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몬테네그로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의 총리는 몬테네그로 정부의 수반이다. 몬테네그로 공국은 1879년 정부를 수립하여 각료회의 의장을 정부 수반으로 두었으며, 1910년 왕국 선포 이후에도 총리직이 유지되었다.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가 항복하면서 망명 정부가 수립되었고, 1945년에는 유고슬라비아의 구성국으로 몬테네그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1991년 몬테네그로 공화국 시대를 거쳐 2006년 독립 이후 현재까지 총리직이 이어지고 있으며, 역대 총리 목록과 함께 각 시기별 정부 수반의 명단이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 정부 - 몬테네그로 의회
    몬테네그로 의회는 81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몬테네그로의 입법부로서, 법률 제정, 국제 조약 비준, 판사 임명, 예산 채택 등의 권한을 가진다.
  • 몬테네그로 정부 - 몬테네그로의 대통령
    몬테네그로의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어 최대 2번 연임할 수 있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원수로서, 헌법에 따라 국가를 대표하고 군대를 지휘하며 법률 공포 및 의회 선거 소집 등의 권한을 가진다.
  • 몬테네그로의 총리 - 밀로 주카노비치
    밀로 주카노비치는 1962년 몬테네그로에서 태어난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총리와 대통령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며 친서방 정책을 추진했지만 부패, 권력 남용, 언론 탄압 등의 논란에 휩싸였다.
  • 몬테네그로의 총리 - 필리프 부야노비치
    필리프 부야노비치는 몬테네그로의 정치인으로,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에 입당하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총리를, 2003년부터 2018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몬테네그로의 독립과 유럽 통합을 이끌었다.
몬테네그로의 총리
기본 정보
직책총리
국가몬테네그로
로마자 표기Pŭredśednik Vlade Tsŭrnê Gore
휘장휘장
휘장
밀로이코 스파이치
현직 정보
현직 총리밀로이코 스파이치
임기 시작일2023년 10월 31일
임명권자의회
지명권자대통령 (야코프 밀라토비치)
임기제한 없음 (의회의 신임을 얻는 동안)
웹사이트www.gov.me
역사
직책 생성일1879년 3월 20일
초대 총리보조 페트로비치-니에고시
정치
정치체제의원내각제
최근 선거
대통령 선거2018년, 2023년
의회 선거2023년, 차기
지방 선거2022년, 2024년

2. 역사

몬테네그로 정부는 몬테네그로 공국 시절이던 1879년 3월 20일에 처음 수립됐다. 당시 정부수장의 직함은 '각료회의 의장'이었다. 1910년 8월 28일에는 몬테네그로가 왕국을 선언하였다. 공국기와 왕정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 정부수장은 그 지위나 영향력 모두 크지는 않았지만 니콜라 1세의 의지에 따라 계속 남아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이던 1916년 1월 15일 몬테네그로가 동맹국에 항복하자, 몬테네그로 정부는 해외로 망명하였고 이후 실각할 때까지 계속해서 남아 있었다.

1918년 11월 26일 포드고리차 회의 결정에 따라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병합되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이룬 가운데, 12월 20일 신왕국 총리로 스토얀 프로티치가 취임하게 됐다. 하지만 퇴위한 니콜라 1세는 망명 중에 몬테네그로 총리를 계속 임명하였고 1921년 서거할 때까지 이어졌다. 몬테네그로 망명정부는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1922년 해체되었다.

