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베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뤼베크는 발트해 남서쪽의 뤼베크 만에 위치한 독일 북부의 도시이다. 1143년에 건설되었으며, 한자 동맹의 맹주로서 번영을 누렸다.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좁은 골목길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조선업이 있으며, 마지판 생산으로도 유명하다. 뤼베크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속하며, 2021년 기준 약 21만 7천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뤼베크 - 뤼베크 대학교
뤼베크 대학교는 독일 뤼베크에 위치한 대학교로, 의과대학과 기술 및 자연과학대학을 중심으로 의학, 과학, 공학, 심리학 분야의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특히 의학 및 생명 과학 분야에 강점을 보이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대학교 병원의 일부이자 뇌, 행동 및 대사 센터를 통해 관련 질환 연구를 수행한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슐레스비히 공국
슐레스비히 공국은 덴마크와 독일 사이의 역사적 지역으로, 명칭 분쟁과 전쟁을 겪었으며, 주민투표를 통해 분할되어 덴마크와 독일의 협력 지역으로 발전했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킬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킬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주도로, 홀슈타인 백작에 의해 건설, 덴마크에 병합, 킬 대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독일 혁명의 계기가 된 해군 반란 발생지이자 독일 해군의 주요 기지로서 킬 운하의 동쪽 입구에 위치한 해상 교통의 요충지이며 킬 주간으로도 유명하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항구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뤼베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뤼베크 |
독일어 명칭 | 뤼베크 |
저지 독일어 명칭 | 뤼베크 / 뤼베크 |
라틴어 명칭 | 루베카 |
한자 도시 | 한자 도시 뤼베크 |
![]() | |
![]() | |
위치 |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하위 행정 구역 | 35개 자치구 |
면적 | 214.13 km² |
해발 고도 | 13m |
우편 번호 | 23501-23570 |
지역 번호 | 0451, 04502 |
차량 번호판 | HL |
지방 자치체 코드 | 01 0 03 000 |
공식 웹사이트 | www.luebeck.de |
정치 | |
시장 | 얀 린데나우 |
소속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집권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인구 통계 | |
인구 (2010년) | 210,232명 |
인구 밀도 | 982명/km² |
문화 | |
별칭 | 한자 여왕 |
세계 유산 | |
명칭 | 한자 도시 뤼베크 |
![]() | |
등재 기준 | 문화적 유산: iv |
ID | 272 |
등재 연도 | 1987년 |
면적 | 81.1 ha |
완충 지역 | 693.8 ha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Lübeck |
표준 독일어 발음 | IPA: /ˈlyːbɛk/ |
저지 독일어 발음 | IPA: /ˈlyːbeːk/ |
![]() | |
![]() | |
![]() | |
![]() | |
![]() | |
![]() | |
![]() | |
![]() |
2. 지형
발트해 남서쪽 뤼베크 만에 접한 항구 도시이다. 조선 산업 등에서도 번창했다. 약 55 km 남서쪽에 함부르크, 60 km 북서쪽에 킬, 55 km 남서쪽에 슈베린, 100 km 동쪽에 로스토크가 있다.
1143년 홀슈타인 백작 아돌프 2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1157년 화재로 황폐화되었으나, 1158년/1159년 작센의 하인리히 사자공에 의해 재건되었다. 북해와 발트해 간의 교역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한 한자 동맹의 맹주였으며, 뤼베크 상인들은 노르웨이 베르겐에 상관을 설치하여 대구를 남쪽으로 판매하고, 뤼네부르크의 암염을 확보하여 소금에 절인 청어 무역으로 큰 이익을 얻었다. 근세에 들어 한자 동맹이 쇠퇴하면서 뤼베크도 함께 쇠퇴하였다.
트라베 강 연안의 항만 도시로, 면적은 214.14km2이다. 엘베-뤼베크 운하를 통해 엘베 강 수계와 연결된다.
3. 역사
1937년 아돌프 히틀러는 뤼베크의 자유시 지위를 박탈하고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흡수시켰다.
thumb
뤼베크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서 북쪽으로 약 6km 떨어진 곳에 있던 슬라브족 마을 Liubice에서 유래한다.[37] 1800년경 뤼베크의 인구는 45,000명이었다.[49] 중세 유럽 도시에서는 아침 종, 저녁 종 등 여러 종류의 종이 울렸는데, 뤼베크에서는 시문의 폐문을 알리는 저녁 종의 제2종(제1종은 일반적인 작업 종료를 알림)이 1864년까지 울렸다.[50]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면서 뤼베크는 주권 국가가 되었으나, 나폴레옹 전쟁으로 1811년부터 1813년까지 프랑스 제국에 병합되었다. 나폴레옹 몰락 후 1813년 독립을 회복하고, 1815년 독일 연방에 "자유 한자 도시"로 가입했다. 1868년 북독일 연방을 거쳐 1871년 독일 제국의 주가 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도 주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나치 정권하의 1937년 프로이센 자유주에 병합되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편입되었다.[4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의 공습을 받았고, 전후에는 영국 점령 하에 놓였다. 동독과 인접하여 후방 지역이 철의 장막으로 분단되었고, 당시 동독에서 온 10만 명의 망명자로 인해 인구가 급증했다. 이후 뤼베크는 주의 지위를 회복하지 못하고 서독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일부로 현재에 이른다.
