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한 걸음까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지막 한 걸음까지는 1945년 소련군 포로가 된 독일 국방군 병사 클레멘스 포렐이 굴라그 수용소에서 탈출하여 3년간의 여정 끝에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포렐은 슈타우퍼 박사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하지만, 북부 시베리아를 횡단하며 겪는 고난과 만남을 통해 생존을 이어간다. 중앙아시아와 이란 국경을 거쳐 자유를 얻지만, 소련 스파이로 오인되어 체포되기도 한다. 삼촌의 도움으로 풀려난 포렐은 크리스마스에 가족과 재회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굴라크를 소재로 한 작품 - 웨이 백 (2010년 영화)
1940년대 스탈린 시대 시베리아 강제 수용소에서 탈출한 야누시와 수감자들이 자유를 찾아 고난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웨이 백은 피터 위어 감독 작품으로, 짐 스터게스, 에드 해리스, 시얼샤 로넌, 콜린 패럴 등이 출연한다. - 굴라크를 소재로 한 작품 - 수용소 군도
《수용소 군도》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소련의 강제 노동 수용소 굴라그의 역사, 운영, 수감자 삶, 사회적 영향 등을 다룬 작품으로, 굴라그 시스템 전반의 실태를 폭로하여 서방 세계에서 논쟁을 일으켰고, 공산주의 국가들의 과거사 청산에 영향을 미친 전체주의 체제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중요한 문학 작품이다.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전쟁 영화 - 아일라 (2017년 영화)
한국 전쟁 중 튀르키예 파병군 슐레이만 하사와 고아 소녀 아일라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아일라》는 전쟁터에서 만나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한 두 사람의 이야기와 이별을 그리며 인간애를 보여주지만, 터키군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는 비판도 있다.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전쟁 영화 - 그린 존 (영화)
《그린 존》은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대량살상무기(WMD)를 찾는 임무를 수행하는 미 육군 준위 로이 밀러와 그의 팀이 CIA 요원, 기자와 협력하여 정치적 음모와 정부의 거짓말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마지막 한 걸음까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하디 마틴스 |
제작자 | 하디 마틴스 |
각본 | 바스티안 클레베 하디 마틴스 베른트 슈밤 |
원작 | ()의 소설 |
출연 | 베른하르트 베터만 미하엘 멘들 아나톨리 코테뇨프 |
음악 | 예두아르트 아르테미예프 |
촬영 | 파벨 레베셰프 |
편집 | (정보 없음) |
제작사 | (정보 없음) |
배급사 | 동시바 엔터테인먼트 아르시네테란 |
개봉일 | 2001년 12월 27일 (독일) 2003년 2월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2004년 1월 17일 (일본) |
상영 시간 | 158분 |
언어 | 독일어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축치어 |
제작비 | 6백만 미국 달러 |
흥행 수입 | (정보 없음) |
2. 줄거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인 1945년, 독일 국방군 병사 클레멘스 포렐은 소련군에게 포로로 잡힌다. 그는 "파르티잔에 대한 범죄" 혐의로 25년의 중노동형을 선고받고, 다른 많은 포로들과 함께 소비에트 연방 시베리아의 굴라그 노동 수용소로 이송된다.[1] 굶주림 속에서 기차로 대륙을 횡단하고 황량한 땅을 걸어 도착한 수용소는 혹독한 환경이었으며, 잔인한 사령관 카메네프 중위의 통제 하에 있었다. 포로들은 극심한 추위와 굶주림, 가혹한 강제 노동으로 고통받았다.[1]
