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니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보니아어는 과거 라트비아 리가 만 주변에 거주했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 언어이다. 13세기 검의 형제단과 튜턴 기사단의 정복 이후 리보니아어 사용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이후 개신교 종교 개혁, 리보니아 전쟁, 러시아 제국의 지배, 제2차 세계 대전 등을 거치며 쇠퇴했다. 20세기 후반에는 소수의 원어민 화자만 남았으며, 2013년 마지막 원어민 화자가 사망하면서 멸종되었다. 현재는 언어 보존 및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라트비아 대학교에 리보니아 연구소가 설립되어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라트갈레어
라트갈레어는 라트비아 동부 라트갈레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서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변종으로 여겨지며 18세기부터 문학 전통이 발전해 21세기에 들어 문화계에서 부각되어 공공 표지판과 미디어에서의 사용이 늘고 있다. - 우랄어족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우랄어족 - 핀어군
핀어군은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을 포함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는 우랄어족 언어의 한 갈래이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모사라베어
모사라베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14세기경 사멸한 로망스어 변종이며, 스페인어와 안달루시아 방언에 어휘적 영향을 미쳤다.
리보니아어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리보니아어 |
다른 이름 | (해안어) |
사용 국가 | 라트비아 |
사용 지역 | 리보니아 해안 |
민족 | 리보니아인 |
소멸 시기 | 2013년 6월 2일 그리젤다 크리스티냐의 사망으로 소멸 |
부활 | 1명 (2022년)이 제1 언어 화자, ~40명이 B1 이상 수준의 제2 언어 화자, ~210명이 A1-A2 수준의 화자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
어파 | 핀우그리아어파 |
어군 | 핀어군 |
하위 어군 | 남부 핀어군 |
방언 | 쿠를란트 살라카 |
소수 언어 | 라트비아 |
ISO 639-3 | liv |
글롯코드 | livv1244 |
글롯코드 이름 | 리브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조상 언어 | 원시 우랄어 원시 핀어 원시 리보니아어 |
언어 상황 | |
생존력 | 심각한 위기 |
화자 수 | 제2 언어 학습자만 존재 |
2. 역사
13세기 검의 형제단과 튜턴 기사단의 리보니아 정복 이후, 1522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이 도입되었고, 1557년 러시아의 침략과 1558년~1583년 리보니아 전쟁을 거치며 리보니아는 러시아, 스웨덴, 덴마크,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 주변 국가들의 각축장이 되었다.[16] 1721년 뉘스타드 조약으로 리보니아는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9세기 리보니아어 사용자 수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20]
연도 | 사용자 수 |
---|---|
1835년 | 2,074명 |
1852년 | 2,324명 |
1858년 | 2,390명 |
1888년 | 2,929명 |
1918년 라트비아 건국으로 리보니아어가 다시 부흥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으로 사회적으로 위축되었다.[16] 2013년 6월,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그리젤다 크리스티냐가 사망하면서 리보니아어는 공식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16]