3. 1. 초기 역사
기원전 9700년경,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후 오늘날 뤼베크 주변 지역에 인류가 정착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여러 개의 신석기 시대 돌멘이 발견되었습니다.
서기 700년경, 슬라브족이 게르만 주민들이 거주했던 홀슈타인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게르만 민족들은 민족 대이동 기간에 다른 곳으로 이동했습니다. 이 지역을 그리스도교화하려는 노력에 게르만 작센족이 반대했던 샤를마뉴는 많은 작센족을 추방하고 폴라비아 슬라브족 동맹군을 데려왔습니다. 류비체(현재 뤼베크 시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약 4km 떨어진 트라베 강변에 건설)는 "사랑스러운"이라는 뜻입니다.
10세기에 오보트리테 연합의 가장 중요한 정착지가 되었고 성이 건설되었습니다. 1128년, 뤼겐 출신의 이교도 라니족이 류비체를 파괴했습니다.[37]
3. 2. 중세 도시 건설과 한자 동맹
1143년, 홀슈타인 백작 아돌프 2세에 의해 독일인 정착지로 건설되었다. 1157년 화재로 황폐화되었으나, 1158/59년 작센의 하인리히 사자 공에 의해 재건되었다. 하인리히 사자 공은 "도시 발전이 가져오는 영토 내 경제 효과를 고려하여,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특권을 주어 자치를 추진했고"[38], 북방의 여러 도시·국가에 사절을 파견하여 통상 협정을 체결하고 "계획적으로 원격지 상업을 흥황시켰다"[39].
1226년에 제국 도시가 되었다. 북해와 발트해 무역에서 한때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한 한자 동맹의 맹주이기도 했다. 1510년경에 처음 출판된 독일 민중본 『틸 오일렌슈피겔의 즐거운 장난』 57화에서는 뤼베크에서 "매우 엄격한 법이 시행되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40] 뤼베크는 사법 제도·사법 분야에서도 큰 역할을 했는데, "뤼베크 법은 발트해 지역에 퍼져 약 100개 도시가 뤼베크 법을 계승했고, '뤼베크의 최고 법정으로 향했다'고 할 정도로, 뤼베크 참사회는 13세기 이후 '판결 비난' Urteilsschelte 시의 항소심으로서도 기능했다."[41]
상업 발전으로 1350년 인구는 18,000명, 1400년에는 20,000명, 1502년에는 25,444명에 달했다.[42] 1262년 시 참사회는 성 야코프 성당 옆에 라틴어 학교를 설립했는데, 1370년경 이 학교 학생들의 필적이 남은 납판이 남아 있으며, 대부분 상업 서신 초안이 적혀 있다.[43]
뤼베크 상인은 노르웨이의 베르겐에 상관을 건설하고, 노르웨이의 대구를 남쪽에 매각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46] 또한 뤼네부르크의 암염을 확보함으로써, 소금에 절인 청어에서도 독점적인 지위를 자랑했다.[47]
3. 3. 한자 동맹 쇠퇴와 근세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한자 동맹이 쇠퇴하면서 뤼베크도 함께 쇠퇴하였다. 뤼베크 상인들은 노르웨이 베르겐에 상관을 설치하여 노르웨이산 대구를 남쪽으로 판매해 큰 이익을 얻었다.[46] 또한 뤼네부르크의 암염을 확보하여 소금에 절인 청어에서도 독점적 지위를 누렸다.[47]
디트리히 부크스테후데는 1668년부터 1707년까지 뤼베크 성모 마리아 교회(St. Marien)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했다.[49]
3. 4. 나폴레옹 전쟁과 독일 연방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로 뤼베크는 주권 국가가 되었으나, 나폴레옹 전쟁에 휘말려 1811년부터 1813년까지 프랑스 제국에 병합되었다.[49] 나폴레옹 몰락 후 1813년 독립을 회복했고, 1815년 빈 회의에서 독립 자유 도시로 인정받아 독일 연방에 가입했다.
3. 5. 독일 제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1868년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고, 1871년 독일 제국 성립과 함께 독일 제국의 주(州)가 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도 주의 지위를 유지했다.[49]
3. 6.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7년 아돌프 히틀러 총통에 의해 뤼베크는 자유시의 지위를 잃고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흡수되었다.[49] 나치 정권 하에서 뤼베크는 다른 모든 독일 주들과 마찬가지로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 조정) 과정을 거쳤다. 1933년 4월 7일 "주와 제국의 조정에 관한 제2법"이 제정된 후, 프리드리히 힐데브란트(Friedrich Hildebrandt)가 1933년 5월 26일 뤼베크의 '''라이히스슈타트할터'''(Reichsstatthalter, 제국 총독)로 임명되었다.[3] 그는 정식으로 선출된 사회민주당의 파울 뢰비히트(Paul Löwigt)를 대신하여 오토-하인리히 드렉슬러(Otto-Heinrich Drechsler)를 '''부르고마이스터'''(Bürgermeister, 시장)로 임명했다.