포렐은 "반드시 돌아가겠다"는 가족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탈출을 결심한다. 한 차례 실패를 겪은 후, 그는 수용소 의사인 슈타우퍼 박사의 도움으로 마침내 탈출에 성공한다. 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슈타우퍼 박사는 자신이 계획했던 탈출을 포기하고 포렐에게 따뜻한 옷과 권총, 그리고 여정에 필요한 물품이 숨겨진 장소를 알려준다. 포렐은 슈타우퍼 박사의 부탁으로 그의 아내에게 사망 소식을 전해주기로 약속한다.[1]
경비병들의 예상을 피해 북쪽으로 향한 포렐은 이후 시베리아의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 그리고 그를 끈질기게 추적하는 카메네프 중위를 피해 중앙아시아와 이란 국경을 넘어 마침내 서독으로 돌아가기까지 3년간의 길고 험난한 여정을 시작한다.[1]
2. 1. 탈출과 시베리아 횡단
수용소 의사인 슈타우퍼 박사는 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태였고, 자신이 계획했던 탈출을 포기하며 클레멘스 포렐의 탈출을 돕기로 한다. 슈타우퍼는 포렐에게 따뜻한 옷과 장전된 권총을 제공하고, 장거리 여정에 필요한 물품을 숨겨둔 장소를 알려주었다. 포렐은 슈타우퍼의 부탁대로 마그데부르크에 있는 그의 아내를 찾아가 남편의 죽음을 알리겠다고 약속한다.[1] 포로를 감시하는 경비병들은 포렐이 서쪽으로 도망칠 것이라 예상했지만, 포렐은 그들의 예상을 피해 북쪽으로 향했다. 슈타우퍼 박사가 준 물품이 다 떨어지자, 그는 생존을 위해 물개를 사냥해야만 했다.[1]혹독한 겨울 동안 포렐은 북부 시베리아의 광활한 지역을 홀로 방황했다. 그러던 중 두 명의 금광 탐사자인 아나스타스와 세묜을 만나게 된다. 처음에는 서로를 경계했지만, 결국 포렐은 그들과 동행하기로 한다. 어느 날 세묜이 강물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고 포렐이 그를 구해준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세묜은 동료 아나스타스가 자신의 금을 훔치려 한다고 의심하게 되고, 결국 그를 살해한다. 이후 포렐은 세묜과 단둘이 여정을 계속하지만, 세묜의 의심은 포렐에게까지 향한다. 세묜은 포렐 역시 자신의 금을 노릴 것이라 생각하여 그를 가파른 비탈길 아래로 밀어버린다.[1]
홀로 남겨진 포렐은 굶주린 늑대 무리에게 쫓기며 또다시 생명의 위협을 받는다. 절체절명의 순간, 그는 유목 생활을 하는 추크치족 목동들에게 발견되어 극적으로 구조된다. 추크치족의 보살핌 속에서 건강을 회복하던 포렐은 그들 중 이리나라는 여인과 깊은 사랑에 빠진다.[1]
그러나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소련 당국이 탈출한 포로 포렐을 찾고 있다는 소식이 추크치족에게 전해진다. 포렐의 존재가 공동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자, 그는 사랑하는 이리나와 추크치족을 뒤로하고 다시 떠나야만 했다. 이리나는 큰 슬픔 속에서 그를 떠나보낸다. 추크치족은 동료애의 표시로 개 한 마리를 포렐에게 주었고, 포렐은 개와 함께 다시 탈출 여정을 시작한다. 그는 벌목 작업 현장에 도착하여 제동수로 위장한 뒤 화물 열차에 몰래 올라탄다. 하지만 누군가의 배신으로 인해 그의 존재가 발각되고, 과거 그가 탈출했던 수용소의 사령관이었던 카메네프 중위가 이끄는 소련군에게 거의 붙잡힐 뻔한다. 포렐은 필사적으로 도망쳐 위기를 모면했지만, 그를 따르던 개는 카메네프 중위를 공격하다가 총에 맞아 죽고 만다. 이 개의 공격으로 카메네프는 얼굴에 영구적인 흉터를 갖게 된다.[1]
2. 2. 중앙아시아와 이란 국경
1년 동안 포렐은 중앙아시아로 향했다. 폴란드 유대인 남자는 포렐이 독일인임에도 불구하고 여권을 얻도록 도와주었고, 포렐은 이란 국경으로 향했다. 자유를 향해 걸어가던 중, 그는 이란 쪽에서 자신을 끈질기게 추적하던 카메네프 중위가 걸어오는 것을 보게 된다. 공포에 질린 포렐은 카메네프를 마주 보았고, 피할 수 없는 대결이 임박한 듯 보였다. 그러나 카메네프는 옆으로 비켜서며 포렐을 지나가게 했고, "내가 너를 이겼다"라고 선언했다.이란 국경을 넘은 포렐은 소련 스파이로 의심받아 포로로 잡혔다. 하지만 터키 앙카라에서 일하는 그의 삼촌이 신원 확인을 위해 불려왔고, 포렐은 마침내 풀려날 수 있었다.
