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하수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하수관현악단은 2009년 김정일의 지시로 창단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현악단이다. 2012년 프랑스 파리에서 해외 공연을 개최하고 김일성 훈장을 받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2013년 7월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팝스 오케스트라 형태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했으며, 밴드 악기와 민족 악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2013년 해체 이후 일부 단원들의 처형설이 제기되었으나, 사실 여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현악단 - 삼지연관현악단
    삼지연관현악단은 만수대예술단 기악중주조를 모체로 2009년 창설된 북한의 관현악단이며,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확대 개편되어 클래식, 팝스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하며 남북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현악단 - 윤이상관현악단
    윤이상관현악단은 1990년 김일진에 의해 창단된 북한의 관현악단으로, 윤이상음악연구소 부속 관현악단으로 시작하여 윤이상음악당 상주 악단이 되었으며, 다양한 레퍼토리 연주와 해외 공연, 음반 발매 등의 활동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 삼지연관현악단
    삼지연관현악단은 만수대예술단 기악중주조를 모체로 2009년 창설된 북한의 관현악단이며,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확대 개편되어 클래식, 팝스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연주하며 남북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 배합관현악
    배합관현악은 북한에서 개발된 연주법으로, 북한 개량 악기와 서양 악기를 함께 사용하여 연주하며, 전면 배합, 부분 배합, 특수 배합 관현악 등으로 나뉜다.
  •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1988년 결성된 미국의 힙합 그룹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는 Q-Tip, Phife Dawg, Ali Shaheed Muhammad, Jarobi White로 구성되어 재즈 기반의 독창적인 음악과 사회적 메시지로 1990년대 힙합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롤링 스톤 500대 명반에 선정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음악적 업적을 남겼다.
  •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마이 케미컬 로맨스
    2001년 9·11 테러 이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얼터너티브 록, 이모, 팝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극적인 무대 연출, 그리고 LGBT 커뮤니티에서의 인기와 더불어 2006년 컨셉 앨범 《The Black Parade》의 성공으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해체 후 재결합하여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은하수관현악단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은하수관현악단
이름 (한자)銀河水管絃樂團
이름 (로마자 표기)Eunhasu Gwanhyeonakdan
이름 (영어)Unhasu Orchestra
활동 정보
활동 기간2009년 - 2013년
장르클래식 음악
민요
한국 전통 음악
관련 인물
관련 인물김정일, 김정은

2. 역사

은하수관현악단은 2009년 5월 김정일의 지시로 창단되었으며,[23] 같은 해 9월 러시아 악단과의 합동 공연으로 활동을 시작했다.[24] 이후 공연 DVD 및 CD를 발매하고[27] 2011년에는 단원들에 대한 대규모 표창이 있었다.[25][26]

2012년 3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정명훈 지휘자와 협연하는 등 첫 해외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28][29] 같은 달 김일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2013년 4월에도 일부 단원에게 명예 칭호가 수여되었으나,[30] 같은 해 7월 27일 '조국해방전쟁승리 60주년 기념 음악회'를 마지막으로 공식 활동이 중단되었다. 이후 악단 해체 및 단원 총살설이 제기되었고,[31] 가수 현송월 관련 보도는 오보로 밝혀졌으나[32] 악단의 해체는 기정사실화되었다.

2. 1. 창단 배경 (2000년대 초중반 ~ 2009년 5월)

'은하수'라는 이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매체에서 2007년에서 2008년경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조선중앙텔레비전에서는 "은하수 음악"이라는 이름으로 화면 음악(뮤직비디오)을 방송했는데, 이는 보천보전자악단 산하 성악조 중 하나인 "은하수" 소속 가수가 부르고 보천보전자악단이나 조선국립교향악단이 연주한 것이었다. 은하수관현악단의 초기 주요 여성 가수 중에는 이 성악조 "은하수" 출신이 많았다.