공산주의 집권기던 1945년 3월 7일 몬테네그로도 공산 자치정부를 꾸리게 되었고, 1945년 4월 17일에는 유고슬라비아의 한 구성국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정부 내에 몬테네그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전후 몬테네그로에서 실질적으로 처음 세워진 정부를 담당하는, 이른바 '몬테네그로 장관'의 탄생이었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총리를 정부수장으로 하다가 1953년 2월 4일부로 직함이 '최고위원회 의장'으로 바뀌었으며, 1991년 1월 15일부터는 다시 '총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2. 1. 몬테네그로 공국 (1879년~1910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몬테네그로 공국 시절이던 1879년 3월 20일에 처음 수립됐다. 당시 정부수반의 직함은 '각료회의 의장'이었다. 1910년 8월 28일 몬테네그로는 왕국을 선언하였다. 공국기와 왕정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 정부 수장은 그 지위나 영향력 모두 크지는 않았지만 니콜라 1세의 의지에 따라 계속 남아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이던 1916년 1월 15일 몬테네그로가 동맹국에 항복하자, 몬테네그로 정부는 해외로 망명하였고 이후 실각할 때까지 계속해서 남아 있었다.

1918년 11월 26일 포드고리차 회의 결정에 따라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병합되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이룬 가운데, 12월 20일 신왕국 총리로 스토얀 프로티치가 취임하게 됐다. 하지만 퇴위한 니콜라 1세는 망명 중에 몬테네그로 총리를 계속 임명하였고 1921년 서거할 때까지 이어졌다. 몬테네그로 망명정부는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1922년 해체되었다.

정부 수반이름
임기정당섭정[3]국왕
취임퇴임재임 기간
몬테네그로 공국몬테네그로의 밀레나
100px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00px

니콜라 1세
100px


다니로
100px


미하일로
100px

style="background:;"| 1
100px

보조 페트로비치-네고시
1879년 3월 20일1905년 12월 19일무소속
2
100px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905년 12월 19일1906년 11월 24일진정한 인민당
3
100px
마르코 라둘로비치
1906년 11월 24일1907년 2월 1일인민당
4
100px
안드리야 라도비치
1907년 2월 1일1907년 4월 17일인민당
style="background:;"| 5
100px
라자르 토마노비치
1907년 4월 17일1910년 8월 28일무소속


2. 2.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1918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몬테네그로 공국 시절이던 1879년 3월 20일에 처음 수립됐다. 당시 정부수장의 직함은 '각료회의 의장'이었다.[3] 1910년 8월 28일에는 몬테네그로가 왕국을 선언하였다. 공국기와 왕정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 정부수장은 그 지위나 영향력 모두 크지는 않았지만 니콜라 1세의 의지에 따라 계속 남아 있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이던 1916년 1월 15일 몬테네그로가 동맹국에 항복하자,[3] 몬테네그로 정부는 해외로 망명하였고 이후 실각할 때까지 계속해서 남아 있었다.

1918년 11월 26일 포드고리차 회의 결정에 따라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와 병합되고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이룬 가운데, 12월 20일 신왕국 총리로 스토얀 프로티치가 취임하게 됐다. 하지만 퇴위한 니콜라 1세는 망명 중에 몬테네그로 총리를 계속 임명하였고 1921년 서거할 때까지 이어졌다. 몬테네그로 망명정부는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1922년 해체되었다.

정부 수반이름
임기정당섭정[3]국왕
취임퇴임재임 기간
몬테네그로 왕국몬테네그로의 밀레나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니콜라 1세


다니로


미하일로

style="background:;"| (5)라자르 토마노비치
1910년 8월 28일1912년 6월 19일무소속
6
100px

미타르 마르티노비치
1912년 6월 19일1913년 5월 8일진정한 인민당
style="background:;"| –
100px
두샨 부코티치[4]1912년 10월 3일무소속
style="background:;"| 7
100px

얀코 부코티치
1913년 5월 8일1916년 1월 2일무소속
style="background:;"| –
100px

리스토 포포비치[5]
1914년 7월 17일무소속
style="background:;"| –미르코 미유슈코비치[5]1915년 10월 3일무소속
(2)
100px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916년 1월 2일1916년 1월 25일진정한 인민당
몬테네그로 망명 정부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916년 1월 25일1916년 5월 12일진정한 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916년 5월 12일1917년 1월 17일인민당
style="background:;"| 8
100px

밀로 마타노비치
1917년 1월 17일1917년 6월 1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9
100px
예브게니예 포포비치
1917년 6월 11일1919년 2월 17일무소속
10
100px
요반 플라메나츠
1919년 2월 17일1921년 6월 28일진정한 인민당
11
100px

