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엘 카스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누엘 카스텔은 스페인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학자로, 도시사회학, 조직학, 인터넷 연구, 사회 운동, 문화사회학, 정치경제학 등을 융합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반 프랑코 학생 운동에 참여하여 프랑스로 망명한 후 파리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카탈루냐 개방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정보 시대 3부작'을 포함한 다수의 저서를 저술했다. 카스텔은 네트워크 사회, 정보주의, 흐름의 공간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사회를 분석했고,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인용되며 홀베르그 상과 발잔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 이론가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20세기 미국 건축의 선구자로서,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유기적 건축 철학으로 낙수장, 구겐하임 미술관 등 상징적인 건축물을 남겼고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도시 이론가 - 프란츠 파농
프란츠 파농은 마르티니크 출신의 정신의학자, 혁명가, 작가로서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폭력과 해방, 정체성, 인간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 저술로 유명하며,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했고, 그의 사상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흑인 해방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 대릴 F. 재넉
대릴 F. 재넉은 20세기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주요 인물로, 워너 브라더스에서 경력을 시작해 20세기 픽처스, 20세기 폭스를 설립하고 시네마스코프 기술 도입을 주도하며 수많은 영화를 제작했다.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 리처드 이스털린
리처드 이스털린은 '이스털린의 역설'을 제시하고 '이스털린 가설'을 발표하는 등 경제학과 인구학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인구학자이다. - 미국의 사회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사회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마누엘 카스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직업 | 사회학자 도시 계획가 커뮤니케이션학자 |
| 출생일 | 1942년 2월 9일 |
| 출생지 | 스페인 알바세테 주 에인 |
| 배우자 | Emma Kiselyova |
| 웹사이트 | 마누엘 카스텔스 공식 웹사이트 |
| 학력 및 경력 | |
| 모교 | 파리 대학교 |
| 직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카탈루냐 개방대학교 사회과학고등연구원 파리 제10대학교 |
| 박사 지도 학생 | Ananya Roy Sasha Costanza-Chock |
| 주목할 만한 학생 | 다니엘 콘벤디트 |
| 정치 활동 | |
| 직책 | 스페인 대학교부 장관 |
| 임기 시작 | 2020년 1월 13일 |
| 임기 종료 | 2021년 12월 20일 |
| 이전 | 페드로 두케(대학교) |
| 후임 | 호안 수비라츠 |
| 군주 | 펠리페 6세 |
| 총리 | 페드로 산체스 |
| 연구 분야 | |
| 주요 연구 분야 | 정보 사회 커뮤니케이션 세계화 |
| 조직 이론 | 조직 이론 |
| 네트워크 사회 | 네트워크 사회 |
| 수상 | |
| 수상 | 홀베아상(2012년) 발잔상(2013년) |
| 기타 정보 | |
| 아버지 | 페르난도 카스텔스 아드리아엔센스 |
| 어머니 | 호세피나 올리반 에스카르틴 |
2. 생애
마누엘 카스텔은 라만차에서 성장했지만, 이후 바르셀로나로 이주하여 법과 경제학을 공부하였다. 보수적인 가정에서 자랐지만, 반 프랑코 학생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프랑스로 망명해야 했다.[38] 파리에서 20세에 학사 학위를, 파리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4세부터 강사로 활동하며 1967년부터 1979년까지 파리의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파리 제10대학교 낭테르에서 다니엘 콘 벤디트를 가르치기도 했으나, 1968년 학생 시위로 해고되었다. 이후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1970년부터 1979년까지 근무하였다.