1934년 1월 30일, 제국 정부는 "제국의 재건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모든 주 의회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주의 주권을 중앙 정부로 이양했다. 이로 인해 뤼베크 시의회인 '''뷔르거샤프트'''(Bürgerschaft)가 해산되었고, 뤼베크는 연방 주로서의 권리를 사실상 상실했다. 대함부르크법에 따라 뤼베크는 1937년 4월 1일자로 프로이센 자유주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편입되어 711년간 이어온 독립적인 자유 도시의 지위를 잃었다.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동안 뤼베크는 영국 공군(RAF)의 집중적인 폭격을 받은 최초의 독일 도시였다. 1942년 3월 28일 공격으로 발생한 대화재는 역사적인 시 중심부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이 공습으로 주요 교회 세 곳과 건축물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고, 성 마리아 교회의 종은 돌 바닥으로 떨어졌다.[4] 약 1,500채의 주택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2,200채가 심하게 손상되었으며, 9,000채가 약간 손상되었다.[5] 32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1944년 8월 25일에는 뤼베크의 공업 지역이 폭격을 받아 110명이 사망했다. 시 중심부의 약 20%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특히 한자 동맹의 부유한 상인들이 살았던 그륀둥스피어텔(Gründungsviertel) 지역의 피해가 컸다.[1] 1940년부터 1945년 4월까지 독일은 뤼베크 근처에 장교 포로 수용소인 오플라크 X-C(Oflag X-C)를 운영했다. 1945년 5월 2일 영국 제2군이 뤼베크에 진입하여 저항 없이 점령했다.
1945년 5월 3일, 뤼베크만에서 영국 공군 폭격기가 SS 카프 아르코나(SS Cap Arcona), SS 도이칠란트(SS Deutschland), SS 틸베크(SS Thielbek) 세 척의 선박을 침몰시키는 해상 역사상 최악의 재난 중 하나가 발생했다. 이 선박들에는 수용소 수감자들이 가득 차 있었지만, 당시에는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다. 약 7,000명이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뤼베크의 인구는 1939년 약 15만 명에서 22만 명 이상으로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구 동부 지역에서 추방된 폴란드계 독일인 난민의 유입 때문이었다. 뤼베크는 서독에 속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남아 있었고, 독일이 두 개의 국가로 분단된 냉전 시대에는 독일 내부 국경 바로 위에 위치했다. 도시 남쪽의 국경은 바켄니츠 강(Wakenitz)을 따라 이어졌고, 많은 지역에서 독일을 10m 미만으로 분리했다. 최북단 국경 검문소는 뤼베크의 슐루투프(Schlutup) 지역에 있었다.
3. 7. 전후와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뤼베크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 속하게 되었고,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의 국경 바로 위에 위치했다. 도시 남쪽 국경은 바켄니츠 강을 따라 이어졌으며, 많은 지역에서 독일을 10m 미만으로 분리했다. 최북단 국경 검문소는 뤼베크의 슐루투프(Schlutup) 지역에 있었다.
전쟁으로 파괴된 역사적인 시 중심부를 복원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으며, 1987년 유네스코는 이 지역을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6] 2015년 4월에는 G7 정상회의가 뤼베크에서 개최되었다.[6]
4. 인구
뤼베크는 2021년 기준 약 21만 7천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15세기에 한자 동맹에 가입한 후 주요 도시로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구 동부 지역에서 추방된 폴란드계 독일인 난민의 유입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1939년 약 15만 명이었던 인구는 전쟁 후 22만 명 이상으로 크게 증가했다. 1970년대에는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독일 통일 이후인 1990년대에 다시 증가했는데, 이는 전 동독 지역에 있던 많은 사람들이 뤼베크로 이주해왔기 때문이다.
오늘날 뤼베크에는 터키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시리아인, 크로아티아인 등 다양한 국적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2022년 12월 31일 기준 뤼베크의 주요 외국인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국적 | 인구 |
---|---|---|
1. | 4,500 | |
2. | 2,867 | |
3. | 2,496 | |
4. | 2,363 | |
5. | 1,425 |
다음은 뤼베크의 역사적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58]
연도 | 인구 |
---|---|
1227 | 6,000 |
1400 | 17,200 |
1600 | 22,570 |
1708 | 19,978 |
1871 | 39,743 |
1900 | 82,098 |
1910 | 98,656 |
1925 | 120,788 |
1939 | 154,811 |
1950 | 238,276 |
1956 | 228,670 |
1961 | 236,477 |
1970 | 239,657 |
1975 | 232,270 |
1980 | 220,588 |
1990 | 214,758 |
2000 | 213,399 |
2010 | 210,513 |
2015 | 216,253 |
2019 | 217,346 |
5. 기후
