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경쟁적 저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경쟁적 저해는 효소의 활성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알로스테릭 부위)에 저해제가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레오노르 미하엘리스는 말테이스 활성 저해제를 사용하여 비경쟁적 저해를 처음으로 관찰했으며, 미하엘리스와 모드 멘텐은 인버타아제 연구를 통해 효소 반응 속도론을 발전시켰다. 비경쟁적 저해는 효소의 최대 반응 속도(Vmax)를 감소시키지만, 기질에 대한 친화도(Km)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YP2C9 효소의 저해제인 니페디핀, 트라닐시프로민 등이 예시로 제시되며, 신약 개발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소 억제제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 억제제 - 경쟁적 저해
    경쟁적 저해는 억제제가 기질과 유사한 구조로 효소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효소 저해의 한 형태로, 기질 농도 증가로 억제 효과를 상쇄할 수 있으며 최대 반응 속도는 변하지 않으나 기질의 겉보기 친화도는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다.
  • 효소반응속도론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반응속도론 - 경쟁적 저해
    경쟁적 저해는 억제제가 기질과 유사한 구조로 효소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효소 저해의 한 형태로, 기질 농도 증가로 억제 효과를 상쇄할 수 있으며 최대 반응 속도는 변하지 않으나 기질의 겉보기 친화도는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다.
  • 효소 - 활성 부위
    활성 부위는 효소 분자 내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는 특정 부위이며, 다양한 모델로 설명되고, 결합 부위, 촉매 부위, 보조인자를 포함하며, 저해제와 알로스테릭 부위와 관련되어 신약 개발에 활용된다.
  • 효소 - 제한 효소
    제한 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로, 유전체학과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인식 서열 특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연구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무경쟁적 저해
효소 저해
유형가역적
메커니즘저해제가 효소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 여부에 관계없이 최대 속도를 감소시킴
Ki (저해 상수)0.1-10 μM
영향을 받는 변수Vmax (최대 속도) 감소
그래프 변경Lineweaver-Burk 플롯에서 x축 절편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y축 절편은 증가함

2. 역사

비경쟁적 저해는 효소 반응 속도론 연구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발견으로, 효소 작용 기작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레오노르 미하엘리스는 말테이스 활성 저해제로 과당과 포도당을 사용하여 비경쟁적 저해를 처음으로 관찰했다. 에이드리언 존 브라운과 빅토르 앙리는 미하엘리스와 모드 멘텐의 효소 운동론 발견의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앙리는 현재 미하엘리스-멘텐 방정식으로 알려진 방정식을 처음으로 작성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인버타아제를 이용하여 효소 농도와 기질의 존재에 따라 반응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도출했다. 이들은 앙리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상 상태 실험을 위한 초기 속도 방법 개념을 완성했으며, 비경쟁적 저해가 ''kcat''(촉매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인버타아제를 사용하여 자당 전환을 촉매함으로써 편광 측정을 통해 효소 반응 속도를 측정하고, 자당이 인버타아제로 전환되는 반응에서 비경쟁적 저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2]

2. 1. 초기 연구자들

레오노르 미하엘리스는 병원에서 연구하면서 말테이스에 대한 실험을 통해 경쟁적 저해와 비경쟁적 저해의 차이를 처음으로 관찰했다. 그는 말테이스가 맥아당을 두 개의 포도당 단위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과당과 포도당을 저해제로 사용했다. 이 실험을 통해 비경쟁적 저해는 ''kcat'' 값에 영향을 미치지만, Km 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했다. 또한, 미하엘리스는 저해제가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효소를 비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2]

미하엘리스와 모드 멘텐은 자당을 과당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반응에 사용되는 인버타아제 효소를 연구했다. 이들은 효소 농도와 기질의 존재에 따라 반응 속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반응 속도를 설명하는 방정식을 도출했다.[2][3]

