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은 효소 반응 속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로, 효소(E)가 기질(S)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ES)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에서 생성물(P)이 방출되어 효소가 재생성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모델은 생성물 형성 속도(v)를 기질 농도([S])와 미카엘리스 상수(Km)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낮은 기질 농도에서는 1차 반응, 높은 기질 농도에서는 0차 반응 속도론을 따른다.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은 다양한 생화학적 상황과 생화학 반응 외 분야에도 적용되며, 특이성 상수(kcat/Km)는 효소의 효율성을 나타낸다. 또한,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은 선형 저해, 기질 저해, 경쟁적 저해, 비경쟁적 저해, 무경쟁적 저해 등 다양한 효소 저해 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소반응속도론 - 효소 저해제
효소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작용 방식에 따라 가역적 및 비가역적 저해제로 나뉘며 의약품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효소반응속도론 - 경쟁적 저해
경쟁적 저해는 억제제가 기질과 유사한 구조로 효소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기질 결합을 방해하는 효소 저해의 한 형태로, 기질 농도 증가로 억제 효과를 상쇄할 수 있으며 최대 반응 속도는 변하지 않으나 기질의 겉보기 친화도는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다. - 촉매 반응 - 활성화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는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반응물이 넘어야 하는 최소 에너지 장벽으로, 반응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촉매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아레니우스 식으로 표현되며, 다양한 화학 현상 이해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 촉매 반응 - 광촉매
광촉매는 빛을 받아 촉매 작용을 하는 물질로, 이산화티타늄이 주로 사용되며 유기물 분해, 수질 및 대기 정화 등에 응용되지만 가시광선 효율 향상 및 과장 광고 문제가 있다. - 화학반응속도론 - 반응 속도
반응 속도는 닫힌 계에서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변화율을 화학량론 계수로 나눈 값이며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반응 메커니즘 연구에 필수적이다. - 화학반응속도론 - 연쇄반응
연쇄 반응은 분자 반응으로 생성물과 불안정한 분자가 생성되어 추가 반응을 촉발하는 과정으로, 화학, 핵반응, 기체 내 전자 사태, 반도체 항복, 생명체 내 반응 등에서 관찰되며 개시, 성장, 종결 단계를 거친다.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 | |
---|---|
미카엘리스-멘텐 반응 속도론 | |
![]() | |
유형 | 효소 반응 속도론 |
개발자 | 레오노르 미카엘리스 모드 멘텐 |
개발 년도 | 1913년 |
사용 분야 | 생화학 약리학 생리학 |
주요 개념 | |
효소 (E) | 효소 |
기질 (S) | 기질 |
효소-기질 복합체 (ES) | 효소와 기질의 복합체 |
생성물 (P) | 반응 결과 생성되는 물질 |
최대 반응 속도 (Vmax) | 효소가 최대로 반응할 수 있는 속도 |
미카엘리스 상수 (Km) | 효소의 기질에 대한 친화도를 나타내는 상수 |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 | |
방정식 | v = (Vmax [S]) / (Km + [S]) |
변수 설명 | v: 반응 속도 Vmax: 최대 반응 속도 [S]: 기질 농도 Km: 미카엘리스 상수 |
가정 | |
정상 상태 가정 | 효소-기질 복합체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 |
초기 속도 측정 | 생성물 농도가 매우 낮을 때의 반응 속도를 측정 |
응용 | |
효소 활성 측정 | 효소의 활성을 정량적으로 측정 |
약물 개발 | 약물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대사 경로 분석 | 생체 내 대사 경로를 이해하고 모델링 |
한계점 | |
알로스테릭 효소 | 미카엘리스-멘텐 속도론을 따르지 않는 효소 존재 |
기질 저해 | 높은 기질 농도에서 반응 속도가 감소하는 현상 |
다기질 반응 | 여러 기질이 관여하는 반응에는 적용하기 어려움 |
2. 모델
미카엘리스와 멘텐은 빅토르 앙리의 연구를 바탕으로 효소 반응 속도론을 연구했다.[51][52] 1913년, 그들은 효소(E)와 기질(S)이 결합하여 복합체(ES)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에서 생성물(P)이 방출되어 효소가 재생성되는 반응 모델을 제안했다.[39][10]
효소-기질의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정반응 속도 상수, 는 역반응 속도 상수, 는 촉매 속도 상수를 나타낸다.[53] 효소-기질 결합은 가역적 과정이며, 생성물 형성은 비가역적이다.