뤼베크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b''; 트레워사 기후 분류: ''Dobk'')에 속한다. 발트해의 영향으로 겨울은 온화하고 여름은 서늘한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겨울 2°C에서 여름 18°C 사이이다. 여름은 내륙보다 상대적으로 서늘하지만, 여전히 더울 가능성은 있다. 평균적으로 1년에 6.6일 동안 최고 기온이 30°C를 넘는다.[59]
뤼베크 기상 관측 기록은 다음과 같다:[60][61][62]
- 최고 기온: 1982년 8월 9일 38°C
- 최고 최저 기온: 2018년 7월 30일 21.5°C
- 최저 최고 기온: 1893년 1월 18일 -16.1°C
- 최저 기온: 1912년 2월 4일 -27.2°C
- 최다 일일 강수량: 2002년 7월 17일 95.7mm
- 최다 강수량 월: 2010년 8월 188.9mm
- 최다 강수량 연도: 1998년 933.9mm
- 최소 강수량 연도: 1959년 381.3mm
- 최장 일조 시간: 1959년 2,064.5시간
- 최단 일조 시간: 1998년 1,300.7시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3.7°C | 5°C | 8.7°C | 13.9°C | 18.2°C | 21.1°C | 23.8°C | 23.5°C | 19.1°C | 13.7°C | 7.7°C | 4.6°C | 13.5°C |
평균 최저 기온 (℃) | -1.3°C | -1.1°C | 0.4°C | 3°C | 6.5°C | 9.9°C | 12.3°C | 12.2°C | 9.2°C | 5.7°C | 2.2°C | -0.1°C | 4.9°C |
월 강수량 (mm) | 59.9mm | 51mm | 47.9mm | 38mm | 49.6mm | 70.8mm | 71.5mm | 71.1mm | 54mm | 55.4mm | 55.3mm | 65.6mm | 680.8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7.8 | 17.2 | 15.6 | 13.2 | 13.3 | 15.0 | 16.3 | 15.9 | 14.7 | 16.3 | 17.7 | 19.2 | 191.5 |
평균 일조시간 | 42.2 | 60.5 | 119.4 | 183.1 | 231.0 | 216.6 | 223.1 | 203.5 | 149.8 | 103.7 | 48.4 | 32.3 | 1606.2 |
평균 상대 습도 (%) | 87.7 | 84.5 | 80.0 | 74.6 | 73.0 | 74.1 | 74.3 | 76.2 | 81.2 | 85.7 | 89.4 | 89.4 | 자료 없음 |
6. 정치
현재 뤼베크 시장은 사회민주당(SPD) 소속 얀 린데나우이다. 뤼베크 시의회는 시장과 함께 도시를 통치한다.
7. 문화
뤼베크는 음악, 문학, 예술, 음식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프란츠 툰더는 뤼베크 마리아 성당의 주요 오르가니스트였으며, 매주 아벤트무지크(Abendmusiken) 연주라는 전통을 시작했다. 1668년 그의 딸 안나 마가레테는 덴마크계 독일 작곡가 디트리히 부크스테후데와 결혼했고, 그는 마리아 교회의 새로운 오르가니스트가 되었다. 헨델, 마테존, 바흐 등 당대의 떠오르는 작곡가들이 그의 연주를 보기 위해 뤼베크를 방문했다.[13][14]
토마스 만은 뤼베크 상인 가문인 만 가문 출신으로, 그의 소설 부덴브룩가는 19세기 뤼베크 부르주아의 생활 방식과 풍습을 묘사했다. 1950년대 뤼베크에서는 로타르 말스카트가 폭격으로 피해를 입은 마리아 교회의 중세 프레스코화를 복원하면서 새로운 작품을 그려 넣어 속이는 미술계 스캔들이 있었다. 귄터 그라스는 1986년 소설 (쥐)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으며, 1995년부터 베렌도르프 근처에 살다가 2015년에 그곳에 묻혔다.
뤼베크는 마지판 산업으로 유명하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뤼베크에서 처음 만들어졌다고 하며, 저장된 아몬드와 설탕을 이용해 마지판 "빵"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15] 대표적인 생산업체는 니더에거이며,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16]
뤼베크의 와인 무역은 한자 동맹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산품 중 하나는 로트스폰(Rotsponde)인데, 프랑스에서 가공 및 발효된 포도로 만든 와인을 나무통에 담아 뤼베크로 운반하여 저장, 숙성 및 병입한다.[17] 다른 북독일 지역처럼 피슈브뢰트헨과 브라테링이 인기 있는 테이크아웃 음식이다.
7. 1. 관광
2019년, 뤼베크는 200만 명의 숙박객을 기록했다. 뤼베크는 교회, 홀슈텐토어, 그리고 작은 골목길들이 있는 중세 도시 중심지로 유명하다. 7개의 눈에 띄는 교회 탑 때문에 "7개 탑의 도시"라고 불린다. 독일의 다른 많은 곳들과 마찬가지로, 뤼베크는 12월 크리스마스 마켓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는 Königstrasse 북쪽 끝에 위치한 성령병원 내부의 유명한 수공예품 시장도 포함된다.[54]80% 이상의 구시가지는 중세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역사적인 건물들과 좁은 거리가 특징이다. 한때 이 도시는 네 개의 시문(City gate) 중 하나를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었는데, 그중 홀슈텐토어(1478년)와 부르크토르(1444년) 두 곳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구시가지 중심부에는 일곱 개의 교회 첨탑이 자리하고 있다. 그중 가장 오래된 것은 뤼베크 대성당과 마리아 교회로, 13세기와 14세기에 건립되었다.
1286년에 건립된 코베르크의 성령 병원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회복지 시설 중 하나이자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이다. 이 병원은 양로원과 요양원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일부 역사적인 부분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다른 볼거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시청
- 성 카타리나 교회, 옛 수도원에 속했던 교회로, 현재는 라틴어학교인 카타리네움이 있다.
- 토마스 만의 집
- 귄터 그라스의 집
- 성 페테르 교회
- 성 로렌츠 교회, 16세기 페스트로 사망한 사람들을 위한 묘지 자리에 위치해 있다.
