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 문자는 금나라 멸망 이후 사용이 줄어들었던 여진 문자를 대체하기 위해 1599년 누르가치에 의해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무권점 만문(구만문, 노만문)으로 불렸으며, 1632년 다하이에 의해 점과 원을 추가하여 유권점 만문(신만문)으로 개량되었다. 만주 문자는 만주어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시버 문자, 다우르 문자와 같은 파생 문자를 낳았다. 만주 문자는 6개의 모음과 19개의 자음, 그리고 중국어 등을 표기하기 위한 확장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음절 문자로 가르쳐졌으며, 현재는 유니코드 몽골어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소 문자 - 룬 문자
    룬 문자는 고대 게르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로,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나무나 돌에 새겨졌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음소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만주 문자
개요
18세기 필사본
명칭만주 문자
원어 명칭|Manju Hergen (만주 헤르겐)
별칭|Hūwaliyasun Hūwaliyaka Gung (후왈리야순 후왈리야카 궁)
표기 언어만주어, 시버어
유형알파벳
사용 시기1599년 ~ 현재
문자 계통
계통 1이집트 상형 문자
계통 2원시 시나이 문자
계통 3페니키아 문자
계통 4아람 문자
계통 5시리아 문자
계통 6소그드 문자
계통 7위구르 문자
계통 8몽골 문자
파생 문자
파생 문자 목록다구르 문자
시버 문자

2. 역사

금나라가 멸망한 뒤 여진문자(女眞文字)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은 갈수록 적어졌고, 명나라 중엽에는 이미 점차 사라졌다.[27] 누르가치가 흥기한 후 건주여진에서 조선과 중국에 보내는 공문은 공정륙(髸正陸)이라는 중국인이 한문으로 작성했으며, 여진인들은 군령(軍令)·정령(政令)을 발포할 때 몽골 문자를 사용하였는데 일반 여진인들은 보아도 잘 알지 못했고, 들어도 무슨 말인지도 몰랐다.

만주 문자의 역사는 크게 무권점자와 유권점자 시기로 나뉜다.

1599년 누르하치는 몽골 문자를 기반으로 무권점자를 만들었으나, 만주어 표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1632년 숭덕제의 명을 받은 학자 다하이(達海)는 무권점자에 점(•)과 권(○)을 추가하여 유권점자를 만들었다. 유권점자는 1632년 3월 7일에 공식적으로 제정되었으며, 이후 점진적인 개선을 거쳐 1640년대에 완전히 확립되었다.[29][30]

2. 1. 무권점자 (無圈點字)

ᠪᡝᡳᠯᡝ|Sure Beile}})였던 누르하치는 학자(巴克什, ᠪᠠᡴ᠋ᠰᡳ|Baksimnc)인 나라 어르더니(納喇額爾德尼, ᠨᠠᡵᠠ
ᡝᡵᡩᡝᠨᡳ|Nara Erdenimnc)[28] 이사관(扎尔固齐, ᠵᠠᡵᡤᡡᠴᡳ|Jargūcimnc)인 이르건 교로 까까이(伊爾根覺羅噶蓋, ᡳᡵᡤᡝᠨ
ᡤᡳᠣᡵᠣ
ᡬᠠᡬᠠᡳ|Irgen Gioro G'ag'aimnc)로 하여금 몽골 문자를 그대로 받아들여 만주어를 적은 초기의 만주문자를 무권점 만문(無圈点滿文, ᡨᠣᠩᡴᡳ
ᡶᡠᡴᠠ
ᠠᡴᡡ
ᡥᡝᡵᡤᡝᠨ|Tongki Fuka Akū Hergenmnc)이라고 하는데 구만문(舊滿文), 노만문(老滿文)이라고도 부른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무권점자의 기록은 1610년대 후반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당안(檔案)들이다. 초기 당안들 가운데는 1607년의 일을 적은 당안이 연대상으로는 가장 이른 것이지만, 이 당안이 실제로 필사된 연대는 1620년 전후, 또는 천총 연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ᡥᠠᠨ
ᠵᡳᡥᠠ


무권점 만주 문자로 표기된 술레 한(홍타이지)의 돈. 표면 왼쪽 , 위쪽 , 아래쪽 , 오른쪽 이라고 적혀 있다. "천총 한전" 또는 "천총 통보"라고 통칭된다.


