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테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테아섬은 남태평양 투아모투 제도에 위치한 융기 산호초 섬으로, 타히티섬 파페에테에서 북동쪽으로 약 230km 떨어져 있다. 과거에는 인산염 채굴로 번성했으나, 자원 고갈로 채굴이 종료된 후 유령 도시가 되었으며, 현재는 랑기로아 코뮌에 속해 있다. 멸종 위기 조류의 서식지이며, 농업, 코프라 재배, 어업 등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1998년 영화 6일 7야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아모투 제도의 섬 - 무루로아 환초
무루로아 환초는 동폴리네시아에 위치한 환초로, 프랑스의 핵실험장으로 사용되어 환경 오염과 국제 사회의 비판을 낳았으며, 현재는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 투아모투 제도의 섬 - 랑이로아 환초
랑이로아 환초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투아모투 제도에서 가장 큰 환초로, 광활한 석호와 다이빙 명소인 티푸타 해협을 가지며 흑진주 양식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나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환초 - 무루로아 환초
무루로아 환초는 동폴리네시아에 위치한 환초로, 프랑스의 핵실험장으로 사용되어 환경 오염과 국제 사회의 비판을 낳았으며, 현재는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환초 - 랑이로아 환초
랑이로아 환초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투아모투 제도에서 가장 큰 환초로, 광활한 석호와 다이빙 명소인 티푸타 해협을 가지며 흑진주 양식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나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마카테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태평양 |
좌표 | 남위 15° 51', 서경 148° 15' |
군도 | 투아모투 제도 |
면적 | 24 km² |
길이 | 7.5 km |
너비 | 7 km |
행정 구역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코뮌 | 랑기로아 |
가장 큰 도시 | 무무 |
인구 (2012년) | 68명 |
지리 | |
특징 | 환초 |
최고 지점 | 80 m |
기타 정보 | |
옛 이름 | 파파테아 |
2. 지리
마카테아섬은 투아모투 제도에서 보기 드문 융기 산호초 섬으로, 독특한 지형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섬은 과거에 파파테아(하얀(=tea) 바위(=papa))라고 불렸다. 2002년 조사에서 93명의 주민이 북동쪽 해안의 모움 정착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전에는 리워드 제도의 행정 구역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랑기로아 행정 구역에 속해 있다.
2. 1. 지형 및 위치
마카테아섬은 남위 15도 49분, 서경 148도 16분에 위치하며, 타히티섬 파페에테에서 북동쪽으로 약 230km 떨어져 있다. 투아모투 제도에서 대부분의 섬이 환초인데 반해, 마카테아섬은 유일한 융기 산호초 섬이며 라군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래는 환초였으나, 타히티섬 등이 형성될 시기와 같은 시기에 융기한 것으로 생각된다.섬은 곡옥의 폭을 넓힌 듯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길이가 약 8km, 폭이 약 4.5km, 면적은 28km2이다. 섬의 주변은 남동부 일부를 제외하고 둑 모양의 암초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은 수십 m의 단애가 이어진다. 섬의 내부는 해발 30~50m의 고원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부가 약간 움푹 들어가 있다. 섬의 북단에는 푸우티아레산(110m), 서부에는 아에티아산(90m) 등 다른 투아모투 제도에서는 볼 수 없는 높은 지형이 있다.
2. 2. 인구 및 행정 구역
2002년 인구 조사 기준 93명이 거주하며, 랑기로아 코뮌의 연합 코뮌을 형성한다.[1] 주요 마을은 '''무무'''이다.[1] 섬 주민들은 농업, 코프라 재배, 약간의 어업과 야자게 거래로 생계를 유지한다.[1]3. 역사
마카테아는 파우모투 제도에서 몇 안 되는 식수가 있는 섬 중 하나이다. 1606년 페드로 페르난데스 데 케이로스는 테라 아우스트랄리스로 가는 스페인 탐험대를 이끌면서 이 섬을 "사지타리오"라고 불렀다. 1722년 네덜란드의 항해사 야코프 로게벤이 "오로라"라고 명명했다. 이후 폴리네시아인들은 이 섬을 "파파 티아"(Papa Tea)라고 불렀는데, 이는 "흰 바위"를 의미한다.
