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17년은 제5차 십자군 원정, 제1차 남작 전쟁 종결, 이베리아 반도의 정세 변화, 동아시아에서의 사건 등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 해이다. 헝가리의 안드레 2세와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가 이끄는 십자군이 아크레에 집결하여 예루살렘을 향해 진격했고, 잉글랜드에서는 링컨 전투와 샌드위치 전투를 거쳐 램베스 조약이 체결되면서 제1차 남작 전쟁이 종결되었다. 한편 카스티야 왕국에서는 페르난도 3세가 왕위에 올랐으며, 고려와 몽골 제국에서도 정치적, 군사적 사건들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217년 | |
---|---|
연도 정보 | |
기원 | 기원후 1217년 |
율리우스력 | 1217년 |
간지 | 정축년 (丁丑年) |
사건 | |
유럽 | 제5차 십자군 시작. 다미에타 공방전에서 십자군이 아이유브 왕조를 공격하다. 스페인에서 카스티야와 레온의 연합군이 무어인의 마지막 거점 중 하나인 카세레스를 탈환하다. |
아시아 | 칭기즈 칸이 서하를 공격하다. 고려에서 최충헌이 사망하고, 아들 최우가 뒤를 잇다. |
기타 | 잉글랜드에서 링컨 전투와 샌드위치 해전이 발생하다. 피렌체에서 최초의 총독이 선출되다. |
탄생 | |
날짜 미상 | 보두앵 2세, 라틴 제국의 마지막 황제 (1273년 사망) 시몬 5세 드 몽포르, 레스터 백작 (1265년 사망) 훌라구, 일 칸국의 창건자 (1265년 사망) 알폰소 3세, 포르투갈 왕 (1279년 사망) |
사망 | |
3월 23일 | 하인리히 6세, 라인 팔츠 백작 (1197년 탄생) |
4월 23일 | 잉겔보르그 아프 단마르크, 프랑스 왕비 (1175년 탄생) |
7월 12일 | 기욤 2세 드 퐁텐, 샹파뉴 백작 (1159년 탄생) |
9월 21일 | 카스틸랴의 알폰소, 카스틸랴 왕자 (1205년 탄생) |
날짜 미상 | 최충헌, 고려의 무신이자 권력자 (1149년 탄생) 오르피예, 조지아의 귀족 |
12월 | 자파의 라울, 나자렛의 대주교 |
기타 | |
음력 간지 | 정축년(丁丑年) |
2. 역사적 배경
1217년의 주요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 제5차 십자군 원정: 헝가리의 안드레 2세와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가 이끄는 십자군이 아크레에 집결하여 알-아딜 1세 술탄의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 십자군은 베이산을 점령하고 약탈했으며, 요르단 강의 벳사이다에서 알-아딜을 격파했다.[1][2]
- 제1차 남작 전쟁 종결 (잉글랜드): 링컨 전투와 샌드위치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이 승리하면서 킹스턴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이 끝났다. 루이 왕자는 잉글랜드 왕좌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잉글랜드를 떠났다.[5][6][7]
- 이베리아 반도: 카스티야 왕국의 헨리 1세가 사망하고 베렌가리아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아들 페르난도 3세에게 양위했다.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는 무어인들로부터 알카세르두살 시를 정복했다.[3][8]
- 동아시아:
- 고려에서는 흥왕사 승려들의 최충헌 살해 미수 사건과 최광수의 반란이 일어났다.[1][2]
- 몽골 제국의 무칼리는 칭기즈 칸으로부터 "제국의 대사승" 칭호와 금인(金印) 등을 받고 금나라를 압박했다.[3]
국가 | 연호 | 사용 기간 |
---|---|---|
고려 | 고종 4년 | |
단기 | 3550년 | |
간지 | 정축 |
2. 1. 제5차 십자군 원정
여름, 헝가리의 안드레 2세와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가 이끄는 십자군이 아크레에 집결했다.[1] 11월, 알-아딜 1세 술탄은 십자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팔레스타인에 군대를 파견했으나, 십자군은 베이산을 점령하고 약탈했다. 무슬림 군대는 요새와 도시로 후퇴했다.[2] 11월 10일, 안드레 2세의 기병대는 요르단 강의 벳사이다에서 알-아딜을 격파했다.[2] 12월, 예루살렘의 존 1세는 레바논으로 원정을 이끌었지만, 타보르 산 공격에는 실패했다.[2]2. 2. 제1차 남작 전쟁 종결 (잉글랜드)