명나라대, 건주여진 (건주 여직이라고도 함)을 통일한 누르하치가 额尔德尼|erdeni baksi중국어[22]와 噶盖|g'ag'ai jargūci중국어[22]에게 명하여, 1599년 (만력 27년)에 몽골 문자 표기를 응용하여 "무권점자(ᡨᠣᠩᡴᡳ
ᡶᡠᡴᠠ
ᠠᡴᡡ
ᡥᡝᡵᡤᡝᠨ|통키・후카・아쿠・헤르겐mnc)"를 제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무권점자는 몽골 문자의 체계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몽골어와는 음운이 다른 만주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문제가 많았다.

2. 2. 유권점자 (有圈點字)

ᡶᡠᡴᠠ
ᠰᡳᠨᡩᠠᡥᠠ
ᡥᡝᡵᡤᡝᠨ|Tongki Fuka Sinsaha Hergen}})이라고 하며, 신만문(新滿文)이라고도 부른다.[29][30]

유권점 만문, 즉 신만문은 1632년 3월 7일에 공식적으로 제정, 공포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기록인 《구만주당(舊滿洲檔)》을 보면 3월 7일을 전후로 표기에 뚜렷한 변화가 나타난다. 그러나 1632년을 경계로 구만문(舊滿文)과 신만문(新滿文)의 모든 특징이 완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1632년 이전의 당안에도 소리를 구별하기 위해 점을 찍은 곳이 보이고, 1632년 이후의 당안에도 점이 빠지거나 무권점자의 특징이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이처럼 1632년의 문자 개량은 갑작스럽게 나타난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축적된 개선 방안들이 1632년에 정리되어 공포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도 부분적인 정리가 계속되었으며, 1640년대에 들어서 유권점 만문은 기본적인 형태와 사용 방법이 완전히 확립되었다.[29][30]

다하이는 만주어를 사용하여 중국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차용어를 표기하기 위해 열 개의 글자를 추가한 ''tulergi hergen'' ("외래/바깥 글자")도 추가했다. 이전에는 이러한 비만주어 소리에 해당하는 문자가 만주어에 없었다.[4]

2. 3. 시버 문자, 다우르 문자

청나라 건륭제 시기, 중국 동북부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이주한 시버족은 만주 문자를 개량하여 시버 문자를 만들었고, 현재까지 시버어 표기에 사용하고 있다. 1980년대 초에는 행정기관에서 상점에 이르기까지 간판에 한자와 시버 문자가 병기되어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23] 주민들은 시버 문자를 읽는 것은 물론, 일상어로 그 말을 사용했다.[23]

에벤키어와 다우르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도 만주 문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3. 서체

만주 문자에는 인쇄체와 일종의 필기체인 소해체가 있다. 소해체는 꼬리 처리 등이 인쇄체와 차이가 난다.[6]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만주 문자는 세 가지 필기체, 즉 정자체(''ginggulere hergen''), 반흘림체(''gidara hergen''), 흘림체(''lasihire hergen'')로 사용되었다. 반흘림체는 글자 사이의 간격이 좁았고, 흘림체는 둥근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6]

4. 글자

만주 문자는 표음 문자로, 모음 6개와 자음 19개, 반모음 2개로 구성되어 있다.[24][26] 각 글자는 단어 내 위치(어두, 어중, 어말)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세로쓰기가 기본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행이 진행된다.

누르하치가 독자적인 문자를 만들도록 명령하기 전, 금나라 때 만들어진 여진 문자한자와 비슷하게 문자 하나에 여러 음절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만주 문자는 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소그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의 일종으로, 한자와 거란 문자를 모방해 만든 여진 문자와는 관련이 없다.

만주 문자는 중국어 등을 표기하기 위한 확장 글자도 가지고 있다. 19세기 중반에는 정자체(''ginggulere hergen''), 반흘림체(''gidara hergen''), 흘림체(''lasihire hergen'')의 세 가지 필기체로 사용되었다.[6]

만주 문자는 중국어 표기에도 사용되었는데, ''만주어: 문서 읽기 교재''에는 만주 문자로 쓰인 중국어 음절과 한어 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로마자 표기 비교표가 있다.[7] 만주 문자를 이용한 중국어 단어 음역은 시버어 차용어의 원천이 되기도 했다.[8] ''천자문''과 ''홍루몽''의 만주어 버전은 모든 한자를 만주 문자로 표기한 것이다.[9]

건륭제의 명으로 편찬된 ''황제 료금원 삼사 국어해''(欽定遼金元三史國語解|흠정 요금원 삼사 국어해중국어)에서는 만주 문자가 에벤키어(솔론족)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오체자전''에서는 고전 티베트어 및 차카타이어(위구르어)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4. 1. 모음

만주어의 모음은 a, e, i, o, u, ū의 6개가 있다.[24]

단독어두어중어말로마자 표기유니코드비고
a1820
rowspan="2" |rowspan="2" |rowspan="2" |e185D두 번째 끝 형태는 [k] [g] [x] kh gh hh 다음에 사용[25]
rowspan="4" |rowspan="4" |rowspan="2" |i1873
rowspan="2" |
rowspan="2" |rowspan="2" |rowspan="2" |o1823
rowspan="2" |rowspan="2" |rowspan="2" |u1860
ū/uu/v1861
y/y/i'185F


4. 2. 자음

만주어의 자음은 n, k, g, h, b, p, s, š, t, d, l, m, c, j, r, f, ng, w, y로 19개가 있다.