밀루틴 부치니치
1921년 6월 28일1922년 9월 14일진정한 인민당
style="background:;" | 12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922년 9월 23일1929년 9월 14일무소속


2. 3. 몬테네그로 망명 정부 (1916년~1922년)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중이던 1916년 1월 15일 몬테네그로가 동맹국에 항복하자, 몬테네그로 정부는 해외로 망명하였다.[3] 1916년 1월 25일 라자르 미유슈코비치가 다시 총리로 임명되었고, 1916년 5월 12일까지 재임했다.[3] 이후 안드리야 라도비치가 총리직을 이어받아 1917년 1월 17일까지 재임했다.[3]

1917년 1월 17일, 군 장성 출신인 밀로 마타노비치가 총리가 되었으나 1917년 6월 11일 사임했다.[3] 예브게니예 포포비치가 1917년 6월 11일 새 총리가 되어 1919년 2월 17일까지 재임하였다.[3]

1918년 11월 26일 포드고리차 회의 결정에 따라 몬테네그로가 세르비아 왕국과 병합되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을 이루면서, 1919년 2월 17일 요반 플라메나츠가 총리로 취임하여 1921년 6월 28일까지 재임했다.[3]

니콜라 1세는 망명 중에도 계속해서 몬테네그로 총리를 임명하였고, 1921년 사망할 때까지 이 직위는 유지되었다. 1921년 6월 28일에는 군 장성 출신인 밀루틴 부치니치가 총리로 임명되어 1922년 9월 14일까지 재임했다.[3] 몬테네그로 망명 정부는 1922년 해체되었는데, 그 직전 총리는 안토 그보즈데노비치였다.[3]

정부 수반이름
임기정당섭정[3]국왕
취임퇴임재임 기간
몬테네그로 망명 정부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916년 1월 25일1916년 5월 12일진정한 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916년 5월 12일1917년 1월 17일인민당
style="background:;"| 8
밀로 마타노비치
1917년 1월 17일1917년 6월 11일무소속
style="background:;"| 9예브게니예 포포비치
1917년 6월 11일1919년 2월 17일무소속
10요반 플라메나츠
1919년 2월 17일1921년 6월 28일진정한 인민당
11
밀루틴 부치니치
1921년 6월 28일1922년 9월 14일진정한 인민당
style="background:;" | 12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922년 9월 23일1929년 9월 14일무소속
1922년부터 1941년까지 몬테네그로 지역은 제타 주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바노비나 내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였다.


2. 4.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시기 (1945년~1991년)

1945년 3월 7일, 몬테네그로는 공산 자치정부를 꾸리게 되었고, 1945년 4월 17일에는 유고슬라비아의 한 구성국으로서 유고슬라비아 정부 내에 몬테네그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전후 몬테네그로에서 실질적으로 처음 세워진 정부를 담당하는, 이른바 '몬테네그로 장관'은 밀로반 딜라스 였다. 그는 동구권 및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체제 인사였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1953년 2월 4일부로 '최고위원회 의장'으로 직함이 바뀌었다가 1991년 1월 15일부터는 다시 '총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정부 수반이름
임기정당
취임퇴임재임 기간
몬테네그로 장관
style="background:; color:white;"| –100px밀로반 딜라스(Milovan Đilas)
1945년 3월 7일1945년 4월 17일공산당
몬테네그로 인민공화국 총리
style="background:; color:white;"| 1
100px
블라조 요바노비치(Blažo Jovanović)
1945년 4월 17일1953년 2월 4일공산당
행정평의회 의장
style="background:; color:white;"| 1
100px
블라조 요바노비치(Blažo Jovanović)
1953년 2월 4일1953년 12월 16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2
100px필립 바이코비치(Filip Bajković)
1953년 12월 16일1962년 7월 12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3
100px조르지예 파이코비치(Đorđije Pajković)
1962년 7월 12일1963년 6월 25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4
100px베셀린 주라노비치(Veselin Đuranović)
1963년 6월 25일1966년 12월 8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5
100px미유슈코 시발리치(Mijuško Šibalić)
1966년 12월 8일1967년 5월 5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6
100px비도예 자르코비치(Vidoje Žarković)
1967년 5월 5일1969년 10월 7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7
100px자르코 불라이치(Žarko Bulajić)
1969년 10월 7일1974년 5월 6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8
100px마르코 오를란디치(Marko Orlandić)
1974년 5월 6일1978년 4월 28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9
100px몸칠로 체모비치(Momčilo Cemović)
1978년 4월 28일1982년 5월 7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10
100px라디보예 브라요비치(Radivoje Brajović)
1982년 5월 7일1986년 6월 6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11
100px부코 부카디노비치(Vuko Vukadinović)
1986년 6월 6일1989년 3월 29일공산주의자 동맹
style="background:; color:white;"| 12
100px라도예 콘티치(Radoje Kontić)
1989년 3월 29일1991년 2월 15일공산주의자 동맹


