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수는 인류가 섭취하는 물로, 다양한 수자원으로부터 얻어진다. 물 부족, 오염, 기후 변화 등은 식수 접근에 위협이 되며, 안전한 식수는 건강과 기본적인 인권에 필수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5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91%가 식수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지역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식수의 질은 미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수질 기준은 식수 내 오염 물질의 허용 농도를 규정한다. 식수 공급은 파이프, 공동체, 공공 기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오염된 물은 질병을 유발하여 매년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다. 식수 처리는 끓이기, 여과, 소독 등의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공중 보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물은 지구 표면의 약 70%를 덮고 있으며, 그중 약 97.2%는 염수이고 2.8%만이 담수이다. 비용이 많이 들고 공급이 항상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지구상의 거의 모든 인구 밀집 지역에서 식수를 이용할 수 있다. 물을 얻을 수 있는 수원에는 샘, 저수층, 대수층 등이 있으며, 다음과 같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안전한 식수에 대한 접근은 건강에 필수적이며 기본적인 인권이자 건강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의 구성 요소이다. 199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76%만이 식수를 마실 수 있었지만, 2015년에는 그 수치가 91%로 증가했다.[50] 1990년에는 라틴 아메리카,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대부분 국가의 비율이 90%를 훨씬 밑돌았다. 비율이 가장 낮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가구 이용률이 40~80%에 이르렀다. 폭력적인 분쟁을 겪는 국가에서는 식수 접근이 줄어들 수 있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약 2,500명의 전투 사망자가 발생하는 분쟁으로 인해 인구의 1.8%가 식수를 빼앗기는 것으로 나타났다.[51]
세계 보건 기구(WHO)의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안전한" "식수"는 "평생 섭취하는 동안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 물"이며, "생애 단계별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민감성을 포함한다".[49] 유니세프와 유네스코의 보고서에 따르면, 핀란드가 세계 최고의 식수 품질을 가지고 있다.
2. 수자원
수자원 이용에 대한 위협에는 물 부족, 수질 오염, 물 분쟁, 우물 깊이 부족, 가뭄 및 과잉 펌핑, 기후 변화의 영향 등이 있다.[76]
3. 전 세계적 식수 접근
2015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71%에 해당하는 52억 명의 사람들이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서비스를 이용했다.[53] 2017년 기준으로, 90%의 사람들이 식수에 적합한 수원으로부터 식수에 접근할 수 있으며, 전 세계의 71%가 깨끗하고 주문형으로 제공되는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에 접근할 수 있다.[52] 그러나 개선된 수원이라도 최소 25%에는 분변 오염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60] 18억 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인분으로 오염될 수 있는 안전하지 않은 식수원을 사용하고 있다.[52] 이로 인해 위장염, 콜레라, 장티푸스 등의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다.[52]
4. 식수의 질
식수의 수질을 평가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는 병원미생물이나 유독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76], 무미·무취·투명해야 한다.[76] 수도물, 용수, 유수, 우물물 등이 사용된다.[76]
4. 1. 수질 기준
식수 수질 기준은 식수 내에 허용되는 오염 물질의 농도를 규정하는 최소한의 안전 기준으로, 각국은 이러한 기준을 설정하고 시행한다. 이러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며, 물을 인간이 소비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수질 기준은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요인과 관련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식수 수질 기준이 법으로 제정되어 시행되며, 오염 물질의 농도에 대한 임계값이나 최대 허용 농도를 명시한다. 이러한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은 복잡하며, 과학적, 공중 보건, 기술적, 경제적 고려 사항을 포함한다. 식수 수질 기준과 같은 형태로 식수와 관련된 서비스 활동의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지침이 ISO 24510과 같은 형태로 발표되었다.[64]
thumb
4. 1.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수도법」에 따라 51개 항목의 수돗물 수질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84], 수도 사업자는 이 기준에 적합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 각 수도 사업자는 수돗물 수질 검사 계획을 정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급수 사업이 아닌 경우 (예: 개인 소유의 우물물 등)에는 수질 기준이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85][86]。 일반적인 수질 검사 항목으로는 약 10개 항목 (\[\[대장균]], 일반 세균, 질산태 및 아질산태 질소, 염화물 이온, 유기물 등 (총 유기 탄소), pH 값, 냄새, 색도, 탁도, 맛: 이것들을 총칭하여 "간이 음용 적합"이라고 함) 및 잔류 염소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해 검사·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수돗물 수질 기준의 전 항목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부적합한 경우에는 멸균 장치나 여과 장치의 설치 등에 의한 정화 대책을 강구한 후 재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검사는 보건소나 환경 계량 증명 사업소 등에서 실시하고 있다.
