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타픽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타픽션은 소설, 영화, 게임 등에서 허구적 요소와 매체 자체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기법이다. 윌리엄 H. 개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1960년대 이후 사회·문화적 자기 의식의 증가와 관련하여 발전했다. 메타픽션은 명시적/암시적, 직접적/간접적, 비판적/비판적이지 않은, 매체 중심적/진실·허구 중심적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주요 사례로는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 로렌스 스턴의 《트리스트럼 섄디》, 데이비드 로지의 《대영 박물관은 무너지고 있다》 등이 있으며, 비디오 게임 《언더테일》에서도 메타픽션 기법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타픽션 - 서사극
    서사극은 관객에게 교훈을 전달하고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유도하는 연극 형식으로, 에르빈 피스카토어가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이론을 정립했으며, 소격 효과, 제스투스, 역사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상호텍스트성 - 오마주
    오마주는 존경의 의미로 특정 작품의 요소나 스타일을 차용하는 예술 기법으로, 영화에서는 선배 영화인의 업적을 기리는 형태로 나타나지만, 패러디나 표절과의 경계가 모호하여 저작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 문학 이론 - 탈구축
    탈구축은 자크 데리다가 제시한 개념으로, 텍스트의 모순과 이항 대립을 드러내 기존의 틀을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방법론이다.
  • 문학 이론 - 영어학
    영어학은 영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음성·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하위 분야를 포함하며, 영어 문학, 사회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메타픽션
기본 정보
메타픽션 예시
로랑 그라소의 《스튜디오를 떠난 후》 (2005). 이 그림은 예술가가 예술을 창작하는 과정을 묘사하여 메타픽션적이다.
유형허구
어원그리스어 "meta" (자신에 대한)
설명허구에 대한 허구
특징
특징자기 인식, 독자와의 직접적인 대화, 허구적 환상의 파괴
하위 유형
하위 유형자전적 허구
반 허구
콜라주 소설
예시
문학《돈 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트리스트럼 샌디의 삶과 의견》 (로렌스 스턴)
《펠릭스 크룰의 고백》 (토마스 만)
《80일간의 세계 일주》 (쥘 베른)
《오를란도》 (버지니아 울프)
《말괄량이 길들이기》 (윌리엄 셰익스피어)
《실낙원》 (존 밀턴)
《제인 에어》 (샬롯 브론테)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채털리 부인의 연인》 (D. H. 로렌스)
《백년 동안의 고독》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이방인》 (알베르 카뮈)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호밀밭의 파수꾼》 (J. D. 샐린저)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1984》 (조지 오웰)
《주홍 글자》 (너새니얼 호손)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반지의 제왕》 (J. R. R. 톨킨)
《어린 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변신》 (프란츠 카프카)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안네의 일기》 (안네 프랑크)
《분노의 포도》 (존 스타인벡)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브레이브 뉴 월드》 (올더스 헉슬리)
《캐치-22》 (조지프 헬러)
《제5도살장》 (커트 보니것)
《황무지》 (T. S. 엘리엇)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음향과 분노》 (윌리엄 포크너)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유리 감옥》 (마리아 그리고라스)
《텐타클》 (리타 인디애나)
《디 애드벤처스 오브 아서 고든 핌》 (에드거 앨런 포)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영화《8과 1/2》 (페데리코 펠리니)
《카이로의 붉은 장미》 (우디 앨런)
《존 말코비치 되기》 (스파이크 존즈)
《트루먼 쇼》 (피터 위어)
《뜨거운 녀석들》 (에드가 라이트)
《인셉션》 (크리스토퍼 놀란)
《레고 무비》 (필 로드와 크리스토퍼 밀러)
《버드맨》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우리, 둘》 (짐 험프리스)
《데드풀》 (팀 밀러)
《나이브》 (패트릭 볼라스)
《신 시네마 천국》 (주세페 토르나토레)
《플레이타임》 (자크 타티)
텔레비전《기묘한 이야기》
《릭 앤 모티》
《커뮤니티》
《도라 디 익스플로러》
《미스터 로봇》
《보잭 홀스맨》
《닥터후》
《어메이징 월드 오브 검볼》
《존경하는 여러분》
《완다비전》
관련 용어
관련 용어제4의 벽
자기 참조
탈구축
상호 텍스트성
패러디
포스트모더니즘
구조주의
추가 정보
추가 정보메타픽션은 허구의 본질과 허구와 현실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메타픽션은 독자를 허구적 환상에서 벗어나게 하고, 허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인식하게 한다.
메타픽션은 종종 유머와 아이러니를 사용하여 허구적 관습을 전복시킨다.
메타픽션은 문학,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난다.

