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묘상은 모를 기르기 위해 흙을 준비하는 곳을 의미한다. 묘상의 토양은 씨앗이 쉽게 심어지고 발아에 최적화되도록 부드럽고 헐거운 상태여야 하며, 덩어리가 없고 물이 고이지 않아야 한다. 묘상 준비 과정은 잔해 제거, 땅 고르기, 토양 부수기, 토양 개선, 비료 주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벼농사에서 묘상은 이식할 모를 육성하는 데 사용되며, 전통적인 손 모내기 방식과 현대적인 기계 모내기 방식, 보온절충묘상 등의 방법이 있다. 일본에서는 모내기가 봄을 나타내는 계절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 원예 - 코이어
코이어는 코코넛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밧줄을 뜻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갈색과 흰색으로 나뉘고,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원예 - 분재
분재는 동아시아에서 시작된 수목 재배 및 조경 예술로, 작은 용기에 심은 나무를 통해 자연경관을 축소하여 표현하며, 일본에서 미니멀리즘 스타일로 발전했고 현재는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묘상 | |
---|---|
정의 | |
설명 | 씨앗을 심어 싹을 틔우기 위해 마련된 지역의 토지. 모종을 기르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유형 | |
유형 | 묘상 못자리 |
용도 | |
용도 | 씨앗을 심고 발아시키기 모종 기르기 식물 이식 준비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파종 육묘 정식 |
2. 묘상의 토양 및 준비
묘상은 씨앗을 쉽게 심고 최상의 발아를 위해 특정 깊이에 심을 수 있도록 물이 들어가지 않고 매끄러운 상토가 필요하다. 상토에 물이 들어가거나 문제가 있으면 모가 썩는다.[1] 또한, 많은 종류의 묘목은 뿌리가 잘 자라기 위한 최상의 조건을 갖춘 상토가 필요하다.
2. 1. 토양 조건
묘상은 씨앗을 쉽게 심고 최상의 발아를 위해 특정 깊이에 심을 수 있도록 덩어리가 없이 부드럽고 헐거운 상태의 토양을 필요로 한다. 큰 덩어리와 고르지 않은 표면은 씨앗을 심는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많은 유형의 묘목은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암석 성분이 최소화된 헐거운 토양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암석 토양에서 자란 당근은 똑바로 자라지 않는 경향이 있다.2. 2. 묘상 준비 과정
농업 분야에서 묘상을 준비할 때는 흔히 써레와 경운기를 이용한 2차 경운 작업이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보습 쟁기나 치즐 쟁기를 이용한 1차 경운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무경운 농법에서는 묘상 준비와 이후 잡초 방제를 위해 경운 작업을 하지 않는다.정원에서는 갈퀴와 괭이 같은 수공구를 이용한 2차 경운 작업으로 묘상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삽, 곡괭이, 괭이를 이용한 1차 경운 작업이 선행될 수 있으며, 로터리 경운기를 이용하면 1차 및 2차 경운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묘상 준비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잔해 제거: 곤충 알이나 질병 포자는 식물 잔해에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묘상에서 제거한다. 돌이나 큰 잔해물도 묘목 성장을 방해하므로 제거한다.
- 땅 고르기: 균등한 배수를 위해 묘상 부지를 평평하게 만든다.
- 토양 부수기: 토양 다짐 현상은 파기 작업을 통해 해결한다. 파기 작업은 공기와 물의 순환을 돕고 묘목이 토양을 뚫고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 작은 씨앗은 더 고운 토양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갈퀴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토양 표면을 입상 구조로 만든다.
- 토양 개선: 퇴비나 이탄과 같은 유기물을 섞어 토양 구조를 개선한다.
- 비료 주기: 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의 질산염 및 인산염 수치를 조절한다. 토양에 미량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 미량 영양소도 함께 공급한다.
3. 묘상의 이용: 벼농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안된 보온절충묘상의 보급으로, 한랭지나 고지대에서 조기 이식 재배를 통해 안정적인 수확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난지에서의 조기 재배에도 묘를 활용하지만, 오늘날 비교적 생산 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3. 1. 전통적인 벼농사 (손 모내기)
이앙기를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벼농사(손 모내기) 방법은 대략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1m 폭의 띠 모양으로 흙을 돋우고 가볍게 간 곳에 씨앗(종자)을 심는다.
- 1cm2당 1알 정도의 씨앗(5일 정도 물에 담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것)을 뿌린다.
- 흙이나 왕겨 또는 훈탄을 얇게 덮고 가볍게 누른다.
- 모판의 이랑 위가 잠길 정도로 물을 채워 발아시킨다.
- 모가 20cm~30cm (본잎이 7~8장) 정도 자라면 모를 뽑아 2~3포기씩 한 포기로 심는다(모내기).
3. 2. 현대적인 벼농사 (기계 모내기)
흙을 고르는 단계까지는 손으로 심는 경우와 같다. 현대적인 벼농사(기계 모내기)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1]- 준비한 육묘 상자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싹을 틔운 볍씨를 뿌린 다음, 볍씨가 덮일 정도로 흙을 살짝 덮는다.
- 육묘 상자를 고른 흙 위에 정렬하고 충분히 물을 준다.
- 비닐(육묘 시트)을 덮어 발아시킨다.
- 묘가 다 나오면 비닐을 제거한다.
- 묘가 20cm (본엽이 3~4장) 정도 자랐을 때 이앙기로 이식한다.
3. 3. 보온절충묘상 (保溫折衷苗床)
보온절충묘상은 냉해 대책으로, 쇼와 시대 초기에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정의 오기와라 도요지가 고안한 묘상이다.[1] '절충'이란 뭍 묘상(밭 묘상)과 물 묘상의 절충이라는 의미이다. 오기와라는 벼를 조기 이앙함으로써 냉온에 의한 장애와 잎도열병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는 것을 깨닫고, 씨앗을 뿌린 묘상 위에 기름종이를 덮어 발아 시기를 앞당기는 방법을 찾아냈다.[1] 쇼와 20년대 이후, 한랭지나 고지대의 농지에 보급되면서 기름종이를 비닐로 대체하는 등 농업 자재의 혁신과 품종 개량도 진행되었고, 1개월 가까이 빠르게 모내기를 할 수 있게 된 지역도 나타났다.[1]4. 계절적 의미
계절어로는 모내기는 봄(4월)으로 여겨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