1979년,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사회학 및 도시 및 지역계획학 교수로 임명되어 2003년까지 재직하였다. 2001년에는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카탈루냐 개방대학교(UOC)에서 연구 정교수가 되었다. 2003년 남가주대(USC) 아넨버그 커뮤니케이션 대학에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및 월리스 아넨버그 석좌교수로 합류하였다.[39] 그는 USC 공공외교센터의 창립 멤버이자 교원자문위원회 고위 위원이며, [http://arnicusc.org/people/manuel-castells/ 아넨버그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 네트워크]의 일원이다. 2008년부터 유럽혁신기술연구소 집행위원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마누엘 카스텔은 1942년 2월 9일 스페인 라만차 지역의 예인에서 태어났다. 알바세테주에서 태어나 라만차 지방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그의 부모는 모두 공무원이었다. 재정 감사관인 아버지의 직업 이동으로 인해 카스텔은 어린 시절 마드리드, 카르타헤나, 발렌시아 등 여러 도시를 옮겨 다녔다.[8]카스텔은 매우 보수적인 가정에서 자랐지만, 어릴 때부터 정치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파시스트 스페인에서 성장하면서 주변 환경에 저항하고, 15~16세부터 스스로를 정치화해야 했다고 회고했다.[9] 그의 아버지는 처음에 팔랑헤당의 일원으로서 프란시스코 프랑코를 지지했지만, 결국 프랑코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이러한 생각을 버렸다.[8]
카스텔은 바르셀로나에서 중등 교육을 마쳤으며, 1958년 16세의 나이로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10] 학업 외에도 문학과 연극에 관심을 가졌지만, 억압적인 프랑코 정부는 학생들의 자기 표현을 탄압했다.
1960년, 18세의 카스텔은 반프랑코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는 카탈루냐 노동자 전선이라는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면서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스트 이론을 탐구했다. 1962년 5월, 카스텔은 파업에 참여했다가 친구들이 체포되는 것을 보고 프랑스로 탈출해야 했다. 이로 인해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학위를 마치지 못했지만, 정치적 난민 지위를 얻어 파리로 갈 수 있었다.[11]
파리에서 카스텔은 20세에 학위를 마치고, 파리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소르본 대학교를 졸업하고 1967년 파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2. 학문적 경력
마누엘 카스텔은 라만차에서 성장했지만, 이후 바르셀로나로 이주하여 법과 경제학을 공부하였다. 보수적인 가정에서 자랐지만, 반 프랑코 학생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프랑스로 망명해야 했다.[38] 파리에서 20세에 학사 학위를, 파리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4세부터 강사로 활동하며 1967년부터 1979년까지 파리의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파리 제10대학교 낭테르에서 다니엘 콘 벤디트를 가르치기도 했으나, 1968년 학생 시위로 해고되었다. 이후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1970년부터 1979년까지 근무하였다.1979년,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사회학 및 도시 및 지역계획학 교수로 임명되어 2003년까지 재직하였다. 2001년에는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카탈루냐 개방대학교(UOC)에서 연구 정교수가 되었다. 2003년 남가주대(USC) 아넨버그 커뮤니케이션 대학에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및 월리스 아넨버그 석좌교수로 합류하였다.[39] 그는 USC 공공외교센터의 창립 멤버이자 교원자문위원회 고위 위원이며, [http://arnicusc.org/people/manuel-castells/ 아넨버그 국제커뮤니케이션 연구 네트워크]의 일원이다. 2008년부터 유럽혁신기술연구소 집행위원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 3. 카탈루냐 정체성
마누엘 카스텔은 주로 바르셀로나와의 연관성 때문에 자신을 카탈루냐인으로 정체화하는데, 바르셀로나는 카탈루냐 독립 운동의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다.[13]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청소년기의 상당 부분을 보냈으며,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마치고 대학 교육을 시작했다. 카스텔은 또한 부계 혈통을 이 도시와 연결 짓는다. 카스텔의 정체성의 이러한 측면은 프랑코의 억압적인 정권에 대한 그의 저항과 관련이 있다. 카탈루냐어는 프랑코 치하에서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았고, 카스텔의 가족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스페인 지역 출신이었기 때문에 카탈루냐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대학교에서 스스로 이 언어를 배우는 것을 시작했고, 이는 그가 자신의 카탈루냐 정체성에 더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한다. 카스텔은 카탈루냐 민족주의자이지만 분리주의자는 아니다. 그는 카탈루냐 사회당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4]3. 이론적 기여
마누엘 카스텔의 사회학 이론은 도시사회학, 조직 연구, 인터넷 연구, 사회 운동, 문화사회학, 정치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그는 네트워크 사회의 기원을 설명하며, 전자 인터넷 기술 이전에 이미 기업의 네트워크 형태 변화가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이는 네트워크 조직 형태가 인터넷 기술과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cf. 조직론).