특정 가정 하에서 생성물 형성 속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는 초기 효소 농도이다. 낮은 기질 농도에서는 기질 농도에 비례하는 1차 반응 속도론을 따르지만,[11] 높은 기질 농도에서는 기질 농도에 독립적인 0차 반응 속도론을 따르며, 제한 속도 에 점근적으로 접근한다.[11] 회전율 또는 촉매 상수로 알려진 는 시간 단위당 효소 분자당 생성물로 전환되는 기질 분자의 제한 수이다. 효소가 포화 상태일 때는 기질을 더 첨가해도 속도는 증가하지 않는다.
미카엘리스 상수 은 효소의 농도나 순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12] 효소와 기질의 종류, 온도, pH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 모델은 항원-항체 결합, DNA-DNA 혼성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생화학적 상황에서 사용된다.[46][49] 랑뮈어 등온선과 유사하게 일반적인 생체 분자 종의 흡착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9] 이 방정식은 미카엘리스-멘텐 속도론으로 불리며, 폐포의 먼지 제거,[54] 종 풍부도 풀,[55] 혈중 알코올 농도 제거,[56] 광합성-조도 관계, 박테리아 파지 감염,[57] 이온 채널의 전도도와 리간드 농도 사이의 관계,[13] 해양의 제한 영양분 및 식물성 플랑크톤 성장[14] 등 생화학 반응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53]
3. 유도
:
이 반응식을 상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량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이때, 효소의 양은 반응 전후에 일정하므로, 라는 조건을 유도할 수 있다.
== 평형점사 (Equilibrium approximation) ==
화학 반응에서 화학 평형점에 도달하면,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반응속도와 이 물질이 다시 분해되는 속도가 같다. 즉, 반응이 충분한 시간이 흘러 평형점(Equilibrium point)에 있다고 가정하면,
:
가 성립하며, "효소의 양은 반응 전후에 일정하다"라는 조건을 통해
:
라는 식을 얻을 수 있다. 이 두 식을 연립하여 에 대해 정리하면,
:
를 얻는다. 이때, 로 정의하고, 이를 미카엘리스 상수라고 한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의 반응속도는
:
로 표현할 수 있고, 이때 이다. 이 식을 미카엘리스-멘텐 식이라고 한다.
미카엘리스와 멘텐(그리고 앙리)은 기질이 복합체와 즉시 화학 평형 상태에 있다고 가정했는데,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
여기서 ''e''는 '''자유''' 효소의 농도이고, ''x''는 효소-기질 복합체 EA의 농도이다. 효소 보존은 다음을 요구한다.
:
여기서 은 '''총''' 효소 농도이다. 두 식을 결합하면 효소-기질 복합체의 농도에 대한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는 효소-기질 복합체의 해리 상수이다. 따라서 속도식은 다음과 같은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이다.
:
여기서 는 촉매 상수 에 해당하며, 제한 속도는 이다. 평형을 가정하면 미카엘리스 상수 이다.
효소(E)가 기질(S)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ES)를 형성하고, ES가 E와 S로 되돌아가거나 반응 생성물(P)을 생성하는 일련의 반응은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반응은 와 의 두 가지 반응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자를 율속 단계로 가정한다. 반응은 신속하게 화학 평형에 도달한다고 가정하고, 해리 상수를 ''K''s로 설정하면, 가 된다.
반응계에 존재하는 효소 종류는 기질과 결합하지 않은 효소 E와 기질 S와 결합한 효소 ES 두 종류 뿐이므로, 전체 효소 농도 [E]0는 와 같다. [ES]를 미지수로 하여 연립 방정식을 풀면, 를 얻는다.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반응 생성물 P의 양은 효소-기질 복합체 ES와 반응 속도 상수 ''k''+2의 곱으로 주어지므로, 이다. 이를 통해 반응 속도 ''v''는 [ES]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ES]의 최대값은 [E]0이므로 반응 속도 ''v''의 최대값 ''V''max는 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다.
