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대예술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수대예술단은 1946년에 창단된 평양가무단을 전신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 단체이다. 김일성의 혁명 업적을 찬양하고 김씨 일가를 우상화하는 내용을 담은 작품을 제작했으며, 1972년에는 김일성 훈장을 받았다. 1,500곡의 노래와 500곡 이상의 기악곡을 제작했으며, 50여 개국에서 700회 이상 공연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가 있으며, 보천보전자악단, 삼지연 관현악단 등의 분파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단체 - 국무위원회연주단
국무위원회연주단은 2016년 북한 국무위원회 위상 강화와 함께 창설되어 2020년 공식 활동을 시작, 북한의 주요 정치 행사에서 공연하며 위상을 높이고 2021년 김정은의 기대를 받으며 음악 정치 전위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북한의 연주 단체이다. - 1946년 설립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1946년 설립 -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1946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창간된 대한민국의 종합 일간지로, 과거 언론 탄압과 강제 통합을 겪었으나 한화그룹으로부터 분리 독립 후 사원주주회사로 출범하여 현재는 진보 성향의 언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 만수대예술단 | |
|---|---|
| 개요 | |
![]() | |
| 종류 | 음악 그룹 |
| 국가 | 북한 |
| 상세 정보 | |
| 창단 | 1969년 |
| 활동 | 평양 |
2. 역사
만수대예술단은 1969년 9월 27일 창단된 중앙예술단의 후신으로, 그 전신은 1946년에 창설된 평양예술단이다.[1] 1970년대에 김정일은 만수대예술단을 통해 김일성과 김씨 일가를 우상화하고 북한 혁명가들을 찬양하도록 했다.[2]
만수대예술단은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1972)를 제작하여 1,300회 이상 공연하였고, 이 작품의 여배우 홍영희는 북한 1원 지폐에 등장하기도 했다.[1] 또한 "낙원가"(1976)를 340회 이상 공연했다. 1973년에는 북한 우표 3종에 이 예술단의 무용수들이 등장하기도 했다.[3]
이 예술단은 1,500곡의 노래와 500곡 이상의 기악곡을 제작했으며, 1972년 김일성 훈장을 받았다. 고영희는 1970년대 만수대예술단의 무용수로 활동했으며, 1975년 김정일을 만나 그의 첩이 되었다.[4]
만수대예술단은 "세계 진보적 인민과의 친선을 증진"하기 위해 50여 개국에서 700회 이상 공연을 했으며, 2019년에는 예술단 창단 기념 콘서트를 평양에서 개최했다.[5]
2. 1. 창단 배경 (1946-1969)
만수대예술단은 1969년 9월 27일에 창단된 '중앙예술단'의 후신이다.[1]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그 전신은 주체 35년(1946년)에 창설된 '평양예술단'이다. 1969년 9월 27일 이전에는 평양가무단, 국립가무단 등을 거쳐 현재의 만수대예술단으로 개칭되었다. 1970년대에 김정일은 최고 지도자가 되기 전에 만수대예술단이 그의 아버지 김일성을 한국을 일본의 점령으로부터 해방시킨 혁명적 천재로 묘사하고, 김씨 일가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며, 북한 혁명가들을 찬양하도록 했다.[2]2. 2. 체제 선전 및 우상화 (1970년대-현재)
김정일은 최고 지도자가 되기 전인 1970년대에 만수대예술단이 그의 아버지 김일성을 한국을 일본의 점령으로부터 해방시킨 혁명적 천재로 묘사하고, 김씨 일가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며, 북한 혁명가들을 찬양하도록 했다.[2]만수대예술단은 김일성이 쓴 것으로 알려진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1972)를 제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 이 작품은 1930년대 일본의 점령하에 있던 북한에 대한 비극적인 이야기이다. 이 예술단은 《꽃 파는 처녀》를 1,300번 공연했으며, 이 오페라 영화의 여배우인 홍영희는 북한 1원 지폐에 등장한다.[1] 또한 "낙원가"(1976)를 340회 이상 공연했다.
