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에다 겐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에다 겐이는 1539년 미노국에서 태어난 인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교토 쇼시다이, 단바 가메야마성주를 역임했다. 승려 출신으로, 혼노지의 변 당시 오다 노부나가의 적자 오다 노부타다를 보좌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반대하고 이시다 미쓰나리의 거병에 가담하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1602년 사망했으며, 셋째 아들 시게카쓰가 뒤를 이었다. 그는 교토의 공가 및 제나라와의 관계를 맺었으며, 기독교에 대한 탄압과 보호를 오가는 모습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에다씨 - 마에다 도시마스
    마에다 도시마스는 센고쿠 시대와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키가와 가즈마스 일족으로 태어나 마에다 도시히사의 양자가 되었으며, 마에다 도시이에를 섬기다 마에다 가문을 떠난 후 우에스기 가게카쓰를 섬겼고, 그의 생애는 기행과 풍류로 다양한 매체에서 재해석되어 알려져 있다.
  • 마에다씨 - 가메야마번 (단바국)
    아케치 미쓰히데가 축성한 단바 가메야마성을 기원으로 하는 가메야마번(단바국)은 도요토미 정권과 에도 막부를 거치며 번주가 여러 차례 교체된 후,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이 정착하여 가메오카 번으로 개칭, 폐번치현으로 소멸되었다.
  • 1602년 사망 - 다치바나 긴치요
    다치바나 긴치요는 전국 시대 규슈의 다치바나 씨족 당주로서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으로 가문을 이끌었으며, 시마즈 씨족과의 전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후에도 활약한 여성 영주이다.
  • 1602년 사망 - 김명원
    김명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이황의 문인이었으며, 정여립 모반 사건 수습 공로와 임진왜란 당시 도원수를 지낸 후 여러 판서를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고 재상으로 평가받았다.
  • 1539년 출생 - 마에다 도시이에
    마에다 도시에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일본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이름을 알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에 참여하여 가가번을 기반으로 백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 1539년 출생 - 조소카베 모토치카
    조소카베 모토치카는 일본 전국 시대에 도사국을 통일하고 시코쿠 정벌을 시도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패하여 도사 1국만을 영지로 남기고 임진왜란에 참전한 인물이다.
마에다 겐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에다 겐이상 (반토인 소장)
이름마에다 겐이 (前田玄以)
출생1539년
사망1602년 7월 9일
직업불교 승려
관직
관위민부경 법인 (民部卿法印)
주요 활동교토 부대 (1582년)
후시미 성 기초 공사 (1592년)
고부교 구성원 (1595년)
통칭 및 호
통칭손주로 (孫十郎)
한무사이 (半夢斎)
도쿠젠인 (徳善院)
가문
씨족마에다 씨
가문 문양Japanese crest Tachibana.svg
가문 문양 설명꽃 핀 탱자나무
생애
시대센고쿠 시대 -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출생지미노 국
사망지불명
묘소교토부 교토시 우쿄구 하나조노 묘신지
법명겐이 (玄以)
계명도쿠젠인덴 덴료 이코 다이코지 (徳善院殿天涼以公大居士)
가족 관계
아버지마에다 모토미쓰
어머니불명
배우자무라이 사다카쓰의 딸
자녀마에다 히데모치
산조니시 사네에다 정실
나가마쓰인
이시카와 다다후사 계실
이치노세 니자에몬 실
마에다 마사카쓰
마에다 시게카쓰
이나바 사다미치 계계실
소속
주군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타다
오다 노부카쓰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요리
소속 세력오다 씨
도요토미 씨
봉록단바 국가메야마 번주
군사 경력
참전 전투혼노지의 변
기타
활동 기간불명
역할고부교
지휘가메야마 성 (교토부)
이전 이름모토카쓰 (基勝)

2. 생애

덴분 8년(1539년), 미노국에서 태어났다. 「간세이중수제가보(寛政重修諸家譜)」에 의하면, 마에다씨가가번주 마에다씨와 같이 스가와라씨의 일족으로 수록되어 있지만, 후지와라 도시히토의 후예로서 사이토씨 지류인 스에모토가 미노 안하치군 마에다에 살아 마에다 씨를 칭했다고 하며, 가가 마에다가와는 별개의 가계라는 설도 있다.

젊은 시절에는 미노승으로 선승 혹은 히에이산의 승려였다고도 한다(<번한보(藩翰譜)>).[6]오와리 고마쓰지(小松原寺)의 주지였다고도 한다(<무공잡기(武功雑記)>).[6]

오다 노부나가에게 초빙되어 그의 가신이 되었으며, 이후 오다 노부타다, 오다 노부카쓰를 섬겼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잡자 그의 가신이 되어 교토 쇼시다이 등을 역임하며 활약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에는 도요토미 정권의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영지를 인정받았다. 게이초 7년(1602년) 사망했다.

2. 1. 출신과 초기 이력

덴분 8년(1539년), 미노국에서 태어났다. 「간세이중수제가보(寛政重修諸家譜)」에 의하면, 마에다씨가가번주 마에다씨와 같이 스가와라씨의 일족으로 수록되어 있지만, 후지와라 도시히토의 후예로서 사이토씨 지류인 스에모토가 미노 안하치군 마에다에 살아 마에다 씨를 칭했다고 하며, 가가 마에다가와는 별개의 가계라는 설도 있다.