5월 20일, 링컨 전투에서 윌리엄 마셜이 이끄는 헨리 3세의 군대가 링컨 성을 포위하고 있던 루이 왕자와 반란군 귀족들의 프랑스군을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페르슈 백작 토마가 사망하고, 루이는 잉글랜드 남동부의 기지를 상실했다. 링컨 시민들은 루이에게 충성했기 때문에 헨리의 군대는 도시를 약탈했고, 이는 "링컨 박람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남쪽으로는 링컨과 런던 사이의 도시 주민들이 프랑스군 병사들을 매복하여 죽였다.[5]8월 24일, 샌드위치 전투에서 허버트 드 버그가 지휘하는 영국 함대가 영국 해협의 샌드위치 근처에서 프랑스 함대를 격파했다. 프랑스 함대는 용병이자 해적인 유스테이스 승려가 지휘했으며, 루이 왕자가 영국 왕좌를 빼앗으려는 것을 돕기 위해 더 많은 병력과 보급품을 가져오고 있었다. 영국은 유스테이스의 기함을 빼앗고 유스테이스는 참수당했다.[6]
9월 12일, 킹스턴 조약으로 제1차 남작 전쟁이 끝났다. 프랑스 함대의 패배 후, 루이 왕자는 영국 왕좌를 차지할 희망을 포기했다. 윌리엄 마셜은 바다와 육지에서 런던을 봉쇄했고, 램베스에서 루이는 평화 조건을 받아들였다. 그는 왕좌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헨리 3세에게 노르망디 공국을 돌려줄 것을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았다. 프랑스와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를 떠나야 했고, 반란군에게는 사면이 부여되었다.[7]
2. 3. 이베리아 반도
6월 6일, 카스티야 왕국의 헨리 1세가 팔렌시아에서 기와가 떨어지는 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누이인 베렌가리아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8월 31일에 아들 페르난도 3세에게 양위했다.[3] 페르난도 3세는 어머니를 고문(그리고 섭정)으로 삼아 통치를 시작했다.10월 18일, 레콩키스타의 일환으로,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 군대가 무어인들로부터 사두 강을 따라 위치한 알카세르두살 시를 정복했다.[8]
2. 4. 동아시아
- 고려 고종 4년
- * 흥왕사 승려들의 최충헌 살해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1]
- * 최광수가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2]
- 몽골 제국 칭기즈 칸 12년
- * 무칼리가 이끄는 몽골군이 하북성, 산동성, 섬서성을 공격하여 금나라를 압박했다.[3]
- * 무칼리는 칭기즈칸으로부터 "제국의 대사승" 칭호와 세습적 왕자 지위, 금인(金印), 검은 초승달이 있는 아홉 꼬리 흰 깃발을 받았다.[3]
- * 무칼리는 중국 북부 군사 작전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
- 간지: 정축
- 조선
- * 고려: 고종 4년
- * 단기: 3550년
3. 탄생
- 5월 3일 - 앙리 1세, 키프로스 왕국의 왕 (사망 1253년)
- 8월 19일 - 닌쇼, 일본 승려 (사망 1303년)
- 발두인 2세 드 쿠르트네, 라틴 제국의 마지막 황제 (사망 1273년)
- 발두인 드 레드버스, 영국 귀족 (사망 1245년)
- 보니파시오 디 사보이아, 영국 대주교 (사망 1270년)
- 페르난두, 포르투갈 왕자 (''인판테'') (사망 1246년)
- 게오르기 아크로폴리테스, 비잔티움의 정치가 (사망 1282년)
- 기욤 3세 드 포르셀레,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사망 1288년)
- 곽간, 중국 장군이자 총독 (사망 1277년)
- 앙리, 예루살렘 왕국의 공동 통치자 (사망 1276년)
- 헨리크 겐트, 플랑드르 철학자 (사망 1293년)
- 이븐 사빈, 안달루시아 수피 철학자 (사망 1271년)