이 예술단은 1,500곡의 노래와 500곡 이상의 기악곡을 제작했으며 1972년 김일성 훈장을 받았다.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2009년 만수대예술단의 일원으로 삼지연 관현악단이 창단되었다.[7]
3. 주요 작품
1972년에 초연된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는 만수대예술단의 대표적인 작품이다.[1] 1976년에 제작된 "낙원가"는 340회 이상 공연되었다.[1] 이 외에도 1,500곡의 노래와 500곡 이상의 기악곡을 제작했다.[1]
3. 1.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김일성이 쓴 것으로 알려진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1972)는 1930년대 일본 제국주의 강점 하의 북한에 대한 비극적인 이야기이다.[1] 만수대예술단은 이 작품을 1,300번 공연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이 작품의 여배우 홍영희는 북한 1원 지폐에 등장한다.[1]3. 2. 기타 작품
1976년에 제작된 "낙원가"는 340회 이상 공연되었다.[1] 이 외에도 1,500곡의 노래와 500곡 이상의 기악곡을 제작했다.[1]| 제목 | 초연 연도 | 비고 |
|---|---|---|
| 낙원가 | 1976년 | 340회 이상 공연[1] |
4. 소속 단체 및 분파
만수대예술단에는 여러 소속 단체들이 있다. 보천보전자악단은 1985년 만수대예술단 전자음악단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밴드로 결성되었다. 악기에는 전자 피아노와 신시사이저뿐만 아니라 전통 한국 악기도 포함되었다. 이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전자 음악이 권장되지 않았다.[6]
4. 1. 보천보전자악단
1985년, 보천보전자악단은 만수대예술단 전자음악단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밴드로 결성되었다. 악기에는 전자 피아노와 신시사이저뿐만 아니라 전통 한국 악기도 포함되었다. 이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전자 음악이 권장되지 않았다.[6]4. 2. 삼지연 관현악단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2009년 만수대예술단의 일원으로 창단되었다.[7] 이는 삼지연 관현악단과는 구별되지만, 동일한 예술가들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8] 2018년, 북한과 남한은 현송월[9]이 이끄는 140명의 음악가, 가수, 무용수로 구성된 이 관현악단이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대한민국 강릉과 서울에서 공연하는 데 합의했다.[10]5. 주요 구성원
만수대예술단은 1969년 9월 27일 창단되었으며, 음악, 연극,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약 300명의 예술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창단되었으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모친인 고영희가 무용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만수대예술단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분야 | 이름 | 주요 직책 및 이력 |
|---|---|---|
| 무용수 | 고영희 | 김정일의 첩, 김정철, 김정은의 모친 |
|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만수대예술단에 소속되어 활동했거나 활동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역대 소속 가수 (전신 시대 포함)와 주요 작곡가 표를 참고. | ||
5. 1. 역대 소속 가수 (전신 시대 포함)
| 성별 | 이름 | 담당 | 주요 이력 |
|---|---|---|---|
| 남성 | 박영순 | 테너 | 인민배우, 만수대예술단 단장·고문 역임, 작사가, 전 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2014년 10월 사망. |
| 주창혁 | 테너 | 인민배우, 전 만수대예술단 성악 고문, 전 남성 4중창조·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2016년 1월 사망. | |
| 김윤희 | 바리톤 | 인민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배지주(초대) 역. | |
| 로용권 | 베이스 | 인민배우, 현재 조선인민군 예술학원 성악학부 교원, 전 남성 4중창조 멤버. | |
| 김선일 | 테너 | 인민배우, 전 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 |
| 최영길 | 테너 | 인민배우, 전 남성 4중창조·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 |
| 리영욱 | 테너 | 인민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철용 역. | |
| 김승연 | 바리톤 | 인민배우, 피바다 가극단 거쳐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성악강좌 교원, 공로자명배우 예술선동대 소속,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약방 주인 역. | |
| 허광수 | 베이스 | 인민배우,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교원. | |
| 박영세 | 바리톤 | 공훈배우, 현재 만수대예술단 성악 고문, 전 남성 4중창조·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 |
