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티심플렉틱 다양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는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정의된 닫힌 미분 형식인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를 갖는 다양체를 의미한다.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k+1차 닫힌 미분 형식이며, 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는 이러한 구조와 매끄러운 다양체의 순서쌍으로 정의된다.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는 심플렉틱 다양체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다양한 수학적 구조와 연관되어 있으며, L∞-대수와의 관계, 곱공간에서의 연산, 리 군, 특수 홀로노미, 공변접다발의 외대수, 시그마 모형 등 다양한 예시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멀티심플렉틱 다양체
개요
심플렉틱 다양체의 예시
심플렉틱 다양체의 예시
정의닫힌 비퇴화 2-형식 ω를 갖춘 매끄러운 다양체 M.
관련 개념
상위 유사체멀티심플렉틱 다양체
유형켈러 다양체
푸아송 다양체
추가 정보
다른 이름심플렉틱 공간

2. 정의

자연수 k\in\mathbb N가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M 위의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k-multisymplectic structure영어)

:\omega\in\Omega^{k+1}(M)

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 k+1차 닫힌 미분 형식이다.


  • 임의의 점 x\in M 및 접벡터 v\in\mathrm T_xM \setminus\{0\}에 대하여, v \lrcorner \omega_x \ne 0 \in \textstyle\bigwedge^k\mathrm T^*_xM이다.

여기서

:\lrcorner \colon \mathrm T_xM \times \bigwedge^{k+1}\mathrm T^*M \to \bigwedge^k\mathrm T^*M

x에서, 접벡터와 미분 형식의 내부곱이다.

'''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k-multisymplectic manifold영어) (M,\omega)매끄러운 다양체와 그 위의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의 순서쌍이다.

3. 성질

n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가 존재할 필요 조건은 다음과 같다.

:k+1 \le n \le \binom nk

여기서 첫째 부등식은 자명하지 않은 k+1차 미분 형식이 존재할 필요 조건이며, 둘째 부등식은 \textstyle\bigwedge^k\mathrm T^*_xM의 차원이 \mathrm T_xM의 차원보다 작지 않을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n\ge6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는 2차〜n-4차 멀티심플렉틱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1]

3. 1. 멀티심플렉틱 다양체에 대응되는 L-대수

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 (M,\omega) 위의 '''해밀토니언 미분 형식'''(Hamiltonian differential form}})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k-1미분 형식 \alpha\in\Omega^{k-1}(M)이다.[1]

:\exists X \in \operatorname{Vect}(M) \colon \mathrm d\alpha = X \lrcorner \omega

그 공간을 \Omega^{k-1}_{\operatorname{Ham}}(M)이라고 하자.

등급 벡터 공간

:L = \bigoplus_{i=0}^{n-1}L_i

:L_0 = \Omega^{k-1}_{\operatorname{Ham}}(M)

:L_i = \Omega^{k-1-i}(M)\qquad(i\in\{1,2,\dotsc,n-1\}

위에 다음과 같은 L∞-대수의 구조를 줄 수 있다.

:[\alpha] = \mathrm d\alpha\qquad\forall \alpha\in L,\;\deg \alpha>0

:[\alpha_1,\dotsc,\alpha_p] = (-)^{1+\lceil p/2\rceil}(X_1\wedge \dotsb \wedge X_p) \lrcorner \omega\qquad(\alpha_1,\dotsc,\alpha_k\in\Omega^{k-1}_{\operatorname{Ham영어(M),\;\forall i\colon \mathrm d\alpha_i = X_i\lrcorner \omega)

4. 연산

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 (M_1,\omega_1), (M_2,\omega_2)가 주어졌을 때, 곱공간 M = M_1 \times M_2에 멀티심플렉틱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pi_i \colon M \twoheadrightarrow M_i에 대하여,

\omega = \pi_1^*\omega_1 + \pi_2^*\omega_2

를 정의한다. 만약 k\ge1이라면, 이는 M 위의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를 이룬다.

임의의 x=(x_1,x_2)\in M에서, 접벡터 v = (v_1,v_2) \in \mathrm T_xM = \mathrm T_{x_1}M_1 \oplus \mathrm T_{x_2}M_2에 대하여,

v \lrcorner \omega = v_1\lrcorner\omega_1 + v_2 \lrcorner\omega_2

이다. k>0이라면, 이 두 항은 서로 다른 벡터 공간에 속하므로, 합이 0일 필요충분조건은 각 항이 0인 것이다. 그런데 M_1M_2가 각각 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이므로, 이것이 0일 필요충분조건은 v_1v_2가 각각 0인 것이다.

