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산화상법어약록(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은 원나라 몽산 덕이의 법어와 고려의 나옹 혜근의 법어를 조선 세조 때 혜각존자 신미가 구결하고 국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로, 목판본 1책이다. 중세 국어의 원형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불교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현재 동일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글박물관 소장본은 훼손된 부분이 있어 보존 처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한글박물관 소장품 - 무예제보
    무예제보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한교가 《기효신서》를 참고하여 6가지 무기 사용법과 훈련법을 그림과 함께 해설한 병서로, 이후 《무예제보속집》과 《무예도보통지》 편찬의 토대가 되었으며, 《무예제보번역속집》은 국보로 지정되어 한국 무술 및 17세기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불교 논서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교 논서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몽산화상법어약록 (蒙山和尙法語略錄)
몽산화상법어약록
몽산화상법어약록
기본 정보
이름몽산화상법어약록 (蒙山和尙法語略錄)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436
지정일2019년 2월 14일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국립한글박물관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2. 내용 구성

원나라 몽산(蒙山) 화상 덕이(德異)의 <시고원상인(示古原上人)> 등 6편의 법어(法語)와 고려의 나옹(懶翁) 혜근(慧勤)의 <시각오선인법어(示覺悟禪人法語)> 1편 등 총 7편의 법어를 조선 세조 때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가 구결(口訣)하고 국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로 목판본 1책이다.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며, 동시에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현재 조사 대상본과 동일한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어 문화재적 가치는 높게 평가된다. 다만 한글박물관 소장본은 전체적으로 훼손 상태가 보이며, 특히 권말제 부분은 복사·보완되었다.

2. 1. 몽산 덕이의 법어

2. 2. 나옹 혜근의 법어

3. 간행 및 번역

이 책은 원나라 몽산(蒙山) 화상 덕이(德異)의 <시고원상인(示古原上人)> 등 6편의 법어(法語)와 고려의 나옹(懶翁) 혜근(慧勤)의 <시각오선인법어(示覺悟禪人法語)> 1편 등 총 7편의 법어를 조선 세조 때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가 구결(口訣)하고 국역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이다. 목판본 1책이다.

권수제(卷首題)는 국한문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목 아래 '普濟尊者法語附'라는 내용이 쌍행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권수제 다음 행에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라는 역자 표시가 기입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이 책의 간행 시기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미가 역결(譯訣)한 사법어(四法語)가 합철(合綴)된 목우자수심결에 세조 13년(1467년)에 간행되었다는 간기가 수록되어 있어, 그때 간경도감에서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한글박물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중 보물 제767-1호와 769호는 권수제에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가 기입되어 있고 그 외는 역자표시가 삭제되어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자표시가 삭제된 판본에는 권말에 갑인소자(甲寅小字)로 찍은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이 붙어 있는데, 이 발문에 의하면,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발원으로 성종 3년(1472년)에 대규모로 인경(印經)한 여러 불서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3. 1. 혜각존자 신미의 역할

세조의 명을 받은 혜각존자 신미는 불경 언해 사업에 참여하여, 몽산화상법어약록을 비롯한 여러 불서를 번역하고 해설하였다. 이는 당시 불교 사상을 널리 알리고, 한글 보급에도 기여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신미대사는 민족 문화 발전에 이바지 한 점이 높게 평가받을 만 하다.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이 책의 권수제(卷首題) 다음 행에는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라는 역자 표시가 있다. 학계에서는 이 책의 간행 시기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미가 역결(譯訣)한 사법어(四法語)가 합철(合綴)된 목우자수심결에 세조 13년(1467년)에 간행되었다는 간기가 수록되어 있어, 그때 간경도감에서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물 제767-1호와 769호는 권수제에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가 기입되어 있다.

3. 2. 간경도감의 역할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간경도감에서 국역 간행한 불서 중 하나이다. 간경도감은 조선 세조 때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가 구결(口訣)하고 국역한 불서를 간행하였다. 학계에서는 이 책이 세조 13년(1467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책은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있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4. 판본 및 문화재적 가치

이 책은 목판본 1책으로, 현재 동일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판본의 특징'''

이 책은 변란은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반곽의 크기는 21.7×15.5cm이다. 반엽을 기준으로 전체 8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행의 경문은 17자로 배열되어 있다. 중앙의 판심부에는 상하에 흑어미(黑魚尾)가 내향하고 있으며, 판심제는 어미 사이에 '法語'라는 약서명이 기재되어 있고, 아래로 장차(張次)가 표시되어 있다.