| 최경욱 | 테너 | 공훈배우, 윤이상 관현악단 겸임가수로도 활동, 현재 공로자명배우 예술선동대 소속. | |
| 리운룡 | 테너 | 공훈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철용(초대) 역. | |
| 박계수 | 테너 | 공훈배우, 전 남성 4중창조·공훈 남성 중창조 멤버. | |
| 김성일 | 테너 | 공훈배우, 통일음악단에서도 활동. | |
| 김일황 | 테너 | 공훈배우, 2009년 가극 "홍루몽" 주인공 가보옥 역, 조부 김정화와 부친 김영하는 공훈배우. | |
| 림영철 | 테너 | 공훈배우, 조선인민 내무군 예술단 재적 후 만수대예술단 복귀. | |
| 리영교 | 테너 | 공훈배우, 조선인민 내무군 협주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배성권 | 테너 | 공훈배우, 조선인민 내무군 협주단 과장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렴동선 | 바리톤 | 국립민족예술단 초급당 비서 거쳐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학장 역임. | |
| 리기복 | 베이스 | ||
| 김하철 | 바리톤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3대 배지주 역. | |
| 김록선 | 바리톤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3대 황 노인 역, 현재 공로자명배우 예술선동대 소속. | |
| 황민 | 테너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3대 약방 주인 역. | |
| 우명식 | 바리톤 | ||
| 리철준 | 테너 | ||
| 홍세봉 | 테너 | 평안북도예술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김웅삼 | 테너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2016년 음악무용이야기 "청춘의 자서전" 주역. | |
| 리춘일 | 테너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남원철 | 바리톤 | 은하수관현악단·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리금혁 | 테너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안명일 | 바리톤 | ||
| 고영희 | 무용수 | 김정일의 첩, 김정철, 김정은의 모친. | |
| 여성 | 최해옥 | 소프라노 | 인민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주역 꼽분(초대) 역, 1997년 8월 미국으로 망명. |
| 함금주 | 소프라노 | 인민배우, 음악무용이야기 "낙원의 노래" 주역. | |
| 김설희 | 메조소프라노 | 인민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어머니(초대) 역. | |
| 조혜경 | 소프라노 | 인민배우, 현재 평양학생소년궁전 성악 교원, 전 여성 합창단 단장, 윤이상 관현악단 겸임가수로도 활동. | |
| 리향숙 | 소프라노 | 인민배우, 국가중주단, 은하수관현악단 소속 거쳐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성악학부장. | |
| 오영애 | 메조소프라노 | 공훈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영란의 어머니(초대) 역, 국립가무단 시절부터 활약. | |
| 김련옥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만수대예술단 성악 고문. | |
| 로춘화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공훈 여성 중창조 멤버, 국립가무단 시절부터 활약. | |
| 최금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공훈 여성 중창조 멤버. | |
| 신숙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공훈 여성 중창조 멤버, 국립가무단 시절부터 활약. | |
| 김봉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공훈 여성 중창조 멤버. | |
| 오련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공훈 여성 중창조 멤버, 국립가무단 시절부터 활약, 피바다 가극단에서 활동. | |
| 리운홍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여성 민요 4중창조 멤버. | |
| 백정숙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여성 공훈 성 중창조 멤버. | |
| 안화복 | 메조소프라노 | 공훈배우. | |
| 류영옥 | 소프라노 | 공훈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주역 꼽분(초대)의 어린 시절 역, 피바다 가극단 지도원 등 거쳐 현재 공로자명배우 예술선동대 대장. | |
| 윤희숙 | 소프라노 | 공훈배우,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주역 꼽분(2대) 역, 현재 성악 지도원. | |
| 리인숙 | 메조소프라노 | 공훈배우, 현재 중앙예술선동사 성악 강사. | |
| 박복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여성 민요 4중창조 멤버. | |
| 박순향 | 소프라노 | 공훈배우. | |
| 전명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윤이상 관현악단 겸임가수로도 활동, 현재 성악실장. | |
| 석란희 | 메조소프라노 | 공훈배우,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성악강좌 교원. | |