2. 5.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1년~2006년)

1990년, 1992년, 1996년 선거를 거쳐 1991년 2월 15일 밀로 쥬카노비치가 총리로 취임하였고, 1998년 2월 5일까지 재임하였다. 쥬카노비치는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소속이었다. 쥬카노비치 총리의 재임 기간 동안 모미르 불라토비치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998년, 2001년 선거 이후 1998년 2월 5일 필립 부야노비치가 총리로 취임하여 2003년 1월 8일까지 재임하였다. 부야노비치는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소속이었다. 부야노비치 총리의 재임 기간에는 밀로 쥬카노비치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2002년 선거 이후, 2003년 1월 8일 밀로 쥬카노비치가 다시 총리로 취임하여 2006년 6월 3일까지 재임하였다. 쥬카노비치는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소속이었다. 쥬카노비치 총리의 재임 기간 동안에는 필립 부야노비치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몬테네그로는 2006년 독립하였다.

2. 6. 몬테네그로 (2006년~현재)

1990년, 1992년, 1996년 선거를 통해 밀로 쥬카노비치가 1991년 2월 15일부터 1998년 2월 5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 1998년 및 2001년 선거 후에는 필립 부야노비치가 1998년 2월 5일부터 2003년 1월 8일까지 총리로 재직했다. 2002년 선거 이후 쥬카노비치가 다시 총리직에 복귀하여 2006년 6월 3일까지 재임했다.

2006년 6월 3일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쥬카노비치는 2006년 11월 10일까지 총리직을 계속 수행했다. 이후 2006년 선거 결과에 따라 젤코 슈투라노비치가 2006년 11월 10일부터 2008년 2월 29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슈투라노비치는 취임 당시 폐암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쥬카노비치가 행정을 보좌했다. 쥬카노비치는 2009년 선거 이후 2008년 2월 29일부터 2010년 12월 29일까지 다시 총리직을 수행했다.

이고르 루크시치는 2010년 12월 29일부터 2012년 12월 4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쥬카노비치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2012년 선거 후 쥬카노비치가 다시 총리직에 복귀, 2016년 11월 28일까지 재임했다. 그는 총리를 일시적으로 사임한 후에도 슈투라노비치 정권과 루크시치 정권에서 최고 권력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2016년 선거 이후 두슈코 마르코비치가 2016년 11월 28일부터 2020년 12월 4일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2020년 선거 후에는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가 2020년 12월 4일부터 2022년 4월 28일까지 총리로 재직했다. 크리보카피치는 취임 전부터 권위주의적인 쥬카노비치를 비판해왔으며, 연립 정권 내 친유럽연합파와의 노선 대립으로 정권이 붕괴되었다.

드리탄 아바조비치는 2022년 4월 28일부터 2023년 10월 31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2023년 선거 이후 밀로이코 스파이치가 2023년 10월 31일 총리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스파이치는 학창 시절 일본 오사카 대학사이타마 대학에 유학한 경험이 있어 친일파로 여겨진다.