에이드리언 존 브라운과 빅토르 앙리는 미하엘리스와 멘텐의 효소 운동론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4] 브라운은 효소 운동론의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구상했지만, 정량적 데이터는 부족했다.[4] 앙리는 효소 운동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나, 수소 이온 농도와 포도당의 변선회 현상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앙리는 현재 미하엘리스-멘텐 방정식으로 알려진 방정식을 처음으로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미하엘리스는 앙리의 연구를 바탕으로,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pH 척도를 사용하여 말테이스와 인버타아제에 의해 제어되는 촉매 반응에서 포도당과 과당을 이용해 다양한 유형의 저해를 처음으로 구별했다.[2]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앙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상 상태 실험을 위한 초기 속도 방법을 사용했다. 이들은 비경쟁적(혼합) 저해가 ''kcat''(촉매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쟁적 저해는 속도(V)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2]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인버타아제의 pH 효과를 연구하면서, α-D-포도당이 인버타아제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에서 방출되어 불안정하며, β-D-포도당으로 자발적으로 변한다는 사실(변선회)을 발견했다. 앙리가 이 점을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에 실험에 실패했다.[4] 인버타아제를 이용한 자당 전환 실험을 통해, 이들은 편광 측정을 통해 효소 반응 속도를 측정하고, 자당이 인버타아제로 전환되는 반응에서 비경쟁적 저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2]

2. 2. 미하엘리스-멘텐의 연구

레오노르 미하엘리스와 모드 멘텐은 자당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인버타아제를 연구했다.[2] 이들은 인버타아제를 이용한 반응을 연구하면서, 이 효소의 운동론이 다른 효소의 운동론에 혁명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은 연구된 반응 속도를 표현하면서 주로 효소 농도와 기질의 존재에 따라 달라지지만, 특정 범위 내에서만 영향을 받는다는 방정식을 도출했다.[2][3]

빅토르 앙리의 방법을 사용하여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정상 상태 실험을 위한 초기 속도 방법이라는 개념을 거의 완벽하게 만들었다. 이들은 비경쟁적 저해가 ''kcat''(촉매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쟁적 저해는 속도(V)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2]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실험에서 수소 이온을 사용하여 인버타아제의 pH 효과에 크게 집중했다.[2] 인버타아제는 세포 외 효모에서 발견되는 효소로, 자당(자당과 과당의 혼합물)을 가수 분해하거나 "전화당"으로 전환하여 반응을 촉매한다. 인버타아제를 사용한 주된 이유는 쉽게 분석할 수 있고 실험을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당은 편광계에서 우선성-D로 회전하는 반면, 전화당은 좌선성-L이다. 이것은 설탕의 전환을 추적하는 것을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었다. 또한 α-D-포도당이 인버타아제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에서 방출되는데, 이는 매우 불안정하여 β-D-포도당으로 자발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 인버타아제를 사용하여 자당 전환을 촉매함으로써 이들은 편광 측정을 통해 효소가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지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자당이 인버타아제로 전환되는 반응에서 비경쟁적 저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

3. 용어

비경쟁적 저해와 알로스테릭 저해는 종종 혼용되지만, 모든 알로스테릭 저해제가 비경쟁적 저해제인 것은 아니다.[1] 알로스테릭 저해제는 경쟁적 저해 방식, 비경쟁적 저해 방식 또는 불경쟁적 저해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1]

많은 자료에서 이 두 용어를 혼동하거나, 알로스테릭 저해의 정의를 비경쟁적 저해의 정의로 사용하고 있다.[5]

4. 메커니즘

비경쟁적 저해는 저해제와 기질이 특정 시간에 효소에 모두 결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한다. 기질과 저해제가 모두 결합되면 효소-기질-저해제 복합체는 생성물을 형성할 수 없으며 효소-기질 복합체 또는 효소-저해제 복합체로만 다시 변환될 수 있다. 비경쟁적 저해는 저해제가 효소 및 효소-기질 복합체에 대해 동일한 친화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혼합 저해와 구별된다.[6]

예를 들어, 당분해 과정에서 피루브산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에놀피루브산이 피루브산으로 전환되는 반응을 촉매한다. 알라닌은 피루브산에서 합성되는 아미노산이며, 당분해 과정에서 효소 피루브산 키나아제를 저해한다. 알라닌은 비경쟁적 저해제이므로 활성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과 결합한다.[6]

또 다른 예로, 뇌에서 헥소키나아제를 저해하는 글루코스 6-인산이 있다. 글루코스 6-인산의 탄소 2번과 4번에는 수산기(-OH)가, 탄소 6번에는 인산기가 붙어 있어 효소-저해제 복합체에 결합한다. 기질과 효소는 저해제가 부착되는 그룹 조합에서 다르다. 글루코스 6-인산이 동시에 다른 장소에 결합하는 능력은 이를 비경쟁적 저해제로 만든다.[7]

저해제의 결합이 기질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단순히 제한된 시간 동안 생성물 형성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경쟁적 저해와 다르다.