최초의 리보니아어 단어는 헨리의 리보니아 연대기에 기록되었고,[23] 16세기에 리보니아어에 관한 최초의 서면 자료가 등장했다. 1845년에는 야니스 프린츠와 그의 아들 야니스 주니어가 리보니아인들의 시 모음집인 "선원들의 신성한 노래와 기도"(Jūrnieku svētās dziesmas un lūgšanas|link=nolv)를 라트비아어로 번역하여 출판했다.[24][25] 1863년 런던에서 최초의 리보니아어 책인 마태복음서가 쿠를란트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으로 출판되었다.[26] 전간기에는 핀란드와 에스토니아 단체의 도움으로 리보니아어로 된 책이 수십 권 출판되었고,[26] 1930년에는 최초의 리보니아어 신문 "Līvliliv"가 발행되었다. 1942년에는 헬싱키에서 신약전서 번역본이 출판되었다.[3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라트비아를 점령하면서 리보니아어로 된 책은 더 이상 출판되지 않았다.[31] 리보니아 해안 지역은 소련의 엄격한 감시 하에 통제되었고, 주민들의 이동 자유에 제한이 가해지는 등 여러 요인이 언어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32]
라트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후, 1994년에는 리보니아어 뉴스레터 "Õvāliv"가 발행되었고, 1998년에는 최초의 리보니아어 시집 "Ma akūb sīnda vizzõ, tūrska!liv"가 출판되었다.[33][34] 현재까지 유일한 리보니아어 매체는 리보니아 문화 센터가 운영하는 영어-라트비아어-리보니아어 3개 국어로 된 [http://www.livones.net Livones.lv (livones.net)]이다.[34][35]
유네스코는 리보니아어 현황을 "critically endangered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로 평가한다.[76] 그러나 리보니아어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제2언어로 학습하는 사람, 리보니아어를 사용하는 시인과 작가, 리보니아어 신문, 가사에 리보니아어를 사용한 음악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75]
2. 1. 중세 시대
13세기 이전, 원주민 리보니아인들은 에스토니아의 사아레마섬을 제외한 리가 만 주변 지역 전체에 거주했다.[17] 당시 리보니아어 사용자 수는 3만 명이었다.[15]12세기-13세기에 리보니아 땅은 튜턴 기사단에 의해 정복되었다.[18] 이 정복은 리보니아어 사용자 수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고, 라트비아인이 거주하는 리보니아 땅이 비면서 라트비아어가 리보니아어를 대체하게 되었다.[18] 1200년경, 검의 형제단과 튜턴 기사단이 리보니아를 정복하여 이들 기사단과 리가 대교구 사이에 영토 지배권 다툼이 발생했다.
2. 2. 근세 시대
1522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물결이 리보니아에 밀려왔다.[16] 1557년에는 러시아(모스크바 대공국)가 침략했고,[16] 1558년부터 1583년까지 리보니아 전쟁이 발발하여 러시아,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가 리보니아를 주요 전장으로 삼아 격돌했다.[16] 이러한 주변 국가들의 침략은 리보니아어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2. 3. 근대
1721년 뉘스타드 조약으로 리보니아는 차르 러시아의 속주가 되었다.[14] 19세기에는 약 2,000명이 리보니아어를 사용했으며, 1852년에는 리보니아인의 수가 2,394명이었다.[14]19세기 리보니아어 사용자 수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20]
연도 | 사용자 수 |
---|---|
1835년 | 2,074명 |
1852년 | 2,324명 |
1858년 | 2,390명 |
1888년 | 2,929명 |
2. 4. 현대
1918년 라트비아 건국으로 리보니아어가 다시 부흥했다.[16]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비에트 연방으로 인해 리보니아어는 사회적으로 위축되었다.[16]빅토르스 베르톨드스(1921년 7월 10일 – 2009년 2월 28일)[37][38]는 리보니아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가정과 공동체에서 리보니아어를 처음 배운 마지막 세대의 리보니아어 화자 중 한 명으로, 2009년 2월 28일에 사망했다. 그가 마지막 원어민 화자라는 보도가 있었지만, 리보니아인들은 여전히 살아있는 원어민 화자가 더 있지만 매우 적다고 주장했다.[39] 에스토니아 신문 Eesti Päevaleht|에스티 패에발레흐트et에 보도된 바와 같이,[40] 빅토르스 베르톨드스는 1921년에 태어났으며, 리보니아어 단일 언어 사용자로 (라트비아어를 사용하는) 초등학교를 시작한 마지막 세대의 어린이들 중 한 명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불과 몇 년 후 리보니아인 부모들이 자녀들과 라트비아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졌다.
