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할마헤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 위치한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역사적으로 테르나테 및 티도레 섬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 기지가 주둔했으며,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는 기독교도와 무슬림 간의 종교 분쟁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현재는 니켈 광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웨다 베이 산업단지가 운영되고 있다. 섬의 지리적 특징으로는 다양한 고유종 동식물이 서식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및 비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월리스선
    월리스선은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제안한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사이의 생물지리학적 경계선으로,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을 나누며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생물상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 인도네시아의 생태지역 - 숨바섬
    숨바섬은 인도네시아 동누사틍가라 주에 위치하며 석회암 언덕과 사바나 기후, 거석 문화 전통, 독특한 사회 구조, 마라푸 신앙, 그리고 이캇 직물로 알려진 섬이다.
  • 북말루쿠주의 지형 - 반다해
    반다해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하며, 활화산과 지진 발생이 잦고, 산호 삼각지대에 속해 아시아와 호주의 동식물이 혼합되어 서식한다.
  • 북말루쿠주의 지형 - 할마헤라해
    할마헤라해는 동인도 제도에 위치하며 국제수로기구가 정의한 경계를 가지고, 북쪽으로는 모로타이섬과 할마헤라섬, 동쪽으로는 모로타이섬과 뉴기니섬, 남쪽으로는 오비 제도와 뉴기니 사이, 서쪽으로는 몰루카해로 둘러싸여 있다.
  • 생태학에 관한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생태학에 관한 - 채텀 제도
    채텀 제도는 뉴질랜드 동쪽에 위치한 섬들로, 모리오리족이 최초로 정착했고,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며, 자체 의회를 통해 자치적으로 운영된다.
할마헤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할마헤라 해안선
섬의 작은 축척 지도
기본 정보
위치동남아시아
군도말루쿠 제도
면적17,780 km²
최고봉감코노라 산
최고점 높이1,560 m
최대 도시토벨로
인구667,161
인구 기준2024년
인구 밀도37.5 명/km²
민족
주요 민족토벨로족
부기스족
토구틸족
갈레라족
사후족
와이올리족
모돌레족
파구족
카오 이슬람족
사와이족
가네족
불리족
마바족
롤로다족
타바루족
파타니족
비콜리족
이주민상기르족
테르나테족
티도레족
마키안족
자바족
언어
주요 언어토벨로어

2. 역사

할마헤라섬은 인구가 적어 서쪽에 위치한 테르나테와 티도레와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제도를 통제하기 전까지 테르나테와 티도레 왕국은 이 지역의 주요 왕국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에 점령되어 카오 만에 일본군 기지가 세워졌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독교도와 무슬림 간의 충돌을 겪었다. 이 분쟁은 처음에는 대다수가 기독교도인 카오 주민과 거의 전부가 무슬림인 말리푸트 주민 사이의 인종 분쟁으로 시작되었으나, 곧 종교 분쟁의 양상을 띠며 말루쿠 제도 북부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자와섬에서 온 라스카르 지하드나 이슬람수호전대와 같은 무장 단체들의 항쟁으로 인해 수천 명이 사망하였다. 2000년 6월에는 할마헤라에서 술라웨시섬으로 가는 난민 500여 명을 실은 페리가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여러 음모론이 제기되었다.

오늘날 할마헤라섬과 인도네시아 나머지 지역과의 교류는 주도인 테르나테를 통해 이루어지며, 할마헤라에서 가장 큰 도시인 토벨로에도 수라바야마나도로 향하는 항로가 있다.

2010년대에는 섬 내 니켈 자원이 주목받아 프랑스의 에라메트와 독일의 BASF가 공동으로 니켈 제련 사업 프로젝트를 계획했지만,[16] 2020년대에 들어 니켈 수급이 완화되면서 2024년 사업 중단을 발표했다.[17]

2. 1. 초기 역사

인구 밀도가 낮은 할마헤라섬은 오랫동안 서해안에 위치한 작은 섬인 테르나테와 티도레의 운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왔다. 이 섬들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식민지 시대 이전에 몰루카 (말루쿠) (테르나테, 티도레, 바칸, 자일로로) 네 왕국 중 하나인 자일로로 술탄국의 중심지였다.[4] 섬의 북쪽은 13세기 초 몰루카 왕국 중 하나인 Loloda|로로다 왕국id의 기반이기도 하지만, 유명한 네 왕국 중 하나로는 인정받지 못했다.[4]

2. 2.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테르나테와 티도레 왕국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제도 전체의 통제를 장악하기 전까지 지역의 주요 왕국이었다.[4] 16세기 초 포르투갈인들이 온 이후로 몰루카 제도는 서구 열강의 지배권 다툼의 무대가 되었고, 최종적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편입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할마헤라섬은 일본에 점령되었으며, 카오 만에 일본군 기지가 설치되었다.[4]

2. 4.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 후 할마헤라섬은 말루쿠 주에 속해 있었지만, 1999년에 북말루쿠 주(인도네시아어: Maluku Utara)가 설립되면서 그 일부가 되었다.

