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마드 라바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하마드 라바니는 1955년 파슈툰족 출신으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지하드에 참여했다. 1990년대 아프가니스탄 내전 당시 탈레반에 합류하여 군벌과 싸웠으며,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후 임시 정부 수반이 되었다. 그는 탈레반 내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이었으며, 오사마 빈 라덴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2001년 간암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탈레반 내 강경파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레반 조직원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는 2004년 알카에다 이라크 지부에서 시작하여 2014년 칼리프 국가 건설을 선포한 수니파 극단주의 테러 단체로, 이라크와 시리아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잔혹한 전쟁 범죄를 자행하여 국제 사회의 규탄을 받았고, 살라피 지하드주의에 기반한 이데올로기를 추구하며 칼리프 제도 부활과 세계 지배를 목표로 했으나, 현재는 몰락하였지만 잔존 세력의 재부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 탈레반 조직원 - 압둘 살람 하나피
압둘 살람 하나피는 196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난 우즈베크족 탈레반 정치인으로, 이슬람 교육과 종교 연구를 거쳐 탈레반 운동에 참여, 교육 관련 직책과 자우즈잔 주 지사, 도하 정치 사무소 부국장을 역임했다. - 21세기 아프가니스탄 사람 - 마니자 탈라시
마니자 탈라시는 2002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난 최초의 여성 브레이킹 선수이며, 탈레반의 카불 장악 이후 난민 신분으로 스페인으로 이주하여 2024년 파리 올림픽 난민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 21세기 아프가니스탄 사람 - 파하드 다리아
파하드 다리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민 가수로, 평화, 화합, 국가 통합의 메시지를 담은 음악과 사회 운동으로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어권 국가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유엔개발계획 친선대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 20세기 아프가니스탄 사람 - 파하드 다리아
파하드 다리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민 가수로, 평화, 화합, 국가 통합의 메시지를 담은 음악과 사회 운동으로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어권 국가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유엔개발계획 친선대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 20세기 아프가니스탄 사람 - 아슈라프 가니
아슈라프 가니는 아프가니스탄 태생의 정치인, 경제학자, 인류학자로, 세계은행 근무 후 아프가니스탄 재무장관을 거쳐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을 지냈으나 탈레반 공세로 축출되어 망명했다.
모하마드 라바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물라 |
이름 | 모하마드 라바니 |
원어명 | محمد ربانی |
출생 | 1955년 |
출생지 | 아프가니스탄 왕국 파슈몰 |
사망 | 2001년 4월 16일 |
사망지 | 파키스탄 펀자브 주 라왈핀디 |
소속 정당 | 탈레반 |
직업 | 정치가, 탈레반 구성원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 |
직책 | 대통령 |
임기 시작 | 1996년 9월 27일 |
임기 종료 | 2001년 4월 13일 |
군주 | 모하마드 오마르 |
전임 | 부르하누딘 라바니 (무자히딘 대통령) |
후임 | 압둘 카비르 (권한대행) |
정치 경력 | |
직책 | 아프가니스탄 총리 |
임기 시작 | 1996년 9월 27일 |
임기 종료 | 2001년 4월 16일 |
지도자 | 물라 오마르 |
부총리 | 하산 아쿤드 |
전임 | 굴부딘 헤크마티아르 |
후임 | 압둘 카비르 (권한대행) |
직책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부지도자 |
임기 시작 | 1996년 4월 4일 |
임기 종료 | 2001년 4월 16일 |
지도자 | 물라 오마르 |
전임 | '사무실 설립' |
후임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군사 경력 | |
소속 | 탈레반 |
참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아프가니스탄 내전 |
2. 초기 생애 및 배경
라바니는 1955년에 태어났다.[3] 그는 파슈툰족의 카카르 부족 출신이었다. 칸다하르 주 파쉬몰에서 가정에서 이슬람 교육을 받은 후 이슬람 신학교에 참여했다.[6]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해 지하드에 자원하면서 교육을 중단했다.