== 정류 상태 근사 (Steady-state approximation) ==
G. E. 브리그스와 J. B. S. 홀데인은 미하엘리스와 멘텐, 반 슬라이크와 컬렌의 접근 방식을 조화시킨 분석을 수행했으며,[42][17] 오늘날 효소 반응 속도론의 기본 접근 방식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중간 복합체(ES)의 농도가 생성물 형성이 측정되는 시간 척도에서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했다.[18]
결과적인 속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이것은 미카엘리스 상수의 일반화된 정의이다.[40]
정상 상태에서는 각 효소 종의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가 없으므로,
:
이 반응 메커니즘에서는 E와 ES만 효소 종으로 존재하므로
:
반응 생성물은 ES로부터 ''k''+2의 속도로 생성되므로
:
위의 식들을 연립 방정식으로 간주하여 [ES]를 구하면
:
이 식을 대입하여 속도 ''v''를 얻은 후, 분자 분모를 ''k''+1로 나눈다.
:
속도 파라미터로
:
라고 정의하면,
:
가 된다.
== 비가역적 첫 단계 ==
우레아제를 미카엘리스와 멘텐이 인베르타아제를 연구할 무렵, 도널드 반 슬라이크와 G. E. 컬런[16]은 첫 번째 단계를 평형이 아닌, 속도 상수 을 갖는 비가역적인 2차 반응으로 취급했다. 오늘날에는 그들의 접근 방식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최종 속도 방정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이 방정식은 앙리-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과 기능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운동학적 거동을 관찰해서는 이 과 같은지, 아니면 과 같은지, 또는 다른 것과 같은지 알 수 없다.[16]
3. 1. 평형점사 (Equilibrium approximation)
화학 반응에서 화학 평형점에 도달하면,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반응속도와 이 물질이 다시 분해되는 속도가 같다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반응이 충분한 시간이 흘러 평형점(Equilibrium point)에 있다고 가정하면,
:
가 성립하며, "효소의 양은 반응 전후에 일정하다"라는 조건을 통해
:
라는 식을 얻을 수 있다. 이 두 식을 연립하여 에 대해 정리하면,
:
를 얻는다. 이때, 로 정의하고, 이를 미카엘리스 상수라고 한다.
따라서 최종 생성물의 반응속도는
:
로 표현할 수 있고, 이때 이다. 이 식을 미카엘리스-멘텐 식이라고 한다.
미카엘리스와 멘텐(그리고 앙리)은 기질이 복합체와 즉시 화학 평형 상태에 있다고 가정했는데,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
여기서 ''e''는 '''자유''' 효소의 농도이고, ''x''는 효소-기질 복합체 EA의 농도이다. 효소 보존은 다음을 요구한다.
:
여기서 은 '''총''' 효소 농도이다. 두 식을 결합하면 효소-기질 복합체의 농도에 대한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
여기서 는 효소-기질 복합체의 해리 상수이다. 따라서 속도식은 다음과 같은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이다.
:
여기서 는 촉매 상수 에 해당하며, 제한 속도는 이다. 평형을 가정하면 미카엘리스 상수 이다.
효소(E)가 기질(S)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ES)를 형성하고, ES가 E와 S로 되돌아가거나 반응 생성물(P)을 생성하는 일련의 반응은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반응은 와 의 두 가지 반응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자를 율속 단계로 가정한다. 반응은 신속하게 화학 평형에 도달한다고 가정하고, 해리 상수를 ''K''s로 설정하면, 가 된다.
반응계에 존재하는 효소 종류는 기질과 결합하지 않은 효소 E와 기질 S와 결합한 효소 ES 두 종류 뿐이므로, 전체 효소 농도 [E]0는 와 같다. [ES]를 미지수로 하여 연립 방정식을 풀면, 를 얻는다.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반응 생성물 P의 양은 효소-기질 복합체 ES와 반응 속도 상수 ''k''+2의 곱으로 주어지므로, 이다. 이를 통해 반응 속도 ''v''는 [ES]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ES]의 최대값은 [E]0이므로 반응 속도 ''v''의 최대값 ''V''max는 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다.