1970년대 카스텔은 알랭 투렌[42]의 영향을 받아 마르크스주의 도시사회학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탈공업 사회와 같은 사회 변화에서 사회 운동의 역할을 강조했다.[43] 그는 "대중 소비"(대중교통, 공공주택 등) 개념을 제시하며, 국가 개입 속에서 경제적 측면이 정치적 측면으로 반영되는 다양한 사회적 투쟁을 포괄했다.[24]
1980년대 초, 카스텔은 마르크스주의를 넘어 경제 재구성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의 역할에 집중했다. 1989년에는 "흐름의 공간" 개념을 도입하여, 세계 정보 네트워크에서 경제가 실시간으로 장거리에서 조정되는 과정의 물질적, 비물질적 구성 요소를 설명했다.
1990년대에 그는 이전의 두 연구를 결합하여 정보시대 경제,사회, 문화 3부작을 출판했다. 이 3부작은 생산, 권력, 경험이라는 세 가지 사회적 차원을 통해 사회 역학에서 경제 조직, 국가, 기관, 그리고 사람들이 집단 행동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인터넷 발전 분석에서 국가, 사회운동, 비즈니스의 역할을 강조하며 인터넷 문화 이론가로 인정받았다.
카스텔은 정보 시대가 "인간 정신의 힘을 발휘"하게 하고[40] 개인의 생산성을 높여 더 많은 여가 시간을 가져다주며, 이는 "정신적 깊이가 더욱 깊어지게 하고 또한 높은 주변 의식을 가지게" 한다고 주장했다.[41] 또한, 이러한 변화가 자원 소비를 줄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현대 사회를 "낡은 '기계'의 은유를 '네트워크'의 은유로 대체하는 것"으로 묘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1. 정보 시대 3부작
마누엘 카스텔은 1990년대에 정보시대 경제,사회, 문화에 대한 두 가지 연구 갈래를 결합하여 정보시대 3부작인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1996), 정체성 권력(1997), 밀레니엄의 종언(1998)을 출판하였다. 이 책들은 대학 세미나에서 상당히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2년 뒤 초판본(1996)에서 40% 정도 내용이 추가된 두 번째 판본이 출판되었다(2000).[44]정보시대 3부작은 생산, 권력, 경험이라는 세 가지 사회적 차원을 다루며, 경제 조직과 국가, 그리고 기관들과 사람들이 집단 행동을 통해 삶에서 의미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사회 역학에서 바꿀 수 없는 요인임을 강조한다. 즉,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구별되면서도 상호 연결된 존재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인터넷 발전 분석에서 각자의 (상충되는) 이해관계에 따라 경제적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국가(군사 및 학술 분야), 사회운동(해커와 사회 운동가), 그리고 비즈니스의 역할을 강조하여, 인정받는 인터넷 문화 이론가가 되었다. 정보시대 3부작에서 그는 "사회는 네트워크와 자아라는 양극 구조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형성되고 있다"라고 주장한다.[45] 여기서 "네트워크"는 사회 조직에서 수직적 위계를 대체하며 지배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네트워크 조직을 의미하고, "자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적 환경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정체성을 재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과 의미를 뜻한다.