이후 2008년경부터 '은하수'는 여성 중창단의 이름으로 북한 언론에 오르내리기 시작했는데, 이 중창단은 2000년대 중반 잠시 활동했던 국가중주단의 단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국가중주단과 은하수관현악단 사이의 정확한 관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자료 공개 부족으로 확인하기 어렵지만, 국가중주단의 남은 단원들을 중심으로 기악 반주를 담당할 관현악단을 별도로 조직하여 창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창단 및 초기 활동 (2009년 5월 ~ 2011년)

2009년 5월, 당시 조선로동당 총비서였던 김정일의 지시로 창단되었다.[23] 같은 해 9월에는 러시아의 21세기 관현악단러시아 국립 아카데미 합창단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만수대예술극장에서 합동 공연을 개최했다.[24] 이 공연의 녹화 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 1월부터 목란비데오에서 DVD를 발매하기 시작했으며, 2011년 1월부터는 공연 실황 녹음 자료들을 CD로도 발매하고 있다.

2011년 7월 28일에는 은하수관현악단의 창작가, 예술인, 공연 보장성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표창 수여식이 있었다. 주요 표창 내역은 다음과 같다.[25][26]

표창 종류수여자
김일성장조일 (단장)
김일성 시계표창리춘일, 장무길, 윤두근, 차영도, 리송일, 박영호, 강재영 (7명)
김정일 표창장백승란, 김경희, 박금희, 림송희, 김승립, 오영재, 김형찬, 김유철, 서경택, 윤태건, 문시훈 (11명)
김일성 청년영예상김향, 김수향, 김은성, 리진혁 (4명)
인민예술가 칭호박광철, 김해성, 우정희, 한상렬 (4명)
인민배우 칭호서은향, 황은미, 문경진 (3명)
공훈예술가 칭호류우현, 리명일, 윤범주, 전민철, 정춘일, 리명남, 장정애, 조형래, 오승혁, 최태식, 최남일 (11명)
공훈배우 칭호문명삼, 로은별, 장영옥, 유원철, 김영범, 전영수, 정선영, 박인옥, 김철령, 리옥화 (10명)
기타 훈장 및 메달국기훈장 제1급, 노력훈장, 국기훈장 제2급, 국기훈장 제3급, 공로메달 등이 일꾼, 창작가, 예술인, 근로자들에게 수여됨


2. 3. 해외 공연 및 전성기 (2012년)

2012년 3월 14일, 프랑스 파리의 살르 플레옐에서 첫 해외 공연을 개최했다.[28] 이 공연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부에서는 윤범주와 리명일의 지휘로 '그네타는 처녀'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작곡 네 곡과 카미유 생상스의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문경진 협연)를 연주했다. 2부에서는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인 정명훈이 지휘를 맡아,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합동으로 요하네스 브람스교향곡 1번 (브람스)을 연주했다.[29][2][3] 범 한민족 민요인 '아리랑'도 연주되었다.[2][3] 이 공연은 프랑스독일의 합자 방송사인 Arte|아르테mul와 Cité de la Musique|시테 드 라 뮈지크fra인터넷 스트리밍으로 생중계되었다.[28]

같은 해 3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정령으로 은하수관현악단에 김일성 훈장을 수여했다.

음반 활동도 활발히 이어가, 2012년 6월까지 총 13종의 DVD와 14종의 CD를 발매했다.[27]

2. 4. 단원 표창 및 마지막 공연 (2013년)

2013년 4월 8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성악배우 장영옥과 연주가 유원철에게 인민배우 칭호가 수여되었고, 연주가 조옥주, 남은하, 김수명, 김형일, 리정희에게는 공훈배우 칭호가 각각 수여되었다.[30]

같은 해 7월 27일,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조국해방전쟁승리 60주년 7.27 경축음악회'는 은하수관현악단의 마지막 공식 공연이 되었다. 이 공연 이후 별도의 공식적인 설명 없이 은하수관현악단이라는 이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으며, 악단은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여겨진다. 악장 문경진, 제1바이올린 정선영 등 일부 단원들의 모습은 이후 무대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다른 단원들은 여러 음악 단체로 흩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듬해인 8월에는 악단장 문경진 및 가수 현송월 등이 음란물 제작 및 유포 혐의로 공개 총살되었다는 한국 언론의 보도가 있었으나[31], 현송월과 관련된 내용은 이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3년 10월에는 악단 명의의 마지막 작품으로 알려진 노래 "조국찬가"가 발표되었다.