젊은 시절에는 미노승으로 선승 혹은 히에이산의 승려였다고도 한다(<번한보(藩翰譜)>).[6]오와리 고마쓰지(小松原寺)의 주지였다고도 한다(<무공잡기(武功雑記)>).[6]

후에 오다 노부나가에게 초빙되어 신하가 되었고,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그의 적남 오다 노부타다의 가신이 되었다.[6]

덴쇼 10년(1582년) 6월, 혼노지의 변 때에는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에 있었으나, 노부타다의 명으로 도망쳐 적남 산보시를 미노 기후성에서 오와리 기요스성으로 옮겼다.[2]

덴쇼 11년(1583년), 노부나가의 차남 오다 노부카쓰를 섬겨 노부카쓰로부터 교토쇼시다이로 임명받았다.[6]

덴쇼 12년(1584년), 하시바 히데요시의 세력이 교토에 신장하자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다.

분로쿠 4년(1595년) 히데요시로부터 5만 석을 부여받아 단바 가메야마성주가 되었다.

2. 2. 오다 노부나가 시대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에게 초빙되어 가신이 되었고,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그의 적장자 오다 노부타다(織田信忠)를 보좌하는 가신이 되었다.[2]

덴쇼(天正) 10년(1582년) 6월,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 당시에는 노부타다와 함께 니조 신고쇼(二条新御所)에 있었지만, 노부타다의 명령으로 도망쳐, 적장자 삼법사(三法師)를 미노국 기후성(岐阜城)에서 오와리국 키요스성(清洲城)으로 옮겼다.[2]

2. 3.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덴쇼 12년(1584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세력이 교토로 확장되자 그의 가신이 되었다.[2]

분로쿠 4년(1595년), 히데요시로부터 5만 석을 받고 단바 가메야마성주가 되었다.

도요토미 정권에서는 교토 쇼시다이로서 조정과의 교섭 역할을 맡았으며, 덴쇼 16년(1588년) 고요제이 천황의 주라쿠테이 행차에서 봉행으로 활약했다. 또 사찰 관리와 낙중낙외의 민정도 맡아 그리스도탄을 탄압했지만, 후년에는 기독교에 이해를 나타내고 유화정책도 취했다. 게이초 3년(1598년),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도요토미 정권의 오봉행 중 한 명이 되었다.[1]

가모 우지사토가 병에 걸렸을 때 히데요시는 9명의 파수꾼에 의한 윤번 진료를 명령했다. 이 제도의 운영은 겐이 저택에서 이루어졌으며, 겐이는 검사로 입회하여 진료 경과를 일일이 히데요시에게 보고했다.[3]

2. 4.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마에다 겐이는 도요토미 정권 내부 항쟁을 진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6]

게이초 5년(1600년), 이시다 미쓰나리오사카에서 거병하자, 겐이는 서군에 가담하여 이에야스 토벌 탄핵장에 서명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에야스에게 미쓰나리의 거병을 알리는 등 이중적인 행동을 보였다.[4]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을 자처하며 오사카에 남았고, 병을 이유로 출진하지 않았다. 이러한 행동 덕분에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도 단바 가메야마의 본령을 안도받고 초대 번주가 될 수 있었다.[5]

게이초 7년(1602년) 5월 20일, 겐이는 사망했다. 장남 히데이는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삼남[6] 시게카쓰가 뒤를 이었다.

2. 5. 사망

慶長일본어 7년(1602년) 5월 20일, 마에다 겐이는 사망했다.[6]

장남 히데모치는 전년도에 이미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셋째 아들[6] 시게카쓰가 뒤를 이었다.

3. 인물 및 일화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교토의 공가(公家)·제나라사(諸寺)와의 관계를 가진 몇 안 되는 인물로 간주되었으며, 이러한 점이 쇼지(所司)로 기용된 이유이기도 하다.[7]

과거 승려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그리스도교를 탄압했으나, 훗날에는 이해를 보였다.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을 내린 뒤인 1593년에는 비밀리에 교토에서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보호하기도 했다.[7]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과 그리스도교 문제로 교섭한 적도 있었으며, 그의 아들 2명은 기리시탄이 되었다.[7] 승려 출신이었기에 불교 승려들의 부정을 많이 목격한 듯하며, 그들을 강하게 비난했다.[7]

4.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마에다 모리미츠(前田基光)
어머니불명
정실무라이 사다카츠(村井貞勝)의 딸
장남마에다 히데이(前田秀以)1576년 ~ 1601년
차남마에다 마사카츠(前田正勝)1581년 ~ 1613년, 삼남이라고도 함
삼남마에다 시게카츠(前田茂勝)1582년 ~ 1621년, 차남이라고도 함
생모 불명의 자녀산죠니시 사네요시(三条西実条) 정실
생모 불명의 자녀초쇼인(長松院)호리오 타다우지(堀尾忠氏) 정실
생모 불명의 자녀이시카와 타다스미(石川忠総) 계실
생모 불명의 자녀이치세 진자에몬(一瀬仁左衛門) 부인호리오씨 가신
생모 불명의 자녀이나바 사다미치(稲葉貞通) 계실


참조

[1] 서적 Hideyoshi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戦国戦記 本能寺の変・山崎の戦 春秋社
[3] 학술지 豊臣政権の医療体制―施薬院全宗の医学行跡を中心として―
[4] 서적 太閤家臣団 新人物往来社
[5] 간행물 生に固執した男たち
[6] 문서 차남이라는 설도 있다
[7] 서적 플로이스 일본사 69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