3. 2. 정보주의 (Informationalism)
카스텔은 정보화 시대가 "인간 정신의 힘을 발휘"하게 해[40] 개인의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여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여가 시간을 누리게 되어 개개인의 "정신적 깊이가 더욱 깊어지게 하고 또한 높은 주변 의식을 가지게"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자원의 소비를 줄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정보화 시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네트워크 사회는 모두 현재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대로 현대의 삶을 설명하고 사회의 미래를 묘사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카스텔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동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사회구조 개념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 사회에 대한 관점은 전통적으로 사회를 기구와 조직들로 이루어진 '기계'로 보는 '기계적 관점'과 사회를 각각의 특정한 기능을 가진 유기조직의 통합체로 보는 '유기주의 관점'이 있었으나, 분자생물학적 움직임을 보이는 상호작용적 네트워크로 보는 관점 또한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41]카스텔의 정보 시대, 소비 시대, 그리고 네트워크 사회에 대한 개념은 현재 알려진 현대 사회를 묘사하고 사회의 미래를 그리려는 시각이다. 카스텔이 제안했듯이, 현대 사회는 "낡은 ''기계''의 은유를 ''네트워크''의 은유로 대체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그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정보 기술이 대규모 기업, 조직 및 사회 구조 전반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했다고 주장한다. 세계는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춘 산업주의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정보주의는 지식을 개발하고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론은 자본주의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네트워크가 커짐에 따라 국가는 점차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작은 역할을 하게 되고, 정보의 일반적인 시스템이 이를 대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지구 반대편에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네트워크 간의 연결자 역할을 한다.[19]
그러나 이러한 발전은 어느 정도의 배제를 수반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주류 사회 및 대규모 국제 네트워크와 덜 연결된 지구의 특정 지역의 경우 자본주의의 확장에 발맞추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배제된 공동체는 종종 불법 경제 활동에 기반한 자체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에 대응한다.[20] 이러한 불법 경제 활동은 세계화에 대한 저항이 정보 시대의 발전의 결과라는 카스텔의 또 다른 요점을 보여준다. 그는 다음의 예를 사용하여 이를 설명한다.
> 음, 내가 이러한 글로벌 권력, 금융, 기술 네트워크에 아무런 가치를 두지 않는다면, 나는 나만의 가치, 나만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나는 가족을 건설하고, 국가를 건설하고, 신을 건설한다. 그리고, 내 말을 들어주지 않으면 점점 더 분노하게 될 것이다.[21]
3. 3. 네트워크 사회 (Network Society)
마누엘 카스텔은 사회학에서 경험적 연구와 도시사회학, 조직학, 인터넷 연구, 사회 운동, 문화사회학, 정치경제학을 결합한 저작들을 남겼다. 그는 네트워크 사회의 기원에 대해, 전자 인터넷 기술 이전에 나타나는 기업의 네트워크 형태 변화가 (보통) 네트워크 조직 형태와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즉, 인터넷 기술은 변화하는 네트워크 형태의 기업이 설립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네트워크 조직 형태(cf. 조직론)와 연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카스텔은 세계화된 사회에서 사회적으로 배제되는 부차적 집단을 의미하는 학술 용어 "제4세계"를 제시했다. 이 용어는 보통 현대 산업 사회 규범 바깥에 속하는 유목, 농업, 수렵 및 채집 사회를 의미한다.[40]그는 정보화 시대가 "인간 정신의 힘을 발휘"하게 하여[40] 개인의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여가 시간을 누리게 함으로써 개개인의 "정신적 깊이가 더욱 깊어지게 하고 또한 높은 주변 의식을 가지게"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자원 소비를 줄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보화 시대, 소비의 시대, 네트워크 사회는 모두 현재 우리에게 알려진 현대의 삶을 설명하고 미래 사회를 묘사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카스텔은 "동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사회구조 개념을 기준으로 할 경우, 사회에 대한 관점은 전통적으로 사회를 기구와 조직들로 이루어진 '기계'로 보는 '기계적 관점'과 사회를 각각의 특정한 기능을 가진 유기조직의 통합체로 보는 '유기주의 관점'이 있었으나, 분자생물학적 움직임을 보이는 상호작용적 네트워크로 보는 관점 또한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41]
