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괭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괭이는 뾰족한 부분과 납작한 날을 가진 머리를 손잡이에 연결하여 단단한 땅이나 암석을 파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선사 시대에는 뿔이나 견갑골을 사용해 곡괭이처럼 사용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무기로도 활용되었다. 'pick'과 'pickaxe'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어원은 중세 라틴어 'picosa'에서 유래되었다. 곡괭이는 뾰족한 끝과 다른 쪽 끝에 찍는 도끼와 같은 납작한 날을 가진 머리를 가진 형태가 일반적이며, 다양한 종류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손잡이는 곤봉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토목 공사, 조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철도 공사나 한랭지에서 얼음을 깨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곡괭이 | |
|---|---|
| 도구 정보 | |
![]() | |
| 다른 이름 | 곡괭이 |
| 분류 | 파는 도구 |
| 종류 | 철도 곡괭이 광부 곡괭이 |
| 관련 도구 | 괭이 |
2. 역사
선사 시대에는 붉은사슴과 같은 적절한 종의 큰 사슴 뿔을 잘라 한쪽 끝이 뾰족한 곡괭이로 사용했고, 큰 동물의 견갑골을 조잡한 삽으로 사용하기도 했다.[4] 중세 시대에는 전쟁에서 곡괭이를 무기로 사용했다.
2. 1. 어원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pick'과 'pickaxe'는 모두 긴 손잡이가 굽은 철 또는 강철 막대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끝에는 뾰족한 부분이, 다른 쪽 끝에는 정(끌) 또는 뾰족한 부분이 있어 단단한 땅이나 암석을 부수는 데 사용되는 도구라는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1]'pickaxe'라는 용어는 민간어원에 의해 중세 영어 picas|피카스enm에서 변형된 것으로, 앵글로-노르만어 piceis|피세이스xno, 고대 프랑스어 pocois|포코이스fro를 거쳐, 직접적으로 중세 라틴어 picosa|피코사la에서 유래하며, 라틴어 picus|피쿠스la와 관련이 있다.[2][3] 현대의 곡괭이는 보통 뾰족한 끝과 다른 쪽 끝에 찍는 도끼와 같은 납작한 날을 가진 머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철자는 'axe'의 영향을 받았으며, 'pickaxe', 'pick-axe', 또는 때로는 'pick'으로 이 도구의 모든 종류를 지칭한다.
두루미의 부리와 닮았기 때문에 곡괭이(鶴嘴)라고 불리며, 일본 제국 육군과 자위대에서는 '''십자괭이'''라고 부른다.
3. 종류
곡괭이는 뾰족한 머리 부분이 두루미의 부리와 닮아 구 일본 육군과 자위대에서는 '''십자괭이'''라고도 불리는 도구이다. 머리 부분은 대부분 금속제이며, 손잡이는 금속제 또는 목제이다. 일본에서 흔히 판매되는 것은 머리 부분이 빨갛게 도장되어 있다.
- '''편학정'''(片鶴嘴, 카타츠루하시): 머리 부분의 돌출이 한쪽에만 있는 형태이다.
- '''철도학정'''(鉄道鶴嘴, 테츠도츠루하시): 머리 부분의 한쪽이 뾰족하고 다른 한쪽이 평평한 날인 형태이다.[6] 삼선의 바치와 비슷하여 '''바치츠루'''(バチツル)라고도 불리며,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6] 비터라고도 불린다.
한랭지에서는 얼음을 깨는 데 사용되며, 머리 부분 한쪽이 도끼 모양으로 된, 피켈에 가까운 형태도 판매된다. 임업에서는 암석이 많은 곳에 조림(심기)를 할 때 탕구 반대쪽에 학정을 단 '''학정달린 탕구'''(ツル付き唐鍬, 츠루츠키카라쿠와)를 사용하기도 한다.[8]
4. 구조
곡괭이의 머리 부분은 대부분 금속이며, 손잡이 부분은 금속 또는 목재로 만든다.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것은 머리 부분이 빨갛게 도장된 것이 많다.
머리 부분의 돌출이 한쪽에만 있는 형태는 '''편학정'''(片鶴嘴, 카타츠루하시)이라고 부른다. 머리 부분의 한쪽이 뾰족하고 다른 한쪽이 평평한 날인 것은 '''철도학정'''(鉄道鶴嘴, 테츠도츠루하시)이라고 부르며,[6] 돌출부 끝이 넓어져 삼선의 바치와 비슷한 형태는 '''바치츠루'''(バチツル)라고도 부른다. 철도학정은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며,[6] 비터라고도 불린다.
학정의 형태 등에 관한 JIS 규격은 없으므로, 제조업체에 따라 핸들과 머리 부분이 잘 맞지 않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랭지에서는 얼음을 깨는 데 사용하며, 용도에 따라 머리 부분의 한쪽이 도끼 모양인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5. 무기로서의 곡괭이
선사 시대에는 적절한 종(예: 붉은사슴)의 큰 사슴 뿔을 자루와 가장 아래쪽 가지까지 잘라내어 한쪽 끝이 뾰족한 곡괭이로 사용했고, 때로는 큰 동물의 견갑골을 조잡한 삽으로 함께 사용했다.[4] 중세 시대 전쟁 중에는 곡괭이를 무기로 사용했다.