2. 5. 악단 해체 논란과 진실 (2013년 8월 ~ 현재)

2013년 7월 27일, 평양 류경 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조국해방전쟁승리 60주년 7.27 경축음악회'는 은하수관현악단의 공식적인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 이 공연 이후 은하수관현악단이라는 이름은 공식 석상에서 사라졌으며, 악단이 해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악장이었던 문경진과 제1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정선영 등 일부 단원들은 2017년 12월까지도 무대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다른 단원들은 여러 음악 단체로 흩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 8월 29일, 조선일보는 익명의 중국 소식통을 인용하여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은하수관현악단과 왕재산 경음악단, 모란봉악단의 핵심 단원들이 음란물 제작 및 판매 혐의로 총살되었다고 보도했다.[31][9] 처형된 인물 중에는 바이올리니스트 문경진과 가수 현송월 등이 포함되었다고 언급되었으며, 이 보도로 인해 은하수관현악단이 해산되었다고 전해졌다.[9] 음악 저널리스트 노먼 레브레히트는 처형된 단원들을 악장 문경진과 정선영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10]

그러나 이러한 보도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되었다. 북한 전문 웹사이트 NK 뉴스의 채드 오캐롤은 ''비즈니스 인사이더''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경우 정보원이 한국인이며, 그들은 진실을 왜곡하거나 때때로 꾸며낼 의도가 있다"고 지적하며 보도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1] 서울 연세대학교의 존 델러리 교수 또한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한 이야기는 더 선정적일수록 잘 팔리며, 언론의 일반적인 기준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신중한 접근을 요구했다.[12] 조선친선협회 회장 알레한드로 카오 데 베노스는 해당 보도가 거짓이며 2013년 9월 9일에 오케스트라가 공연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나,[15] 실제로 은하수관현악단은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일 기념행사에 불참했고, 대신 조선인민군 내무군 협주단이 공연하면서 단원들의 신변에 대한 의혹은 더욱 커졌다.[16]

2013년 10월 8일, 당시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원장이었던 남재준은 국정감사에서 "은하수관현악단 단원 10여 명이 스캔들에 연루되어 처형된 것으로 안다"고 밝혀 처형설에 무게를 실었다.[17] 같은 달, 북한 라디오 방송에서 은하수관현악단의 연주가 방송되기도 했으나[18], 이것이 악단의 공식적인 활동 재개를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했다.

논란의 중심에 있던 인물 중 한 명인 현송월은 2014년 5월 제9차 전국예술인대회에 건재한 모습으로 등장하여 총살설이 오보였음이 최종 확인되었다.[32][13][14] 당시 현송월은 인민군 군복을 입고 있었으며, '륙군대좌'(대령) 계급장을 달고 있어 상당한 고위직으로 승진했음이 확인되었다.[32]

그러나 문경진을 비롯한 다른 단원들의 처형설은 여전히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남았다. 2015년에는 신경민 당시 국회의원이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보고받은 내용을 공개하면서 또 다른 처형설이 제기되었다.[19] 국정원에 따르면, 2015년 3월 은하수관현악단의 핵심 간부 4명이 대한민국을 위한 간첩 혐의로 처형되었으며, 여기에는 재일 조선총련 출신으로 러시아에서 유학한 60대 후반의 악단 단장(작곡가 겸 프로듀서)도 포함되었다. 이들은 평양에서 예술계 인사 400~500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옷이 벗겨진 채 총살되었으며, 이러한 처형 방식의 잔혹성과 처형된 이들의 가족이 연좌제를 면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었다고 보고되었다.[20]

