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맘미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맘미시는 이집트 신전 건축의 한 유형으로, 삼신 숭배와 신성한 출생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졌다. 맘미시는 신의 탄생 신화와 영겁회귀를 건축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주요 신전의 주랑 현관을 둘러싸고 있으며, 파라오와 관련된 신성 결혼 장면을 묘사하기도 한다. 덴데라, 필라이, 콤 옴보 등 이집트 여러 지역에서 맘미시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덴데라의 맘미시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시대에 걸쳐 건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건축 - 교회 건축
    교회 건축은 기독교 예배를 위한 건물 및 건축 양식을 포괄하며, 초기에는 가정 교회나 회당에서 시작하여 바실리카, 로마네스크, 고딕, 비잔틴 양식 등으로 발전했고, 종교 개혁 이후 설교 중심의 프로테스탄트 교회 건축이 등장했으며, 지역, 종파,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 종교 건축 - 아잔타 석굴
    인도 마하라슈트라주에 위치한 아잔타 석굴은 기원전 2세기부터 6세기까지 서타바하나 왕조와 바카타카 왕조 시대에 걸쳐 조성된 36개의 불교 석굴 사원 유적으로, 비하라와 차이티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교한 부조와 벽화, 특히 굽타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후기 석굴 벽화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마스타바
    마스타바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흙벽돌 직사각형 무덤으로, 고위 관리나 왕족의 매장에 사용되었으며, 피라미드 건축에도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이집트의 건축 - 남근 건축
    남근 건축은 남성의 성기를 닮은 건축물을 의미하며, 다산, 풍요, 힘, 권력 등을 상징하며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난다.
  • 이집트학 -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30년까지 나일강 유역에서 존재하며 강력한 왕권과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유지하며 농업, 건축,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된 문화를 이룬 문명이다.
  • 이집트학 - 로제타석
    로제타석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 시대에 제작된 흑색 화강섬록암 돌로, 상형 문자, 민중 문자, 고대 그리스어 세 가지 언어로 동일한 내용이 기록된 기원전 196년 칙령이며,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맘미시
어원
어원맘미시는 콥트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탄생 장소' 또는 '탄생의 집'을 의미한다.
개요
정의맘미시는 고대 이집트에서 신성한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신전 단지 내에 지어진 작은 예배당이다.
기능맘미시는 신의 탄생을 기념하고 신성한 왕권의 개념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징맘미시는 일반적으로 신전의 외벽에 위치하며, 신의 탄생 장면을 묘사한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건설 시기맘미시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부터 로마 시대에 걸쳐 건설되었다.
건축 및 장식
건축 양식맘미시는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신전 형태로,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입구에는 탑문이 있다.
장식맘미시의 벽은 신의 탄생, 양육, 대관식과 관련된 장면을 묘사한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주요 묘사이시스 여신이 호루스 신을 낳는 장면
하토르 여신이 아기 신을 양육하는 장면
신성한 아기가 왕으로 즉위하는 장면
위치 및 중요 맘미시
주요 위치덴데라
에드푸
필레
콤 옴보
덴데라 맘미시덴데라의 맘미시는 하토르 여신에게 헌정되었으며, 가장 잘 보존된 맘미시 중 하나이다.
에드푸 맘미시에드푸의 맘미시는 호루스 신에게 헌정되었으며, 신의 탄생과 관련된 다양한 의식을 보여준다.
역사적 중요성
종교적 의미맘미시는 신성한 탄생을 기념하고 신성한 왕권의 개념을 강화함으로써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정치적 의미맘미시는 파라오의 권력을 정당화하고 신과의 연결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술적 가치맘미시의 부조는 고대 이집트 예술의 중요한 예이며, 당시의 종교적 신념과 문화적 관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2. 종교적 의미

이집트 삼신을 모셨던 주요 신전들은 삼신 중 여신이 삼신의 아들을 낳는 모습을 담은, 페리스타일에 둘러싸인 맘미시를 통해서 완성될 수 있었다.[17] 매년 신성한 출생을 기념받았던 삼신의 아들은 파라오와 연관되어 있었다 (신전 벽의 히에로가미 속에서도).[17]