1970년대에 카스텔은 지적 아버지 알랭 투렌[42]의 길을 따라 탈공업 사회와 같이 논란이 많은 사회 변화 속에서 사회 운동의 역할을 강조하는 마르크스주의 도시사회학의 핵심 발제자로 활동하였다.[43] 그는 국가의 간섭 속에서 경제적 측면에서 정치적 측면에 반영되는 다양한 범위의 사회적 투쟁을 포함하는 "대중 소비"(대중교통, 공공주택 등)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1980년대 초, 카스텔은 마르크스주의 구조를 넘어 경제 재구성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의 역할에 집중하였다. 1989년 그는 세계 정보 네트워크에서 경제가 실시간으로 장거리에서 조정되는 과정의 물질 및 비물질적 구성요소인 "흐름의 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1990년대에 그는 정보시대 경제,사회, 문화의 두 가지 연구 갈래를 결합해 정보시대 3부작인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1996), 정체성 권력(1997), 밀레니엄의 종언(1998)을 출판하였다. 이 책들은 대학 세미나에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고, 2년 뒤 초판(1996)에서 40% 정도 수정된 두 번째 판본이 출판되었다(2000).[44]
생산, 권력, 경험이라는 세 가지 사회적 차원을 포함하는 정보시대: 경제, 사회, 문화는 경제 조직과 국가, 그리고 그 기관들과 사람들이 집단 행동을 통해 삶 속에서 의미를 만들어 나가는 방법들이 사회 역학에서 바꿀 수 없는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즉, 이것들이 서로 구별되는 동시에 상호 연결된 존재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인터넷 발전 분석에서 각자의 (상충되는) 이해관계에 따라 경제적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국가의 역할(군사 및 학술 분야), 사회운동의 역할(해커와 사회 운동가), 비즈니스의 역할을 강조하여 인정받는 인터넷 문화 이론가가 되었다. 정보시대 3부작에서 그는 "사회는 네트와 자아에 대한 양극구조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형성되어가고 있다."라고 주장했다.[45] 여기서 "네트"는 사회적 조직에서 수직적으로 통합된 위계를 대신해 지배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네트워크 조직을 의미하고, "자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적 환경 속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정체성을 재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과 의미를 뜻한다.
카스텔은 2000년 이후에도 비슷한 맥락에서 네트워크 사회론을 전개하고 있다.
3. 4. 초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1970년대에 카스텔은 지적 아버지 알랭 투렌[42]의 길을 따라 탈공업 사회와 같이 논란이 많은 사회 변화 속에서의 사회 운동의 역할을 강조하는 마르크스주의 도시사회학의 한 갈래의 핵심 발제자로 활동하였다.[43] 그는 국가의 간섭 속에서 경제적 측면에서 정치적 측면에 반영되는 다양한 범위의 사회적 투쟁을 포함하는 "대중 소비"(대중교통, 공공주택 등등)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1970년대, 여전히 성장하는 지식인으로서 카스텔은 "칼 마르크"의 저작을 중심으로 자신의 연구와 지적 과정을 집중했는데, 그는 "마르크스주의"라는 언어를 통해 정치적 변화의 세계와 소통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22] 카스텔은 루이 알튀세르를 포함한 여러 마르크스주의자의 저작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23] 알튀세르는 그의 저작에서 구조주의적 관점을 활용했는데, 이는 카스텔의 초기 출판물에서도 일부 나타난다. 예를 들어, 1972년에 (프랑스어로) 처음 출판된 ''도시 문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은 도시 사회학 분야의 주요 발전이다. 이 저작은 도시의 갈등적 변혁에서 사회 운동의 역할을 강조한다. 카스텔은 도시 내의 문제는 사회적 진공 상태에서 존재하지 않으며, 적절하게 분석하려면 맥락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24]
카스텔은 또한 경제적 계층에서 국가 개입을 통해 정치적 계층으로 이동하는 광범위한 사회적 투쟁을 포괄하는 "집단 소비"(대중교통, 공공 주택 등)의 개념을 도입했다.
카스텔은 더 이상 마르크스주의자로 정체성을 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념의 변화는 그가 탐구하고자 하는 개념이 마르크스주의로는 적절하게 평가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발생했다. 마르크스주의는 사회생활을 검토하는 주요 렌즈로 계급을 사용하는데, 카스텔은 계급만 고려해서는 이해할 수 없는 아이디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마르크스주의에서 벗어남으로써 카스텔은 젠더, 도시 사회 운동, 국적의 개념을 더 사려 깊게 탐구할 수 있었다. 그는 사회 변화, 권력 관계, 기술과 같이 마르크스주의와 관련된 아이디어에 여전히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넓혔다. 카스텔은 이론을 도구로 생각하는 것을 선호하며, 마르크스주의는 그가 이제 덜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르크스를 부인한 것이 아니라 사회 세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른 도구를 선택한 것이다.[23]
1980년대 초, 그는 마르크스주의적 구조를 초월하여 경제의 재구성에 있어 신기술의 역할에 집중했다.