문자로마자 표기유니코드비고
n1828자음 앞
n1828모음 앞
ng1829
k1874a, o, ū 앞
k1874자음 앞
g1864
h1865
b182A
p1866
s1867
š1867
t1868a, o, i 앞
t1868자음 앞
t1868e, u, ū 앞
d1869a, o, i 앞
d1869e, u, ū 앞
l182F
m182E
c1834
j1835
y1836
r1875
f1876a, e 앞
f1876i, o, u, ū 앞
w1838


4. 3. 차용 문자

다하이는 만주어를 사용하여 중국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차용어를 표기하기 위해 10개의 글자를 추가했다.[4] 이전에는 이러한 비만주어 소리에 해당하는 문자가 만주어에 없었다. 전사된 소리에는 기식음 k' (중국어 병음: k), k (g), x (h); ts' (c); ts (ci); sy (si); dz (z); c'y (chi); j'y (zhi); 그리고 ž (r)가 포함되었다.[5]

5. 가르치는 방법

만주 문자는 문자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그 음운론을 반영하기 위해 음절 문자로 가르쳐졌다. 만주족 아이들은 글쓰기를 배우면서 언어의 모든 음절의 형태를 따로 암기하도록 배웠다.[13] 그리고 "''l'', ''a'' — ''la''"; "''l'', ''o'' — ''lo''"; 등과 같이 말하는 대신 "''la'', ''lo''" 등을 바로 말하도록 배웠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음절 문자에 포함된 음절들은 그들의 문자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와 같이 자음 ''l'', ''m'', ''n'' 및 ''r''을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만주 문자인 ''s'', ''m'', ''a'', ''r'' 및 ''t''가 그 순서대로 결합되면 만주족은 그것을 "smart"로 발음하지 않을 것이다.[14]

오늘날에도 만주 문자가 문자적인지 음절적인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중국에서는 음절 문자로 간주되어 만주어를 여전히 이러한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서구에서는 알파벳처럼 취급한다. 알파벳 방식은 주로 언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사용하는데, 음절 문자로 만주 문자를 공부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15][16]

6. 구두점

만주 문자는 마침표에 해당하는 쌍점(᠉)과 쉼표에 해당하는 단점(᠈)의 두 종류의 구두점을 사용한다. 그러나 명사 목록에 단점이 일관되게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만주어의 구두점은 일관성이 없어 가독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20]

만주 문자의 물음표는 질문의 끝에 쓰이는 몇몇 특수 조사로 구성된다.[21]

7. 유니코드

만주 문자는 몽골 문자와 만주 문자가 포함된 유니코드 블록(U+1800 ~ U+18AF)에 포함되어 있다. 유니코드 컨소시엄의 해당 블록 코드 차트는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800.pdf 여기(PDF)]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Acoustemologies in Contact: Sounding Subjects and Modes of Listening in Early Modernity https://books.google[...] Open Book Publishers 2021-01-19
[2] 서적 The First Writing: Script Invention as History and Proces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12-09
[3] 웹사이트 Qing Period Money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3-09-16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서적 Literary Migrations: Traditional Chinese Fiction in Asia (17th–20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3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서적 Rethinking East Asian Languages, Vernaculars, and Literacies, 1000–1919 Brill 2014
[14] 서적 Translations from the Manchu: With the Original Texts, Prefaced by an Essay on the Language Press of S. Wells Williams 1849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ondon Mission Press
[18]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London Mission Press
[19] ECCP Dahai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문서 遼寧省档案館『満洲実録・上函・巻三』
[23] 서적 中国の歴史 12 清朝二百余年 平凡社 1982-12
[24] 서적 "Manchu Grammar" Brill 2002
[25] 서적 "Manchu Grammar" Brill 2002
[26] 서적 "Manchu Grammar" Brill 2002
[27] 서적 女真文辞典 文物出版社 1984
[28] 서적 满语文与满文档案研究 http://book.douban.c[...] 辽宁民族出版社
[29] 문서 몽고 문자와 만주 문자 국어생활 1985
[30] 서적 正說淸朝十二帝 中華書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