3. 1. 초기 역사
10세기경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17~18세기에 걸쳐 랑기로아 환초와 함께 투아모투 제도 서부의 핵심 지역으로 번성했다. 유럽인으로서는 최초로 네덜란드 항해자 야코프 로게벤이 1722년에 방문하여 섬을 "아우로라"라고 명명했다.[3] "마카테아"라는 이름은 현지어에서 유래되었는데, "마"(Mā)는 맑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물을 의미하며, "아테아"(Atea)는 햇빛을 의미한다. "K"는 듣기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섬의 또 다른 이름은 망가이아-테-바이-타마에(Mangaia-te-vai-tamāe)로, "정화된 (또는 맑은) 물의 망가이아"를 의미한다. 섬을 "파파 티아"(Papa Tea)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흰 바위"를 의미한다.3. 2. 인광석 채굴 시대
1908년 영국과 프랑스 합작 회사가 마카테아섬에서 인광석 채굴을 시작했다.[3] 쿡 제도, 베트남, 일본 등지에서 노동자들이 유입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는 나우루, 바나바섬(오션 섬)과 함께 태평양 3대 인광 생산지가 되었다.섬 중앙 고지대에 바이테파우아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한때 인구는 2000명에 달했고 영화관도 있었다. 섬 북서쪽 해안에는 항구인 테마오가 건설되었고, 고지대에서 항구까지 총 연장 7km의 폴리네시아 유일의 궤도가 부설되어 광석을 운송했다.[3]
1917년 프랑스 오세아니아 인광 회사(Compagnie Française des Phosphates de I'Océanie)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3] 1921년에는 미쓰이 물산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이 시작되었다. 총 생산량 950만 톤 중 457만 톤이 일본으로 수출되었다.[3] 1966년 자원 고갈로 채굴이 중단되면서 인구는 급감했다.
3. 3. 채굴 이후
마카테아섬의 고원 지대에는 채굴 작업으로 인해 수천 개의 구덩이가 생겼다. 이 구덩이들은 사람이 직접 판 것으로, 각 구멍은 직경이 약 2.4m이며 깊이는 15m에서 23m에 달한다. 이러한 채굴 흔적과 바이테파우아 건물은 현재 유령 도시처럼 방치되어 있다.[3]2022년 초, 뉴질랜드의 한 회사가 인산염 채굴 재개를 검토하면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정부가 마카테아 환초에 대한 추가 조사를 승인했다.[5]
1956년 2월, 미국 잠수함 는 타히티에서 마르키즈 제도의 누카 히바로 가던 중 마카테아 인근에서 고장난 선박 ''MV 나사라다''호를 구조하려 했다. ''나사라다''호에는 9명의 사람과 6마리의 돼지가 타고 있었다. ''Caiman''호는 ''Nasarada''호를 진주만까지 예인한 후 마카테아 항구에 입항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으나, 프랑스 측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잠수함은 ''Nasarada''호를 항구 입구까지 예인하고 마르키즈 제도로 향했다.[6]
4. 주민 생활 및 경제
4. 1. 현재의 경제 활동
섬 주민들은 농업, 코프라 재배, 어업과 야자게 거래로 생계를 유지한다.[1]5. 자연
마카테아섬 고유종으로는 마카테아푸른비둘기가 있으며, 개체수는 안정적이다. 타히티코브비둘기는 타히티섬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며, 마카테아섬에만 존재한다.