- 성 야고보 교회, 1334년 건립
- 성심 교회
- 성 에기디우스 교회
- 샬츠슈파이허, 뤼네부르크에서 운반된 소금이 발트해 항구로의 운송을 기다리던 역사적인 창고들
-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트라베뮌데 도시
구시가지는 운하가 주변에 파여 있어 배를 타고 둘러보는 것이 관광의 백미이다. 1535년의 선원 조합이 레스토랑이 되어 있으며,[53] 대항해시대의 거대한 범선 모형이 천장에서 매달려 있고, 벽면은 다양한 항해의 모습을 그린 유화로 장식된 곳에서 먹는 생선 요리는 특별하다고 평가받는다.
1504년 설립의 수도원을 전신으로 하는 성 안나 박물관은 수많은 조각 제단(Schnitzaltar)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스 멤링크의 제단화와 베른트 노이트케의 조각도 전시하고 있다.[55]
뤼베크의 명물은 마르지판이다. 뤼베크 시청사 근처에는 니더에거라는 가게의 본점이 있으며, 그 카페에는 마르지판으로 만든 인물상이나 홀슈텐토어 등 다양한 전시물이 있는 마르지판 박물관이 있어 관광 명소가 되어 있다.[56]
7. 2. 박물관
성 안나 박물관 지구, 베른하우스, 유럽 한자 박물관, 홀슈텐토어 등 뤼베크에는 여러 소규모 박물관이 있다. 뤼베크 인형극 박물관은 개인이 운영한다. 물가 명소로는 페마른 벨트에서 사용되었던 등대선과 한자 동맹 시대 15세기 카라벨선을 재현한 리사 폰 뤼베크가 있다.브라이트 거리에 있는 니더레거 카페 2층의 마지판 박물관은 마지판의 역사를 설명하고, 마지판 블록 생산에 사용되었던 역사적인 나무틀과 마지판으로 만든 역사적인 인물들을 전시하고 있다.[1]
8. 스포츠
VfB 뤼베크는 3. 리가 소속 축구팀으로, 17,849명을 수용할 수 있는 로뮬레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1] VfB 뤼베크에는 축구부 외에도 배드민턴, 여자 체조, 핸드볼, 탁구 부서가 있다.[1]
9. 교육
뤼베크에는 뤼베크 대학교, 뤼베크 응용과학대학교, 뤼베크 음악대학 세 곳의 대학교가 있다. 의학 및 생명과학 컴퓨팅 대학원은 대학교의 중앙 학부이며, 독일 엑설런스 이니셔티브에 의해 설립되었다.
국제 뉴미디어 스쿨은 대학교의 부속 연구소이다. 청각음향학 아카데미는 독일의 보청기 전문가를 위한 중앙 교육 시설이며, 업계 전반의 직업 훈련을 담당한다.[18]
10. 행정 구역
뤼베크 시는 10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이 구역들은 다시 총 35개의 도시 지역으로 나뉜다.
번호 | 구역 | 도시 지역 | 인구 |
---|---|---|---|
01 | 시 중심부 | 구시가지, 이전의 성벽 | ~12,000명 |
02 | 잔트 유르겐 | 휘크스터토어/뮬렌토어/게르트너가세, 슈트레크니츠/로테베크, 블랑켄제, 울프스도르프, 바이덴도르프, 크룸메세, 크론스포르데, 니더뷔사우, 포라데, 쉬어라이헨코펠, 오베르뷔사우 | ~40,000명 |
03 | 모이스링 | 니엔도르프/무어가르텐, 레케, 올트-모이스링/게닌 | ~10,000명 |
04 | 분테쿠 | ~10,000명 | |
05 | 잔트 로렌츠-남부 | ~12,000명 | |
06 | 잔트 로렌츠-북부 | 홀슈텐토어-노르트, 팔켄펠트/포어베르크/테어호프, 그로스슈타인라데/쇤뵈켄, 도른브라이트/크렘펠스도르프 | ~40,000명 |
07 | 잔트 게르트루트 | 부르크토어/슈타트파르크, 마를리/브란덴바움, 아이히홀츠, 카를스호프/이스라엘스도르프/고트문트 | ~40,000명 |
08 | 슐루투프 | ~6,000명 | |
09 | 퀴크니츠 | 데니슈부르크/지엠스(Siems)/랑겐베르크/발베르크, 헤렌비크, 알트-퀴크니츠/둠머스도르프/로테어한, 포펜도르프 | ~20,000명 |
10 | 트라페뮌데 | 이벤도르프, 알트-트라페뮌데/뢴나우, 프리발, 테우텐도르프, 브로텐 | ~15,000명 |
11. 국제 관계
뤼베크는 여러 국제 도시들과 자매 도시 및 우호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자매 도시는 문화, 교육,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 도시는 특정 분야나 관심사에 대해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한다.[19]
11. 1. 자매 도시
뤼베크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19]도시 | 국가 | 체결년도 |
---|---|---|
콧카 | 핀란드 | 1969년 |
비스마르 | 독일 | 1987년 |
라 로셸 | 프랑스 | 1988년 |
클라이페다 | 리투아니아 | 1990년 |
비스뷔 | 스웨덴 | 1999년 |
베네치아 | 이탈리아 | 1979년 |
가와사키 | 일본 | 1992년 |
베르겐 | 노르웨이 | 1996년 |
소흥 | 중국 | 2003년 |
11. 2. 우호 도시
도시 | 국가 | 체결 년도 |
---|---|---|
가와사키 川崎|가와사키일본어 | 일본 | 1992년 |
코트카 Kotka|코트카fi | 핀란드 | |
비스마르 Wismar|비스마르de | 독일 | |
라로셸 La Rochelle|라로셸프랑스어 | 프랑스 | |
클라이페다 Klaipėda|클라이페다lt | 리투아니아 | |
비스뷔 Visby|비스뷔sv | 스웨덴 | |
베네치아 Venezia|베네치아it | 이탈리아 | 1979년 |
베르겐 Bergen|베르겐no | 노르웨이 | 1996년 |
사오싱 绍兴|사오싱중국어 | 중국 | 2003년 |
12. 교통
뤼베크는 세 개의 주요 고속도로(아우토반)와 연결되어 있다. A1 고속도로는 북쪽으로 페어마른 섬과 코펜하겐(덴마크)으로, 남쪽으로 함부르크, 브레멘, 쾰른으로 향한다. A20 고속도로는 동쪽으로 비스마르, 로스토크, 슈체친(폴란드)으로, 서쪽으로 바트제게베르크와 북해로 향한다. A226 고속도로는 뤼베크 중심부에서 시작하여 북동쪽과 트라베뮌데 항구 도시로 향한다.
