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 이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 이름은 만주족의 고유한 이름 체계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만주족은 씨족 이름(hala)과 개인 이름을 사용했으며, 개인 이름은 다양한 형태의 접미사, 숫자, 동물 이름 등을 포함하여 다채롭게 지어졌다. 청나라 시기에는 중국 한족의 영향을 받아 두 글자 한자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만주족 이름은 중국어 자료로 기록되면서 음역 과정에서 왜곡되거나, 한자식 이름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아 원래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족의 문화 - 변발
    변발은 중국어에서 유래된 땋은 머리를 의미하며, 청나라 시기 한족에게 강요되어 정치적 복종과 저항의 상징이 되었고, 중화민국 수립 이후 사라져 중국의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있다.
  • 만주족의 문화 - 삼궤구고두례
    삼궤구고두례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황제나 천신에게 행해지던 가장 숭고한 예절로, 청나라의 통치 권위 확립과 외교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서구 열강의 거부와 청나라 멸망 후 폐지되었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만주 이름
기본 정보
만주어 이름 (Giorca)ᡤᡳᡠᡵᡮᠠ
만주어 씨족 이름 (Niohuru Hala)ᠨᡳᠣᡥᡠᡵᡠ ᡥᠠᠯᠠ
만주어 분파 이름 (Jalafungga)ᠵᠠᠯᠠᡶᡠᠩᡤᠠ
만주어 씨족 이름 (Hala)ᡥᠠᠯᠠ
만주어 분파 이름 (Mukūn)ᠮᡠᡴᡡᠨ
만주어 씨족 및 분파 이름 (Hala Mukūn)ᡥᠠᠯᠠ ᠮᡠᡴᡡᠨ
인물 정보
마지막 황제푸이 (溥儀, Pu-I)
푸이의 아버지순친왕 재풍 (載灃, Pu-Giye)
아이신 교로 씨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ᡦᡠ

2. 청 황실

'''아이신 교로'''(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Aisin Gioromnc)는[19] 무쿤과 하라의 연칭으로, 아이신(Aisin, 愛新)은 무쿤이요, 교로(Gioro, 覺羅)는 하라이다.[20] 한자로는 애신각라(愛新覺羅)라고 한다. 애신각라라는 한자는 발음을 표기할 수 없는 한자의 특성 때문에 비슷한 음을 가져다 쓴 것인데 이런 표기 방법을 ‘음차(音借)’라고 한다.

청 제국의 제도에 따라 누르가치의 부친 탁시의 직계자손을 욱순(宗室, ᡠᡴᠰᡠᠨ|Uksunmnc)이라 하여 허리에 황금색 띠를 매었으며, 나중에 세간에서 '''황대자'''(黃帶子, ᡥᠠᡴ᠋ᠰᠠᠨ
ᡠᠮ‍ᡳᠶᡝᠰᡠᠨ|Haksan Umiyesunmnc)로 불렸다. 탁시의 백·숙·형·제의 후예들은 교로(覺羅, ᡤᡳᠣᡵᠣ|Gioromnc)라고 해서 홍색 띠를 매었으며 나중에 세간에서 '''홍대자'''(紅帶子, ᡶᡠᠯᡤᡳᠶᠠᠨ
ᡠᠮ‍ᡳᠶᡝᠰᡠᠨ|Fulgiyan Umiyesunmnc)로 불렸다. 그들의 족적(族籍)은 종인부(宗人府, ᡠᡴᠰᡠᠨ
ᠪᡝ
ᡣᠠᡩᠠᠯᠠᠷᠠ
ᠶᠠᠮᡠᠨ|Uksun-be Kadalara Yamunmnc)에서 관장하였고 족인들은 《옥첩(玉牒, ᡥᠠᠨ

ᡠᡴᡠᠨ

ᡝᡷᡝᡥᡝmnc|Han-i Uksun-i Ejehe}})》에 등록되어, 모두가 정치·경제상의 일정한 특권을 누렸으나, 청 제국이 망한 뒤에는 이런 특권이 폐지되었다.[22] 19세기 말 아이신 교로 일족은 3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그 자체가 대규모이자 고도로 관료화된 조직이 되었다. 국가는 특정한 범죄행위로 처벌받은 사람들은 종족에서 축출하라고 요구했고, 과도한 방계 친척을 잘라냄으로써 종족의 승인을 제한하는 법률을 계속해서 제정했었다.[23]