3. 2. 정류 상태 근사 (Steady-state approximation)
G. E. 브리그스와 J. B. S. 홀데인은 미하엘리스와 멘텐, 반 슬라이크와 컬렌의 접근 방식을 조화시킨 분석을 수행했으며,[42][17] 오늘날 효소 반응 속도론의 기본 접근 방식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중간 복합체(ES)의 농도가 생성물 형성이 측정되는 시간 척도에서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했다.[18]
결과적인 속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이것은 미카엘리스 상수의 일반화된 정의이다.[40]
정상 상태에서는 각 효소 종의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가 없으므로,
:
이 반응 메커니즘에서는 E와 ES만 효소 종으로 존재하므로
:
반응 생성물은 ES로부터 ''k''+2의 속도로 생성되므로
:
위의 식들을 연립 방정식으로 간주하여 [ES]를 구하면
:
이 식을 대입하여 속도 ''v''를 얻은 후, 분자 분모를 ''k''+1로 나눈다.
:
속도 파라미터로
:
라고 정의하면,
:
가 된다.
3. 3. 비가역적 첫 단계
우레아제를 미카엘리스와 멘텐이 인베르타아제를 연구할 무렵, 도널드 반 슬라이크와 G. E. 컬런[16]은 첫 번째 단계를 평형이 아닌, 속도 상수 을 갖는 비가역적인 2차 반응으로 취급했다. 오늘날에는 그들의 접근 방식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최종 속도 방정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이 방정식은 앙리-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과 기능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운동학적 거동을 관찰해서는 이 과 같은지, 아니면 과 같은지, 또는 다른 것과 같은지 알 수 없다.[16]
4. 가정 및 제한 사항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에서 제시된 모든 유도는 자유로운 확산을 가정하는 질량 작용의 법칙에 따라 초기 결합 단계를 처리한다.[43] 그러나 단백질의 농도가 높은 살아있는 세포 환경에서 세포질은 자유롭게 흐르는 액체보다는 점성 겔처럼 작용하여 확산에 의한 분자 운동을 제한하고 반응 속도를 변화시킨다.[43] 겔과 같은 구조는 단백질과 같은 큰 분자를 심하게 제한하지만, 중심 대사에 참여하는 많은 대사 산물과 같은 작은 분자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작다.[19] 실제로는 확산의 관점에서 기질의 이동을 처리하는 것은 큰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나, 젤과 같은 구조의 제한된 이동성 속도론을 포착하기 위해, 슐넬(Schnell)과 터너(Turner)는 세포질을 프랙탈로 모델링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간주한다.[45]
미카엘리스-멘텐의 평형 해석은 기질이 생성물의 형성보다 훨씬 빠른 시간 척도로 평형에 도달하는 경우에 타당하다.[64] 반대로 브리그스-홀데인 준정상 상태 해석은 효소 농도가 기질 농도 또는 , 또는 그 둘 다보다 훨씬 낮은 경우에 성립한다.[65][66]
미카엘리스-멘텐 해석, 브리그스-홀데인 해석 모두에서 근사의 질은 가 작아질수록 향상된다. 그러나 모델 구축 시에는 그 전제 조건을 무시하고 미카엘리스-멘텐 속도론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64]
일반적으로, 비가역성의 가정은 기질의 농도가 생성물의 농도보다 매우 크거나, 반응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에 좋은 가정이다.
5. 미카엘리스-멘텐 식
미카엘리스-멘텐 식은 효소 반응 속도론에서 효소의 농도가 기질의 농도보다 훨씬 적을 때, 생성물 형성 속도를 나타내는 식이다.[10] 이 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반응 속도, 는 최대 반응 속도, 는 기질 농도, 는 미카엘리스 상수이다.