역사적으로 곡괭이는 고대부터 근접전투용 무기로 쉽게 개조되었다. 수 세기 동안 그 일부는 다양한 전투 도끼에 통합되었다.
곡괭이 손잡이(때로는 "픽핸들" 또는 "픽 헬브"라고도 함)는 때때로 곤봉으로 사용된다. 존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에서 이주 농부들에게 곡괭이 손잡이를 사용했고, 조지아 주지사 레스터 매독스는 1960년대 미국 민권 운동의 격렬한 시기에 백인 전용 식당에 흑인의 출입을 막기 위해 비슷하지만 더 가는 도끼 손잡이를 사용하겠다고 공공연히 위협했다. 영국군에서는 곡괭이 손잡이를 공식적으로 곤봉으로 사용한다.
곡괭이는 영국군의 파이오니어 상사가 일반적으로 휴대한다.[5]
6. 현대적 사용
일본에서는 대장영상의 『농구편리론』에 "나무일으키개"로 소개되었다.[7] 오늘날 일본에서는 대부분 토목공사에 사용된다.[6]
머리 부분의 돌출이 한쪽에만 있는 형태는 '''편학정'''(片鶴嘴, 카타츠루하시)이라고 불린다.
머리 부분의 한쪽이 뾰족하고 다른 한쪽이 평평한 날인 것은 '''철도학정'''(鉄道鶴嘴, 테츠도츠루하시)이라고 부른다.[6] 돌출부의 끝이 넓어지는 형태가 삼선의 바치와 비슷하여 '''바치츠루'''(バチツル)라고도 불린다. 철도학정은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6] 철도학정은 비터라고도 불린다.
학정의 형태 등에 관한 JIS 규격은 없으므로, 제조업체가 다르면 핸들 부분과 머리 부분이 잘 맞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랭지에서는 얼음을 깨는 데 사용되며, 용도상 머리 부분의 한쪽이 도끼 모양이 된, 피켈에 더 가까운 형태의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임업에서는 암석이 많은 장소에 조림(심기)을 할때 탕구의 반대쪽에 학정을 단 '''학정달린 탕구'''(ツル付き唐鍬, 츠루츠키카라쿠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8]
7. 일본에서의 곡괭이
곡괭이와 비슷한 형태의 대형 공구로, 뾰족한 머리 부분이 두루미의 부리와 닮았기 때문에 곡괭이(鶴嘴)라고 불린다. 구 일본 육군과 자위대에서는 '''십자괭이'''라고 부른다.
머리 부분은 대부분 금속제이며, 손잡이 부분은 금속제 또는 목제인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것은 머리 부분이 빨갛게 도장된 것이 많다. 일본에서는 대장영상의 『농구편리론』에 "나무일으키개"로 소개되어 있다.[7] 오늘날 일본에서는 대부분 토목공사에 사용된다.[6]
머리 부분의 돌출이 한쪽에만 있는 형태의 것은 '''편학정'''(片鶴嘴, 카타츠루하시)이라고 불린다. 머리 부분의 한쪽이 뾰족하고 다른 한쪽이 평평한 날인 것은 '''철도학정'''(鉄道鶴嘴, 테츠도츠루하시)이라고 부른다.[6] 돌출부의 끝이 넓어지는 형태가 삼선의 바치와 비슷한 곳에서 '''바치츠루'''(バチツル)라고도 불린다. 철도학정은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6] 철도학정은 비터라고도 불린다.
학정의 형태 등에 관한 JIS 규격은 없으므로, 제조업체가 다르면 핸들 부분과 머리 부분이 잘 맞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랭지에서는 얼음을 깨는 데 사용되며, 용도상 머리 부분의 한쪽이 도끼 모양이 된, 더 피켈에 가까운 형태의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임업에서는 암석이 많은 장소에 대한 조림(심기)에 대응하기 위해, 탕구의 반대쪽에 학정을 단 '''학정달린 탕구'''(ツル付き唐鍬, 츠루츠키카라쿠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8]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xford Univ. Press
2006
[2]
웹사이트
Pickax
2017-03-03
[3]
웹사이트
pickaxe
[4]
웹사이트
Deer-antler pick, used in flint mining from Grimes Graves
http://www.ingenious[...]
ingenious.org.uk
2012-07-06
[5]
웹사이트
Meet The Pioneer Sergeant: One Of The Few Army Ranks Allowed A Beard On Parade
https://www.forces.n[...]
2018-10-03
[6]
서적
日本民具辞典
ぎょうせい
1997
[7]
서적
日本民具辞典
ぎょうせい
1997
[8]
서적
しょくさいようきぐ 植栽用器具
日本林業技術協会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