악단 해체 이후, 남은 단원들은 공훈국가합창단, 청봉악단 등 다른 북한의 주요 예술 단체로 흡수되거나 흩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3. 특징

은하수관현악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다른 관현악단과는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악단 규모는 윤이상관현악단과 비슷한 중편성이지만, 현악기 파트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가장 큰 특징은 악기 편성에 있다. 일반적인 서양식 관현악단 구성에 더해 드럼,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신시사이저와 같은 밴드 악기와 색소폰 파트(알토-테너-바리톤)를 정식으로 포함시켰다. 초기에는 서양 악기 위주였으나, 2011년 이후에는 소해금, 가야금, 장새납, 대금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개량한 민족 악기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서양 악기와 민족 악기가 조화를 이루는 혼합 편성을 추구했다.[33][34]

연주 스타일 면에서는 서구의 팝스 오케스트라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때때로 색소폰 주자들이 전면에 나서 빅 밴드 재즈 풍의 연주를 선보이기도 했다. 재즈, 블루스, 록과 같은 서구 대중음악 요소를 일부 수용한 것은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서는 상당히 이례적인 시도로 평가되며, 이는 주민들의 높아진 문화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3. 1. 악단 규모 및 편성

악단의 규모는 현악기 파트의 수가 비교적 적어 윤이상관현악단과 비슷한 중편성 정도로 평가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다른 서양식 관현악단과 달리 드럼,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신시사이저와 같은 소위 '밴드 악기'와 색소폰(알토-테너-바리톤)이 정식으로 편성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초기에는 주로 서양 악기 위주로 편성되었으나, 2011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개량한 민족 악기인 소해금, 가야금, 장새납, 대금 등이 더해지면서 서양 악기와 민족 악기가 거의 대등한 비율로 편성되었다. 색소폰의 경우, 초기에는 알토 3명, 테너 2명, 바리톤 1명으로 구성된 6인조의 대규모 편성이었으나, 이후 3명으로 축소되었다.[33][34]

3. 2. 연주 스타일

은하수관현악단은 외부 세계의 '팝스 오케스트라'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악단 규모는 현악기 파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어 윤이상관현악단과 비슷한 중편성 정도로 평가된다. 하지만 다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서양식 관현악단과 달리, 드럼, 일렉트릭 기타, 일렉트릭 베이스, 신시사이저와 같은 밴드 악기와 색소폰 파트(알토-테너-바리톤)가 정식으로 편성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초기에는 서양 악기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나, 2011년 이후 소해금, 가야금, 장새납, 대금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개량한 민족 악기들이 더해지면서 서양 악기와 민족 악기가 거의 대등한 비율을 이루게 되었다. 색소폰 파트 역시 초기에는 알토 3명, 테너 2명, 바리톤 1명으로 구성된 6인조의 대규모 편제였으나, 이후 3명으로 축소되었다.[33][34]

연주하는 음악의 장르는 매우 다양하여 민요, 서양 클래식, 북한 창작곡 등을 아우른다. 특히 색소폰 주자들은 때때로 악단 전면에 나서 빅 밴드 재즈 풍의 연주를 선보이기도 했다. 재즈블루스, 록과 같은 서구 대중음악은 북한 체제에서 '인민의 건전한 정신을 좀먹는 마약'으로 비판받아 왔기에, 이러한 연주 스타일은 상당히 이례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이는 주민들의 높아진 문화적 요구를 수용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4. 구성원

'은하수'라는 이름은 2008년경 여성 중창단의 이름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론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중창단은 2000년대 중반 잠시 활동했던 국가중주단의 단원들로 구성되었다. 은하수관현악단은 이 국가중주단의 잔존 단원을 중심으로 기악 연주자들을 보강하여 창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공식적인 자료를 내놓지 않아 국가중주단과 은하수관현악단 사이의 정확한 관계는 확인하기 어렵다.