낮은 기질 농도()에서는 반응 속도가 기질 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11] 반면, 높은 기질 농도()에서는 반응 속도가 최대 반응 속도()에 점근적으로 접근한다().[11]
는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는 회전율(turnover number) 또는 촉매 상수(catalytic constant)라고 불리며, 시간 단위당 효소 분자당 생성물로 전환되는 기질 분자의 제한 수이다. 일반적으로 s-1로 표현된다.[11]
미카엘리스 상수()는 효소의 농도나 순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12] 그 값은 효소와 기질의 종류, 온도 및 pH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미카엘리스-멘텐 모델은 효소-기질 상호작용 외에도 항원-항체 결합, DNA-DNA 혼성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생화학적 상황에서 사용된다.[46][49] 이 방정식은 미생물 성장, 폐포의 먼지 제거, 종 풍부도, 혈중 알코올 농도 제거, 광합성-조도 관계, 박테리아 파지 감염 등 생화학 반응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된다.[53][54][55][56][57] 또한, 이온 채널의 전도도와 리간드 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13]
미카엘리스와 멘텐보다 10년 전에, 빅토르 앙리는 효소 반응이 효소와 기질 사이의 결합 상호 작용을 가정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51] 미카엘리스와 멘텐은 인버타아제 효소의 속도론을 연구하여 1913년에 반응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안했다.[39][52] 이 모델은 효소(E)가 기질(A)와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EA)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에서 생성물(P)가 방출되어 효소의 원래 형태를 재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10]
:
여기서 는 정반응 속도 상수, 는 역반응 속도 상수, 는 촉매 속도 상수이다.[53]
6. 특이성
'''특이성 상수'''(, 촉매 효율이라고도 함)는 효소가 기질을 생성물로 얼마나 효율적으로 변환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47] 푸마라제와 같은 확산 제한 효소는 기질이 활성 부위로 확산되는 것에 의해 제한되어 108 – 1010 M−1s−1의 이론적 상한선에서 작동한다.[47]
특정 기질 A에 대한 특이성 상수를 로 표시하면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기질 농도가 작은 값에서는 속도가 기질 농도에 대한 1차 의존성을 나타낸다.
:
반대로 기질 농도가 높으면 에 대한 0차 의존성에 접근한다.
:
미카엘리스-멘텐 역학을 따르는 두 개의 경쟁 기질을 구별하는 효소의 능력은 또는 단독이 아닌, 특이성 상수에만 의존한다. 기질 에 대해 를 넣고 경쟁 기질 에 대해 를 넣으면 두 기질이 동시에 존재할 때의 두 속도는 다음과 같다.
:
두 분모 모두 미카엘리스 상수를 포함하지만 동일하므로 한 방정식을 다른 방정식으로 나누면 상쇄된다.
:
따라서 속도 비율은 두 기질의 농도와 특이성 상수에만 의존한다.
7. 명명법
앙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미하엘리스와 멘텐에 의해 발전되었기 때문에 앙리-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하다.[15] 미하엘리스와 멘텐은 초기 속도 측면에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생산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15] 앙리는 이 방정식을 유도했지만 적용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으며, pH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액의 필요성을 이해하지 못했다.[15]
8. 응용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은 효소-기질 상호작용 외에도 다양한 생화학적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50] 예를 들어 항원-항체 결합,[50] DNA-DNA 혼성화,[50]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50]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생화학 반응,[50] 미생물 성장,[50] 폐포의 먼지 제거,[50] 종 풍부도,[50] 혈중 알코올 농도 제거,[50] 광합성-조도 관계,[50] 박테리오파지 감염[50]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온 채널의 전도도와 리간드 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50]
효소마다 매개변수 값은 매우 다양하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효소 | (M) | (s−1) | (M−1s−1) |
---|---|---|---|
키모트립신 | 1.5 × 10−2 | 0.14 | 9.3 |
펩신 | 3.0 × 10−4 | 0.50 | 1.7 × 103 |
tRNA 합성효소 | 9.0 × 10−4 | 7.6 | 8.4 × 103 |
리보뉴클레아제 | 7.9 × 10−3 | 7.9 × 102 | 1.0 × 105 |
탄산 탈수 효소 | 2.6 × 10−2 | 4.0 × 105 | 1.5 × 107 |
푸마라제 | 5.0 × 10−6 | 8.0 × 102 | 1.6 × 108 |
9. 미카엘리스-멘텐 파라미터 추정
상수 및 을 결정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기질 농도 를 변화시켜 효소 분석을 수행하고 초기 반응 속도 을 측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초기"는 비교적 짧은 시간 후에 반응 속도를 측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동안 효소-기질 복합체는 형성되어 있지만, 기질 농도는 거의 일정하며, 평형 또는 준정상 상태 근사가 유효하다고 가정한다[65]。반응 속도를 농도에 대해 플롯하고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의 비선형 회귀를 사용함으로써,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67]。
비선형 회귀를 수행하기 위한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방정식의 선형화를 수반하는 그래프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디-호프스티 그림, 헤인즈-울프 프로트, 라인위버-버크 프로트 등이 제안되었으며, 이 중에서는 헤인즈-울프 프로트가 가장 정확하다[67]。그러나, 이 세 가지 방법은, 시각화를 위해서는 유용하지만, 데이터의 오차 구조를 왜곡시켜 버리고, 비선형 회귀에는 미치지 못한다[68]。 에 대해 비슷한 오차 를 가정했을 경우, 역수 표현에서는, 에 대해 의 오차가 생긴다(불확실성의 전파/Propagation of uncertainty영어). 값의 적절한 추정 없이는, 선형화를 피해야 한다. 또한, 최소 자승법을 사용한 회귀 분석은, 오차가 정규 분포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지만, 이것은 값을 변환한 후에는 타당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문헌에는 아직 이러한 선형 변환 수법의 사용이 보인다[69]。
그 외, 역사적으로는 코니시보덴의 직접 직선 플롯[70]이 알려져 있다.