뤼베크에는 여러 개의 기차역이 있다. 주요 역인 뤼베크 중앙역(Lübeck Hauptbahnhof)은 하루 약 3만 1천 명의 승객이 이용하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이 역은 주로 함부르크, 뤼네부르크, 킬, 페어마른 섬, 슈체친(폴란드)으로 가는 지역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뮌헨,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쾰른으로 가는 일부 장거리 열차도 있다. 여름 휴가 기간에는 추가 열차 서비스가 많이 운행된다. 2019년 말까지 뤼베크는 함부르크-코펜하겐(덴마크) 노선의 "포겔플루그리니(Vogelfluglinie)" 열차 노선 정차역이었다.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은 뤼베크 시 교통 회사(Lübecker Stadtverkehr)에서 운영한다. 지역 버스 서비스 외에도 뤼베크 시와 그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40개의 버스 노선이 있다.
트라베뮌데 지역은 발트해에 있으며 도시의 주요 항구가 있다. 스칸디나비아 부두(Scandinavienkai)는 말뫼와 트렐레보리 (스웨덴), 리에파야 (라트비아), 헬싱키 (핀란드),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로 가는 페리 노선의 출발점이다. 발트해에서 두 번째로 큰 독일 항구이다.
뤼베크 공항(Lübeck Airport)은 뤼베크 남쪽 블랑켄제 마을에 위치해 있다. 뮌헨과 슈투트가르트로 가는 지역 항공편과 이탈리아와 크로아티아로 가는 일부 전세 항공편을 제공한다.
13. 뤼베크 출신 인물
Max Lindede는 삭제하고, 링크는 에드바르트 뭉크에 통합한다.
- 빌리 브란트(Willy Brandt): SPD 정치인이자,[23] 총리를 지냈으며,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다.
- 하인리히 만(Heinrich Mann): 소설가.
- 토마스 만(Thomas Mann): 소설가, 1929년 노벨 문학상 수상.
- 한스 블루멘베르크(Hans Blumenberg): 철학자.
- 요한 프리드리히 오버베크(Friedrich Overbeck): 화가[26]이자 나자레파 운동의 지도자. 에드바르트 뭉크의 후원자로 유명한 안과 의사이자 미술 애호가이다.
- 베르너 후노(Werner Huno) (1291년 뤼베크 사망): 뤼베크 한자 도시의 상인이자 의회 의원
- 요한 비텐보르크(Johann Wittenborg) (1321–1363): 뤼베크 시장, 헬싱보리 전투(1362)에서 패배
- 위르겐 울렌베퍼(Jürgen Wullenwever) (약 1492–1537): 1533년부터 1535년까지 뤼베크의 시장
- 조지 울베버(George Wulweber): 16세기 프로테스탄트, 고문틀에서 고문 받음
- 프리드리히 크뤼거(Friedrich Krüger) (1819–1896): 뤼베크, 함부르크, 브레멘 한자 도시의 외교관
- 존 루지(John Rugee) (1827–1894): 미국 위스콘신 주의 정치인
- 구스타프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 (1878–1949): 법학자이자 정치인
- 헤르만 뤼데만(Hermann Lüdemann) (1880–1959): CDU 정치인
- 오토-하인리히 드렉슬러(Otto-Heinrich Drechsler) (1895–1945):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뤼베크 시장, 리가 게토 설립
- 하임 콘(Haim Cohn) (1911–2002): 이스라엘 법률가이자 정치인
- 비외른 엔골름(Björn Engholm) (1939년생): SPD 정치인
- 로베르트 하벡(Robert Habeck) (1969년생): 작가이자 90/녹색당 정치인
- 비르깃 오리(Birgitt Ory) (1964년생): 외교관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Beatrix von Storch) (1971년생): AfD 정치인, 전 유럽 의회 의원
- 벤야민 블록(Benjamin Block)(1631–1690): 독일-헝가리 바로크 화가[24]
- 고드프리 니클러 경(Sir Godfrey Kneller)(1646–1723): 여러 영국 국왕들의 궁정 화가[25]
- 카타리나 엘리자베트 하이네켄(Catharina Elisabeth Heinecken)(1683–1757): 화가이자 연금술사
- 칼 하인리히 폰 하이네켄(Carl Heinrich von Heineken)(1707–1791): 미술사가
- 요한 빌헬름 코르데스(Johann Wilhelm Cordes)(1824–1869): 풍경화가
- 고트하르트 퀴엘(Gotthardt Kuehl)(1850–1915): 화가
- 마리아 슬라보나(Maria Slavona)(1865–1931): 인상파 화가, 코르넬리아 쇼러의 여동생