단원들은 주로 어린 시절부터 조기 영재교육을 받고 평양음악대학을 비롯한 북한 각지의 음악 교육 기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젊은 연주자들 위주로 선발되었다고 한다. 북한 유일의 음악 경연대회인 2.16 예술상을 비롯한 국내외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특전으로 해외 유학을 다녀온 연주자들도 배속되었으며, 조선국립교향악단이나 윤이상관현악단 등 기존 악단에서 연주 경험을 쌓은 젊은 연주자들도 일부 재배치되어 합류했다. 윤이상관현악단과 마찬가지로 남녀 혼합 편성으로 구성되었으나, 단원 선발 시 외모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단의 수석 지휘자는 리명일이었으며, 이외에도 여러 부지휘자 및 객원 지휘자가 활동했다.[35] 악장(콘서트마스터) 문경진[36]과 드럼 연주자 리진혁 등 국제 콩쿠르 수상 경력이나 뛰어난 연주 실력으로 주목받은 단원들도 있었다. 2013년 악단 해체 이후 남은 단원들은 공훈국가합창단, 청봉악단 등 여러 예술단으로 흩어졌다.

악단의 지휘, 주요 연주자 및 가수, 해체 이후 단원들의 구체적인 행보 등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4. 1. 지휘자

수석 지휘자는 평양음악대학을 피아노 전공으로 졸업하고 모교 관현악단에서 지휘 경험을 쌓은 뒤 오스트리아에서 유학한 리명일이 맡고 있다. 이외에 전민철, 윤범주, 김충일 등이 부수석 혹은 객원으로 지휘를 분담하고 있었는데, 2011년 이후로는 다른 지휘자 없이 리명일과 윤범주 2인 체제로 공연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5]

은하수관현악단 주요 지휘자
직책이름비고
수석 지휘자리명일평양음악대학 피아노 전공, 오스트리아 유학
부수석/객원 지휘자전민철2011년 이전 활동 추정
부수석/객원 지휘자윤범주2011년 이후 리명일과 2인 체제 유지
부수석/객원 지휘자김충일2011년 이전 활동 추정


4. 2. 단원

단원들은 주로 어린 시절부터 조기 영재교육을 받고 평양음악대학을 비롯한 북한 각지의 음악 교육 기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경력이 있는 젊은 연주자들 위주로 선발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음악 엘리트 집단으로 평가받는다.

북한 유일의 음악 경연대회인 2.16 예술상을 비롯한 국내외 콩쿠르에서 입상하고, 특전으로 해외 유학을 다녀온 연주자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조선국립교향악단이나 윤이상관현악단 등 기존 악단에서 연주 경험을 쌓은 젊은 연주자들 일부가 재배치되어 합류하기도 했다.

윤이상관현악단과 마찬가지로 남녀 혼합 편성으로 구성되었으나, 단원 선발 시 외모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3. 주요 연주자

은하수관현악단의 주요 연주자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알려져 있다.

주요 연주자
이름역할비고
문경진악장 (바이올린)2005년 카네티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36] 2013년 8월 숙청된 것으로 알려졌다.[9][10]
리진혁드럼2000년 평양학생소년예술단의 첫 남한 공연 당시 다양한 타악기를 능숙하게 연주하여 화제가 되었다.
리설주가수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부인이다.[6][7]
정선영바이올린2013년 8월 문경진과 함께 숙청된 단원으로 언급되었다.[10]



악장 문경진의 숙청을 포함한 단원들의 처형설은 2013년 8월 조선일보 보도를 통해 처음 제기되었으며,[9] 이후 대한민국 국가정보원도 일부 단원들의 처형 사실을 확인하였다.[17] 가수 현송월 역시 처형설에 포함되었으나,[9]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3][14]

4. 4. 악단 해체 이후 주요 단원들의 행보

2013년 악단 해체 이후 남은 단원들은 공훈국가합창단, 청봉악단, 만수대예술단 등 여러 예술단으로 흩어졌다. 악단의 악장이었던 바이올리니스트 문경진을 포함한 일부 단원들은 처형되었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다.[9][10][17]

해체 이후 주요 단원들의 행보는 다음과 같다.