1997년, 산티아고 슈넬}}과 Claudio Mendoza는, 미카엘리스-멘텐 반응 속도론의 경시적 반응 속도 해석을 위해, 람베르트 W 함수의 해에 기초한 닫힌 형식의 해를 제안했다[71]。
:
위 식에서 ''W''는 람베르트 W 함수,
:
이다.
위의 방정식은 경시 데이터로부터 과 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72][73]。
9. 1. 그래프 방법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의 파라미터(, )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질 농도에서 일련의 효소 분석을 수행하고 초기 반응 속도()를 측정한다.[65] 반응 속도를 농도에 대해 플롯하고,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의 비선형 회귀를 사용하면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44][67]비선형 회귀를 사용하기 전에는 방정식을 선형화하는 그래프 방법이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를 에 대해 그린 라인위버-버크 방정식(이중 역수 플롯),[23] 를 에 대해 그린 이디-호프스티 다이어그램,[20][21] 를 에 대해 그린 헤인즈-울프 플롯[22] 등이 있다. 이 중 헤인즈-울프 플롯이 가장 정확하다.[24][25][67] 그러나 이러한 선형 플롯은 데이터의 오차 구조를 왜곡하여 비선형 회귀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68]

레오노르 미카엘리스와 모드 멘텐은 대 를 플롯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의 실험 오차를 왜곡하지 않고, 동위효소의 특성을 단일 플롯에서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9]
직선 플롯은 관찰 값을 매개변수 공간의 직선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방법이다.[28] 각 선은 축에서 를 절편으로, 축에서 를 절편으로 그리며, 서로 다른 관찰 값에 대한 선의 교차점은 과 의 값을 산출한다. 역사적으로 코니시보덴의 직접 직선 플롯이 알려져 있다.[70]
9. 2. 가중치
많은 저자들은 비선형 회귀가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의 선형 형태의 회귀보다 항상 우수하다고 주장해 왔지만,[48] 이는 적절한 가중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오차 구조에 대한 실험적 조사가 필요하지만, 거의 수행되지 않는다. 버크(Burk)는[1] 적절한 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오차 구조가 에서 균일한 표준 편차와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사용된 기술로는 균일한 변동 계수(백분율로 표현된 표준 편차)가 더 사실에 가깝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9][30]속도가 균일한 표준 편차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비선형 회귀에 대한 모든 값에 대한 적절한 가중치는 1이다. 이중 역수 플롯을 사용하면 의 각 값은 의 가중치를, 하인스 플롯을 사용하면 의 각 값은 의 가중치를 가져야 한다.
속도가 균일한 변동 계수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비선형 회귀에 대한 모든 값에 대한 적절한 가중치는 이다. 이중 역수 플롯을 사용하면 의 각 값은 의 가중치를, 하인스 플롯을 사용하면 의 각 값은 의 가중치를 가져야 한다.