포토그라비어로 찍은 덴데라 신전 단지에 속해 있던 로마시대의 맘미시


덴데라의 로마 맘미시 속에 있는 , 하토르,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재위: 서기 98-117년)의 부조


아르만트에 있는 몬수 신전의 유적으로, 클레오파트라 7세가 아들인 카이사리온에게 헌정한 맘미시의 모습이 있다


분만을 관장하던 타와레트, 라에타위, 일곱 하토르 등이 특히 맘미시에서 숭배되었지만, 베스, 크눔, 오시리스 등이 다산의 신들로 언급되는 내용을 발견하는 것 역시도 똑같이 흔했다. 따라서 맘미시는 신의 탄생 신화와 신의 영겁회귀 행위를 건축학적 해석이 이뤄진 것이다. 말기 왕조 말부터, 맘미시는 왕권의 부흥의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로마 황제들을 포함해서 각 이집트 왕조들은 이집트의 대성소의 심장부에서 왕권을 확고히 하기 하려 했을 것이다.

3. 주요 맘미시

이집트 삼신을 모시는 주요 신전들은 페리스타일로 둘러싸인 맘미시를 통해 완성되었으며, 이 맘미시에서는 여신이 삼신 중 아들을 낳는 모습이 묘사되었다.[17] 매년 신성한 출생을 기념받는 삼신의 아들은 파라오와 연관되었으며, 이는 신전 벽의 히에로가미에서도 나타난다.[17]

분만을 관장하던 타와레트, 라에타위, 일곱 하토르 등이 특히 맘미시에서 숭배되었지만, 베스, 크눔, 오시리스 등도 다산의 신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흔했다. 맘미시는 신의 탄생 신화와 영겁회귀 행위를 건축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말기 왕조부터 맘미시는 왕권 부흥의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로마 황제를 포함한 각 이집트 왕조들은 이집트 대성소 중심부에서 왕권을 확고히 하려 했다.

주요 맘미시
신전 단지봉헌
덴데라 (1)"이시스의 아들 호루스", 하르시에세의 탄생[18]
덴데라 (2)’호루스와 하토르의 아들’, 이히의 탄생[19]
필라이‘어린 호루스’, 하포크라테스의 탄생[18]
콤 옴보’두 땅의 군주, 어린 호루스’, 판넵타이의 탄생[19][20]
에드푸‘두 땅을 통일하는 자 호루스’, 하르솜투스의 탄생[21]
에스나크눔네이트의 아들, 헤카의 탄생[18]
아트리비스과 레피트의 아들, 콜란테스의 아들[22][23]
아르만트 (1)‘태양의 호루스’, 하프레의 탄생[18][24]
아르만트 (2)클레오파트라 7세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들 카이사리온의 탄생[18][25][26]
켈리스 (다클라 오아시스)투투[27]
엘 캅네크베트 - 하토르[28]



덴데라, 에드푸, 콤 옴보, 필라이, 엘 카브, 아트리비스, 아르만트, 다클라 오아시스 등지에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맘미시들은[17][18] 프톨레마이오스로마 시대의 것들이지만,[29] 덴데라에 있는 맘미시는 이집트 마지막 현지인 지배자 중 하나인 제30 왕조 파라오 넥타네보 1세(재위: 기원전 379/378–361/360년)의 것으로 추정된다.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재위: 기원전 181–145년)가 도입한 하이포스타일과 프톨레마이오스 10세 알렉산드로스 1세(재위: 기원전 110–88년)가 도입한 페리스타일이 더해진 이 맘미시는 하르시에세(‘이시스의 아들 호루스’)에게 헌정된 것이었다.[18] 이 제30 왕조의 건축 계획은 그리스-로마 통치자들에 의해 이집트 내 중요 성지들 일부에서 반복되었다.