이러한 유형의 저해는 기질에 대한 촉매의 겉보기 결합 친화성(Kmapp – 미카엘리스-멘텐 식 참조)을 변화시키지 않고 화학 반응의 최대 속도를 감소시킨다. 비경쟁적 저해제가 추가되면 Vmax는 감소하지만 Km은 변하지 않는다. 리너위버-버크 그림에서 비경쟁적 저해제가 추가될 때 기울기와 y 절편 모두 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8]

경쟁적 저해와 비경쟁적 저해의 주요 차이점은 경쟁적 저해는 기질 결합을 방해하여 효소의 기질에 대한 친화력을 낮추는 반면, 비경쟁적 저해는 효소-기질 복합체가 화학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4. 1. 알로스테릭 조절

비경쟁적 저해의 가장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저해제가 효소의 알로스테릭 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알로스테릭 부위는 활성 부위와는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저해제가 이 부위에 결합하면 효소의 활성 부위 구조가 변형되어 기질과의 반응성이 감소한다.[6] 비경쟁적 저해 또는 혼합형 저해의 가능성이 있는 기구는 아래 그림과 같다.

5. 방정식

무경쟁적 저해제가 존재할 때, 효소의 겉보기 최대 반응 속도(Vmaxapp)는 감소하지만, 겉보기 친화력(Kmapp)은 변하지 않는다.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V_{max}^{app} = \frac{V_{max}}{1+\frac{[\mathrm{I}]}{K_I}}

: {apparent\ \mathrm{[E]_0}} = \frac{\mathrm{[E]_0}}{1+\frac{\mathrm{[I]}}{K_I}}

5. 1. 미카엘리스-멘텐 식의 변형

무경쟁적 저해제가 존재할 때, 효소의 겉보기 친화도는 실제 친화도와 동일하다.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의 관점에서, Kmapp = Km이다. 이는 저해제가 효소와 효소-기질 복합체에 동일하게 결합하여 평형이 유지되기 때문에 르 샤틀리에의 원리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효소는 항상 기질을 생성물로 전환하는 것을 억제받으므로, 유효 효소 농도는 낮아진다.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다.

: V_{max}^{app} = \frac{V_{max}}{1+\frac{[\mathrm{I}]}{K_I}}

: {apparent\ \mathrm{[E]_0}} = \frac{\mathrm{[E]_0}}{1+\frac{\mathrm{[I]}}{K_I}}

6. 예시

CYP2C9 효소의 무경쟁적 저해제에는 니페디핀, 트라닐시프로민, 페네틸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6-하이드록시플라본 등이 있다.[9] 컴퓨터 도킹 시뮬레이션과 제작된 돌연변이체 치환 결과, 6-하이드록시플라본의 무경쟁적 결합 부위는 보고된 CYP2C9 효소의 알로스테릭 결합 부위임을 나타낸다.[14]

7. 한국의 연구 동향 (추가)

신약 개발, 질병 치료,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경쟁적 저해 기전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효소 저해제 개발 및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비경쟁적 저해제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Assay Guidance Manual https://www.ncbi.nlm[...] Eli Lilly & Company and the 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Translational Sciences 2004-01-01
[2] 논문 One hundred years of Michaelis–Menten kinetics 2015-03-01
[3] 논문 The kinetics of invertin action. 1913 2013-09-01
[4] 논문 The origins of enzyme kinetics 2013-09-01
[5] 웹사이트 Noncompetitive inhibition and allosteric inhibition http://www.biology-o[...] Biology Online (forum) 2012-04-02
[6] 논문 The Glycolytic Pathway Is Tightly Controlled https://www.ncbi.nlm[...] 2002-01-01
[7] 논문 The non-competitive inhibition of brain hexokinase by glucose-6-phosphate and related compounds http://www.jbc.org/c[...] 1954-10-01
[8] 논문 A qualitative approach to enzyme inhibition 2009-01-01
[9] 논문 Mechanism of CYP2C9 inhibition by flavones and flavonols http://p4502c.google[...] American Society for Pharmacology & Experimental Therapeutics (ASPET) 2009-03-01
[10] 웹사이트 Types of Inhibition http://assay.nih.gov[...] 2012-04-02
[11] 웹사이트 Non Competitive Inhibitors http://classof1.com/[...] 2014-09-09
[12] 웹사이트 Noncompetitive inhibition and allosteric inhibition http://www.biology-o[...] Biology Online (forum) 2012-04-02
[13] 웹사이트 Noncompetitive Inhibition http://cti.itc.virgi[...] 2012-04-02
[14] 논문 Mechanism of CYP2C9 inhibition by flavones and flavonols http://p4502c.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