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세자였으며, 1848년 그의 아버지 루트비히 1세가 퇴위한 후 왕위에 올랐다. 그는 뮌헨에서 태어나 괴팅겐과 베를린에서 수학했으며, 학구적인 성향을 보였다. 통치 기간 동안 자유주의적인 정권을 약속했지만, 보수적인 가톨릭교도와 프로테스탄트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그는 바이에른을 문화, 교육, 예술의 중심지로 만들려 노력했고, 프로이센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강화하려 했다. 막시밀리안 2세는 1864년 뮌헨에서 사망했으며, 두 아들 모두 바이에른의 국왕이 되었으나 정신 질환으로 폐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켄 공작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프랑켄 공작 - 콘라트 3세
    콘라트 3세는 1138년 로마 왕으로 선출된 호엔슈타우펜 왕가의 첫 번째 독일 왕이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으나 실패하고 조카 프리드리히 3세를 후계자로 지명한 후 사망했다.
  • 독일의 왕족과 귀족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독일의 왕족과 귀족 - 빌헬름 2세 (뷔르템베르크)
    빌헬름 2세는 1848년 출생하여 1921년 사망한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1891년 즉위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퇴위함으로써 800년 넘는 뷔르템베르크 가문의 통치를 끝냈다.
  • 바이에른 국왕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바이에른 국왕 -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을 건설하고 바이에른을 통치했으며, 형제들과의 분쟁과 서프랑크 왕국과의 갈등 속에서 동프랑크 왕국의 기반을 다졌다.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막시밀리안 2세
막시밀리안 2세, c. 1860, 프란츠 한프슈탱글 그림
이름막시밀리안 2세
전체 이름막시밀리안 요제프
로마자 표기Maximilian II
칭호바이에른 왕
재위 기간1848년 3월 20일 – 1864년 3월 10일
전임자루트비히 1세
후임자루트비히 2세
출생일1811년 11월 28일
출생지뮌헨, 바이에른 왕국
사망일1864년 3월 10일
사망지뮌헨, 바이에른 왕국
매장지뮌헨, 테아티너 교회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서명[[파일:Signature of Maximilian II of Bavaria.svg|서명]]
정치
정치 체제수반
섭정카를 루트비히 폰 데어 포르트텐 남작
카를 폰 슈렌크 폰 노칭 남작
막스 리터 폰 노이마이어
가문
왕가비텔스바흐 가문
아버지루트비히 1세 (바이에른)
어머니테레제 폰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
결혼과 자녀
배우자마리 (1842년 결혼)
자녀루트비히 2세 (바이에른)
오토 1세 (바이에른)

2. 왕세자 시절

그는 뮌헨에서 바이에른 왕세자(후에 루트비히 1세 국왕이 됨)와 그의 부인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테레제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었다.

괴팅겐베를린에서 수학하고 독일, 이탈리아, 그리스를 여행한 후, 1836년에 아버지에 의해 국무원에 소개되었다. 그는 처음부터 학구적인 성향을 보였고, 한때 왕족으로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교수가 되었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왕세자로서, 퓌센 근처 호엔슈반가우 성을 재건하고 예술가들과 학자들의 친밀한 모임을 만들어 과학과 역사 연구에 시간을 바쳤다. 비텔스바허 궁전은 뮌헨에 왕세자 궁전으로 막시밀리안을 위해 지어졌지만 그가 즉위했을 때에야 완공되었다.

3. 즉위와 통치

1848년 혁명의 여파로 루트비히 1세가 퇴위하면서, 1848년 3월 20일 막시밀리안 2세는 갑작스럽게 바이에른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자유주의적인 정권을 약속하며 즉위하였다.

3. 1. 국내 정책

1849년 바이에른 팔츠에서 일어난 봉기는 프로이센 군대의 지원을 받아 진압되었다.

1850년부터 막시밀리안 2세의 정부는 절대 군주제 성향을 보였으나, 고전적 자유주의, 프로이센 주도의 범독일주의, 극우 천주교도 사이에서 온건한 노선을 추구했다.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을 문화, 교육, 예술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가이벨, 리비히, 하이제, 지벨 등 저명한 학자들을 뮌헨으로 초청했다. 그러나 이는 종교적 견해와 관계없이 보수적인 가톨릭교도와 프로테스탄트 모두에게 반발을 샀다.

