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림바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바지는 라트비아에 위치한 도시로, 리보니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숲 늪의 넓은 섬"을 의미한다. 13세기 초 튜턴 기사단에 의해 파괴된 후 렘살이라는 이름으로 재건되었으며,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전쟁과 화재를 겪으며 쇠퇴와 부흥을 반복했고, 17세기 스웨덴 통치 하에 림바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세기에는 상업과 공예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소련 시대에는 공업 도시로 성장했다. 림바지는 칼리스 바우마니스를 비롯한 여러 유명 인물의 고향이며, 중세 시대 성 유적, 림바지 역사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도시 - 리가
    리가는 라트비아의 수도이자 발트 3국 최대 도시 중 하나로, 한자 동맹의 주요 상업 도시로 번영하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주요 항구와 국제공항을 갖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라트비아의 도시 - 발카
    발카는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국경에 위치한 도시로, 128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920년 분할되었고, 1917년 독립 라트비아 공화국을 선포했으며,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양국 간 왕래가 자유로워졌다.
림바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림바지 구시가지
림바지 구시가지
시장유리Juris Žūriņš
시 지위 획득1385년
면적9.06 km²
육지 면적7.428 km²
물 면적1.632 km²
인구 (2023년)6,665명
시간대EET
서머타임EEST
UTC 오프셋+2
서머타임 UTC 오프셋+3
우편 번호LV-4001
전화 코드640
웹사이트림바지 공식 웹사이트
에스토니아어렘살루Lemsalu
독일어렘잘Lemsal
리보니아어림바지Limbaž
지리
위치라트비아
좌표57°31'N 24°43'E
행정 구역
국가라트비아
자치체림바지 자치체

2. 어원

림바지라는 이름은 리보니아어 "Lembsel"("Lemesel")의 라트비아화된 버전(따라서 "-aži" 어미)으로, "숲 늪의 넓은 섬"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독일어 이름 "Lemsahl"("Lemsal")은 리보니아어 이름에서 파생되었다.[2]

민간 어원학에 따르면, "Limbaži"라는 이름은 17세기에 유래되었다. 최근에 도착한 스웨덴의 목사가 "Limba"와 "āži"(라트비아어로 '수염소')라는 단어를 우연히 들었는데, 그는 이것을 그 장소의 이름으로 오해했고, 그래서 그 마을은 "Limbaži"라고 불리게 되었다.

3. 역사

림바지는 고대에 리보니아인의 정착지였으며, 메체폴레의 일부인 '레미세레'로 알려져 있었다. 13세기 초, 알베르트 폰 북스호벤 주교와 튜턴 기사단이 메체폴레를 정복하면서 마을을 파괴하고 성을 건설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도시인 '렘살'이 형성되었다.

3. 1. 중세 시대 림바지

림바지 중세 시대 성 유적


13세기 초, 알베르트 폰 북스호벤 주교와 튜턴 기사단이 메체폴레를 정복하면서 리보니아인의 정착지였던 마을을 파괴하고 성을 건설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도시인 ''렘살''이 형성되었다.

16세기 초까지 렘사흘은 스베투페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원양 항해 선박이 접근할 수 있는 항구였다. 뤼베크코펜하겐에서 온 배들은 꿀, 밀랍, 목재, 곡물, 모피를 교역했다. 성을 둘러싼 작은 무역 기지는 큰 도시로 성장하여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매년 렘사흘에서는 리보니아 전역의 남작들이 참석하는 회의가 열렸으며, 연 3회 이상의 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이 박람회 기간 동안 마을에는 2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모였다. 리가 대주교는 렘사흘을 봄 거주지로 삼았고, 주교와 무역 중심지를 보호하기 위해 성벽 도시가 되었다. 당시 렘사흘은 인구 면에서 리가 다음으로 컸다. 림바지 성은 라트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요새 건물 중 하나이다.[3]

그러나 1500년경 스베투페 강은 항해하기에 너무 얕아졌다. 상품은 다른 곳으로 보내졌고, 렘사흘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리보니아 전쟁 동안 이반 뇌제의 군대는 1558년 렘사흘을 불태웠고, 주민들은 인근 숲과 늪으로 피난했다. 이 도시는 1567년 스웨덴, 1575년 러시아에 의해 다시 불탔다. 1602년에는 스웨덴과 폴란드가 도시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면서 요새와 성벽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도시는 너무 파괴되어 집 세 채와 소수의 주민들만이 남았다.

3. 2. 18세기와 19세기

스웨덴 통치 아래 17세기에 마을은 림바지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북방 전쟁 동안 비제메는 표트르 대제의 군대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러나 이야기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림바지를 찾다가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잃었다고 한다. 계속해서 맴돌다가, 병사들은 그런 마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기 시작했고, 이동했다. 림바지는 전쟁에서 무사했다.