덴데라 신전 단지에 속한 로마 시대 맘미시는 아우구스투스이집트 정복을 한 직후(기원전 31년) 지어졌다. 맘미시 벽화는 하토르를 위해 의식 행위를 하는 아우구스투스의 먼 후임자인 트라야누스를 보여주며, 이집트에서 가장 아름다운 벽화로 손꼽힌다. 이 맘미시는 하토르와 그녀의 자녀 이히에게 봉납된 것이었다.[19] 주두 위 아바쿠스는 출산의 수호신으로서 베스를 나타낸 것이다.

4. 덴데라 맘미시

덴데라, 에드푸, 콤 옴보, 필라이, 엘 카브, 아트리비스, 아르만트, 다클라 오아시스 등지에 현존하는 맘미시들은[17][18] 대부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로마 시대의 것이지만,[29] 덴데라에 있는 맘미시는 이집트 제30왕조의 파라오 넥타네보 1세(재위: 기원전 379/378–361/360년)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맘미시는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재위: 기원전 181–145년)가 하이포스타일을, 프톨레마이오스 10세 알렉산드로스 1세(재위: 기원전 110–88년)가 페리스타일을 추가했으며, 하르시에세(‘이시스의 아들 호루스’)에게 헌정되었다.[18]

덴데라 신전 단지에 있는 로마 시대 맘미시는 아우구스투스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하여 이집트를 정복한 직후인 기원전 31년에 건설되었다. 벽화는 트라야누스 황제가 하토르 여신에게 의식을 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집트에서 가장 아름다운 벽화로 손꼽힌다. 이 맘미시는 하토르와 그녀의 아들 이히에게 봉납되었으며,[19] 주두 위에는 출산의 수호신 베스가 묘사되어 있다.

4. 1. 덴데라 맘미시의 사진

참조

[1] 서적 Dizionario della civiltà egizia Gremese Editore 1994
[2] 웹사이트 The mammisi https://web.archive.[...] 2018-04-18
[3]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Temple Elements - Associated Element http://www.touregypt[...] 2018-04-19
[4] 웹사이트 Panebtawy, Lord of the Two Lands http://www.reshafim.[...] 2018-04-19
[5] 서적 Lexikon der ägyptischen Götter und Götterbezeichnungen. Peeters, Leuven 2002
[6] 논문 Le temple d'Athribis en Haute Égypte https://journals.ope[...] 2008-10-01
[7] 뉴스 Kolanthes https://henadology.w[...] 2018-04-20
[8] 서적 A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29
[9] 웹사이트 HERMONTHIS (Armant) Egypt. https://www.perseus.[...]
[10] 서적 Egyptian Mythology, A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11] 서적 The Egyptian God Tutu: A Study of the Sphinx-god and Master of Demons with a Corpus of Monument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3
[12] 서적 8. Ägyptologische Tempeltagung: interconnections between temples : Warschau, 22.-25. September 2008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0
[13] 서적 The Complete Templ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0
[14] 서적 大英博物館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原書房
[15] 서적 古代エジプト神殿大百科 東洋書林
[16] 서적 The Complete Templ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0
[17] 서적 Dizionario della civiltà egizia Gremese Editore 1994
[18] 웹인용 The mammisi https://web.archive.[...] 2018-04-18
[19] 웹인용 Ancient Egyptian Temple Elements - Associated Element http://www.touregypt[...] 2018-04-19
[20] 웹인용 Panebtawy, Lord of the Two Lands https://web.archive.[...] 2018-04-19
[21] 서적 Lexikon der ägyptischen Götter und Götterbezeichnungen. Peeters, Leuven 2002
[22] 간행물 Le temple d'Athribis en Haute Égypte https://journals.ope[...] 2008-10-01
[23] 뉴스 Kolanthes https://henadology.w[...] 2018-04-20
[24] 서적 A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29
[25] 웹인용 HERMONTHIS (Armant) Egypt. https://www.perseus.[...]
[26] 서적 Egyptian Mythology, A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27] 서적 The Egyptian God Tutu: A Study of the Sphinx-god and Master of Demons with a Corpus of Monument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3
[28] 서적 8. Ägyptologische Tempeltagung: interconnections between temples : Warschau, 22.-25. September 2008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0
[29] 서적 The Complete Templ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