4. 1. 2. 일본
일본의 식수 및 위생도 참고
일본 후생성은 수질 개선을 위해 2004년 4월에 시행된 수질 기준을 개정했다.[66] 수많은 전문가들이 식수 기준을 개발하고, 고품질의 수자원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결정했다.[66] 2008년에는 수질을 개선하고 수질 오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규정이 개선되었다.[66]
4. 1. 3. 미국
미국의 식수 및 위생 문서를 보면, 미국은 환경보호청(EPA)이 「안전 음용수법(Safe Drinking Water Act)」에 따라 식수 수질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1] 공공 상수도 시스템은 EPA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주 정부는 자체적인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1]
4. 1. 4. 유럽 연합
EU은 수질에 대한 법률을 제정한다. '물 기본 지침'은 물을 규제하는 주요 법률이다.[65] 이 지침은 사람이 마시는 물과 관련이 있다. 각 회원국은 법률 시행에 필요한 조치를 수립할 책임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수질 규정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최대값을 규정하고 식수 검사국이 수도 회사를 관리한다.
5. 식수 공급
파이프는 식수를 운송하고 공급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법이다. 배관에는 상당한 자본 투자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일부 시스템은 높은 운영 비용에 시달리기도 한다. 선진국에서 노후화된 물 및 위생 시설을 교체하는 데에는 연간 2000억달러에 달하는 비용이 들 수 있다. 처리되지 않은 물과 처리된 물이 파이프에서 새는 것은 물 접근성을 감소시킨다. 도시 시스템에서 50%의 누수율은 드물지 않다.
가정으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어 수도꼭지에 이르는 수도는 가정용 급수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는 수도물을 의미한다.
6. 식수와 건강
세계 보건 기구(WHO)는 안전한 식수에 대한 접근을 기본적인 인권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오염된 물은 매년 5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며,[52]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위생 시설 부족은 오염된 식수로 인한 질병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오염된 물과 위생 부족은 전 세계적으로 장애 보정 수명의 약 1%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하수의 비소, 불소 오염 또한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 세계 70개국에서 1억 4천만 명이 자연적인 지하수 비소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과도한 불소 섭취는 치아 불소증, 골격 불소증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식수 수질 문제의 몇 가지 사례
7. 식수 처리
대부분의 물은 사용하기 전에 어느 정도 처리가 필요하며, 깊은 우물이나 샘에서 나오는 물도 예외는 아니다.[40] 처리 정도는 물의 수원에 따라 달라진다. 수처리에는 지역 사회 규모와 가정 규모의 사용 지점(POU) 설계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40]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와 같이 원수를 처리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충분한 양의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은 대도시 몇 곳뿐이다.[41]
끓이는 것은 수인성 병원체를 죽이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42] 연료가 많이 필요하고, 특히 끓인 물을 살균된 상태로 보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비자에게 매우 부담스러울 수 있다. 여과, 화학적 소독, 자외선 조사(태양 UV 포함)와 같은 다른 기술들은 저소득 국가에서 수인성 질병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입증되었지만,[43] 끓이는 방법과 동일한 문제에 직면한다.
담수화는 주로 대규모의 바닷물을 이용할 수 있는 건조 지역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유형의 수처리 방법이다.