아이신 교로 하라 외에 교로 하라로는 이르건 교로(Irgen Gioro, 伊爾根覺羅)·슈슈 교로(Šušu Gioro, 舒舒覺羅)·아얀 교로(Ayan Gioro, 阿顔覺羅)·후러 교로(Hule Gioro, 呼倫覺羅)·갸무후 교로(Giyamuhu Giolo, 嘉穆瑚覺羅)·후룬 교로(Hūlun Gioro, 呼伦覺羅)·통얀 교로(Tongyan Gioro, 通颜覺羅)·아하 교로(Aha Gioro, 阿哈覺羅)·차라 교로(Cala Giolo, 察喇覺羅)·시린 교로(Sirin Gioro, 西林覺羅) 등이 있다.

2. 1. 유사역사학적 주장

유사역사학에서는 애신각라(愛新覺羅)라는 한자 안에서 신라를 찾아내어서는 한자를 자기들 마음대로 해체해서 ‘신라를 잊지 않고 사랑하겠다’는 뜻이라고 주장한다.[21]

3. 청 8대성

만주족에 특히 많았던 8대성은 다음과 같다.

만주어한자신해혁명 이후 변화
나라 (Nara hala)那拉나(那)
퉁갸 (Tunggiya Hala)佟佳동(佟)
구왈갸 (Gūwalgiya)瓜爾佳관(關)
마갸 (Magiya)馬爾佳마(馬)
소초로 (Socoro)索綽羅색(索)
치갸 (Cigiya)齊佳제(齊)
푸차 (Fuca hala)富察부(富)
뇨후루 (Niohuru hala)鈕祜祿랑(郞)


4. 만주족 이름

만주족 이름은 매우 다채롭게 지어졌으며, 같은 뜻의 이름이라도 소리를 조금씩 달리한 변이형이 많아 과거 문헌에 등장하는 여진-만주계 이름의 뜻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한 경우가 꽤 있다. 중국 쪽 자료는 대부분 한자로 기록되면서 소리값이 왜곡되거나, 중국식으로 이름이 변형, 축소된 경우가 많아 정확한 재구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나라 시절에는 중국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2음절의 한자어 이름도 등장했는데, 건륭제의 이름은 훙리(弘曆)였다.

만주족 이름은 씨족 이름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직함과 함께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동고 씨족 출신으로 만주족 정백기에 속해 준가르에 대항한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낸 Fiyanggū는 "Fiyanggū be"(영주 Fiyanggū)로 불렸다. 중국인이나 유럽인과 달리 성과 이름을 함께 부르지 않았다.

만주족 이름은 중국어 자료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종종 혼란스러운 방식으로 중국어로 음역된다. 때로는 만주족 이름의 첫 음절이 중국 성씨로 오인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투리선은 유명한 여행 기록을 쓴 만주족 관리였지만, "투 리셴"이라는 중국인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여진족과 만주족은 개인 이름에 키탄어 언어 및 문법 요소를 사용했다.[4] 많은 키탄 이름에는 "ju" 접미사가 있었다.[5]

Nikan(한족)은 만주족에게 흔한 이름이었다.[6] 니칸 와이란은 누르하치의 적이었던 여진족 지도자였다.[7][8][9] 니칸은 아이신 교로 왕자이자 누르하치의 손자 중 한 명으로 도르곤 공자를 지지했다.[10][11][12] 누르하치의 첫째 아들은 추옌이었으며, 그의 아들 중 한 명도 니칸이었다.[13]

4. 1. 이름의 종류

만주족 이름은 매우 다양하게 지어졌으며, 같은 뜻을 가진 이름이라도 소리가 조금씩 다른 변이형이 많아 과거 문헌에 등장하는 여진-만주계 이름의 뜻을 정확하게 밝혀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중국 쪽 자료는 대부분 한자로 기록되면서 소리값이 왜곡되거나, 중국식으로 이름이 변형, 축소된 경우가 많아 정확한 재구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나라 시기에는 중국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2음절의 한자어 이름도 등장했는데, 건륭제의 이름인 훙리(弘曆)가 그 예이다.

만주족 이름은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를 띤다.