2. 5. 1999년-2000년 종교 분쟁

1999년부터 2000년까지 할마헤라섬에서는 기독교도와 무슬림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처음에는 대다수가 기독교도인 카오 주민과 거의 전부가 무슬림인 말리푸트 지역 주민 사이의 인종 분쟁으로 시작되었으나, 곧 종교 분쟁의 양상을 띠며 북말루쿠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를 말루쿠 종파 갈등이라고 한다. 자와섬에서 대규모로 들어온 라스카르 지하드나 이슬람수호전대와 같은 무장 단체들의 항쟁으로 인해 할마헤라에서 수천 명이 사망하였다.[4] 2000년 6월에는 할마헤라에서 술라웨시섬으로 떠나는 난민 500여 명을 실은 페리가 술라웨시 섬 북동쪽 끝에서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여러 음모론이 제기되었다.[4] 이 비극을 기리는 기념비는 북할마헤라 지역 두마 마을에 있다.

2. 6. 최근 동향

오늘날 할마헤라섬과 인도네시아 나머지 지역과의 교류는 주도인 테르나테를 통해 이루어지며, 할마헤라에서 가장 큰 도시인 토벨로에도 수라바야마나도로 향하는 항로가 있다.[7] 특히, 최초의 직선제 부파티(현감 또는 지역청장) 취임 이후 토벨로는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여 테르나테의 역사적 지배력에 도전하고 있다. 토벨로는 평탄한 땅으로 둘러싸여 있어 확장 가능성이 크다. 2010년 주 정부는 테르나테 시에서 티도레 섬 맞은편 할마헤라 해안의 작은 마을인 소피피로 주도를 이전했다.

2010년대에는 섬 내 니켈 자원이 주목받아 프랑스의 에라메트와 독일의 BASF가 공동으로 니켈 제련 사업 프로젝트를 계획했지만,[16] 2020년대에 들어 니켈 수급이 완화되면서 2024년 사업 중단을 발표했다.[17]

3. 지리

할마헤라는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호상열도에 위치하며, 라자암팟 제도를 포함한다. 이 모든 섬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북쪽 이동과 태평양판의 섭입으로 융기되었다. 섬의 북쪽 끝에는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고, 북서쪽 해안에는 활화산인 이부 산이 있다.

할마헤라 지형


북말루쿠 주는 8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으며 그 중 6개가 할마헤라섬에 위치해 있다. 할마헤라섬은 북할마헤라, 서할마헤라, 동할마헤라, 중앙할마헤라, 남할마헤라로 나뉘며 티도레의 일부가 할마헤라섬에 걸쳐 있다. 북말루쿠주의 테르나테군과 술라군은 할마헤라에 걸쳐 있지 않다.[1]

4. 생태

날지 못하는 유령 물닭은 이 섬에 고유종이다.[10] 최근에 발견된 야자수 ''Jailoloa halmaherensis'' 또한 할마헤라에 고유종이다.[11]

자연주의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1869년 저서 ''말레이 제도''에서 할마헤라를 방문했다고 서술했다. 그는 극락조의 일종인 긴날개극락조 ''Semioptera wallacii''를 자신의 가장 큰 성과로 여겼다.[12] 1858년 2월, 테르나테 섬(혹은 할마헤라 섬 자체일 수도 있다)에서 말라리아와 씨름하던 중 월리스는 적자생존을 통한 자연선택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월리스는 그 후 이틀 동안 자신의 생각을 적어 다윈에게 역사적인 편지를 보냈다.

5. 언어

할마헤라 섬의 정글에 사는 토구틸족


할마헤라섬과 그 주변 지역의 언어들오스트로네시아계와 비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들이 혼재되어 있다.