리보니아어의 마지막 원어민 화자는 1949년부터 캐나다에 살았던 그리젤다 크리스티냐(베르톨드스의 사촌, 1910~2013)였다.[43] 그녀는 2013년 6월 2일에 사망했다.[44][45]
하지만 리보니아어를 부흥시키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제2언어로 학습하는 사람, 리보니아어를 사용하는 시인과 작가가 있으며, 리보니아어 신문과 가사에 리보니아어를 사용한 음악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75] 유네스코는 리보니아어 현황을 "critically endangered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음)"로 평가한다.[76]
전쟁 전 세대의 조부모나 증조부모로부터 어린 시절 리보니아어를 배운 젊은 리보니아인들이 리보니아어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들은 많지 않지만, 현재 리보니아 뿌리에 관심 있는 라트비아의 리보니아인은 수백 명에 달한다. 일부 젊은 리보니아인들은 리보니아어로 민요를 부를 뿐만 아니라 일상 대화에서 리보니아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한다. 그러한 젊은 세대 리보니아어 화자 중 한 명은 리보니아-에스토니아 월드 뮤직 그룹 Tuļļi Lum|툴리 룸liv과 함께 공연하는 율기 스탈테(Julgī Stalte)이다.[46] 2018년에는 언어에 대한 연구와 인식을 높이기 위해 라트비아 대학교()에 '''리보니아 연구소'''가 설립되었다.[47]
2020년 리보니아어 부흥 운동가인 야니스 메드니스(Jānis Mednis)와 레나테 메드네(Renāte Medne)는 신생아 딸인 쿨디 메드네(Kuldi Medne)에게 리보니아어를 첫 언어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2023년 현재 그녀는 라트비아에서 유일한 리보니아어 원어민 화자이다.[9]
2. 5. 리보니아어 부활 운동
마지막 리보니아어 원어민 화자가 사망한 후, 리보니아어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16] 리보니아어는 한때 라트비아 영토의 약 3분의 1에서 사용되었으나,[63] 2013년 6월 2일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그리젤다 크리스티냐가 사망하면서 21세기에 멸종했다.[64]
현재 라트비아에는 자신을 리보니아인으로 밝히고 유럽 언어 공통 기준(CEFR)에 따라 A1-A2 수준으로 리보니아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약 210명이며, B1 수준 이상으로 구사하는 사람은 20~40명 정도이다.[65] 이들은 모두 리보니아어를 제2언어로 배우고 있다.
라트비아인들에게 리보니아인의 문화와 언어 유산, 그리고 대부분의 라트비아인이 리보니아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교육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66]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Livones.net[67]: 리보니아어, 역사,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68]: 리보니아어와 라트비아의 다른 핀란드어파 언어를 연구하고, 리보니아어-라트비아어-에스토니아어 사전을 제공한다.[69]
- Virtual Livonia[70]: 리보니아어 문법 정보를 제공한다.
- Mierlinkizt:[71] 어린이를 위한 리보니아어, 문화 교육 연례 여름 캠프이다.
- Līvõd Īt (리보니아 연합)[72]
2018년에는 라트비아 대학교에 리보니아 연구소(Lețmō Iļīzskūol Līvõd institūt|레트모 이리츠스쿠올 리보드 인스티투트liv)가 설립되어 리보니아어 연구와 인식을 높이고 있다.[47]
2020년, 리보니아어 부활 운동가인 야니스 메드니스(Jānis Mednis)와 레나테 메드네(Renāte Medne)는 신생아 딸 쿨디 메드네(Kuldi Medne)에게 리보니아어를 첫 언어로 가르치기 시작했다. 2023년 현재 그녀는 라트비아에서 유일한 리보니아어 원어민 화자이다.[9]
2023년은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가 유네스코 라트비아 국가위원회, 라트비아 국가 문화 센터와 협력하여 리보니아 유산의 해(Līvõd pierāndõks āigast|리보드 피에란덕스 아이가스트liv)로 선포되었으며,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다.[48][49] 2023년 1월에는 라트비아어와 리보니아어 텍스트로 된 도로 표지판이 탈시 시 경계에 설치되었다.[50]
3. 음운
리보니아어는 에스토니아어처럼 모음 조화를 잃었지만, 에스토니아어와 달리 자음 배열 변화도 잃었다.[53][54]
3. 1. 모음
리보니아어는 에스토니아어처럼 모음 조화를 잃었지만, 에스토니아어와 달리 자음 배열 변화도 잃었다.[53][54]리보니아어는 다음 표와 같이 8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괄호 안에 두 개의 고어 모음이 제시되어 있다.
/y/와 /œ/는 이전 세대에는 존재했지만 후대에는 다른 모음과 합쳐졌다. 이것들은 1997년까지 방언으로 존재했다.한국어
전설이 아닌 평순 모음의 경우 후설과 중설의 조음은 중요하지 않으므로 ''õ''와 ''ȯ''는 중설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
무강세 ''ȯ'' 로 구현된다.}}
''e''는 로 발음될 수 있다.}}
모든 모음은 장단이 될 수 있다. 단모음은 표에 표시된 대로 쓰여지며, 장모음은 문자 위에 마크론("ˉ")을 써서 표기한다. 예를 들어, = ōliv이다. 리보니아어 모음 체계는 덴마크어와 유사한 ''스퇴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특징을 가진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이전 고저 악센트의 잔재로 여겨진다.
