania)는 독일 귀족 여성으로 1263년에 사망했다. 헝가리 왕비 베아트리체 데스테(Beatrice d'Este)는 헝가리 왕국의 왕비였다.(†1245년) 카타리나 수네스도테르(Catherine Sunesdotter)는 스웨덴의 여왕이었다.(†1252년) 첼레스티누스 5세(Celestine V)는 가톨릭 교회의 교황이었다.(†1296년) 다비드 7세(David VII)는 조지아 왕국의 국왕이었다.(†1270년) 레스터 백작령의 엘레오노르(Eleanor of England)는 레스터 백작 부인이었다.(†1275년) 하인리히 2세(Henry II)는 안할트-아셰르슬레벤 공국의 공작이었다.(†1266년) 마이센 변경백 하인리히 3세는 독일 귀족이었다.(†1288년) 이븐 캄무나(Ibn Kammuna)는 아랍계 유대인 철학자였다.(†1284년) 드뢰 백작 장 1세(John I)는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였다.(†1249년) 요한 21세(John XXI)는 가톨릭 교회의 교황이었다.(†1277년) 이벨린의 장(John of Ibelin)은 야파와 아스칼론 백작령의 백작이었다.(†1266년) 안티오크-아르메니아의 마리아는 토론의 영주였다.(†1257년) 메시아 로페스 데 아로(Mécia Lopes de Haro)는 포르투갈 왕국의 왕비였다.(†1270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오토 3세는 독일 귀족이었다.(†1267년) 로버트 킬워드비는 캔터베리 대교구장이었다.(†1279년) 로저 드 레이번은 영국의 지주였다.(†1271년) 성수는 가마쿠라 시대 동대사의 승려였다.(† 1291년) 대휴정념은 가마쿠라 시대 송나라에서 온 유학 승려이자 임제종의 승려였다.(† 1290년) 북조 시카쿠는 가마쿠라 막부의 평정중이었다.(† 1272년)

6. 사망

2월 3일 (또는 2월 4일) – 엘리 주교 유스태이스[9]

2월 6일 – 일본 귀족이자 가마쿠라 막부 초대 집권 호조 도키마사[9]

6월 9일 – 독일 수도원장이자 주교 만네골트 폰 베르크[9]

8월 1일 – 일본 불교 승려 에사이[9]

9월 1일 – 위트레흐트 주교 오토 1세[9]

11월 5일 – 노르망디 귀족 필립 드 발로뉴[9]

11월 17일 – 헤리퍼드 주교 자일 드 브라오즈[9]

12월 21일 – 아랍 신학자 알리 이븐 무하마드 이븐 알왈리드[9]

알리 이븐 아비 바크르 알하라위, 페르시아 여행가이자 탐험가[9]

프랑스 귀족, 시인이자 트루바두르인 베르트랑 드 보른[9]

프랑스 귀족 여성이자 카타리파 신자 에스크라몽드 드 푸아[9]

프랑스 트루바두르 지로 드 보르넬[9]

이탈리아 상인이자 정치인 자코피노 델라 스칼라[9]

살루초 백작 만프레드 2세[9]

이탈리아 주교이자 작가 시카르드 드 크레모나[9]

비잔티움 화가 테오도르 아프셉디스[9]

1월 14일 - 가마쿠라 막부 제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셋째 아들 에이지쓰[9]

10월 8일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이가 아사미츠[9]

금나라의 관료 복흥[9]

리무쟁주 출신의 트루바두르 기욤 드 보르뇌유[9]

에피로스 데스포타국 초대 데스포타스 미카엘 1세 콤네노스 두카스[9]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Albigensian Crusade Boydell & Brewer
[2] 서적 King John Methuen
[3] 간행물 Fitzwalter, Robert Smith, Elder & Co
[4]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5]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6] 백과사전 Ordeals
[7]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8]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9] 백과사전 ʿAlī b. al-Walī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