2. 3. 귀환
그 후 1년 동안 포렐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이동한다. 폴란드 유대인의 도움으로 여권을 얻은 그는 이란 국경으로 향한다. 국경을 넘기 직전, 자신을 끈질기게 추적하던 소련군 장교 카메네프와 마주치지만, 카메네프는 포렐을 체포하지 않고 "내가 너를 이겼다"고 말하며 보내준다.이란에 도착한 포렐은 소련 스파이로 오인받아 다시 체포되는 위기를 맞는다. 하지만 터키 앙카라에 있던 삼촌이 그의 신원을 확인해주면서 마침내 자유의 몸이 된다.
크리스마스 날, 서독에 도착한 포렐은 교회 앞에서 가족들을 발견하고 감격적인 재회를 맞이하며 기나긴 여정을 마무리한다.
3.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클레멘스 포렐 | 베른하르트 베테르만 | 테라소마 마사키 |
카메네프 중령 | 아나톨리 코테뇨프 | 코무로 마사유키 |
슈타우퍼 박사 | 미하엘 멘들 | 이케다 마사루 |
이리나 | 이리나 판타예바 | 유즈키 마유코 |
캐서린 포렐 | 아이리스 보흠 | 히노 유리카 |
라이브릭트 | 한스-우베 바우어 | |
바우크네흐트 | 안드레 헤니케 | |
매턴 | 안토니오 바네크 | |
댄혼 | 요하네스 히츠블레히 | |
클러그먼 | 스테판 볼프-쇤부르크 | |
파드물로바 박사 | 이리나 나르베코바 | |
보드레셀 삼촌 | 한스 페터 할바흐스 | 나카지마 사토히코 |
캠프 사령관 | 파벨 레베셰프 | |
리사 | 안나 헤르만 | 카오카 미에 |
3. 1. 주요 인물
- '''베른하르트 베테르만 (클레멘스 포렐 역)''':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에게 포로로 잡힌 독일 국방군 병사이다. 소련 시베리아 지역의 굴라그 노동 수용소에서 25년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가족에게 돌아가겠다는 일념으로 탈출을 감행한다. 3년이 넘는 길고 험난한 여정을 거쳐 마침내 고향으로 돌아가는 데 성공하는 주인공이다.
- '''아나톨리 코테뇨프 (카메네프 중령 역)''': 포렐이 수용된 굴라그의 잔인한 사령관이자, 탈출한 포렐을 집요하게 추적하는 소련군 장교이다. 냉혹한 성격으로 포렐을 체포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지만, 마지막 국경에서의 조우에서는 포렐을 보내주며 복합적인 면모를 보인다.
- '''미하엘 멘들 (슈타우퍼 박사 역)''': 포렐과 같은 수용소에 있던 독일인 의사. 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태였지만, 포렐의 탈출 계획을 적극적으로 돕는다. 그는 포렐에게 따뜻한 옷과 생존에 필요한 물품, 정보를 제공하며 탈출의 결정적인 발판을 마련해 준다.
- '''이리나 판타예바 (이리나 역)''': 시베리아의 유목민인 추크치족 여인. 탈출 후 늑대에게 공격당해 쓰러진 포렐을 발견하고 구조해준다. 포렐을 간호하며 그와 사랑에 빠지지만, 소련군의 추적이 다가오자 그를 떠나보낸다. 그녀와 추크치족의 도움은 포렐의 여정에 큰 힘이 된다.
- '''아이리스 보흠 (캐서린 포렐 역)''': 클레멘스 포렐의 아내.
- '''한스 우웨 바우어 (라이브릭트 역)'''
- '''안드레 헤니케 (바우크네흐트 역)'''
- '''안토니오 와넥 (매턴 역)'''
- '''요하네스 히츠블레흐 (댄혼 역)'''
- '''스티븐 울프 슈멤버그 (클러그먼 역)'''
- '''이리나 나르베코바 (파드물로바 박사 역)'''
- '''한스 피터 홀워치 (보드레셀 삼촌 역)''': 포렐이 이란에서 소련 스파이로 오인받아 억류되었을 때, 그의 신원을 확인하여 풀려나도록 돕는다.
- '''파벨 라이프셰프 (캠프 사령관 역)'''
3. 2. 조연
- 이리스 뵘 - 카트린 포렐 역: 클레멘스 포렐의 아내.
- 한스-우베 바우어 - 라이브레히트 역: 독일군 동료.