1970~80년대 전반에 걸쳐 마르크스주의적인 도시 사회학 이론을 전개하여, 세계적인 신 도시 사회학의 움직임을 만들어냈다. 물적 지지, 집단적 소비, 도시 사회 운동 등이 이 시기의 핵심 개념이었다. 이후 마르크스주의적인 자본주의 비판에서 벗어나, 경제 구조조정에서 새로운 기술이 수행하는 역할을 탐구하게 된다.
4. 비판
카스텔의 저작은 몇 가지 비판을 받아왔다. 일부 비판은 그의 아이디어를 기능주의와 비교하며, 그의 저작이 "추상적인 시스템 구축"을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즉, 사회에 대한 광범위한 일반화는 이루어지지만, 개인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28]
또한, 카스텔의 저작은 정보주의의 강력한 세계적 영향력에 대한 관찰을 담고 있는데, 얼마나 많은 세계가 진정으로 광범위한 정보 네트워크에 의해 "지배"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세계 인구는 매우 다양하며, 완전한 세계 지배라는 개념에는 많은 예외가 존재한다. 이러한 정보 네트워크는 세계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유용한 "이상형"이 될 수 있지만, 현실 세계를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28]
카스텔은 자신의 이론 내에서 나타나는 보수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을 받았다. 그는 네트워크 사회 내에서 "사회 변화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현 상태를 지지하는 사고 과정을 드러내며, 사회 변화와 정의 운동에 문제가 될 수 있다.[28] 이러한 비판과 관련하여, 일부 학자들은 카스텔이 세계적 연결에 대해 상당한 이론을 제시하면서도, 그러한 세계적 연결이 인권과 문화적 차이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 시스템을 구축할 가능성을 탐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상하게 여겼다.[29]
5. 저작
마누엘 카스텔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사회과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학자로, 2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다.[46][47] 그의 대표적인 저작은 다음과 같다.
- ''도시 문제. 마르크스적 접근'' (1972, 프랑스어 원작): 앨런 셰리단(Alan Sheridan)이 영어로 번역하여 1977년에 출간되었다.
- ''도시, 계급, 권력'' (1978)
- ''경제 위기와 미국 사회'' (1980)
- ''도시와 풀뿌리: 도시 사회 운동의 상호 문화적 이론'' (1983)
- ''정보 도시: 정보 기술, 경제 구조 조정, 도시 지역 과정'' (1989)
- ''세계의 테크노폴: 21세기 산업 단지 건설'' (1994)
- 정보 사회 3부작:
| 제목 | 출판 연도 | ISBN |
|---|---|---|
|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 1996 | 978-0-631-22140-1 |
| 정체성 권력 (The Power of Identity) | 1997 | 978-1-4051-0713-6 |
| 밀레니엄의 종언 (End of Millennium) | 1998 | 978-0-631-22139-5 |
- ''인터넷 갤럭시: 인터넷, 비즈니스, 사회적 성찰'' (2001)
- ''정보 사회와 복지 국가: 핀란드 모델'' (2002, 페카 히메넨과 공저)
- ''네트워크 사회: 비교문화 관점'' (2004, 페카 히메넨과 공저 및 편집)
- ''네트워크 사회: 지식에서 정책으로'' (2006, 공동 편집)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글로벌 관점'' (2006, 공동 저술)
- ''커뮤니케이션 권력'' (2009)
- ''여파: 경제위기는 우리 시대의 문화다'' (2012, 공동 저술 및 편집)
- ''분노와 희망의 네트워크: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 (2012)
학술지 논문
- ''무선 통신의 사회적 이용: 모바일 정보 사회'' (2004, 국제 워크숍 발표 논문, 공동 저술)
-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권력 및 대항 권력'' (2007, 국제 커뮤니케이션 저널)
- ''글로벌 멀티미디어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구조와 역학'' (2008, 국제 커뮤니케이션 저널, 공동 저술)
- ''권력 전환: 루퍼트 머독과 미디어 정치의 글로벌 비즈니스: 사회학적 분석'' (2008, 국제 사회학, 공동 저술)
참조
[1]
간행물
The Message is the Medium
2005
[2]
웹사이트
Relative Ranking of a Selected Pool of Leading Scholars in the Social Sciences by Number of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14.
http://www.manuelcas[...]