악기이름이동 및 활동 내역
바이올린김수명2015년 창단된 청봉악단의 악장 겸 제1바이올린 주자로 활동.
백현희청봉악단 현악기 파트에서 활동.
박명진청봉악단 현악기 파트에서 활동.
서국성청봉악단 현악기 파트에서 활동.
피아노여심청봉악단에서 활동.
색소폰황승철청봉악단에서 2015년~2016년 활동 후 공훈국가합창단으로 이동.
트럼펫김철준청봉악단에서 2015년~2016년 활동 후 공훈국가합창단으로 이동.


4. 5. 주요 가수

은하수관현악단 공연에는 많은 가수가 출연했지만, 전속 가수인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아래는 은하수관현악단 공연에서 특히 활약한 주요 가수들의 목록이다.

'''여성 가수'''

이름칭호/특징소속 (은하수 활동 당시 및 현재)비고 (대표곡 등)
리향숙인민배우, 소프라노만수대예술단 → 국가중주단 → 은하수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성악학부장
황은미인민배우, 소프라노은하수 → 공훈국가합창단독창 대표곡: "한마음 따르렵니다"
서은향인민배우, 소프라노은하수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평양 제2음악학원 성악 교원
장영옥인민배우, 소프라노은하수 → 피바다가극단독창 대표곡: "나가자 조선아 병진 앞으로"
백미영인민배우, 소프라노국가중주단 → 은하수 → 공훈국가합창단
로은별공훈배우, 소프라노은하수
함금주소프라노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 은하수 → 공훈국가합창단
김명신메조소프라노은하수 → 피바다가극단
김향소프라노은하수 → 피바다가극단
박금희소프라노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김경희소프라노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리정화소프라노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장송미소프라노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남성 가수'''

이름칭호/특징소속 (은하수 활동 당시 및 현재)비고 (대표곡 등)
문명삼공훈배우, 베이스은하수 → 피바다가극단
김웅삼테너은하수 → 만수대예술단독창 대표곡: "우리 집사람"
리춘일테너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리금혁테너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김유철바리톤피바다가극단 → 은하수
남원철바리톤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 → 은하수 → 만수대예술단
김용재바리톤은하수 →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독창 대표곡: "설날"
김경호바리톤공훈국가합창단 소속 독창가수이자 인민배우인 김기영의 아들. 포르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총살되었다고 전해진다.[9]
강경훈바리톤은하수 → 공훈국가합창단
김태룡테너은하수 → 공훈국가합창단



'''기타 출연자'''

5. 상주 공연장

2011년 7월 16일 평양에 악단의 상주 공연장인 은하수극장이 완공되었고, 김정일김정은이 개관 기념 음악회를 관람했다.[37] 하지만 극장 규모가 작은 편이라서 대규모 청중을 동원하는 음악회의 경우 평양대극장, 동평양대극장, 만수대예술극장, 인민극장, 류경정주영체육관 같은 평양 시내의 대형 공연장이나 평양체육관에서 개최하기도 한다. 이외에 2012년 신년음악회처럼 특별한 경우에는 자강도 희천시함경남도 함흥시 등 지방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6. 공연 영상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은하수관현악단의 연주 영상을 찾아볼 수 있다. 주로 대한민국 내에서도 비교적 정치적 민감성이 덜한 민요 편곡, 서양 고전 음악, 만화 영화 주제가, 서양 성악곡, 일부 북한 창작곡 등의 연주 장면이 공유되고 있다.