- 안드레 헤니케 - 바우크네히트 역: 독일군 동료.
- 안토니오 바네크 - 마테른 역: 독일군 동료.
- 요하네스 히츠블레흐 - 단호른 역: 독일군 동료.
- 스테판 볼프-쇤부르크 - 클루크만 역: 독일군 동료.
- 이리나 나르베코바 - 파드물로바 박사 역: 소련군 측 의사.
- 한스 페터 할바흐스 - 바우드렉셀 삼촌 역: 포렐의 삼촌.
- 파벨 레베셰프 - 수용소 사령관 역: 포렐이 수용된 굴라그의 사령관.
4. 제작진
- 감독 - 하디 마르틴스
- 각본 - 하디 마르틴스, 바스티안 클레베, 베른트 슈밤
- 음악 - 에두아르드 아르테미예프
- 촬영 - 파벨 레베셰프
5. 제작
영화 대사의 상당 부분은 독일어 외의 언어, 예를 들어 러시아어, 추크치어, 페르시아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화의 특정 부분에서는 자막이 제공되지 않는데, 이는 일부 러시아어만 아는 주인공이 느끼는 무력감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의도적인 연출이다.
6. 평가 및 반응
(내용 없음)
6. 1. 수상 내역
연도 | 영화제 | 수상 부문 |
---|---|---|
2001년 | 독일 비베라흐 영화제 | 관객상, 국제 심사위원상 |
2002년 | 제35회 휴스턴 국제 영화제 | 그랑프리, 최우수 어드벤처 영화상 |
프랑스 발랑시엔 영화제 | 특별상 | |
뉴포트 비치 영화제 | 공로상 | |
2003년 | 제14회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상 |
6. 2. 한국에서의 반응
(내용 없음)7. 원작
원작은 요제프 마틴 바우어가 1955년에 발표한 소설 ''So weit die Füße tragendeu''이다. 이 소설은 1959년에 6부작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두 차례 번역 출간되었다. 1958년에는 가와사키 다케이치가 번역하고 롯코 출판부에서 『내 발이 닿는 한, 독일 장교 시베리아 탈출기』라는 제목으로 출간했고, 2012년에는 히라노 준이치가 번역하고 분게이샤에서 『내 발을 믿고, 극강의 시베리아를 탈출하여 고국으로 생환한 남자의 이야기』(ISBN 978-4-286-11267-1)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
8. 기타
비슷한 내용의 작품으로는 2010년 미국 영화 더 웨이 백(The Way Back)이 있다. 이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소련 점령 하의 폴란드에서 수용소로 끌려온 폴란드인들이 시베리아에서 탈출하는 과정을 다룬다. 슬라보미르 라비츠 등의 실화를 바탕으로 1956년에 출판된 책 ''탈출기 - 시베리아에서 인도까지 걸어간 남자들''(The Long Walk)을 원작으로 한다.
참조
[1]
뉴스
Film Reviews: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
https://www.variety.[...]
Variety
2001-06-15
[2]
웹사이트
Trivia for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10-09-13
[3]
웹사이트
Report 「『カスケーダー』のファンはがっかりするかも」ハーディー・マーティンス最新作『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はシベリアからの脱出劇を描く壮大なスペクタクルロマン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4]
웹사이트
監督&主演は超イケメン2人組〜『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原題)』ティーチイン〜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5]
웹사이트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仮題)』のハーディ・マーティンス監督インタビュー〜その1〜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6]
웹사이트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仮題)』のハーディ・マーティンス監督インタビュー〜その2〜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7]
웹사이트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仮題)』のバーナード・ベターマンのインタビュー〜その1〜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8]
웹사이트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仮題)』のバーナード・ベターマンのインタビュー〜その2〜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9]
웹사이트
新たなる映画界を担う監督がここに誕生!〜クロージングセレモニー〜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10]
웹사이트
ゆうばりファンタ2003各賞の発表
http://yubarifanta.c[...]
ゆうばり国際ファンタスティック映画祭
2012-10-09
[11]
뉴스
Film Reviews: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
https://www.variety.[...]
버라이어티
2001-06-15
[12]
웹인용
Trivia for ''As Far As My Feet Will Carry Me''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10-09-13
[13]
문서
코넬리우스 로스트#코넬리우스_로스트의_주장의_진위여부에_대한_의심
2020-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