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안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키안섬은 화산 활동이 활발한 섬으로, 여러 차례의 분화로 마을이 파괴되었다. 1550년대 이후 7번의 분화가 있었으며, 그중 4번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1760년에는 약 3천 명의 사망자를 낸 분화가 있었고, 1988년에는 섬 전체 인구가 대피하는 분화가 있었다. 또한, 타바어와 서마키안어라는 두 개의 다른 언어가 사용된다. 타바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고, 서마키안어는 서파푸아어족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화산 - 디엥고원
디엥고원은 인도네시아 자바섬 중부에 위치한 "조상의 장소" 또는 "신들이 거주하는 장소"라는 뜻의 고원 지대로, 힌두교 종교 중심지였으며 화산 활동으로 칼데라 지형, 지열 에너지, 감자 생산, 힌두 사원, 화산 지형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인도네시아의 화산 - 루시 진흙 화산
루시 진흙 화산은 2006년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서 발생한 대규모 진흙 분출 사건으로, 석유 시추 작업 중 발생한 지진과 관련되어 100 제곱킬로미터가 넘는 지역을 진흙으로 덮어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현재까지도 분출이 계속되고 있다. - 화산섬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화산섬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인도네시아의 섬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섬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마키안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동남아시아 |
군도 | 말루쿠 제도 |
면적 | 84.36km² |
해발고도 | 1357m |
인구 (2023년 추정치) | 12,525명 |
인구 밀도 | 148.47명/km² |
시간대 | EIT (UTC+09:00) |
행정 구역 | |
국가 | 인도네시아 |
주 | 북말루쿠 주 |
지리 | |
최고봉 | 알려지지 않음 |
추가 정보 | |
화산 활동 감시 웹사이트 | Peningkatan Aktivitas Gunung Kie Besi |
지리적 위치 및 행정 구역 정보 | Makian island, geographic location, administrative division and map |
섬 설명 및 사진 | Description and photo of Makian island |
2. 화산 활동
마키안 화산은 드물지만 격렬한 분화를 일으켜 섬의 마을들을 파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7] 기록된 분화 중 일부는 화산 폭발 지수 4등급에 해당할 정도로 강력했으며,[7] 인명 피해를 동반하기도 했다.[8][9]
2. 1. 분화 기록
마키안 화산은 드물지만 격렬한 분화를 일으켜 섬의 마을들을 파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최초로 기록된 분화는 1550년대에 있었다.[7] 1550년대 첫 기록 이후 총 7번의 분화가 있었으며, 그중 4번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8] 화산 폭발 지수(VEI) 4등급에 해당하는 강력한 분화는 1646년 7월 19일, 1760년 9월 22일, 1861년 12월 28일에 기록되었다.[7] 특히 1760년 분화는 약 3천 명의 사망자를 냈다.[9] 이후 1890년에도 분화가 있었으며, 1988년 7월에는 오랜 휴화산 상태를 깨고 다시 분화하여 섬 전체 인구 약 1만 5천 명이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일이 있었다.[9]
2. 1. 1. 1760년 분화
마키안 화산은 드물지만 격렬한 분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섬의 마을들을 파괴했다.1760년 9월 22일에 발생한 분화는 화산 폭발 지수(VEI) 4등급을 기록할 정도로 강력했다.[7] 이 분화로 인해 약 3,000명의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9] 이는 1550년대 첫 분화 기록 이후 발생한 총 7번의 분화 중 인명 피해를 낸 4번의 사례 중 하나이다.[8]
2. 1. 2. 1988년 분화
1890년 분화 이후 휴화산 상태였던 마키안 화산은 1988년 7월에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이 분화로 인해 섬 전체 인구인 약 1만 5천 명이 일시적으로 대피해야 했다.[9]3. 언어
이 섬에서는 타바어(동마키안어)와 서마키안어 등 서로 관련 없는 두 가지 언어가 사용된다.[12][10]
3. 1. 타바어 (동마키안어)
마키안섬에서는 서로 관련이 없는 두 개의 언어인 타바어와 서마키안어가 사용된다.[12][10] 타바어는 동마키안어라고도 불리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고, 서마키안어는 서파푸아어족에 속한다.3. 2. 서마키안어
서마키안어는 마키안섬에서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서파푸아어족에 속한다. 이 섬에서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타바어(동마키안어)도 사용되는데, 두 언어는 서로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다.[12][10]참조
[1]
웹사이트
Peningkatan Aktivitas Gunung Kie Besi
http://www.vsi.esdm.[...]
2019-07-01
[2]
웹사이트
Makian island, geographic location, administrative division and map
http://geographic.or[...]
2013-04-05
[3]
간행물
Jakarta
Biro Pusat Statistik
2011
[4]
간행물
Jakarta
Badan Pusat Statistik
2021
[5]
간행물
Jakarta
Badan Pusat Statistik
2024
[6]
웹사이트
Description and photo of Makian island
http://geographic.or[...]
2013-04-05
[7]
웹사이트
Makian
[8]
서적
Global Volcanism 1975–1985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and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9]
뉴스
Volcano erupts on evacuated island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88-07-30
[10]
저널
The Makian Languages and Their Neighbours
https://core.ac.uk/d[...]
[11]
문서
国立天文台「理科年表」2021年 P.753
[12]
저널
The Makian Languages and Their Neighbours
https://core.ac.uk/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