6. 1. 민요 편곡

경상도 민요인 '옹헤야'를 색소폰 6중주가 독주로 나오는 빅 밴드 재즈 스타일로 편곡하여 연주했다. 민요 편곡답게 꽹과리와 같은 민족악기를 사용하는 배합관현악 식 빅 밴드 재즈 편곡 형태를 보여준다. 색소폰 연주는 리철훈, 송용국, 김형일, 황승철, 리웅, 김성국이 맡았고, 지휘는 리명일이 담당했다.

민요 '닐리리야'는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편곡되었다. 2012년 3월 파리 공연 실황에서 연주되었으며, 당시 악단 악장이었던 문경진바이올린 독주를 맡았다.

최성환 편곡의 민요 '아리랑'을 주제로 한 환상곡도 연주했다. 이는 북한에서 유명한 최성환 편곡의 아리랑 환상곡을 축약하거나 재편곡한 것으로 보인다. 2012년 3월 14일, 정명훈의 지휘 아래 은하수관현악단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이 프랑스 파리의 플레이엘 홀에서 합동으로 연주한 곡 중 하나이다.[2][3]

6. 2. 서양 명곡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순수 서양 클래식 작품 연주이다. 2012년 3월 프랑스 파리 공연 실황이며, 독주는 악단 악장인 문경진이, 지휘는 리명일이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8Z-5y16vITw (유튜브 영상)]

  • 즐거운 명절환상곡
    한국에도 잘 알려진 명절환상곡으로, 러시아인 지휘자가 지휘를 맡았다. [https://www.youtube.com/embed/UTOzvD0QNdU (유튜브 영상)]

6. 3. 만화영화 주제가 편곡

어린이를 위한 만화영화 주제가 모음어린이를 위한 만화 영화 주제가를 모아 편곡한 곡이다. 연주 영상에는 해당 만화 영화의 장면들이 함께 나온다. 지휘는 윤범주가 맡았다.

6. 4. 서양 성악곡

한국에도 잘 알려진 서양 성악곡 중 하나인 푸니쿨리 푸니쿨라를 연주했다. 영상 보기 지휘는 리명일이 맡았고, 테너 정영욱, 김옹삼과 소프라노 서은향, 리금희가 참여했다.

6. 5. 북한 창작곡

8. 청산벌에 풍년이 왔네

김영규 편곡의 청산벌에 풍년이 왔네를 3분 이내로 단축하여 연주한 버전이다. 이 곡은 대한민국에서도 자주 무대에 오르는 곡 중 하나이며, 조선국립교향악단의 필수 레퍼토리이기도 하다. 지휘는 리명일이 맡았다.