3. 2. 자음
리보니아어에는 23개의 자음이 있다.[53][54]
는 /n/이 /k/ 또는 /ɡ/ 앞에서 변한 소리이다. , 는 일부 감탄사를 제외하고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유성 파열음은 단어 끝이나 다른 무성 자음 앞에서 무성음이 되거나 반유성이 된다. (kuolmõzliv "셋째")[56]
3. 3. 음운 변화
리보니아어는 에스토니아어처럼 모음 조화를 잃었지만, 에스토니아어와 달리 자음 배열 변화도 잃었다.[53][54]4. 문자
리보니아어 알파벳은 라트비아어와 에스토니아어 정자법을 혼합한 것이다.[53][54]
대문자 (또는 알파벳 대문자) | ||||||||||||||||||||||||||||||||||||||||||
---|---|---|---|---|---|---|---|---|---|---|---|---|---|---|---|---|---|---|---|---|---|---|---|---|---|---|---|---|---|---|---|---|---|---|---|---|---|---|---|---|---|---|
A | Ā | Ä | Ǟ | B | D | D̦ | E | Ē | F | G | H | I | Ī | J | K | L | Ļ | M | N | Ņ | O | Ō | Ȯ | Ȱ | Ö* | Ȫ* | Õ | Ȭ | P | R | Ŗ | S | Š | T | Ț | U | Ū | V | Y* | Ȳ* | Z | Ž |
소문자 (또는 알파벳 소문자) | ||||||||||||||||||||||||||||||||||||||||||
a | ā | ä | ǟ | b | d | d̦ | e | ē | f | g | h | i | ī | j | k | l | ļ | m | n | ņ | o | ō | ȯ | ȱ | ö* | ȫ* | õ | ȭ | p | r | ŗ | s | š | t | ț | u | ū | v | y* | ȳ* | z | ž |
* 1980년 새로운 규칙이 적용된 노래책이 출판되면서 후대에 둥근소리가 아닌 음소에 사용되었던 문자는 폐지되었지만,[57] 1997년까지도 때때로 사용되었다. **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세디유가 콤마 대신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루마니아어 활자체 문제와 유사하다.[58] |
리보니아어는 에스토니아어처럼 모음 조화를 잃었지만, 에스토니아어와 달리 자음 배열 변화도 잃었다.[53][54]
5. 문법
리보니아어는 에스토니아어처럼 모음 조화를 잃었지만, 에스토니아어와 달리 자음 배열 변화도 잃었다.[53][54]
6. 어휘
리보니아어는 수 세기 동안 문법, 음운론, 파생어 등의 측면에서 라트비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59] 예를 들어, 리보니아어의 여격은 핀우그리아어족 언어로서는 매우 이례적이다.[59] 리보니아어에는 라트비아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약 2,000개, 저지작센어와 독일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약 200개 있으며,[60] 대부분의 게르만어파 차용어는 라트비아어를 통해 유입되었다.[60] 그러나 라트비아어 또한 리보니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리보니아어를 기반으로 하는 라트비아어의 규칙적인 음절 강세는 발트어군 언어에서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특히 19세기 말에는 에스토니아인들, 특히 쿠르제메(Courland) 지역의 리보니아 어부나 선원들과 사아레마아(Saaremaa)나 다른 섬 출신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 많은 접촉이 있었다. 서에스토니아 섬의 많은 주민들이 여름에 쿠르제메 리보니아 마을에서 일했다. 그 결과, 리보니아인들 사이에 에스토니아어에 대한 지식이 퍼지고 에스토니아어에서 유래한 단어들도 리보니아어에 들어왔다.[61] 리보니아어에는 약 800개의 에스토니아어 차용어가 있으며, 그 대부분은 사아레마아 방언에서 차용된 것이다.[62]
7. 간단한 회화 표현
Tēriņtš!|테린치!liv - 안녕하세요.
Jõvvõ sīemnaigõ!|여버 시에마이가!liv - 식사 맛있게 하세요!
Jõvā ūomõg!|여바 오머그!liv / Jõvvõ ūomõgt!|여버 오먹트!liv - 좋은 아침!
Jõvā pǟva!|여바 패바!liv / Jõvvõ päuvõ!|여버 패우버!liv - 좋은 하루 되세요!
Tienū!|티에누!liv - 감사합니다!
