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투그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투그릭은 몽골의 통화로, 1925년 소련 루블과 같은 비율로 도입되었다. 몽골 인민혁명당 정권은 1925년 투그릭 발행을 결정하고 소비에트 연방에서 지폐를 주문하여 유통을 시작했으며, 1928년 유일한 합법 통화가 되었다. 초기에는 몽골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1941년 이후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며, 현재는 몽골 문자와 키릴 문자를 함께 사용한다. 2010년 몽골의 광업 산업 성장으로 투그릭 가치가 상승했으나, 이후 하락하기도 했다. 투그릭은 동전과 지폐로 발행되며, 지폐는 칭기즈 칸, 담딘 수흐바타르 등 역사적 인물을 디자인에 사용한다. 투그릭 기호는 유니코드에 U+20AE로 등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경제 - 몽골 증권거래소
몽골 증권거래소는 1991년 설립되어 국영 자산 민영화를 지원하고 기업공개(IPO)를 통해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몽골 유일의 증권거래소로, 울란바토르에 위치하며 런던 증권거래소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현대화된 기술 및 시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 원 (통화) - 조선 엔
조선 엔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사용된 통화로, 일본 엔과 동일한 가치를 가졌으며 조선은행권으로 발행되었고, 이는 일제의 경제 수탈과 문화 침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된다. - 원 (통화) - 대한민국 원
대한민국 원(₩, KRW)은 대한민국의 공식 통화로, 100전으로 세분되며 여러 차례 통화 개혁을 거쳐 현재의 지폐와 동전이 유통되고, 1997년 이후 완전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 - 통화 기호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통화 기호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몽골 투그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현지 통화 이름 | ᠮᠣᠩᠭᠣᠯ ᠲᠥᠭᠦᠷᠢᠭ, 몽골 퇴그렉 |
ISO 코드 | MNT |
사용 국가 | 몽골 |
인플레이션율 | 7.0% |
인플레이션 출처 날짜 | 2024년 10월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보조 단위 이름 | 몽고 (ᠮᠥᠩᠭᠦ) |
복수형 없음 | Y |
기호 | ₮ |
사용 동전 | ₮20, ₮50, ₮100, ₮200, ₮500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0, ₮20, ₮50, ₮100, ₮500, ₮1,000, ₮5,000, ₮10,000, ₮20,000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1, ₮5 |
도입일 | 1925년 |
발행 기관 | 몽골 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몽골 은행 웹사이트 |
대체된 통화 | 위안, 몽골 달러 |
통화 정보 | |
![]() | |
기타 | |
로마자 표기 | tögürig |
로마자 표기 (보조 단위) | möngö |
2. 역사
1925년 12월 9일, 몽골 투그릭은 1 소련 루블과 동일한 가치로 도입되었으며, 1 투그릭은 은(銀) 18그램에 해당했다.[7] 투그릭은 몽골 달러를 비롯한 다른 통화들을 대체하였고, 1928년 4월 1일부터 몽골의 유일한 법정 통화가 되었다.
10~20 몽고: 0.5 은
1911년 몽골이 독립을 선언한 이후에도 중국산 은원, 중국, 러시아, 독일, 영국산 은량(1량=37.3g), 러시아 루블, 미달러 등이 몽골 내에서 유통되었다. 인민혁명당 정권은 1924년 6월 몽골상공은행(현 몽골은행)을 설립하고, 1925년 2월 국가 화폐인 투그릭(1 투그릭 = 순은 18g) 발행을 결정했다. 총 600만 투그릭 상당의 지폐(1tg, 2tg, 5tg, 10tg)를 소비에트 연방에 주문하여 같은 해 12월 9일부터 유통을 시작했으며, 1 투그릭 은화는 40만 매가 발행되었고 무게는 19.9957g, 은 함량은 90%였다.
1927년 1월 1일, 모든 재정 보고, 예산, 출납을 투그릭으로 계산하도록 결정되었고, 1928년 4월 1일부터 투그릭은 몽골 내에서 유일하게 유통되는 통화가 되었다. 같은 해 4월 13일, 투그릭의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금본위제가 도입되었다.[5]
초기 화폐는 소비에트 연방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제조되었으며, 몽골 문자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1941년 소련의 민족주의 부정 정책으로 키릴 문자가 몽골어 표기에 사용되면서, 1946년부터 몽골 화폐도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다. 1989년 소련 붕괴 이후 1994년부터는 화폐 앞면에 몽골 문자를, 뒷면에 키릴 문자를 표기하고 있다.[6]
3. 동전
50 몽고, 1 투그릭: 90% 은소욤보 가치 1950년 1970년 몽골 문자 소비에트 연방 몽골력 15년 1937년 1~5 몽고: 알루미늄 청동
10~20 몽고: 백동1960년 1970년 몽골력 27년 1945년 국장,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 (몽골인민공화국) 1970년 1970년 키릴 문자 몽골력 35년 1959년 알루미늄 1990년 1990년 중화인민공화국 기원전 1970년, 1977년, 1980년, 1981년 1~5 몽고: 알루미늄
10~50 몽고: 백동국장, 1~5 몽고는 나라 이름 약자(БНМАУ), 10~50 몽고는 나라 정식 이름 — — 1970년, 1977년: 동독
1980년, 1981년: 몽골유통 및 기념 1 투그릭 동전 1971년: 알루미늄 청동, 백동, 은, 또는 금
1981년: 알루미늄 청동국장, 나라 정식 이름, 가치 "БНМАУ", 말을 탄 담딘 수흐바타르, 연도에 따라 "50 ЖИЛ" 또는 "60 ЖИЛ" ? ? 1971년: 동독
1981년: 몽골— 1981~88년: 기념적인 주제와 1 투그릭 알루미늄 청동 카를 마르크스, 소련-몽골 우주 비행, etc. 같은 6개 디자인 ? ? 몽골 기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