정수 소독은 수인성 질병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장티푸스와 콜레라가 포함된다. 염소 처리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 소독 방법이지만, 염소 화합물은 물 속의 물질과 반응하여 인간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소독 부산물을 생성할 수 있다.[44]
사용 지점(POU) 처리는 적절하게 적용될 경우 미생물 병원체를 제거하고, 사용 편의성과 문화적 적합성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따라 질병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태양열 물 소독은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구현할 수 있는 저렴한 물 정화 방법이다.[45][46][47][48] 장작에 의존하는 방법과 달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많은 지역에서 낮은 농도의 불소(< 1.0 ppm F)가 구강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돗물에 의도적으로 첨가되지만, 일부 지역사회에서는 수돗물 불소화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돗물 불소화 논란 참조)
8. 역사
인류 역사에서 물의 품질은 지속적인 과제였다. 1850년대 런던의 콜레라 유행은 존 스노우가 수인성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런던의 위생 혁명은 과학이 받아들여지기 전에 정치적 동기와 사회적 우선순위에 의해 추진되었다.
9. 기타
(소스에 내용 없음)
9. 1. 음료수의 종류
9. 2. 공급자
지역 주민의 공동체부터 공공 기관, 공기업, 민간 사업자까지 매우 다양하다. 전쟁이나 대규모 재해 시에는 지방 자치 단체, 국가 또는 국제적인 NGO나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 등이 직접 공급하거나 공급 수단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87]참조
[1]
서적
Water Requirements, Impinging Factors, & Recommended Intake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08-00
[2]
서적
Exposure Factors Handbook: 2011 Edition
http://www.epa.gov/n[...]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2015-05-24
[3]
웹사이트
Drinking-water
https://www.who.int/[...]
2018-03-00
[4]
뉴스
Unsafe water kills more people than war, Ban says on World Day
https://news.un.org/[...]
UN News
2010-03-22
[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Drinking Water
http://www.wrb.ri.go[...]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2012-06-13
[6]
논문
Global potential for harvesting drinking water from air using solar energy
[36]
논문
A large community outbreak of waterborne giardiasis-delayed detection in a non-endemic urban area
[37]
논문
Outbreak of severe gastroenteritis with multiple aetiologies caused by contaminated drinking water in Denmark, January 2007
2007-03-00
[38]
논문
Outbreak of acute fluoride poisoning caused by a fluoride overfeed, Mississippi, 1993
[39]
웹사이트
Uummannaq: Vand fra vandværket kan drikkes igen
https://sermitsiaq.a[...]
2011-12-21
[40]
웹사이트
Household Water Treatment Guide
http://webmail.cawst[...]
Centre for Affordable Water and Sanitation Technology
2008-03-00
[41]
웹사이트
Our water – Water supply
http://www.ccc.govt.[...]
[42]
웹사이트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Volume 1: Recommendation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43]
논문
Interventions to improve water quality for preventing diarrhoe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7-03-12
[44]
서적
Water disinfection
https://www.worldcat[...]
Nova Science Publishers
2010
[45]
논문
Solar disinfection of water reduces diarrhoeal disease: an update
1999-10-00
[46]
논문
Solar disinfection of drinking water protects against cholera in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47]
논문
Solar disinfection of water for diarrhoeal prevention in southern India
[48]
논문
The SODIS Health Impact Study, Ph.D. Thesis
Swiss Tropical Institute Basel
[49]
보고서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03-22
[50]
웹사이트
Water Access, Resources & Sanitation
https://ourworldinda[...]
2018-03-22
[51]
논문
The Consequences of Contention: Understanding the Aftereffects of Political Conflict and Violence
[52]
웹사이트
Water Fact sheet N°391
https://www.who.int/[...]
2014-07-00
[53]
보고서
Progress on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http://apps.who.int/[...]
JMP, WHO and UNICEF
2018-03-22
[54]
웹사이트
Report on the environment: drinking water
https://cfpub.epa.g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23-03-03
[55]
뉴스
The water vendors of Nigeria
http://news.bbc.co.u[...]
2009-02-05
[56]
웹사이트
|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hdr.undp.org/[...]
2008-10-20
[57]
웹사이트
About the JMP
https://washdata.org[...]
WHO and UNICEF
[58]
웹사이트
World Water Assessment Program
http://www.unesco.or[...]
United Nations
2010-02-27
[59]
웹사이트
Meeting the MDG Drinking Water and Sanitation Target: A Mid-Term Assessment of Progress
https://www.who.int/[...]