- 이즈 알딘 이븐 샤다드, 아랍 역사가 (사망 1285년)
- 장 1세, 영국 귀족 (사망 1286년)
- 간겐 기인, 일본 선종 스승 (사망 1300년)
- 한암의윤(寒巌義尹),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조동종 승려 (사망 1300년)
- 쿠마가이 나오토키(熊谷直時),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사망 1280년)
- 젠란(善鸞),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정토진종 승려, 신란(親鸞)의 아들 (사망 1286년)
- 존조호친왕(尊助法親王),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법친왕 (사망 1291년)
4. 사망
- 2월 9일 - 라이날도 디 노체라(Raynald of Nocera), 이탈리아 수도사이자 주교 (출생: 1150년)
- 2월 22일 - 유다 벤 사무엘(Judah ben Samuel) 레겐스부르크 출신, 독일 유대인 랍비 (출생: 1150년)
- 3월 30일 - 후지와라 가네후사(Fujiwara no Kanefusa), 일본 귀족 (출생: 1153년)
- 3월 31일 - 알렉산더 네컴(Alexander Neckam), 잉글랜드 수도원장 (출생: 1157년)
- 4월 21일 - 알만수르 압달라(Al-Mansur Abdallah), 예멘 이맘 (출생: 1166년)
- 4월 23일 - 인게 2세(Inge II) (바르손(Bårdsson)), 노르웨이 국왕 (출생: 1185년)
- 4월 25일 - 헤르만 1세(Hermann I) (또는 3세(III)),튀링겐 팔라츠그라프, 독일 귀족 (출생: 1155년)
- 5월 20일 - 퍼슈 백작 토마스(Thomas of Perche), 프랑스 귀족 (출생: 1195년)
- 6월 6일 - 엔리케 1세(Henry I), 카스티야 왕국과 톨레도 왕국(카스티야 왕관)의 국왕 (출생: 1204년)
- 7월 22일 - 쿠엔링가의 하드마르 2세(Hadmar II of Kuenring), 독일 귀족
- 8월 24일 - 수도사 유스타스(Eustace the Monk), 프랑스 용병
- 9월 8일 - 알랑송 백작 로베르 1세(Robert I),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 9월 10일 - 데번 5대 백작 윌리엄 드 레드버스(William de Redvers), 잉글랜드 귀족
- 9월 21일
- * 투라이다의 카우포(Caupo of Turaida), 리보니아의 왕
- * 렘비투(Lembitu), 에스토니아 군 지휘관
- 9월 29일 - 장 드 몽미라유(Jean de Montmirail), 프랑스 수도사 (출생: 1165년)
- 10월 14일 - 이사벨라(Isabella), 글로스터 백작 부인, 잉글랜드 귀족 여성 (출생: 1174년)
- 11월 4일 - 드뢰의 필립(Philip of Dreux), 프랑스 주교 (출생: 1158년)
- 11월 29일 - 이븐 주바이르(Ibn Jubayr), 안달루시아 여행가 (출생: 1145년)
- 12월 29일 - 교이(Gyōi), 일본 승려이자 시인 (출생: 1177년)
- 압드 알하크 1세(Abd al-Haqq I), 마리니드 왕조 통치자 (출생: 1147년)
- 지텐 숨껭(Jigten Sumgön),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3]
서적
The Buildings of England: Leicestershire and Rutland
Penguin Books
[4]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Rutgers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6]
서적
King Henry III and the Lord Edward
Clarendon Press
[7]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8]
서적
Le Portugal musulman (VIIIe-XIIIe siècle. L'Occident d'al-Andalus sous domination islamique
Maisonneuve & Larose
[9]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198-c.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