막시밀리안 2세는 가족과 백성에게 헌신적이었으며, 바이에른 농민들의 예술, 의상, 방언, 관습 연구에 자금을 지원했다. 이는 프로이센 주도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만의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는 개인 비서관 프란츠 크사버 폰 쇤베르트의 도움을 받았다. 바이에른 왕국 오버팔츠 출신인 쇤베르트는 고향 지역의 민속과 전통을 수집한 업적으로 그림 형제에게 칭찬받았으며, 미래 민속 수집가들의 모범이 되었다.

3. 2. 외교 정책

막시밀리안 2세는 통일 독일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프랑크푸르트 의회에 참석하여 국민들의 통일 독일 국가 건설 요구에 응답했다. 그러나 1848년 혁명의 진전은 그를 주저하게 만들었다. 국왕은 프랑크푸르트 의회의 통일 계획에 강력히 반대하고, 의회가 고안한 제국 헌법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오스트리아가 연방 의회를 복원하고 헤세-카셀과 홀슈타인에서 연방 집행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했다.[1] 프랑크푸르트 의회의 실패 이후, 프로이센오스트리아는 어느 군주국이 독일을 통치할 고유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계속 논쟁을 벌였다.

오스트리아와 헤세-카셀(또는 헤세-카셀)의 선제후 사이의 분쟁은 바이에른을 포함한 오스트리아와 그 동맹국들이 독일 정치에서 프로이센을 고립시키는 데 이용되었다. 1850년 오스트리아, 바이에른 및 기타 동맹국들이 바이에른을 통과하여 헤세-카셀로 군대를 이동시키면서 이 외교적 모욕은 거의 전쟁으로 이어질 뻔했다. 그러나 프로이센 군대는 물러서서 이중 지도 체제 원칙을 수용했다. 이 사건은 올뮤츠의 협정으로 알려졌지만 프로이센에서는 "올뮤츠의 굴욕"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바이에른 왕국이 프로이센에 대항하여 오스트리아와 동맹을 맺는 것을 공고히 했다.

막시밀리안은 그의 독일 정책에서 군주들의 연합을 유지하려는 열망에 따라 행동했다.[1]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사이의 냉전 기간 동안, 막시밀리안 국왕과 그의 장관들은 전자를 선호했는데, 이는 바이에른 왕국의 가톨릭교도와 프로테스탄트들에 의해 열렬히 지지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국왕과 그의 장관들은 양대 세력을 서로 이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바이에른의 독립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정책은 그의 아들 루트비히 2세 국왕 시대에도 계속되었다.[1]

그러나 1863년 국왕은 프랑크푸르트 공후회의(Frankfurter Fürstentag)에서 오스트리아가 제안한 개혁 계획을 지지했다.[1]

오스트리아가 느슨하고 완전히 분권화된 독일 연방을 재편하려는 시도는 프로이센의 반대에 부딪혔고, 따라서 다른 독일 군주들은 개혁 제안에 대해 행동하지 않았다. 이러한 계획의 실패와 오스트리아 궁정의 연방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에 대한 태도는 막시밀리안 국왕을 실망시켰다. 그의 통치 말년은 덴마크와의 전쟁 발발로 인해 발생한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려는 노력으로 보냈다.[1]

4. 사망과 유산

짧고 예상치 못한 병으로 막시밀리안 2세는 1864년 3월 10일 뮌헨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테아티너 교회에 안치되었다.[2]

막시밀리안 2세 국왕 기념비, 뮌헨 막시밀리안슈트라세


호헨슈반가우 성


막시밀리안 2세는 뮌헨의 막시밀리안슈트라세와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을 건립하였다. 그는 역사적 모델의 특징과 현대 건축 기술을 결합한 고딕 부흥 건축 양식을 선호했다. 레겐스부르크의 신고딕 양식 ''왕궁''은 1854년부터 1856년까지 건설되었고, 베르히테스가덴의 ''왕궁''과 로즈 섬의 ''왕실 별장''은 1853년에 이미 건설되었다. 1849년에는 건축가 에두아르트 리델에게 베르크 성을 신고딕 양식으로 재설계하도록 지시했다.[3]

상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스베크 하이킹 코스는 1858년 막시밀리안 2세의 바이에른 알프스 장기 하이킹을 기념하여 명명되었다.[3] 바이에른 과학예술 막시밀리안 훈장은 1853년 11월 28일 그에 의해 처음 제정되었다.