- 에리히 폰토(Erich Ponto)(1884–1957): 배우
- 발터 D. 아스무스(Walter D. Asmus)(1941년생): 연극 연출가
- 유스투스 폰 도나니(Justus von Dohnányi)(1960년생): 배우
- 요나스 나이(Jonas Nay)(1990년생): 배우
- 요아힘 융기우스(Joachim Jungius) (1587–1657):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
- 하인리히 마이봄(Heinrich Meibom) (1638–1700): 의학 전문가, 마이봄샘 발견
- 헤르만 폰 펠링(Hermann von Fehling) (1811–1885): 화학자[29]
- 로베르트 크리스티안 아베-랄레망(Robert Christian Avé-Lallemant) (1812–1884): 의사이자 탐험가
- 에른스트 쿠르티우스(Ernst Curtius) (1814–1896): 고전 고고학자[30]이자 역사가
- 게오르크 쿠르티우스(Georg Curtius) (1820–1885): 언어학자[31]
- 프리드리히 마티아스 클라우디우스(Friedrich Matthias Claudius) (1822–1869): 해부학자
- 제임스 베렌스(James Behrens) (1824–1898): 곤충학자.[32]
- 프리드리히 마츠(Friedrich Matz) (1843–1874): 고고학자
- 프리드리히 빌헬름 구스타프 브룬(Friedrich Wilhelm Gustav Bruhn) (1853–1927): 택시미터 발명가
- 코르넬리아 쇼러(Cornelia Schorer) (1863–1939): 독일 최초의 여성 의사 중 한 명
- 하인리히 뤼더스(Heinrich Lüders) (1869–1943): 동양학자이자 인도학자
- 유스투스 뮐렌포르트(Justus Mühlenpfordt) (1911–2000): 핵물리학자
- 볼프강 루테(Wolfgang Luthe) (1922–1985): 의사, 정신치료사 및 자가훈련 개척자
- 뤼베크의 아놀드(Arnold of Lübeck)(1211년~1214년 사망): 당대 연대기 작가
- 에라스무스 핀크스(Erasmus Finx)(1627년–1694년): 박식가, 작가, 교회 작가
- 크리스티안 아돌프 오버벡(Christian Adolph Overbeck)(1755년–1821년): 시장, 시인
- 요한 베른하르트 페르메렌(Johann Bernhard Vermehren)(1777년–1803년): 낭만주의자, 강사
- 에마누엘 가이벨(Emanuel Geibel)(1815년–1884년): 시인[33]
- 구스타프 팔케(Gustav Falke)(1853년–1916년): 작가
- 프리드리히 랑케(Friedrich Ranke)(1882년–1950년): 독일 중세학자, 언어학자, 민속학자, 작가
- 외르크 폰토라(Jörg Wontorra)(1948년생): 스포츠 기자
- 니콜라이 리델(Nicolai Riedel)(1952년생): 언어학자, 작가, 편집자
- 잔드라 펠커(Sandra Völker)(1974년생): 수영 선수,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 3개 획득
- 마리-루이제 드레거(Marie-Louise Dräger)(1981년생): 싱글스컬(경량급) 세계 챔피언 5회
- 토비아스 캄케(Tobias Kamke)(1986년생): 프로 테니스 선수
- 막시밀리안 문스키(Maximilian Munski)(1988년생): 조정 선수, 2016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아담 브란트 (Adam Brand) (약 1692년–1746년): 상인이자 연구가
-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하이네켄 (Christian Friedrich Heinecken) (1721년–1725년): "뤼베크의 신동"으로 불린 신동[34]
- 쿠르트 폰 슐뢰처 (Kurd von Schlözer) (1822년–1894년): 외교관이자 역사가
- 헤르만 폰 데어 후데 (Hermann von der Hude) (1830년–1908년): 건축가
- 헤르만 블롬 (Hermann Blohm) (1848년–1930년): 조선업자이자 회사 설립자
- 헤르만 피스터 (Hermann Pister) (1885년–1948년):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의 나치 친위대 지휘관
- 헤르만 괴르츠 (Hermann Görtz) (1890년–1947년):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나치 독일을 위해 활동한 스파이
- 발터 에버스 (Walter Ewers) (1892년–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비행 에이스
- 외르크 치어케 (Jörg Ziercke) (1947년생): 2004년–2014년 독일 연방범죄수사청 청장
분류:독일의 도시별 출신 인물
분류:뤼베크
참조
[1]
웹사이트
Utspraak vun ''Lübeck''
http://www.ins-breme[...]