Vȯndzist ūdāigastõ!|번지스트 우다이가스터!liv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숫자 | 리보니아어 | 발음 |
---|---|---|
1 | ikšliv | 익시 |
2 | kakšliv | 캌시 |
3 | kuolmliv | 쿨름 |
4 | nēļaliv | 넬랴 |
5 | vīžliv | 비지 |
6 | kūžliv | 쿠지 |
7 | seisliv | 세이스 |
8 | kōdõksliv | 커덕스 |
9 | īdõksliv | 이덕스 |
10 | kimliv | 킴 |
참조
[1]
뉴스
Death of a language: last ever speaker of Livonian passes away aged 103
http://www.thetimes.[...]
2013-06-05
[2]
뉴스
Viimane emakeelne liivlane lahkus jäädavalt
http://tartu.postime[...]
Postimees
2013-06-14
[3]
웹사이트
"Kūldaläpš. Zeltabērns" – izdota lībiešu valodas grāmata bērniem un vecākiem
https://www.lsm.lv/r[...]
Latvijas Sabiedriskie Mediji (LSM.lv)
2022-10-18
[4]
웹사이트
LĪBIEŠU VALODAS SITUĀCIJA
http://www.livones.n[...]
[5]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 – DW – 06/17/2007
https://www.dw.com/e[...]
[6]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7]
데이터셋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2021
[8]
웹사이트
Obituary: Last Native Speaker of the Livonian Language Died Age 103
http://geocurrents.i[...]
GeoCurrents
[9]
웹사이트
«Kūldaläpš. Zeltabērns» – izdota lībiešu valodas grāmata bērniem un vecākiem
https://www.lsm.lv/r[...]
2022-10-18
[10]
웹사이트
Sketch of Livonian Sounds and Grammar
http://virtuallivoni[...]
[11]
뉴스
Suri viimane vanema põlve emakeelne liivlane
http://www.epl.ee/ar[...]
Eesti Päevaleht
2009-03-04
[12]
뉴스
Latvia's tiny Livonian minority struggles to keep its language alive | Baltic States news & analytics
http://www.baltic-co[...]
The Baltic Course
2012-10-17
[13]
학회발표논문
Personal Names of Livonian Origin in Latvia: Past and Present
http://pi.library.yo[...]
York University
2009-08
[14]
저서
[15]
저서
[16]
웹사이트
Twenty Speakers, but Three Poets: Writing in Livonian
https://deepbaltic.c[...]
2019-07-15
[17]
저서
[18]
뉴스
Известия АН Латвийской ССР: Ливы и ливский язык
[19]
서적
Parlons live: une langue de la Baltique
L'Harmattan
[20]
저서
[21]
서적
Ливский язык: Языки мира. Уральские языки
Наука
[22]
웹사이트
Lībiešu valoda
http://www.livones.n[...]
livones.net
2011-11-11
[23]
저서
[24]
기타
Juhrneeku svehtas dseesmas un luhgschanas, sadomahtas no zitkahrtiga Pises basnizas ķestera Jahņa Prinz, un viņņa vezzaka dehla Jahņa. Jelgavā pee Jahņa Wridriķķa Steffenhagen un dehla.
1845
[25]
서적
Latvian encyclopedia
Valery Belokon's Publishing
[26]
저서
[27]
저서
[28]
저서
Uralica
[29]
저서
Uralica
[30]
저서
[31]
저서
[32]
웹사이트
Livones.net – The Livonians during the Soviet period
http://www.livones.n[...]
[33]
웹사이트
Lībiešu literatūra
http://www.livones.n[...]
livones.net
2011-12-12
[34]
웹사이트
Kultūras centrā 'Noass' notiks Lībiešu valodas dienas svinēšana
http://www.delfi.lv/[...]
www.DELFI.lv
2007-05-17
[35]
웹사이트
http://www.d-pils.lv[...]
D-PiLS.LV. Информацион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портал Даугавпилса
2011-03-09
[36]
서적
Ausgewählte Verwandtschaftsbezeichnungen in den Sprachen Europas
Peter Lang
[37]
웹아카이브
Picture of V. Bertholds
http://www.lfk.lv/Su[...]
2012-02-22
[38]
웹사이트
The last Livonian is dead
https://web.archive.[...]