2. 용어의 역사

'메타픽션'이라는 용어는 1970년 윌리엄 H. 개스가 그의 저서 《Fiction and the Figures of Life》에서 처음 사용했다.[10] 개스는 당시 메타픽션의 사용이 증가한 것을 작가들이 매체에 대한 이해를 높인 결과로 설명했으며, 이는 소설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 이론적 문제의 강조, 자기반성성과 형식적 불확실성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10][1] 로버트 숄스는 개스의 이론을 확장하여 소설에 대한 네 가지 비평 형태(형식적, 행동적, 구조적, 철학적 비평)를 제시하고, 메타픽션이 이러한 관점을 소설적 과정에 통합하여 강조한다고 설명했다.[11]

이러한 발전은 1960년대부터 증가한 사회적, 문화적 자기 의식과 관련되며, 패트리샤 워는 "인간이 세상에서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반영하고, 구성하고, 매개하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문화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고 평가했다.[13]

일본에서는 쓰쓰이 야스타카 등을 논한 다카하시 야스야의 "메타픽션 메모 - 쓰쓰이 야스타카론을 위한 작은 도움닫기" (『신초』1983년 5월호)에서 '메타픽션'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22][24]

3. 메타픽션의 형식

베르너 볼프(Werner Wolf)에 따르면, 메타픽션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네 가지 쌍의 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16]

구분 기준종류설명
명시성 여부명시적 메타픽션텍스트 표면에 명확한 메타픽션적 요소를 사용.
암시적 메타픽션메탈렙시스 등 파괴적인 기법을 통해 매체로서의 지위를 부각.
직접성 여부직접적 메타픽션읽고 있는 텍스트 내에서 언급.
간접적 메타픽션다른 작품, 장르, 미학적 문제 등 텍스트 외부 참조.
비판성 여부비판적 메타픽션포스트모더니즘 소설에서 주로 나타나며, 텍스트의 허구성을 비판적 탐색.
비판적이지 않은 메타픽션텍스트의 허구성을 비판하거나 훼손하지 않음.
중심 내용매체 중심적 메타픽션픽션 또는 내러티브의 매체적 특성을 다룸.
진실/허구 중심적 메타픽션텍스트의 진실성 또는 허구성에 대한 추가적 초점.


3. 1. 명시적 메타픽션과 암시적 메타픽션

명시적 메타픽션은 텍스트 표면에 명확한 메타픽션적 요소를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자체적인 인공성에 대해 언급하며 인용 가능하다.[10] 명시적 메타픽션은 '말하기' 방식으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화자가 자신이 이야기하는 이야기를 창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암시적 메타픽션은 텍스트에 대한 언급보다는, 메탈렙시스와 같은 다양한, 예를 들어 파괴적인 기법을 통해 매체 또는 인공물로서의 지위를 부각한다. 이는 메타픽션적 읽기를 유도하기 위해 이러한 장치를 인식하는 독자의 능력에 다른 형태의 메타픽션보다 더 의존한다. 암시적 메타픽션은 '보여주기' 방식으로 묘사된다.

3. 2. 직접적 메타픽션과 간접적 메타픽션

직접적 메타픽션은 독자가 읽고 있는 텍스트 내에서 언급을 설정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접적 메타픽션은 다른 특정 문학 작품이나 장르에 대한 성찰(패러디와 같은)과 미학적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와 같이, 이 텍스트 외부에 있는 메타 참조로 구성된다. 간접적 메타픽션이 발생하는 텍스트와 참조된 외부 텍스트 또는 문제 사이에는 항상 관계가 있으므로, 간접적 메타픽션은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지만 독자가 읽고 있는 텍스트에 항상 영향을 미친다.[15]

3. 3. 비판적 메타픽션과 비판적이지 않은 메타픽션

비판적 메타픽션은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에서 주로 나타나며, 텍스트의 인공성 또는 허구성을 비판적인 방식으로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판적이지 않은 메타픽션은 텍스트의 인공성 또는 허구성을 비판하거나 훼손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독자가 읽고 있는 이야기가 진실임을 암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7]

3. 4. 매체 중심적 메타픽션과 진실/허구 중심적 메타픽션

메타픽션은 어떤 식으로든 픽션 또는 내러티브의 매체적 특성을 다루며, 일반적으로 미디어 중심적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텍스트의 진실성 또는 창의성(허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초점이 있어 특정 형태로 언급할 가치가 있다. 이야기가 진실하다는 암시(사실주의 픽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치)는 (비판적이지 않은) 진실 중심 메타픽션의 예가 될 것이다.