[2]
웹사이트
Hanseatic City of Lübeck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06-11
[3]
서적
Gauleiter: The Regional Leaders of the Nazi Party and Their Deputies, 1925–1945
R. James Bender Publishing
[4]
웹사이트
St. Mary's - luebeck-tourismus.de
https://web.archive.[...]
2015-11-10
[5]
웹사이트
März 1942: Lübeck brennt im Bombenhagel
https://www.ndr.de/g[...]
[6]
뉴스
G7-Gipfel in Lübeck: Die Beschlüsse
http://www.spiegel.d[...]
2015-04-15
[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8]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Werft)
https://www.wetterze[...]
DWD
2023-11-18
[9]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
https://www.wetterze[...]
DWD
2023-11-18
[10]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Blankensee)
https://www.wetterze[...]
DWD
2023-11-18
[11]
웹사이트
Monatsauswertung
http://sklima.de/dat[...]
SKlima
2024-10-31
[12]
웹사이트
Statistische Nachrichten Nr. 41
https://bekanntmachu[...]
Hansestadt Lübeck
2021-04-14
[13]
웹사이트
Abendmusik
https://www.oxfordmu[...]
[14]
웹사이트
Abendmusik
https://www.mgg-onli[...]
[15]
뉴스
A culinary treasure in marzipan in Lubeck, Germany
https://www.bostongl[...]
2012-06-06
[16]
간행물
Germany's Sweet Spot Is This Marzipan Factory
https://munchies.vic[...]
2015-11-28
[17]
간행물
German retailers call on EU to protect Rotspon
http://www.decanter.[...]
2013-01-21
[18]
웹사이트
Academy
https://www.afh-lueb[...]
2024-11-15
[19]
웹사이트
Partnerstädte und Freunde
https://www.luebeck.[...]
Lübeck
2024-03-02
[20]
백과사전
Laurentius Surius
[21]
백과사전
Francke, August Hermann
[22]
백과사전
Mosheim, Johann Lorenz von
[23]
웹사이트
Biography of Willy Brandt
http://www.brandt21f[...]
2018-03-21
[24]
웹사이트
Benjamin von Block
https://rkd.nl/en/ex[...]
2018-03-23
[25]
백과사전
Kneller, Sir Godfrey
[26]
백과사전
Overbeck, Johann Friedrich
[27]
백과사전
Baltzar, Thomas
[28]
백과사전
Baltzar, Thomas
[29]
백과사전
Fehling, Hermann von
[30]
백과사전
Curtius, Ernst
[31]
백과사전
Curtius, Ernst
[32]
백과사전
Behrens, James
[33]
백과사전
Geibel, Emanuel
[34]
백과사전
Heinecken, Christian Heinrich
[35]
인구통계
Population GER-SH
[36]
서적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and Baedeker: Deutschland
Hoffmann und Campe, Karl Baedeker
1964-06
[37]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1993
[38]
서적
都市と農民――中世のヨーロッパ
至誠堂
1973
[39]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40]
서적
ティル・オイレンシュピーゲルの愉快ないたずら
岩波文庫, 法政大学出版局
1990, 1979
[41]
서적
西欧中世史事典―国制と社会組織―
ミネルヴァ書房
1997
[42]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Beck,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9
[43]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44]
서적
都市と農民――中世のヨーロッパ
至誠堂
1973
[45]
서적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Deutsche Plastik der Spätgotik, Deutsche Spätgotische Malerei 1430-1500
Hoffmann und Campe, Karl Robert Langewiesche Nachfolger Hans Köster
1964-06, 1962, 1965
[46]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47]
서적
ヨーロッパの中世都市
岩波書店
1987
[48]
서적
Baedeker: Deutschland
Karl Baedeker
2005
[49]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Beck,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9
[50]
서적
NHK市民大学 よみがえる中世ヨーロッパ, 歴史的に見た----ドイツ民謡
日本放送出版協会, 東洋出版
1986, 1979
[51]
세계유산
세계유산 기준 4
[52]
서적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and Baedeker: Deutschland
Hoffmann und Campe, Karl Baedeker
1964-06
[53]
서적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and Baedeker: Deutschland
Hoffmann und Campe, Karl Baedeker
1964-06
[54]
서적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and Baedeker: Deutschland
Hoffmann und Campe, Karl Baedeker
1964-06
[55]
서적
Lübeck Sankt Annen-Museum. Die Sakralen Werke des Mittelalters, MERIAN Heft 6/XVII (Juni 1964) >Lübeck< and Baedeker: Deutschland
Museen für Kunst und Kunstgeschichte der Hansestadt Lübeck, Hoffmann und Campe, Karl Baedeker
1964-06, 1964
[56]
웹사이트
マルツィパン博物館の公式サイト
https://www.niedereg[...]
2022-03-18
[57]
웹사이트
http://www.statistik[...]
2011-09-30
[58]
웹사이트
Einwohnerentwicklung von Lübeck
https://de.wikipedia[...]
[5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2023-10-12
[60]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Werft)
https://www.wetterze[...]
독일 기상청
2023-11-18
[61]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
https://www.wetterze[...]
독일 기상청
2023-11-18
[62]
웹사이트
Extremwertanalyse der DWD-Stationen, Tagesmaxima, Dekadenrekorde, usw. (Lübeck-Blankensee)
https://www.wetterze[...]
독일 기상청
202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