2009-06-09
[39]
뉴스
Latvia's tiny Livonian minority struggles to keep its language alive
http://www.baltic-co[...]
Baltic Course
2013-06-06
[40]
웹아카이브
Suri viimane vanema põlve emakeelne liivlane″ ("The last native speaker of Livonian from the older generation has died")
http://www.epl.ee/ar[...]
2011-07-20
[41]
서적
Valkoisen hiekan kansa
[42]
웹사이트
Edgar Vaalgamaa – Muistokirjoitus – Muistot
http://www.hs.fi/mui[...]
2015-03-02
[43]
웹사이트
Maailma viimane emakeelne liivlane sai 100-aastaseks
http://finugor.ru/en[...]
FennoUgria
2010-03-19
[44]
뉴스
Teadusdoktor käib mööda liivi radu
http://www.tartupost[...]
Postimees
2011-12-09
[45]
뉴스
Death of a language: last ever speaker of Livonian passes away aged 103
http://www.thetimes.[...]
2013-06-05
[46]
웹사이트
Defender of a Small Nation
http://www.ce-review[...]
Central Europe Review
2000-07-10
[47]
웹사이트
Livones.net
http://www.livones.n[...]
[48]
웹사이트
2023 will be year of Livonian cultural heritage
https://eng.lsm.lv/a[...]
2022-12-08
[49]
웹사이트
Livonian Heritage Year - Lībiešu gads
https://libiesugads.[...]
[50]
웹사이트
Re:voice - The First Livonian Language Road Sign Unveiled in Latvia
https://revoice.falm[...]
[51]
웹사이트
Talsu novada nosaukums tagad arī lībiešu valodā; šādi uzraksti būs vismaz 14 piekrastes ciemos
https://www.lsm.lv/r[...]
2023-01-27
[52]
웹사이트
«Līvõdõn ja līvõ kīelõn istōrilizt Loul ja daņtš pivād – kūord sūrkontsert "Tīrums. Dziesmas ceļš" ... - LI Līvõd institūt
https://www.facebook[...]
2023-07-07
[53]
harv
[54]
서적
Сравнительный обзор финно-угорских языков
http://www.finnougor[...]
Kola
[55]
서적
FU-transkription yksinkertaistaminen
[56]
학술지
Main features of the Livonian sound system and pronunciation
https://www.research[...]
2016
[57]
웹사이트
Livonian Orthography
https://www.kirj.ee/[...]
[58]
웹사이트
Livonian
http://www.evertype.[...]
2001-11-12
[59]
서적
Einführung in die finnisch-ugrische Sprachwissenschaft
[60]
서적
Einführung in die finnisch-ugrische Sprachwissenschaft
[61]
harv
[62]
서적
Einführung in die finnisch-ugrische Sprachwissenschaft
[63]
Youtube
Lecture by Valts Ernštreits "Chasing the heritage of Livonians - Latvia's indigenous people"
https://www.youtube.[...]
2020-10-06
[64]
뉴스
Death of a language: last ever speaker of Livonian passes away aged 103
https://www.thetimes[...]
[65]
웹사이트
livones.net
https://web.archive.[...]
2014-02-02
[66]
Youtube
Lībiešu tradicionālā kultūra Latvijas kultūras kanonā. Stāsta Valts Ernštreits.
https://www.youtube.[...]
2019-10-23
[67]
웹사이트
Livones.net
http://www.livones.n[...]
[68]
웹사이트
Livones.net
http://www.livones.n[...]
2022-11-20
[69]
웹사이트
Livones.net
http://www.livones.n[...]
[70]
웹사이트
Virtual Livonia ∙ Līvõmō Internets ∙ Līvzeme Internetā
http://virtuallivoni[...]
[71]
웹사이트
Livones.net - Lībiešu vasaras skola "Mierlinkizt"
http://www.livones.n[...]
[72]
웹사이트
Livones.net - Līvõd Īt (Livonian Union)
http://www.livones.n[...]
[73]
서적
Nyelvrokonaink
György Nanovfszky
2000
[74]
웹사이트
Last Liv-speaker gone
http://www.sciencegu[...]
ScienceGuide
2013-06-12
[75]
웹사이트
Livonian, Latgalian in danger, reports UNESCO atlas
http://latviansonlin[...]
[76]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77]
간행물
Keelekontaktid
Valgus
1981
[78]
간행물
Schätzung Vääri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