4. 주요 사례

윌리엄 H. 개스는 1970년 저서 《Fiction and the Figures of Life》에서 '메타픽션'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0] 그는 작가들이 매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서 소설에 대한 접근 방식이 변화하고, 자기 반성성과 형식적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10][1] 로버트 숄스는 개스의 이론을 확장하여 소설에 대한 네 가지 비평 형태(형식적, 행동적, 구조적, 철학적 비평)를 제시하고, 메타픽션이 이러한 관점을 소설에 통합한다고 보았다.[11]

이러한 발전은 1960년대부터 증가한 사회적, 문화적 자기 의식의 결과였으며, 패트리샤 워는 "인간이 세상에서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반영하고, 구성하고, 매개하는가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문화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13] 소설가들은 언어를 통해 현실 세계를 반영하지 않는 세상을 창조하고자 했으며, 언어는 "자체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독립적이고 자족적인 시스템"으로 간주되었다.

로버트 숄스는 1970년경을 실험 소설의 정점으로 보았고, 그 이후 상업적, 비평적 성공 부족으로 쇠퇴했다고 평가한다.[14] 메타픽션적 글쓰기로의 발전은 엇갈린 반응을 낳았는데, 일부는 소설의 쇠퇴를 의미한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사람들은 린다 허천의 역사적 소설과 같은 새로운 문학 형태의 출현을 이끄는 혁신으로 보았다.

비디오 게임도 메타픽션 개념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2010년대 인디 게임의 부상과 함께 나타났다. 《더 매직 서클》, 《더 비기너스 가이드》, 《포니 아일랜드》와 같은 게임들은 플레이어가 비디오 게임의 허구와 현실 사이의 경계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유도한다.[15]

만화, 애니메이션, 소설 등에서도 메타픽션은 "그것이 지어낸 이야기"라는 것을 의도적으로 독자에게 깨닫게 함으로써 허구와 현실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제시한다.[23] 예를 들어 소설 속 등장인물의 대사로 "이건 소설(만화·애니메이션)이니까" 등의 발언(소위 '''"메타 발언"''')이 이에 해당한다.

4. 1. 문학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 키호테'' 파트 2(1615)에서 등장인물들은 파트 1을 읽은 것으로 설정되어 돈 키호테와 산초 판자의 이야기에 대해 알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공작 부부는 두 사람을 속이고 장난을 꾸민다. 특히, 알론소 페르난데스 데 아베야네다의 가짜 속편에 대한 언급은 작품의 허구성을 강조하는 메타픽션적 장치이다.[18]

로렌스 스턴의 ''트리스트럼 섄디, 신사들의 인생과 의견''(1759-1767)에서 화자는 자신의 이야기에서 벗어나 책을 시작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며 문학 창작 과정을 부각한다. 또한 독자에게 직접 말을 걸어 텍스트의 허구성을 드러낸다.[18]

데이비드 로지의 ''대영 박물관은 무너지고 있다''(1965)에서 등장인물 아담 애플비는 소설의 부상과 문학적 풍경의 변화, 문학의 능력 소진, 등장인물의 허구성 등을 언급하며 메타픽션적 요소를 보여준다.[19]

재스퍼 포드의 ''에어 사건''(2001)은 문학 작품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대체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서스데이 넥스트는 ''제인 에어''의 세계에서 범인을 쫓는 과정에서 메타렙시스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허구성을 드러낸다.[20]

앤서니 호로비츠는 ''말은 살인이다''(2017)에서 작가 자신이 등장인물로 등장하여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메타픽션적 추리 소설을 선보인다.

4. 2. 일본 문학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라쇼몽[21]에서 "작가는 아까 '하인이 비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썼다."라는 문장 등을 통해 작가의 존재를 드러내고, 서술 방식을 통해 텍스트의 허구성을 강조하는 메타픽션 기법을 사용하였다.

