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기윤은 여성 시인 모윤숙의 남동생으로, 시인 겸 아동극 작가였다. 1931년 시 '조선의 노래'와 '눈 · 꽃 · 새'를 발표하여 시인으로 등단했고, 1934년 아동극 '꽃피어라'를 발표하며 아동극 작가로 활동했다. 국문학을 연구했으며, 8.15 광복 이후 한국독립당 민족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서울대학교, 청주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군가 '우리는 대한국군'이 있으며, 1983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모씨 - 모윤숙
모윤숙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수필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애국심과 민족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 대종교 이탈자 - 김두한
김두한은 일제강점기 주먹으로 활동하다 해방 후 정치인으로 변신한 인물로, 김좌진 장군 아들이라는 설이 있지만 논란이 있으며, 반일 활동, 정치 활동, 폭력 사건 등 다양한 행적을 보였고, 그의 삶은 여러 매체에서 재해석되었으나 평가는 엇갈린다. - 대종교 이탈자 - 인병국
인병국은 1992년 SBS 《꾸러기 대행진》으로 데뷔하여 어린이 프로그램과 뮤지컬, 연극 배우로 활동했으며, 유학 후 활동을 재개했다. - 도교를 이탈한 사람 - 모윤숙
모윤숙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수필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애국심과 민족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참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 도교를 이탈한 사람 - 곽순옥
곽순옥은 한국 전쟁 직전 대한민국으로 이주하여 클럽 가수로 데뷔, 뮤지컬 배우로도 활동한 가수 겸 작사가로, 대표곡은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이며, 홍콩과 미국 이주 후 만년에 귀국하여 생을 마감했다.
| 모기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모기윤 |
| 원어 이름 | 毛麒允 |
![]() | |
| 호 | 월천(月泉), 일완(日完) |
| 출생일 | 1912년 2월 29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남도 원산 |
| 사망일 | 1983년 6월 30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 |
| 국적 | 대한민국 |
| 활동 기간 | 1931년 ~ 1983년 |
| 언어 | 한국어 |
| 종교 | 유교(성리학) → 도교 → 대종교 → 개신교(감리회) |
| 배우자 | 유순렬(재혼) |
| 자녀 | 모혜정(딸) |
| 부모 | 모학수(부) |
| 친척 | 둘째 누나 모윤숙(毛允淑) 사위 장회익(張檜翼) 사돈 남광우(南廣祐) 6촌 재종처남 유창순(劉昌淳) |
| 학력 | 경성 연희전문학교 학사 |
| 직업 | 시인 아동극작가 국문학자 수필가 대학 교수 |
| 경력 | |
| 소속 | 前 한글학회 이사장 前 한국국민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
| 작품 활동 | |
| 주요 작품 | 시: 《조선의 노래》, 《눈 · 꽃 · 새》, 《인생불협화이중주(人生不協和二重奏)》, 《내 조국》, 《사향곡(思鄕曲)》, 《세련되지 못한 감정》 아동극: 《꽃피어라》 |
| 장르 | 시문학, 희곡, 국문학, 수필 |
2. 생애
여성 시인 모윤숙의 남동생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아호는 월천(月泉), 일완(日完)이다.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하였고, 함흥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냈다. 1931년 시인으로, 1934년 아동 극작가로 등단하였다. 8.15 광복 이후 한국독립당에서 활동하였고, 대학교수로 출강하였다. 1983년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2. 1. 등단 및 작품 활동
1931년 《조선의 노래》, 《눈 · 꽃 · 새》를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1934년에는 《꽃피어라》라는 아동극(희곡)으로 아동극작가로도 등단하였다. 국문학 연구에도 매진하여 8.15 광복 이후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한국독립당 민족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직위를 지냈고, 이후 서울대학교, 청주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교수로 출강하였다.2. 2. 해방 이후 활동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한국독립당 민족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을 1년간 역임하였다.[1] 이후 서울대학교, 청주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교수로 출강하였다.[1]1983년 6월 30일, 서울특별시 신림동에서 만성 폐렴으로 투병하다가 향년 72세로 별세하였다.[1]
3. 학력
4. 대표작
5.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
| 누나 | 모윤숙 |
| 배우자 | 유순렬 (재혼) |
| 딸 | 모혜정 (첫 번째 부인 소생)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