5. 1. 고유종 및 멸종 위기종
마카테아푸른비둘기(Ptilinopus chalcurus)는 마카테아섬의 고유종으로, 개체수가 안정적이다. 타히티코브비둘기(Ducula aurorae)는 타히티섬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며, 마카테아섬에만 존재한다.[7] 마카테아 과일 비둘기도 한때 이 섬의 고유종이었다. 과거에는 여러 종의 내륙 달팽이가 서식했었다.[7]6. 문화
마카테아섬은 대중문화와 관련된 몇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1998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 ''6일 7야''는 마카테아섬을 배경으로 하지만, 실제 촬영은 다른 곳에서 이루어졌다.[9] 리처드 파워스의 2024년 소설 ''Playground''의 많은 이야기도 마카테아섬에서 펼쳐진다.[10]
6. 1. 깃발
마카테아 섬의 기는 2:1:2 비율의 수평 삼색기이다. 각 색상은 다음과 같은 상징을 가진다.
- 상단: 밝은 파란색은 하늘을 상징한다.
- 중간: 흰색은 화이트 록(타히티어로 ''papa tea'')을 상징한다.
- 하단: 짙은 파란색은 섬을 둘러싼 바다를 상징한다.
깃발 중앙의 붉은 별은 투아모투 제도 내에서 마카테아 섬을 구별하는 상징이다. 투아모투 제도의 깃발에는 16개의 파란색 별이 있다. 붉은 별은 또한 중간 흰색 줄무늬의 '바위 같은' 특성을 암시하며, 하늘과 바다를 결합하고 프랑스 국기의 빨간색-흰색-파란색 조합을 연상시킨다.[8]
이 깃발은 마카테아의 줄리앙 마이 시장과 호주의 기학자 콜린 렌달이 디자인했다.[8]
6. 2. 대중문화
1998년 미국 액션 어드벤처 코미디 영화 ''6일 7야''의 줄거리 대부분은 마카테아섬에서 진행되지만, 실제 촬영은 이곳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9] 리처드 파워스의 2024년 소설 ''Playground''의 많은 이야기가 마카테아섬에서 펼쳐진다.[10]7. 교통 및 통신
마카테아섬에는 비행장이 없다. 한 회사가 화객선을 월 1~2회 운항하며, 타히티섬 파페에테와 다른 투아모투 제도 서부의 섬들을 연결한다.[1] 2002년에는 위성을 이용한 통신 회선이 개통되었다.[1]
7. 1. 교통
마카테아섬에는 비행장이 없다. 한 회사가 화객선을 월 1~2회 운항하며, 타히티섬 파페에테와 다른 투아모투 제도 서부의 섬들을 연결한다.[1]7. 2. 통신
2002년에 위성을 이용한 통신 회선이 개통되었다.[1]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http://www.ispf.pf/b[...]
2014-10-02
[2]
논문
Names of the Paumotu Islands, with the old names so far as they are known.
http://www.jps.auckl[...]
2015-01-07
[3]
웹사이트
Archéologie industrielle du phosphate - Makatea
http://www.tahitiher[...]
2011-09-11
[4]
서적
The Phosphateers
Melbourn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More study on merits of mining French Polynesia's Makatea
https://www.rnz.co.n[...]
2022-03-09
[6]
뉴스
US NAVTY TO RESCUE
https://nla.gov.au/n[...]
2023-01-30
[7]
논문
Radiation and decline of endodontid land snails in Makatea, French Polynesia
https://www.reposito[...]
[8]
웹사이트
Makatea (Tuamotu and Gambier Islands, French Polynesia)
https://www.crwflags[...]
2024-12-09
[9]
웹사이트
Where was Six Days Seven Nights filmed?
https://giggster.com[...]
2024
[10]
뉴스
Pulitzer Prize-winner Richard Powers plunges deep into the ocean in 'Playground'
https://www.npr.org/[...]
2024-12-09
[11]
저널
Names of the Paumotu Islands, with the old names so far as they are known.
http://www.jps.auckl[...]
2015-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