4. 3. 비디오 게임

롤플레잉 게임 ''언더테일''(Undertale)은 토비 폭스(Toby Fox)와 템미 창(Temmie Chang)이 제작하여 2015년에 출시되었다. ''언더테일''에는 메타픽션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게임 내 캐릭터 "플라위 더 플라워"(Flowey the Flower)가 플레이어의 게임 방식과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방식이 두드러진다. 플라위는 대부분의 비디오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게임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것처럼 게임을 "저장/불러오기"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행동에 따라 세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기 위해 이 능력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모두에게 친절하게 대하거나 모두를 죽이는 것이다. 이는 플레이어가 게임을 경험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플라위는 "진정한 평화주의자" 루트 이후 플레이어에게 게임을 다시 시작하지 말고 캐릭터들이 가능한 최선의 방식으로 삶을 살도록 놔두라고 직접 요청한다. 이는 플레이어에게 플라위를 무시하거나, 게임을 무시하는 간접적인 선택지를 제시한다. 게임은 이 두 가지 옵션 모두에 완전히 대비되어 있으며, 플라위를 무시하고 모두를 죽이는 "학살" 루트를 수행하면, 플라위는 플레이어의 대량 학살을 돕다가 결국 자신도 죽게 된다.

5. 한국 대중문화와 메타픽션

한국의 웹툰, 드라마, 영화에서도 메타픽션 기법이 종종 활용된다. 웹툰에서는 작가의 말을 통해 작품 제작 과정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하거나, 등장인물이 웹툰 속 세계를 인지하는 듯한 발언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이 '다른 루트의 네타가 공개되지만...'이나 '본편에서 클리어한 여자아이와...' 등과 같이 말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드라마에서는 극중 인물이 드라마 PPL 상품을 언급하거나, 시청자에게 말을 거는 듯한 연출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영화에서는 영화 속 등장인물이 영화의 결말을 예측하거나, 영화 제작 과정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6. 비판과 논란

메타픽션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일부 비평가들은 메타픽션이 소설의 쇠퇴와 매체의 예술적 능력 고갈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 심지어 '소설의 죽음'을 언급하기도 한다.[14] 하지만 린다 허천의 역사적 소설과 같이, 메타픽션이 자기 의식을 통해 매체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고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탄생시키는 혁신으로 이어진다는 견해도 있다.[14]

참조

[1] 서적 Metafiction –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lf-Conscious Fiction Routledge
[2] 서적 Contemporary Metafiction – A Poetological Study of Metafiction in English since 1939 Carl Winter Universitätsverlag
[3] 학술지 Translating Carlyle: Ruminating on the Models of Metafiction at the Emergence of an Emersonian Vernacular 2017-08-15
[4] 학술지 Janus-Headed Postmodernism: The Opening Lines of Slaughterhouse-Five https://doi.org/10.1[...] 2016-01-02
[5] 서적 Reading Junot Diaz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5-12-28
[6] 서적 Permissible narratives : the promise of Latino/a literature
[7] 학술지 All Shades of Brown: Latinx Literature Today
[8] 웹사이트 The metafictional, liminal, lyrical ways of writer Carmen Maria Machado https://aldianews.co[...] 2015-12-03
[9] 웹사이트 Little Book with Big Ambitions: Rita Indiana's "Tentacle" https://lareviewofbo[...] 2018-12-13
[10] 서적 Fiction and the Figures of Life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11] 서적 Fabulation and Metafi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서적 The Metareferential Turn in Contemporary Arts and Media: Forms, Functions, Attempts at Explanation Rodopi
[13] 서적 Metafiction –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lf-Conscious Fiction Routledge
[14] 서적 Fabulation and Metafi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5] 잡지 The Best New Videogames Are All About ... Videogames https://www.wired.co[...] 2016-01-18
[16] 서적 Metareference across Media: The Concept, its Transmedial Potentials and Problems, Main Forms and Functions Rodopi
[17] 서적 Metareference across Media: The Concept, its Transmedial Potentials and Problems, Main Forms and Functions Rodopi
[18] 서적 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 Penguin
[19] 서적 The British Museum Is Falling Down McGibbon & Kee
[20] 서적 Breaking the Frame: Metalepsi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ubject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1] 서적 最新 文学批評用語辞典 研究社出版
[22] 서적 カタカナ・外来語/略語辞典 自由国民社
[23] 서적 メタフィクションの思想 ちくま学芸文庫
[24] 잡지 メタ・フィクション覚書 筒井康隆論のための小さな助走 新潮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