9. 남성독창과 합창 동해의 달밤

남성 독창과 합창으로 구성된 곡이다. 2000년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서울 공연 레퍼토리에 공훈배우 허광숙의 독창으로 포함되었던 곡이며, 은하수관현악단 연주에서는 김유철이 독창을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Pyongyang theatre guide, North Korea https://www.koreakon[...] 2024-11-12
[2] 웹사이트 Unhasu Orchestra And Radio France Philharmonic Prepare For Major Paris Concert http://www.huffingto[...] 2012-03-13
[3] 웹사이트 Unhasu Orchestra play with Radio France Philharmonic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3-15
[4] 웹사이트 The Sea of Blood Opera Show: A History of North Korea's Musical Diplomac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3-19
[5] 웹사이트 Unhasu Orchestra in Paris http://www.nkeconwat[...] North Korea Economy Watch
[6] 웹사이트 Kim Jong Un's wife shined before marriage as a singer https://web.archive.[...] Asahi Shimbun Weekly 2012-09-07
[7] 웹사이트 Kim Jong-un Is Trying To Erase His Wife's Popstar Past http://www.businessi[...] Business Weekly 2012-09-21
[8] 웹사이트 Behind the Break-up of Unhasu Orchestra https://www.youtube.[...] 2023-04-06
[9] 뉴스 Kim Jong-un's Ex-Girlfriend 'Shot by Firing Squad' http://english.chosu[...] 2013-08-29
[10] 웹사이트 Dreadful news: Concertmasters executed in North Korea https://web.archive.[...] Arts Journal 2013-08-29
[11] 뉴스 Why You Shouldn't Necessarily Trust Those Reports Of Kim Jong-un Executing His Ex-Girlfriend http://www.businessi[...] 2013-08-29
[12] 뉴스 North Korea criticises 'reptile media' for saying Kim Jong-un ordered executions https://www.theguard[...] 2013-09-23
[13] 뉴스 'Executed' singer alive and well, Pyongyang TV shows https://au.news.yaho[...] 2014-05-16
[14] 웹사이트 North Korean singer "executed by firing squad" shows up alive and well in Pyongyang http://www.nknews.or[...] NK News 2014-05-16
[15] 웹사이트 Twitter: Tweet by @DPRK_CAODEBENOS https://twitter.com/[...] 2013-08-30
[16] 웹사이트 Executed concertmasters' orchestra fails to appear on North Korean national day https://web.archive.[...] Arts Journal 2013-09-12
[17] 웹사이트 NORTH KOREA NEWSLETTER NO. 282 (October 10, 2013)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3-10-10
[18] 웹사이트 North Korean singer rumoured to have been executed appears on TV https://www.theguard[...] 2014-05-17
[19] 웹사이트 NIS: 'Kim Jong Eun Has Executed 15 Officials This Year' http://www.dailynk.c[...] 2015-04-30
[20] 웹사이트 North Korean Art Troupe Leader, 3 Others Publicly Executed in Pyongyang http://www.rfa.org/e[...] 2015-04-29
[21] 웹사이트 프랑스에 강한 인상 남긴 北 은하수 관현악단은? https://m.nocutnews.[...] 2012-03-16
[22] 논문 2010년대 북한 중앙음악단체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 - 배인교 https://www.gugak.go[...] 국악원 논문집 2015
[23] 뉴스 北로켓발사 광명성·은하 명칭 의미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4] 뉴스 북한 金씨 일가의 대 이은 '음악단' 사랑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5] 뉴스 프랑스에 강한 인상 남긴 北 은하수 관현악단은? http://m.nocutnews.c[...] 노컷뉴스
[26] 웹사이트 은하수관현악단 창작가,예술인들과 공연보장성원들에 대한 표창식 진행 http://paekdu-hanna.[...] paekdu-hanna.com
[27] 문서 물론 예술단의 공연 활동과 음반과 영상물 제작을 모두 국가에서 통제하고 있는 북한의 실정 상 이렇게 악단 이름을 내건 영상물과 음반이 나오는 것이 드문 사례는 아니지만, 창단된 지 2~3년 밖에 안된 예술 단체가 이렇게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무하기 때문에 북한에서 이 악단을 얼마나 정책적으로 밀어주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다.
[28] 뉴스 파리에 울려퍼진 남북의 아리랑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9] 뉴스 북한 관현악단, 정명훈 지휘로 파리서 감동의 무대 http://news.jtbc.joi[...] jtbc 뉴스
[30] 뉴스 北 태양절 맞아 은하수관현악단 예술인들에 명예칭호 수여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31] 뉴스 김정은 옛 애인(보천보 전자악단 소속 가수 현송월) 등 10여명, 음란물 찍어 총살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32] 뉴스 北 전국예술인대회 개막…김정은 찬양 작품 독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33] 웹사이트 은하수에 흐르는 아름다운 선율 http://changesk.blog[...] 한호석/변혁과 진보
[34] 논문 2010년대 북한 중앙음악단체의 민족악기 편성 양상 https://www.gugak.go[...] 국악원논문집
[35] 뉴스 北 은하수관현악단의 쟁쟁한 음악재사들은?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36] 뉴스 문경진의 ‘코리안 피스(Korean Peace) 닐리리아’…한 예술가의 안타까운 죽음 http://vip.mk.co.kr/[...] 매일경제 2018-06-25
[37] 뉴스 김정일, 은하수극장 개관기념 음악회 관람 http://dailynk.com/k[...] 데일리N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