5. 가족

막시밀리안 2세는 1842년 프로이센 왕자 빌헬름의 딸 마리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이들은 모두 훗날 바이에른의 국왕이 되었으나, 정신 질환으로 폐위되었다.

5. 1. 자녀

막시밀리안 2세는 1842년에 프로이센의 빌헬름 왕자의 딸 마리 프레데리케 프란치스카 헤드비히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루트비히 2세1845년 8월 25일1886년 6월 13일 (40세)바이에른 왕국 후임 국왕
오토1848년 4월 27일1916년 10월 11일 (68세)바이에른 왕국 후임 국왕. 미혼.



두 아들 모두 바이에른의 국왕이 되었으나, 정신 질환으로 선언되어 폐위되었다.

6. 훈장

국가훈장수여 날짜
바이에른 왕국[4]
뷔르템베르크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대십자장1828년[5]
프로이센 왕국검은 독수리 훈장 기사1831년 1월 23일[6]
시칠리아 왕국성 야누아리우스 훈장 기사1833년[7]
헤세 대공국루트비히 훈장 대십자장1833년 12월 18일[8]
에르네스티네 공국들작센-에르네스티네 가문 훈장 대십자장1838년 3월[9]
바덴충성의 가문 훈장 기사1840년[10]
체링거 사자 훈장 대십자장
스웨덴-노르웨이세라핌 훈장 기사1846년 12월 17일[11]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흰 매 훈장 대십자장1847년 10월 5일[12]
하노버 왕국성 조지 훈장 기사1847년[13]
왕립 굴피크 훈장 대십자장
오스트리아 제국황금 양모 훈장 기사1849년[14]
헝가리 성 스테판 훈장 대십자장1853년[15]
벨기에레오폴드 훈장 (군사) 대숙위장1850년 7월 28일[16]
헤세 선제후국황금 사자 가문 훈장 기사1852년 10월 18일[17]
올덴부르크 대공국페터 프리드리히 루이스 가문 및 공훈 훈장 황금 왕관 대십자장1853년 8월 24일[18]
모데나 레지오 공국에스테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1856년[19]
토스카나 대공국성 요셉 훈장 대십자장[20]


7. 가계도

막시밀리안 2세de는 1842년 프로이센 왕자 빌헬름(Wilhelm von Preußen, 1783-1851)의 딸 마리(Marie von Preußen, 1825-1889)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참조

[1] 서적 The Catholics and German Unit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 서적 Mit Livs Eventyr Gyldendal
[3] 웹사이트 Wandern http://www.oberbayer[...] Upper Bavaria tourist association (Tourismusverband München Oberbayern) 2007-03-11
[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46 https://archive.org/[...] Landesamt
[5] 서적 Königlich-Württemberg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4 https://books.google[...] Guttenberg
[6] 간행물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1851), "Von Seiner Majestät dem Könige Friedrich Wilhelm III. ernannte Ritter" https://www.digitale[...]
[7] 웹사이트 Vicende e personaggi dell'Insigne e reale Ordine di San Gennaro dalla sua fondazione alla fine del Regno delle Due Sicilie http://www.socistara[...]
[8]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1863), "Großherzogliche Orden und Ehrenzeichen" https://www.digitale[...]
[9] 간행물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Sachsen-Coburg und Gotha (1843), "Herzogliche Sachsen-Ernestinischer Hausorden" https://zs.thulb.uni[...]
[10]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Baden (1858), "Großherzogliche Orden" https://digital.blb-[...]
[11] 서적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12]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1859), "Großherzogliche Hausorden" https://zs.thulb.uni[...]
[1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59 https://archive.org/[...] Berenberg
[14] 웹사이트 Chevaliers de la Toisón d'Or - Knights of the Golden Fleece http://www.antiquesa[...] 2019-06-25
[15]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16] 웹사이트 Almanach Royal Officiel
[17] 간행물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63), "Kurfürstliche Orden und Ehrenzeichen" https://www.digitale[...]
[18]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1863, "Der Großherzogliche Haus und Verdienstorden des Herzogs Peter Friedrich Ludwig" https://www.digitale[...]
[19] 서적 Almanacco di corte https://books.google[...]
[20] 서적 Almanacco Toscano per l'anno 1855 https://archive.org/[...] Stamperia Granducale
[21] 서적 권력과 광기 말글빛냄
[22] 서적 유럽 (자신만만 세계여행) 삼성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