성명초상취임일퇴임일정당비고대통령
1밀로 쥬카노비치
100px
1991년 2월 15일1998년 2월 5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몬테네그로 대통령 및 총리를 포함하여 7번 선출되었다. 총리를 일시적으로 사임한 후에도, 슈트라비치 정권과 룩시치 정권에서 최고 권력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담배 밀수 의혹과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 즉위 저지 사건을 일으켰다. 여론으로부터 정치 수법이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7]
100px

모미르 불라토비치/Момир Булатовићsr
2필립 부야노비치
100px
1998년 2월 5일2002년 11월 5일
밀로 쥬카노비치
(1)밀로 쥬카노비치2002년 11월 15일2006년 6월 3일
필립 부야노비치
몬테네그로
(1)밀로 쥬카노비치2006년 6월 3일2006년 11월 10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3젤코 슈투라노비치
100px
2006년 11월 10일2008년 2월 29일취임 당시 폐암을 앓고 있어 쥬카노비치가 행정을 보좌했다.[8]
(1)밀로 쥬카노비치2008년 2월 29일2010년 12월 29일
4이고르 루크시치
100px
2010년 12월 29일2012년 12월 4일취임 중 쥬카노비치의 영향 하에 있었다.
(1)밀로 쥬카노비치2012년 12월 4일2016년 11월 28일
5두슈코 마르코비치/Душко Марковићsr
100px
2016년 11월 28일2020년 12월 4일
밀로 쥬카노비치
6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100px
2020년 12월 4일2022년 4월 28일무소속취임 전부터 권위주의적인 쥬카노비치의 비판자로 활동해왔다. 연립 정권 내에서는 친유럽연합파와의 노선 대립이 격화되어 정권이 궁지에 몰렸고, 2년 만에 정권 붕괴.
7드리탄 아바조비치
100px
2022년 4월 28일2023년 10월 31일통합 개혁 행동/Уједињена реформска акцијаsr
100px

야코프 밀라토비치
8밀로이코 스파이치
100px
2023년 10월 31일(현직)유럽 지금!/Покрет Европа сад!sr학창 시절 오사카 대학사이타마 대학에 유학했기에 친일파로 여겨진다. 취임 전에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이중 국적이 의혹이 되었다.


3. 역대 총리 목록

선거임기정당대통령취임퇴임재임 기간독립 몬테네그로style="background:; color:white;"| (1)
밀로 쥬카노비치
 —2006년 6월 3일2006년 11월 10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rowspan=7 style="background:;"|

85px

(2003–2018)}}style="background:; color:white;"| 3
젤코 슈투라노비치
2006년2006년 11월 10일2008년 2월 29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1)
100px
밀로 쥬카노비치
2009년2008년 2월 29일2010년 12월 29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4
이고르 루크시치
 —2010년 12월 29일2012년 12월 4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1)
100px
밀로 쥬카노비치
2012년2012년 12월 4일2016년 11월 28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5
두슈코 마르코비치
2016년2016년 11월 28일2020년 12월 4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rowspan=2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color:white;"| 6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2020년2020년 12월 4일2022년 4월 28일무소속
}}style="background:; color: white;"| 7
드리탄 아바조비치
 —2022년 4월 28일2023년 10월 31일통합 개혁 행동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color: white;"| 8
100px
밀로이코 스파이치
2023년2023년 10월 31일현직유럽 지금!style="background:;" |


3. 1. 군주제

정부수장임기정당국왕
몬테네그로 공국rowspan=6 align=center|니콜라 1세
100px

(1841–1921년)
1
100px
보조 페트로비치
(1846–1929년)
1879년 3월 20일1905년 12월 19일무소속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05년 12월 19일1906년 11월 24일참인민당
3
100px
마르코 라둘로비치
(1866–1935년)
1906년 11월 24일1907년 2월 1일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872–1947년)
1907년 2월 1일1907년 4월 17일인민당
5라자르 토마노비치
(1845–1932년)
1907년 4월 17일1910년 8월 28일무소속
몬테네그로 왕국
(5)라자르 토마노비치
(1845–1932년)
1910년 8월 28일1912년 6월 19일무소속rowspan=21 align=center|니콜라 1세