2015-09-18
[3]
웹사이트
Manuel Castells mottok Holbergprisen for 2012
http://www.regjering[...]
2012-06-06
[4]
웹사이트
Manuel Castells
http://www.holbergpr[...]
2013-03-13
[5]
웹사이트
Balzan Prize for Sociology
https://www.balzan.o[...]
2021-10-16
[6]
간행물
Real Decreto 3/2020, de 12 de enero, sobre las Vicepresidencias del Gobierno
https://www.boe.es/b[...]
Agencia Estatal Boletín Oficial del Estado
2020-01-13
[7]
웹사이트
Joan Subirats sustituirá a Manuel Castells como ministro de Universidades
https://www.eldiario[...]
2021-12-16
[8]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Press
2003
[9]
Youtube
Conversations with History: Manuel Castells
https://www.youtube.[...]
University of California Television (UCTV)
2001-05-09
[10]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Press
2003
[11]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Press
2003
[12]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3]
웹사이트
Barcelona
https://www.britanni[...]
2021-10-18
[14]
문서
Manuel Castells: Life and Work
Polity Press
2003
[15]
웹사이트
Endowed Faculty Chairs
http://annenberg.usc[...]
USC Annenberg
2012-02-04
[16]
문서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1996
[17]
문서
Postmodernism: Political Economy and Commun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8]
서적
The Empire of Mind: Digital Piracy and the anti-capitalist moveme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
문서
Manuel Castells
Blackwell Publishers Ltd.
2003
[20]
문서
Manuel Castells
Blackwell Publishers Ltd.
2003
[21]
웹사이트
The Technology Revolution: Manuel Castells
https://www.youtube.[...]
2018-03-30
[22]
문서
Manuel Castells: Life and Work
Polity Press
2003
[23]
간행물
Theory, technology and cultural power an interview with manuel castells
Informa UK Limited
[24]
서적
The Urban Question: A Marxist Approach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21-10-16
[25]
간행물
The message is the medium
SAGE Publications
[26]
서적
The informational city : information technology, economic restructuring, and the urban-regional process
B. Blackwell
[27]
문서
Castells and Ince 2003
[28]
문서
Postmodernism: Political Economy and Communic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9]
문서
Manuel Castells
Blackwell Publishers Ltd.
2003
[30]
웹사이트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07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07 (living scholars only)
https://web.archive.[...]
[32]
간행물
The Message is the Medium
https://journals.sag[...]
2005
[33]
간행물
Real Decreto 3/2020, de 12 de enero, sobre las Vicepresidencias del Gobierno
https://www.boe.es/b[...]
Agencia Estatal Boletín Oficial del Estado
2020-01-13
[34]
웹사이트
Relative Ranking of a Selected Pool of Leading Scholars in the Social Sciences by Number of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14.
http://www.manuelcas[...]
2015-09-18
[35]
웹인용
Relative Ranking of a Selected Pool of Leading Scholars in the Social Sciences by Number of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14.
http://www.manuelcas[...]
2015-09-18
[36]
웹인용
Manuel Castells mottok Holbergprisen for 2012
http://www.regjering[...]
[37]
웹인용
Manuel Castells
https://web.archive.[...]
2018-12-18
[38]
Youtube
Conversations with History: Manuel Castells
https://www.youtube.[...]
[39]
웹인용
Endowed Faculty Chairs
https://web.archive.[...]
USC Annenberg
2018-12-18
[40]
서적
The Empire of Mind: Digital Piracy and the anti-capitalist movemen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1]
저널
Toward a Sociology of the Network Society
http://www.jstor.org[...]
2018-12-19
[42]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2003
[43]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2003
[44]
서적
Conversations with Manuel Castells
Polity
2003
[45]
서적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ol. I.
Blackwell
1996
[46]
웹사이트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07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Citations in the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2000-2007 (living scholars only)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