  • "-ngga", "-ngge", "-nggo" 접미사가 붙는 형태: "~의 속성을 가진"이라는 의미이다.[1]
  • "-tai" 또는 "-tu" 접미사가 붙는 형태: "가진"이라는 의미이다.[2][3]
  • "-ju", "-boo" 접미사가 붙는 형태[2]
  • 숫자: 예시로 Nadanju (만주어로 70), Susai (만주어로 5), Liošici (67, 중국어 동음이의어), Bašinu (85, 중국어 동음이의어) 등이 있다.[2][3]
  • 동물 이름: 도르곤(오소리), Arsalan(사자) 등이 있다.[1][2]


만주족 이름은 씨족 이름 없이 단독으로, 또는 직함과 함께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동고 씨족 출신으로 만주족 정백기 소속으로 준가르와의 전투에서 활약한 Fiyanggū는 "Fiyanggū be"(영주 Fiyanggū)로 불렸다. 중국인이나 유럽인과는 달리 성과 이름을 함께 부르지 않아 동고 Fiyanggū 또는 Fiyanggū 동고와 같이 부르지 않았다. 아이신 교로 울히춘과 같은 예도 있지만, 이는 매우 현대적인 관행이다. 씨족 이름을 명시할 때는 "동고 할라-이 Fiyanggū"(동고 씨족의 Fiyanggū)와 같이 말했다.

만주족은 매우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그 의미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부 학자들은 만주족 이름을 분류하려 시도했다. 에리히 헤니쉬는 동물을 포함한 16개 범주(Eje: 황소, Yelu: 멧돼지), 식물(Fodo: 버드나무, Maca: 마늘), 속성(Ayan: 큰, Bayan: 부유한, Niowanggiyan: 녹색) 등으로 분류했다. 첸 지에시엔은 만주족 이름을 7개의 주요 범주로 나누었지만, 두 분류 모두에 포함되지 않는 이름도 많다.

일부 만주족 이름은 다른 이름의 부분적인 음성 변화로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 씨족 형제들의 이름은 나이에 따라 Ulušun, Hūlušun, Ilušun, Delušun, Fulušun, Jalušun으로 첫 음절만 바뀌었다. 또 다른 예는 누르하치와 그의 형제들인 Šurgaci, Murhaci이다.

다른 비중국어 용어와 마찬가지로, 만주족 이름은 중국어 자료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종종 혼란스러운 방식으로 중국어로 음역된다. 중국어 음역에서 원래 만주족 철자를 재구성하기는 어렵다. 때로는 만주족 이름의 첫 음절이 중국 성씨로 오인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투리선은 유명한 여행 기록을 쓴 만주족 관리였지만, "투 리셴"이라는 중국인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여진족과 만주족은 개인 이름에 키탄어 언어 및 문법 요소(예: 접미사)를 사용했다.[4] 많은 키탄 이름에는 "ju" 접미사가 있었다.[5]

Nikan(한족)은 만주족에게 흔한 이름이었다.[6] 니칸 와이란은 누르하치의 적이었던 여진족 지도자였다.[7][8][9] 니칸은 아이신 교로 왕자이자 누르하치의 손자 중 한 명으로 도르곤 공자를 지지했다.[10][11][12] 누르하치의 첫째 아들은 추옌이었고, 그의 아들 중 한 명도 니칸이었다.[13]

청나라 시대에 만주족은 점차 두 글자 중국식 이름(성은 아님)을 채택하고 만주어 음역을 사용했다. 만주 문자에서 높은 신분의 인물 이름은 두 음절 사이에 공백을 두고, 일반 백성들의 이름은 붙여 쓰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건륭제의 본명은 "훙 리"였으며, 이는 중국 이름 홍리(弘曆)에서 유래했다. 고유한 만주어 용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정 중국어 음의 조합으로 인해 음절 경계를 결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만주족은 유니코드에 "몽골 시베 음절 경계 표지"를 도입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시베 문자에서 공식화되었지만 만주 문헌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문자 A의 중간 형태 글리프로 표현되는 표지는 음절 경계에 배치되어 광잉(Guwang'ing)과 꽌징(Guwanging) 등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4. 2. 이름 사용 방식

만주족 이름은 매우 다양하게 지어졌으며, 같은 뜻을 가진 이름이라도 소리가 조금씩 다른 변형이 많아 과거 문헌에 등장하는 여진-만주계 이름의 뜻을 정확하게 밝혀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중국 쪽 자료는 한자로 기록되면서 소리값이 왜곡되거나, 중국식으로 이름이 변형, 축소된 경우가 많아 정확한 재구음을 밝혀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1]

만주족 이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진다.