1747년 대화재 이후의 림바지 파노라마


1747년에는 도시가 완전히 다시 불탔고, 그 이후 오늘날의 도시 배치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 도시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1821년에는 674명의 주민이 있었지만, 1900년까지 약 2000명으로 증가했다. 1876년, 모자 제작자 A. Tīls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회사인 "림바주 필츠"(Limbaži 펠트)를 열었고, 이는 여러 세대에 걸쳐 도시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19세기 말에는 최초의 시립 도서관이 건설되었고, 여러 출판사가 문을 열었는데, 그 중 가장 큰 곳은 K. Paucīsis 출판사였다.

3. 3. 20세기

1919년 림바지의 유라스 거리에서 라트비아 임시 정부에 의해 동원된 병사들의 행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림바지는 상업과 공예의 중심지로 계속 성장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리가행 철도가 1934년에 개통되었고, 1936년에는 50병상 규모의 병원이 문을 열었다. 1939년에는 문화 센터인 통합의 집(Vienības namslv)이 공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림바지는 1941년 7월 4일부터 1944년 9월 26일까지 독일의 점령하에 있었다.[4]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인구는 8,000명으로 증가했으며, 1960년대에는 많은 5층짜리 소련식 아파트가 들어섰다. 소련 시대 동안 림바지는 "Lauktehnika" 농기계 센터, "Limbažu filcs" 펠트 모자 공장 및 라트비아 최대 규모의 우유 가공 공장 중 하나인 "Limbažu piens"가 모두 이곳에 위치한 공장 도시가 되었다.[5]

4. 인구

림바지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중세 시대에는 번성했으나 전쟁과 화재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가, 19세기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20세기 후반 소련 시대에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나, 소련 붕괴 이후 다시 감소하는 추세이다. 2022년 기준 림바지의 인구는 7,139명이다.

연도인구변화율(%)
1385년경6000명경-
1622년12명-99.8%
1773년549명+4,475.0%
1800년600명+9.3%
1840년877명+46.2%
1863년1134명+29.3%
1881년1814명+60.0%
1897년2412명+33.0%
1914년4700명-6.0%
1915년5000명+6.4%
1920년2501명-46.8%
1925년3085명+23.4%
1930년2935명-4.9%
1935년2870명-2.2%
1943년2806명-2.2%
1959년4823명+71.9%
1970년5791명+20.1%
1979년8257명+42.6%
1989년9985명+20.9%
1997년9522명-4.6%
2000년9179명-3.6%
2004년8934명-2.7%
2007년8686명-2.8%
2008년8657명-0.3%
2009년8619명-0.4%
2010년8559명-0.7%
2011년8406명-1.8%
2012년8290명-1.4%
2013년8186명-1.3%
2014년8022명-2.0%
2015년7957명-0.8%
2016년7805명-1.9%
2017년7652명-2.0%
2018년7498명-2.0%
2019년7393명-1.4%
2020년7306명-1.2%
2021년7253명-0.7%
2022년7139명-1.6%


5. 유명 인물


  • 칼리스 바우마니스(1835년 5월 11일 ~ 1905년 1월 10일): 라트비아의 국가 "신이여,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를 작곡했다.
  • 야니스 칼닌슈(1991년 출생):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 마르시스 오시스(1991년 출생): 축구 선수이다.
  • 야니스 베르진슈(1993년 출생): 농구 선수이다.

림바지 칼리스 바우마니스 기념비. 라트비아 국가 작곡가.

6. 유명 장소


  • 림바지 구시가지, 도시 성벽 잔해
  • 대주교 성 폐허
  • 림바지 역사 박물관
  • Ķezberkalns의 리보니아 언덕 요새
  • 성 요한 루터교 교회 (Sv. Jāņa luterāņu baznīcalv)
  • 칼리스 바우마니스의 묘와 기념비
  • 림바주 리엘레제르 (림바지 호)
  • 카누 및 카약 국가 올림픽 훈련 센터가 림바지에 있다.

7. 자매 도시

림바지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6]

국가도시
Norge|노르웨이no알베르
Deutschland|독일de안클람
Sverige|스웨덴sv클리판
Беларусь|벨라루스be루리네츠
Lietuva|리투아니아lt파네베지스구
Norge|노르웨이no산데
Россия|러시아ru볼호프


참조

[1] 웹사이트 Limbaž http://www.murre.ut.[...] 2017-03-25
[2] 웹사이트 Limbaži, strūklaka "Pienenes" - redzet.eu https://www.redzet.e[...] 2021-10-01
[3] 웹사이트 Limbažu muzejs - Medieval Castle Ruins http://www.limbazumu[...] 2022-07-21
[4] 웹사이트 Освобождение городов https://www.soldat.r[...]
[5] 웹사이트 Limbažu Piens https://foodunion.co[...] 2022-07-21
[6] 웹사이트 Starptautiskā sadarbība https://www.limbazi.[...] Limbažu novads 2021-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