(1841–1921년)
6미타르 마르티노비치
(1870–1954년)
1912년 6월 19일1913년 5월 8일무소속
7얀코 부코티치
(1866–1927년)
1913년 5월 8일1915년 7월 16일무소속
8밀로 마타노비치
(1879–1955년)
1915년 7월 16일1916년 1월 2일무소속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16년 1월 2일1916년 1월 25일참인민당
몬테네그로 망명정부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16년 1월 25일1916년 5월 12일참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872–1947년)
1916년 5월 12일1917년 1월 17일인민당
8밀로 마타노비치
(1879–1955년)
1917년 1월 17일1917년 6월 11일무소속
9에브게니예 포포비치
(1842–1931년)
1917년 6월 11일1919년 2월 17일무소속
10
100px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
1919년 2월 17일1921년 3월 1일무소속
11요반 플라메나츠
(1873–1944)
1921년 3월 1일1922년 1월 13일참인민당
12
밀루틴 부치니치
(1869–1922년)
1922년 1월 13일1922년 2월 13일무소속
(10)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
1922년 2월 13일1922년 7월 13일무소속


3. 1. 1. 몬테네그로 공국

정부수장임기정당국왕
몬테네그로 공국rowspan=6 align=center style="background: ;"|니콜라 1세

(1841–1921년)
align=center style="background: ;"| 1보조 페트로비치
(1846–1929년)
1879년 3월 20일1905년 12월 19일무소속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05년 12월 19일1906년 11월 24일참인민당
3마르코 라둘로비치
(1866–1935년)
1906년 11월 24일1907년 2월 1일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872–1947년)
1907년 2월 1일1907년 4월 17일인민당
align=center style="background:;"| 5100px라자르 토마노비치
(1845–1932년)
1907년 4월 17일1910년 8월 28일무소속


3. 1. 2. 몬테네그로 왕국

wikitext

정부수장임기정당국왕
align=center style="background:;"| (5)라자르 토마노비치
(1845–1932년)
1910년 8월 28일1912년 6월 19일무소속rowspan=21 align=center style="background: ;"|니콜라 1세
|100px]]
(1841–1921년)
align=center style="background:;"| 6미타르 마르티노비치
(1870–1954년)
1912년 6월 19일1913년 5월 8일무소속
align=center style="background:;"| 7|100px]]얀코 부코티치
(1866–1927년)
1913년 5월 8일1915년 7월 16일무소속
align=center style="background:;"| 8밀로 마타노비치
(1879–1955년)
1915년 7월 16일1916년 1월 2일무소속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16년 1월 2일1916년 1월 25일참인민당
몬테네그로 망명정부
(2)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년)
1916년 1월 25일1916년 5월 12일참인민당
(4)안드리야 라도비치
(1872–1947년)
1916년 5월 12일1917년 1월 17일인민당
align=center style="background:;"| 8밀로 마타노비치
(1879–1955)
1917년 1월 17일1917년 6월 11일무소속
align=center style="background:;"| 9에브게니예 포포비치
(1842–1931)
1917년 6월 11일1919년 2월 17일무소속
align=center style="background:;"| 10|100px]]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
1919년 2월 17일1921년 3월 1일무소속
11|100px]]요반 플라메나츠
(1873–1944)
1921년 3월 1일1922년 1월 13일참인민당
align=center style="background:;"| 12
밀루틴 부치니치
(1869–1922)
1922년 1월 13일1922년 2월 13일무소속
align=center style="background:;"| (10)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
1922년 2월 13일1922년 7월 13일무소속