  • "~의 속성을 가진"을 의미하는 "-ngga", "-ngge", "-nggo" 접미사가 붙는 형태[1]
  • "가진"을 의미하는 "-tai" 또는 "-tu" 접미사가 붙는 형태[2][3]
  • "-ju", "-boo" 접미사가 붙는 형태[2]
  • 숫자[2][3]
  • 동물 이름[1][2]


만주족 이름은 씨족 이름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직함과 함께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동고 씨족 출신으로 만주족 정백기에 속해 준가르에 대항한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낸 Fiyanggū는 "Fiyanggū be" (영주 Fiyanggū)로 불렸다. 중국인이나 유럽인과 달리 성과 이름을 함께 부르지 않았다. 씨족 이름을 명시할 때는 "동고 할라-이 Fiyanggū" (동고 씨족의 Fiyanggū)와 같이 말했다.

만주족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그 의미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부 학자들은 만주족 이름을 분류하려 시도했으나, 두 분류 모두에 포함되지 않는 이름이 많다.

일부 만주족 이름은 다른 이름의 부분적인 음성 변화로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 씨족 형제들의 이름은 나이에 따라 Ulušun, Hūlušun, Ilušun, Delušun, Fulušun 및 Jalušun으로 첫 음절만 변경되었다. 또 다른 예는 누르하치와 그의 형제들인 Šurgaci와 Murhaci이다.

만주족 이름은 중국어 자료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종종 혼란스러운 방식으로 중국어로 음역된다. 때로는 만주족 이름의 첫 음절이 중국 성씨로 잘못 해석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투리선은 유명한 여행 기록을 쓴 만주족 관리였으나, "투 리셴"이라는 중국인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여진족과 만주족은 개인 이름에 키탄어 언어 및 문법 요소를 사용하기도 했다.[4] 많은 키탄 이름에는 "ju" 접미사가 있었다.[5]

Nikan (한족)은 만주족에게 흔한 이름이었다.[6] 니칸 와이란은 누르하치의 적이었던 여진족 지도자였다.[7][8][9] 니칸은 아이신 교로 왕자이자 누르하치의 손자 중 한 명으로 도르곤 공자를 지지했다.[10][11][12] 누르하치의 첫째 아들은 추옌이었으며, 그의 아들 중 한 명이 니칸이었다.[13]

청나라 시대에 만주족은 점차 두 글자 중국식 이름(성은 아님)을 채택하고, 그들의 만주어 음역을 사용했다. 만주 문자에서 높은 신분의 인물의 이름 두 음절 사이에 공백을 두고 일반 백성들의 이름은 함께 붙여 쓰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륭제의 본명은 "훙 리"였으며, 이는 중국 이름 홍리(弘曆)에서 유래되었다.

4. 3. 이름의 음역 문제

만주족 이름은 다양하고 변이형이 많아, 과거 문헌에 등장하는 여진-만주계 이름의 정확한 뜻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중국 측 자료는 한자로 기록되면서 소리값이 왜곡되거나, 중국식으로 변형, 축소된 경우가 많아 정확한 재구음에 어려움을 겪는다.[1] 청나라 시대에는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2음절 한자 이름도 등장했는데, 건륭제의 이름인 훙리(弘曆)가 그 예이다.

다른 비중국어 용어와 마찬가지로, 만주족 이름은 중국어 자료에서 음역되면서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음역에서 원래 만주족 철자를 재구성하기는 어렵다. 때로는 만주족 이름의 첫 음절이 중국 성씨로 오인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투리선은 유명한 여행 기록을 쓴 만주족 관리였지만, "투 리셴"이라는 중국인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청나라 시대에 만주족은 점차 두 글자 중국식 이름(성은 아님)을 채택하고, 만주어 음역을 사용했다. 만주 문자에서 높은 신분의 인물 이름은 두 음절 사이에 공백을 두고, 일반 백성 이름은 붙여 쓰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건륭제의 본명은 "훙 리"였으며, 이는 중국 이름 홍리(弘曆)에서 유래했다. 고유한 만주어 용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정 중국어 음의 조합으로 인해 음절 경계를 결정하기 어려웠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주족은 유니코드에 "몽골 시베 음절 경계 표지"를 도입했다. 이는 시베 문자에서 공식화되었지만 만주 문헌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문자 A의 중간 형태 글리프로 표현되는 표지는 음절 경계에 배치되어 광잉(Guwang'ing)과 꽌징(Guwanging) 등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4. 4. 한자식 이름 채택