주요 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는 다음과 같다. 이 중 브리어가 가장 초기에 체계적으로 기술되었다.[18]

  • Gane language|기만어|Giman영어 (Gani어, Gane어)
  • 사와이어 (웨다어(Weda), Were어)
  • Patani language|파타니어|영어
  • 브리어
  • * 와얌리(Wajamli, Javanli) 방언
  • Taba language|동 마키안어|영어
  • * 카요아(Kajoa) 방언
  • Maba language (Indonesia)|마바어 (인도네시아)|영어 (Bitjoli어, Ingli어)


비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는 다음과 같다.

  • Galela language|갈렐라어|영어
  • Ibu language|이부어|영어
  • Loloda language|로로다어|영어 (로다어)
  • West Makian language|서 마키안어|영어
  • Modole language|모돌레어|영어
  • Pagu language|파구어|영어
  • * 이삼 방언
  • Sahu language|사후어|영어
  • Ternate language|테르나테어|영어
  • Tidore language|티도레어|영어
  • Tabaru language|토바루어|영어 (토바루어)
  • Tobelo language|토벨로어|영어
  • Waioli language|와이올리어|영어

6. 광업

PT 웨다 베이 니켈(PT Weda Bay Nickel)은 북할마헤라 및 중앙할마헤라 지역에서 니켈 및 코발트 광산 프로젝트인 웨다 베이 산업단지(Weda Bay Industrial Park)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은 세계 최대 규모의 니켈 광산 사업장 중 하나이다.[13]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2년부터 미가공 니켈 광석의 수출을 금지했다.[14] 그 결과, 광석은 수출되기 전에 섬에서 먼저 가공되어야 한다. 이 과정을 위해 총 11개(건설 중인 3개 포함)의 발전소가 이미 건설되었다. 이 산업단지는 더욱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러 투자자들이 투자 의향을 밝혔다.[15] 배터리용 니켈 수요 증가가 성장의 원인 중 하나이다.

2010년대에는 섬 내 니켈 자원이 주목받아 프랑스의 에라메트와 독일의 BASF가 공동으로 니켈 제련 사업 프로젝트를 계획했지만,[16] 2020년대에 들어 니켈 수급이 완화되면서 2024년 사업 중단을 발표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Halmahera Largest of the Spice Island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18
[2] 웹사이트 Indonesia: Administrative Division (Provinces, Regencies and Ci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www.citypopul[...] 2018-04-11
[3] 웹사이트 Penduduk Halsel https://web.archive.[...] 2013-07-01
[4] 논문 Kerajaan Loloda: Melacak Jejak Arkeologi Dan Sejarah https://kapata-arkeo[...] 2017
[5] 웹사이트 Mengenal O'Hongana Manyawa di Hutan Halmahera yang 'Dikepung' Tambang Nikel https://ppman.org/me[...] 2024-06-12
[6] 웹사이트 The Practice of Local Wisdom of Tobelo Dal a m ( Togutil ) Tribal Community in Forest Conservation in Halmahera, Indonesia https://www.academia[...] 2014-01
[7] 웹사이트 Savage Imagery: Mis-Representations of the Forest Tobelo of Indonesia https://www.academia[...]
[8] 웹사이트 LOCAL KNOWLEDGE OF MANAGEMENT SYSTEM OF FOREST ECOSYSTEM BY TOGUTIL ETHNIC GROUP ON HALMAHERA ISLAND INDONESIA TRADITIONAL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https://www.academia[...]
[9] 뉴스 NEWS: Indonesia: Uncontacted tribe being destroyed for electric car batteries https://www.survival[...] 2023-04-06
[10] IUCN Habroptila wallacii 2021-11-11
[11] 논문 Three new genera of arecoid palm (Arecaceae) from eastern Malesia
[12] 웹사이트 Halmahera and Wallace's Greatest Prize: The Standardwing Bird of Paradise https://web.archive.[...] Wallace Fund 2015-04-01
[13] 웹사이트 Ej Atlas https://ejatlas.org/[...] 2024-12-20
[14] 웹사이트 Prohibition of the export of nickel ore – Policies https://www.iea.org/[...] 2024-12-20
[15] 영상매체 Indonesian island fights to curb impact of toxic nickel mine – DW – 07/06/2024 https://www.dw.com/e[...] 2024-12-20
[16] 웹사이트 石を宝に変える芸術-世界のEV業者が注目するインドネシアのニッケル資源 https://plus.iru-mir[...] MILUPLUS 2021-03-18
[17] 웹사이트 独BASFと仏企業、インドネシアのニッケル製錬所を中止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6-26
[1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6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