3. 1. 3. 몬테네그로 망명 정부

(출생–사망)임기 시작임기 종료정당국왕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867–1936)1916년 1월 25일1916년 5월 12일참인민당니콜라 1세안드리야 라도비치
(1872–1947)1916년 5월 12일1917년 1월 17일인민당style="background:;"| 밀로 마타노비치
(1879–1955)1917년 1월 17일1917년 6월 11일무소속style="background:;"| 에브게니예 포포비치
(1842–1931)1917년 6월 11일1919년 2월 17일무소속style="background:;"|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1919년 2월 17일1921년 3월 1일무소속요반 플라메나츠
(1873–1944)1921년 3월 1일1922년 1월 13일참인민당style="background:;"| 밀루틴 부치니치
(1869–1922)1922년 1월 13일1922년 2월 13일무소속style="background:;"|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853–1935)1922년 2월 13일1922년 7월 13일무소속


3. 2. 사회주의 공화국

wikitext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총리
100px밀로반 질라스
(1911–1995)
1945년 3월 7일1945년 4월 17일유고슬라비아 공산당
100px블라조 요바노비치
(1907–1976)
1945년 4월 17일1953년 2월 4일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최고위원회 의장
100px블라조 요바노비치
(1907–1976)
1953년 2월 4일1953년 12월 16일공산주의동맹
100px필리프 바이코비치
(1910–1985)
1953년 12월 16일1962년 7월 12일공산주의동맹
100px조르지예 파이코비치
(1917–1980)
1962년 7월 12일1963년 6월 25일공산주의동맹
100px베셀린 주라노비치
(1925–1997)
1963년 6월 25일1966년 12월 8일공산주의동맹
100px미유슈코 시발리치
(1915–1995)
1966년 12월 8일1967년 5월 5일공산주의동맹
100px비도예 자르코비치
(1927–2000)
1967년 5월 5일1969년 10월 7일공산주의동맹
100px자르코 불라이치
(1922–2009)
1969년 10월 7일1974년 5월 6일공산주의동맹
100px마르코 오를란디치
(1930–2019)
1974년 5월 6일1978년 4월 28일공산주의동맹
100px몸칠로 체모비치
(1928–2001)
1978년 4월 28일1982년 5월 7일공산주의동맹
100px라디보예 브라요비치
(1935년생)
1982년 5월 7일1986년 6월 6일공산주의동맹
100px부코 부카디노비치
(1937–1993)
1986년 6월 6일1989년 3월 29일공산주의동맹
100px라도예 콘티치
(1937년생)
1989년 3월 29일1991년 2월 15일공산주의동맹


3. 2. 1. 몬테네그로 장관

wikitext

정부수장취임일퇴임일정당
몬테네그로 장관
N/A
100px
밀로반 질라스
(1911–1995년)
1945년 3월 7일1945년 4월 17일공산당



순서이름초상취임일퇴임일정당비고
|25px]]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몬테네그로 담당 장관
-밀로반 질라스(Milovan Djilas)
|100px]]
1945년 3월 7일1945년 4월 17일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SKJ)동구권 및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반체제 인사.


3. 2. 2.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총리

정부수장취임일퇴임일정당
몬테네그로 사회주의공화국 총리
align=center style="background: #DD0000; color:white;"|
100px
블라조 요바노비치
(1911–1995)
1945년 4월 17일1953년 2월 4일공산당 (renamed)


3. 2. 3. 최고위원회 의장

최고위원회 의장
1100px블라조 요바노비치
(1911–1995)
1953년 2월 4일1953년 12월 16일공산주의동맹
2
100px
필리프 바이코비치
(1910–1985)
1953년 12월 16일1962년 7월 12일공산주의동맹
3100px조르지예 파이코비치
(1917–1980)
1962년 7월 12일1963년 6월 25일공산주의동맹
4
90px
베셀린 주라노비치
(1925–1997)
1963년 6월 25일1966년 12월 8일공산주의동맹
5
100px
미유슈코 시발리치
(1915–1995)
1966년 12월 8일1967년 5월 5일공산주의동맹
6100px비도예 자르코비치
(1927–2000)
1967년 5월 5일1969년 10월 7일공산주의동맹
7100px자르코 불라이치
(1922–2009)
1969년 10월 7일1974년 5월 6일공산주의동맹
8100px마르코 오를란디치
(1930–)
1974년 5월 6일1978년 4월 28일공산주의동맹
9100px몸칠로 체모비치
(1928–2001)
1978년 4월 28일1982년 5월 7일공산주의동맹
10100px라디보예 브라요비치
(1935–)
1982년 5월 7일1986년 6월 6일공산주의동맹
11100px부코 부카디노비치
(1937–1993)
1986년 6월 6일1989년 3월 29일공산주의동맹
12100px라도예 콘티치
(1937–)
1989년 3월 29일1991년 2월 15일공산주의동맹