[60]
논문
Fecal Contamination of Drinking-Water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61]
논문
Global assessment of exposure to faecal contamination through drinking water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62]
논문
Seasonal variation of fecal contamination in drinking water sources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63]
웹사이트
Progress on Drinking-water and Sanitation: 2012 Update
http://www.wssinfo.o[...]
[64]
문서
ISO 24510 Activities relating to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services. Guidelines for the assessment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to users
[65]
논문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A New Directive for a Changing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European Framework
https://www.research[...]
2003-04-00
[66]
웹사이트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Water Supply in Japan
https://www.mhlw.go.[...]
[67]
웹사이트
Taumata Arowai: a new water regulator
https://www.health.g[...]
NZ Ministry of Health
2022-06-09
[68]
웹사이트
Our Drinking Water Quality
https://www.pub.gov.[...]
Singapore National Water Agency
[69]
웹사이트
Our duties
https://www.ofwat.go[...]
Ofwat (Water Services Regulation Authority)
[70]
웹사이트
What We Do
http://www.dwi.gov.u[...]
Drinking Water Inspectorate
2020-06-15
[71]
웹사이트
The Water Supply (Water Quality) Regulations 2016
https://www.legislat[...]
National Archives, UK
2020-10-23
[72]
웹사이트
Water Industry Act 1991
https://www.legislat[...]
National Archives, UK
2020-10-23
[73]
뉴스
Water Quality Regulator says Scotland's tap water quality remains high
https://www.gov.scot[...]
Scottish Government
2019-08-05
[74]
웹사이트
Duties of the Drinking Water Inspectorate
https://www.daera-ni[...]
Northern Ireland Environment Agency
2020-10-23
[75]
웹사이트
The Water Supply (Water Quality) Regulations (Northern Ireland) 2017
https://www.legislat[...]
National Archives, UK
2020-10-23
[76]
서적
広辞苑 第六版「飲料水」
[77]
웹사이트
何故海の水は飲んではいけないか~海の水が塩辛い理由~
https://ulunom.tokai[...]
TOKAI
2020-11-15
[78]
간행물
令和2年版 日本の水資源の現況について 第7章 水資源に関する国際的な取組
https://www.mlit.go.[...]
[79]
웹사이트
エタノールの除菌効果 - 日本食品洗浄剤衛生協会
http://shokusen.jp/e[...]
日本食品洗浄剤衛生協会
2021-02-10
[80]
논문
Dramatic enhancement of solar disinfection (SODIS) of wild Salmonella sp. in PET bottles by H(2)O(2) addition on natural water of Burkina Faso containing dissolved iron
2010-01-08
[81]
서적
Solar water disinfection — A guide for the application of SODIS
http://www.sodis.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EAWAG) Department of Water and Sani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SANDEC)
2002-10
[82]
웹사이트
Training material
http://www.sodis.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EAWAG) Department of Water and Sani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SANDEC)
2010-02-01
[83]
웹사이트
Mortality rate attributable to unsafe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WASH)
https://ourworldinda[...]
2020-03-05
[84]
웹사이트
水質基準項目と基準値(51項目)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02-10
[85]
웹사이트
井戸水に水質検査の義務はありますか?
http://www.jagh.jp/j[...]
公益社団法人 日本地下水学会
2021-02-10
[86]
웹사이트
井戸水検査
https://www.suisitu-[...]
水質検査分析センター
2021-02-10
[87]
웹사이트
UNHCRの難民援助活動
http://www.japanforu[...]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재난 사태’ 선포 강릉, 결국 저수율 마지노선 15% 무너졌다···75% 제한급수 시행
[밀착카메라] 밭은 '초토화' 일상은 '위기'…사상 최악이라는 강릉 상황
[자막뉴스] "이 물밖에 없는데, 마셔야지"…수백만 식수원 상태가
[D리포트] 식수원에 녹조 '둥둥'…대안 없는 사태에 주민 불안
대서인데 수돗물 끊긴 울산 울주···6만8000명, 폭염 속 사흘째 고통
200㎜ 퍼부었지만 "역부족"…결국 급수제한 들어간 강릉 | JTBC 뉴스
[D리포트] 짧은 장마에 이른 폭염…낙동강 녹조 '비상'
바닥 드러난 경북 주요 댐…"작년 절반 수준, 가뭄 영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