만주족은 청나라 시대에 한족 문화의 영향을 받아 두 글자 한자식 이름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건륭제의 이름인 훙리(弘曆)가 그 예시이다.[1] 만주 문자로 표기할 때, 신분이 높은 인물의 이름은 두 음절 사이에 공백을 두었지만, 일반 백성들의 이름은 붙여 쓰는 경향이 있었다.[1]

만주어 음절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유니코드에 "몽골 시베 음절 경계 표지"가 도입되기도 했다. 이 표지는 원래 시베 문자에서 사용되었지만, 만주 문헌에서도 발견된다. 이 표지를 통해 광잉(Guwang'ing)과 꽌징(Guwanging)과 같이 음절이 다른 단어를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1]

5. 만주족 씨족 이름

만주족은 몽골족처럼 이름으로만 불렸지만, '하라(hala)'라는 씨족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하라''는 족외혼의 단위인 여러 개의 ''무쿤(mukūn)''으로 구성되었다. ''무쿤''은 ''하라''와 달리 상응하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청나라 중·후반기부터 만주족은 점차 한족의 성씨를 채택했으며, 오늘날 전통적인 만주족 성씨를 가진 만주족은 극소수이다.

5. 1. 주요 씨족 이름

교로(Gioro, 覺羅)는 하라의 일종으로, 여러 갈래가 있다. 주요 씨족 이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22]

  • 아이신 교로(Aisin Gioro, 愛新覺羅)
  • 이르건 교로(Irgen Gioro, 伊爾根覺羅)
  • 슈슈 교로(Šušu Gioro, 舒舒覺羅)
  • 아얀 교로(Ayan Gioro, 阿顔覺羅)
  • 후러 교로(Hule Gioro, 呼倫覺羅)
  • 갸무후 교로(Giyamuhu Giolo, 嘉穆瑚覺羅)
  • 후룬 교로(Hūlun Gioro, 呼伦覺羅)
  • 통얀 교로(Tongyan Gioro, 通颜覺羅)
  • 아하 교로(Aha Gioro, 阿哈覺羅)
  • 차라 교로(Cala Giolo, 察喇覺羅)
  • 시린 교로(Sirin Gioro, 西林覺羅)


《팔기만주씨족통보》(八旗滿洲氏族通譜) 33쪽


18세기에 편찬된 《팔기만주씨족통보》에는 1,000개가 넘는 만주족 씨족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중 약 600개가 만주족의 것이다. 주요 씨족 중 하나인 기오로(Gioro)는 황족의 성씨인 아이신-기오로(Aisin-Gioro)와 구별하기 위해 이르건(Irgen), 시린(Silin), 슈슈(Šušu) 등 여러 변형을 가진 몇 안 되는 ''hala'' 중 하나이다. 청나라 중·후반기부터 만주족은 점차 한족의 성씨를 채택했고, 오늘날 전통적인 만주족 성씨를 가진 만주족은 극소수이다.

참조

[1] 간행물 2004
[2] 간행물 2001
[3] 간행물 2004
[4] 서적 Materials for a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With Introductory Remarks on Manchu Onoma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5] 서적 Materials for a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With Introductory Remarks on Manchu Onoma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6]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2-15
[8]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Fall of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77-01-01
[10]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11]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서적 Two Rulers in One Reign: Dorgon and Shun-chih, 1644-1660 https://books.google[...] Faculty of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9-01-01
[13] 서적 Serie orientale Roma https://books.google[...]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14] 서적 满族大辞典 辽宁大学出版社
[1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16]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017
[17]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017
[18] 서적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017
[19] 서적 기초만한사전 대지문화사
[20] 문서 "瀛生, 《滿語雜識》, 학원출판사, 975쪽"
[21] 웹사이트 청 황실의 성 `애신각라`는 신라를 생각해서 만든것? - 매일경제 http://m.mk.co.kr/ne[...]
[22] 서적 《满族大辞典》 辽宁大学出版社
[23] 서적 만주족의 역사 돌베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