3. 3. 공화국

wikitext

정부수장당선연도임기정당대통령
몬테네그로 공화국
rowspan=3 align=center|모미르 불라토비치

(1990-1998)
총리
1
(25)
100px
밀로 주카노비치
(1962–)
1990
1992
1996
1991년 2월 15일1998년 2월 5일사회민주당
2
(26)
필리프 부야노비치
(1954–)
1998
2001
1998년 2월 5일2003년 1월 8일사회민주당align=center|밀로 주카노비치

(1998-2002년)
(1)
(25)
100px밀로 주카노비치
(1962–)
20022003년 1월 8일2006년 6월 3일사회민주당


3. 3. 1.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년-2006년)

총리를 일시적으로 사임한 후에도, 슈트라비치 정권과 룩시치 정권에서 최고 권력자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담배 밀수 의혹과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 즉위 저지 사건을 일으켰다.
여론으로부터 정치 수법이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모미르 불라토비치2필리프 부야노비치1998년 2월 5일2002년 11월 5일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
밀로 주카노비치(1)밀로 주카노비치2002년 11월 15일2006년 6월 3일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몬테네그로 역대 대통령 및 총리를 포함하여 7번이나 선출되었다.
필리프 부야노비치


3. 3. 2. 몬테네그로 (2006년~현재)

선거임기정당대통령취임퇴임재임 기간독립 몬테네그로style="background:; color:white;"| (1)
밀로 쥬카노비치
 —2006년 6월 3일2006년 11월 10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rowspan=7 style="background:;"|

(2003–2018)}}style="background:; color:white;"| 3
젤코 슈투라노비치
2006년2006년 11월 10일2008년 2월 29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1)
밀로 쥬카노비치
2009년2008년 2월 29일2010년 12월 29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4
이고르 루크시치
 —2010년 12월 29일2012년 12월 4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1)
밀로 쥬카노비치
2012년2012년 12월 4일2016년 11월 28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tyle="background:; color:white;"| 5
두슈코 마르코비치
2016년2016년 11월 28일2020년 12월 4일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rowspan=2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color:white;"| 6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
2020년2020년 12월 4일2022년 4월 28일무소속
}}style="background:; color: white;"| 7
드리탄 아바조비치
 —2022년 4월 28일2023년 10월 31일통합 개혁 행동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color: white;"| 8
밀로이코 스파이치
2023년2023년 10월 31일현직유럽 지금!style="background:;" |


4.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Kosovo's PM is the highest paid in the region https://www.balkaneu[...] Independent Balkan News Agency 2022-05-04
[2] 웹사이트 Izabrana 44. Vlada Crne Gore https://www.vijesti.[...] 2023-10-31
[3] 문서 Milena of Montenegro's Regency and Mihailo's renunciation
[4] 문서 Mitar Martinović's representation during military camp
[5] 문서 Janko Vukotić's representation during WW1
[6] 뉴스 Kosovo's PM is the highest paid in the region https://www.balkaneu[...] Independent Balkan News Agency 2022-05-04
[7] 논문 Patterns of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in the Western Balkans 2018-07-00
[8] 웹사이트 http://www.setimes.c[...]
[9] 웹인용 In-force constitution available on Constitute - Montenegro 2007 (rev. 2013) https://www.constitu[...] 2023-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