5. 예

0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는 1차원에서만 존재하며, 그 개념은 부피 형식을 갖춘 1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와 같다.

1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의 개념은 심플렉틱 다양체의 개념과 같다.

n차원 n-1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의 개념은 부피 형식이 주어진 n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의 개념과 같다.

5. 1. 리 군

콤팩트 단순 리 군 위에는 표준적인 3차 미분 형식이 존재하며, 그 계수는 리 대수의 구조 상수이다. 이를 통하여 콤팩트 단순 리 군은 2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콤팩트 단순 리 대수는 2차 멀티심플렉틱 벡터 공간을 이룬다.

G의 실수 리 대수를

:\mathfrak g = \mathfrak{lie}(G)

라고 하자. 그렇다면, 끈 L₂-대수 (작용]]하며, 이에 대한 불변 L₂-대수

:L(G)^G = \Omega^1_{\operatorname{Ham}}(G)^G\oplus\Omega^0(G)^G[1]

를 적을 수 있다. 여기서 표준적으로

:\Omega^1_{\operatorname{Ham/string algebra}})

:\mathfrak{string}(\mathfrak g) = \mathfrak g\oplus \mathbb R[1]

:[x,y,z] = \mu(x,y,z) \in \mathbb R[1]\qquad\forall x,y,z\in\mathfrak g

를 정의할 수 있다.

2-멀티심플렉틱 다양체 G에 대응되는 L₂-대수

:L(G) = \Omega^1_{\operatorname{Ham}}(G)\oplus\Omega^0(G)[1]

를 생각하자. G는 스스로 위에 왼쪽 곱셈으로

:\Omega^0(G)^G \cong \mathbb R

이며, 따라서 이는 끈 L₂-대수와 동형이다.

5. 2. 특수 홀로노미

홀로노미가 리 군 G₂인 7차원 리만 다양체는 표준적으로 2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를 이룬다.

초켈러 다양체의 세 심플렉틱 구조 \omega_1,\omega_2,\omega_3이 주어졌을 때,

:\omega_1\wedge\omega_1+\omega_2\wedge\omega_2+\omega_3\wedge\omega_3

은 그 위의 3차 멀티심플렉틱 구조를 이룬다.[1]

5. 3. 공변접다발의 외대수

매끄러운 다양체 M의 공변접다발의 k차 외대수

:\bigwedge^k\mathrm T^*M

위에는 표준적인 k미분 형식

:\theta \in \Omega^k\left(\bigwedge^k\mathrm T^*_xM\right)

:\theta|_{(x,p)} = p_{i_1\dotso i_k}\,\mathrm dx^{i_1} \wedge \dotsb \wedge \mathrm dx^{i_k} \qquad\left(x\in M,\;p\in\bigwedge^k\mathrm T^*_xM\right)

이 존재한다.[1] 그 외미분

:\omega = \mathrm d\theta \in \Omega^{k+1}\left(\bigwedge^k\mathrm T^*_xM\right)

:\omega|_{(x,p)} = \mathrm dp_{i_1\dotso i_k}\,\mathrm dx^{i_1} \wedge \dotsb \wedge \mathrm dx^{i_k} \qquad\left(x\in M,\;p\in\bigwedge^k\mathrm T^*_xM\right)

n+\textstyle\binom nk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textstyle\bigwedge^k\mathrm T^*M 위의 k차 멀티심플렉틱 구조를 정의한다.[1]

5. 4. 시그마 모형

m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k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Sigma, 그리고 \Sigma 위의 부피 형식 \omega\in\Omega^k(\Sigma)가 주어졌을 때, 벡터 다발 \mathrm T\Sigma \otimes_{M\times\Sigma} \mathrm T^*M의 전체 공간의 국소 좌표 (x^\mu,\phi^i,\pi^\mu_i) (x\in\Sigma,\;\phi\in M,\;\pi\in\mathrm T_x\Sigma \otimes \mathrm T^*_xM) 위에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theta= \pi^\mu_i \mathrm d\phi^i \wedge \frac\partial{\partial x^\mu} \lrcorner \omega

이는 k미분 형식을 이루며, 이 미분 형식의 외미분은 다음과 같다.

:\mathrm d\theta= \mathrm d\pi^\mu_i \mathrm d\phi^i \wedge \frac\partial{\partial x^\mu} \lrcorner \omega

이 외미분은 k+1차 미분 형식이며, k\ge2일 경우, \mathrm d\thetak차 멀티심플렉틱 다양체를 구성한다. 이 구성은 \Sigma\to M 시그마 모형의 공변 위상 공간(covariant phase space영어)으로 해석되며, 이 때 좌표 \pi^\mu_i는 일반화 운동량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