1989년 소련군이 철수하면서 라바니의 내전 역할은 끝났지만, 다른 아프간 무자헤딘 구성원들과 파벌들은 아프간 공산 정부를 상대로, 그리고 그 다음에는 서로를 상대로 계속 싸웠다.[6]
1996년 3월, 유엔 특별 특사 메흐무드 메스티리가 아프가니스탄 평화 회담을 재개했을 때, 탈레반 대표로 참여한 모하마드 라바니는 부르하누딘 라바니 대통령의 정부와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라바니는 카불을 포위한 군대를 지휘했다.[1]
모하마드 라바니는 국제 사회에 탈레반 정권이 테러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사마 빈 라덴이 이전 정권 시절부터 아프가니스탄에 체류했으며,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에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부족하고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활동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3. 아프간 내전과 탈레반
1992년 공산 정부가 붕괴되었고 아프가니스탄은 무자헤딘 파벌들 사이에서 내전이 벌어졌다. 칸다하르는 특히 군벌로 변한 지휘관들의 격전지였다.[6]
라바니와 약 30명의 다른 종교 학생들(탈레반)은 먼저 스핀 볼다크의 국경 마을에서, 그 다음에는 칸다하르 자체에서 군벌들과 싸우기로 결정했다. 이 기간 동안 라바니는 "우리의 관심사는 이슬람 체제의 수립과 우리나라의 불안과 잔혹함의 제거이다"라고 주장했다.[6]
4. 카불 함락과 이슬람 토후국
나와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가 지지하고 1998년 1월 초 부르하누딘 라바니가 북부 동맹을 대신하여 받아들인 탈레반의 제안은 샤리아에 따라 아프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종교 학자들(우레마)로 구성된 위원회였다. 그러나 3월에 샤리프가 다시 개입하여 당시 카불 탈레반 슈라의 수장이었던 라바니를 이슬라마바드로 초청, 우레마 위원회 준비를 위한 운영 위원회 소집에 동의를 얻을 때까지 진전이 없었다.[2]
1996년 4월 9일, 유엔 특별 특사는 카불로 가서 라바니 및 기타 탈레반 지도자들과 우레마 회의 준비를 위한 운영 위원회에 대해 논의했다. 탈레반의 전략 변화를 감지한 메스티리는 세부 사항을 마무리하기 위해 카불로 이동했다. 이는 탈레반이 최근 카불 주변 지역에서 중화기를 철수한 이유를 설명해준다. 그러나 라바니가 유엔 특사에게 이러한 확신을 주자마자, 칸다하르의 종교 지도부는 카불과의 회담을 거부하여 메스티리의 노력을 무산시키고 내전을 지속시켰다.[3]
1996년 9월 26일, 탈레반군은 모하메드 라바니를 수반으로 하는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아프가니스탄을 샤리아 율법 하의 이슬람 토후국으로 선포했다. 라바니는 대통령 궁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승리를 주장했다.[4]
라바니는 탈레반 내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이자 조직 내 온건파 지도자였다. 그러나 아랍의 영향력과 적절한 협의 정부 기구 수립의 필요성에 대해 그와 물라 오마르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다. 라바니의 권력 기반은 잘랄라바드였으며 탈레반 내에서 정치적 지원을 위해 칸다하리 그룹에 의존하지 않았다.[5]
5. 오사마 빈 라덴 문제
5. 1. 빈 라덴 관련 논란과 국제 사회의 비판
물라 라바니는 국제 사회에 자신의 정부가 테러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1] 그는 아프가니스탄이 테러 행위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오사마 빈 라덴은 손님으로 살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
물라 라바니는 오사마 빈 라덴이 이전 정권의 통치하에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게 되었다고 언급했다.[2] 그는 또한 나이로비와 다르에스살람에서 발생한 테러와 빈 라덴을 연관시킬 충분한 증거가 없으며, 빈 라덴은 더 이상 아프가니스탄 영토에서 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2]
6. 사망
모하마드 라바니는 2001년 4월 16일 파키스탄 라왈핀디의 군 병원에서 간암으로 사망했다.[5] 이슬라마바드에서 발표된 보도 자료에 따르면, 라바니는 탈레반 운동의 주요 창립자 중 한 명이며 아프가니스탄의 평화와 안전에 크게 기여했고, 그의 이슬람에 대한 봉사는 잊을 수 없으며 그의 죽음은 회복할 수 없는 손실이라고 평가했다.
라바니의 시신은 탈레반 운동에 대한 공중 봉쇄에도 불구하고 인도주의적 이유로 운행이 허가된 UN 비행기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남부 도시 칸다하르로 운구되었으며,[5] 칸다하르에 있는 탈레반 순교자 묘지에 묻혔다.[6]
6. 1. 권력 투쟁과 온건파의 몰락
라바니는 다소 온건한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그의 사망 이후 탈레반 내부 강경파가 권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야당 인사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다.[5]참조
[1]
웹사이트
The Taliban Biography – Documents on the Structure and Leadership of the Taliban 1996-2002
https://nsarchive2.g[...]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22-06-17
[2]
서적
An Enemy We Created: The Myth of the Taliban-Al Qaeda Merger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Mohammad Rabbani
http://www.nndb.com/[...]
NNDB
2012-09-29
[4]
간행물
Inside the Taliban
http://www.frontline[...]
2012-09-29
[5]
뉴스
Muhammad Rabbani, Advocate of Some Moderation in Taliban
https://www.nytimes.[...]
2001-04-20
[6]
뉴스
Mohammad Rabbani
http://www.afghanist[...]
2001-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