| 김경옥 | 소프라노 | 공훈배우,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민족 성악강좌장. | |
| 조춘옥 | 소프라노 | 공훈배우, 국립교향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교원. | |
| 석련희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전 여성 민요 4중창조 멤버, 2013년까지 아리랑축전 민요 아리랑 노래 담당. | |
| 권미화 | 소프라노 | 공훈배우, 왕재산경음악단, 조선인민내무군예술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현재 가수 겸 성악 강사. | |
| 오영희 | 소프라노 | ||
| 김미라 | 소프라노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승희(초대) 역, 조선인민군 협주단에서 활동. | |
| 리옥희 | 메조소프라노 | 현재 만수대예술단 여성 합창단 단장. | |
| 김정순 | 소프라노 | ||
| 문혜숙 | 메조소프라노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어머니 역. | |
| 김혜숙 | 알토 | 전 공훈 여성 중창조, 여성 민요 4중창조 멤버. | |
| 김순희 | 소프라노 | 전 여성 민요 4중창조 멤버. | |
| 김정옥 | 메조소프라노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지주 처 역. | |
| 우선숙 | 소프라노 |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주역 꼽분(3대) 역,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성악강좌 교원. | |
| 리보영 | 소프라노 | ||
| 송설희 | 소프라노 | 10세부터 현재까지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 승희 역, 현재 피바다 가극단 소속. | |
| 전경란 | 소프라노 | ||
| 권송이 | 소프라노 | ||
| 김금주 | 소프라노 | 은하수관현악단, 만수대예술단 거쳐 현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성악강좌 교원. | |
| 박금희 | 소프라노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김경희 | 소프라노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리정화 | 소프라노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 |
| 김은희 | 소프라노 | ||
| 최금주 | 소프라노 | 재학 중 "홍루몽" 설보채 역. | |
| 강은주 | 소프라노 | ||
| 김단미 | 메조소프라노 | ||
| 한혜옥 | 알토 | ||
| 엄송예 | 메조소프라노 | ||
| 강은아 | 소프라노 | 은하수관현악단 거쳐 만수대예술단, 부친 배우 강재만. |
5. 2. 주요 작곡가
| 이름 | 주요 직책 및 이력 | 주요 작품 |
|---|---|---|
| 허금종 (許金鍾) | 인민예술가 | |
| 김제선 (金濟先) | 인민예술가, 왕재산경음악단 단장, 만수대예술단 단장·고문 (2015년 사망) | |
| 최재선 (崔載善) | 인민예술가 | |
| 리정언 (李正彦) | 인민예술가 | |
| 리학범 (李學範) | 인민예술가 | |
| 김건일 (金建一) | 인민예술가 | |
| 송광림 (宋光林) | 인민예술가, 만수대예술단 실장 역임 | |
| 성동춘 (成東春) | 인민예술가 | |
| 조일룡 (趙日龍) | 인민예술가 |
6. 해외 공연
만수대예술단은 "세계 진보적 인민과의 친선을 증진"하기 위해 50여 개국에서 700회 이상 공연을 했다.[1] 특히, 혁명가극 《꽃 파는 처녀》는 해외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되었다. 고영희는 1970년대 만수대예술단 무용수로 활동하며 일본 공연에도 참가했다.[4]
7.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6 extraordinary facts about music in North Korea; There's an opera character on a North Korean bank note
https://www.bbc.co.u[...]
2018-01-24
[2]
서적
Kim Jong-il's Leadership of North Korea
Routledge
[3]
웹사이트
North Korea - Postage stamps - 1973 - Mansudae Art Troupe Dances
https://www.stampwor[...]
2018-01-30
[4]
서적
North Korea Under Kim Chong-il: Power, Politics, and Prospects for Change
Praeger
[5]
뉴스
North Korea rings in new year with midnight concert, drone show
https://www.nknews.o[...]
NK News
2019-01-01
[6]
서적
North Korea Handbook
Yonhap News Agency
[7]
뉴스
Will this North Korean band bring hits like 'Our Comrade Kim Jong Un' to South Korea?
https://www.washingt[...]
2018-01-17
[8]
웹사이트
Why is North Korea sending the Samjiyon Orchestra to the Olympics?
http://www.dailynk.c[...]
2018-01-18
[9]
웹사이트
Meet Hyon Song Wol, North Korea's Pop Star Turned Diplomat
https://time.com/511[...]
2018-01-25
[10]
뉴스
N Korea to send orchestra to Olympics
https://www.bbc.co.u[...]
2018-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