'''문화재적 가치'''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간경도감에서 국역 간행한 불서의 하나로,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있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찬자 몽산 덕이는 고려의 고승들과 교류가 많았는데, 특히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과 보감국사(寶鑑國師) 혼구(混丘)와는 깊은 교류가 있었다. 그가 편찬한 육조단경(六祖壇經)과 법어(法語)는 우리나라에 중국 고승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유통될 정도로 고려 말 이후 한국 불교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던 중국 임제종의 고승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학계에서는 이 책의 간행 시기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미(信眉)가 역결(譯訣)한 사법어(四法語)가 합철(合綴)된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에 1467년(세조 13년)에 간행되었다는 간기가 수록되어 있어, 그때 간경도감에서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한글박물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중 보물 제767-1호와 769호는 권수제에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가 기입되어 있고 그 외는 역자표시가 삭제되어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자표시가 삭제된 판본에는 권말에 갑인소자(甲寅小字)로 찍은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이 붙어 있는데, 이 발문에 의하면,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발원으로 1472년(성종 3년)에 대규모로 인경(印經)한 여러 불서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한글박물관 소장의 조사 대상본은 일부에 훼손 상태가 심각하여 근래 전면적으로 보존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전후의 표지는 새로 개장되어 있고 원래 표지는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조사 대상본은 간경도감에서 국역 간행한 불서의 하나로,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이며, 동시에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있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다만 한글박물관 소장본은 전체적으로 훼손 상태가 보이고 있으며, 특히 권말 제 부분은 복사 보완된 것으로 보이므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4. 1. 판본의 특징

이 책은 변란은 사주단변(四周單邊)으로, 반곽의 크기는 21.7×15.5cm이다. 반엽을 기준으로 전체 8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행의 경문은 17자로 배열되어 있다. 중앙의 판심부에는 상하에 흑어미(黑魚尾)가 내향하고 있으며, 판심제는 어미 사이에 '法語'라는 약서명이 기재되어 있고, 아래로 장차(張次)가 표시되어 있다.

4. 2. 문화재적 가치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간경도감에서 국역 간행한 불서의 하나로,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있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찬자 몽산 덕이는 고려의 고승들과 교류가 많았는데, 특히 혜감국사(慧鑑國師) 만항(萬恒)과 보감국사(寶鑑國師) 혼구(混丘)와는 깊은 교류가 있었다. 그가 편찬한 육조단경(六祖壇經)과 법어(法語)는 우리나라에 중국 고승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유통될 정도로 고려 말 이후 한국 불교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던 중국 임제종의 고승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학계에서는 이 책의 간행 시기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미(信眉)가 역결(譯訣)한 사법어(四法語)가 합철(合綴)된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에 1467년(세조 13년)에 간행되었다는 간기가 수록되어 있어, 그때 간경도감에서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한글박물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 6건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중 보물 제767-1호와 769호는 권수제에 "혜각존자신미역해(慧覺尊者信眉譯解)"가 기입되어 있고 그 외는 역자표시가 삭제되어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역자표시가 삭제된 판본에는 권말에 갑인소자(甲寅小字)로 찍은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이 붙어 있는데, 이 발문에 의하면,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발원으로 1472년(성종 3년)에 대규모로 인경(印經)한 여러 불서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한글박물관 소장의 조사 대상본은 일부에 훼손 상태가 심각하여 근래 전면적으로 보존 처리가 시행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전후의 표지는 새로 개장되어 있고 원래 표지는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조사 대상본은 간경도감에서 국역 간행한 불서의 하나로, 중세 국어의 원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이며, 동시에 불교의 선사상이 반영되어 있어 선종의 지침서 역할을 하는 고승의 법어집이다. 다만 한글박물관 소장본은 전체적으로 훼손 상태가 보이고 있으며, 특히 권말 제 부분은 복사 보완된 것으로 보이므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5. 갤러리

몽산화상법어약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6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