이상적으로 각 경우의 는 실제 값이어야 하지만, 항상 알려져 있지는 않다. 예비 추정 후 계산된 값 를 사용하여 추정을 개선할 수 있다. 효소 역학 데이터의 오차 구조는 실험적으로 조사되는 경우가 드물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데이터의 내부 증거로부터 오차 구조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32]
9. 3. 닫힌 형식 방정식
산티아고 슈넬과 클라우디오 멘도사는 람베르트 W 함수의 해를 기반으로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의 시간 경과 동역학 분석에 대한 닫힌 형식의 해를 제시했다.[33]:
여기서 ''W''는 람베르트 W 함수이고,
:
오늘날 슈넬-멘도사 방정식[34]으로 알려진 위 방정식은 시간 경과 데이터를 통해 와 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35][36]
10. 하나 이상의 기질을 갖는 반응
효소 촉매 반응 중 소수만이 하나의 기질만을 가지며, 심지어 하나의 기질이 물인 두 기질 반응을 하나의 기질 반응으로 취급하여 수를 늘려도 그 수는 여전히 적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질만으로 작성되는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이 유용성이 제한적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측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두 기질 반응에 대한 일반적인 방정식 중 하나는 두 기질 농도 ${\displaystyle a}$와 ${\displaystyle b}$에 대한 ${\displaystyle v}$를 표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displaystyle v={\frac {Vab}{K_{\mathrm {iA} }K_{\mathrm {mB} }+K_{\mathrm {mB} }a+K_{\mathrm {mA} }b+ab}}}$
여기서 다른 기호들은 속도 상수들을 나타낸다. 이제 ${\displaystyle b}$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displaystyle a}$를 변화시킨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 ${\displaystyle v={\frac {Vb\cdot a}{K_{\mathrm {iA} }K_{\mathrm {mB} }+K_{\mathrm {mA} }b+(K_{\mathrm {mB} }+b)a}}={\dfrac \cdot a}+a}}}$
이것은 정확히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의 형태를 갖는다.
:${\displaystyle v={\frac {V^{\mathrm {app} }a}{K_{\mathrm {m} }^{\mathrm {app} }+a}}}$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겉보기 값''' ${\displaystyle V^{\mathrm {app} }}$과 ${\displaystyle K_{\mathrm {m} }^{\mathrm {app}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displaystyle V^{\mathrm {app} }={\dfrac {Vb}{K_{\mathrm {mB} }+b}}}$
: ${\displaystyle K_{\mathrm {m} }^{\mathrm {app} }={\dfrac {K_{\mathrm {iA} }K_{\mathrm {mB} }+K_{\mathrm {mA} }b}{K_{\mathrm {mB} }+b}}}$
11. 선형 저해
선형(단순) 억제 유형은 억제제 농도 에서의 '''혼합 억제'''에 대한 일반 방정식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경쟁적 억제 상수'''이고 는 '''비경쟁적 억제 상수'''이다. 이 방정식은 다른 유형의 억제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한다.[37]
- 만약 이면, 분모의 두 번째 괄호는 에 접근하고 결과 행동은 '''경쟁적 억제'''이다.
- 만약 이면, 분모의 첫 번째 괄호는 에 접근하고 결과 행동은 '''비경쟁적 억제'''이다.
- 만약 와 가 모두 유한하면, 행동은 '''혼합 억제'''이다.
- 만약 이면, 결과 특수한 경우는 '''순수 비경쟁적 억제'''이다.
순수 비경쟁적 억제는 매우 드물며, 주로 양성자와 일부 금속 이온의 영향에 국한된다. Cleland는 이를 인식하고, "비경쟁적"이라는 용어를 "혼합"으로 재정의했다.[38] 일부 저자는 이 점을 따랐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므로, 어떤 출판물을 읽을 때 저자가 어떤 정의를 사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모든 경우에,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위의 방정식을 작성함으로써 알 수 있듯이, 겉보기 상수와 함께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 방정식의 형식을 갖는다.
:
겉보기 값 와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저해란 어떤 이유로 반응이 느려지는 것으로, 효소 반응의 저해에는
등의 종류가 있다. 역수 플롯을 사용하면 이들을 구별할 수 있다.
11. 1. 기질 저해
효소-기질 복합체가 추가적인 기질과 결합하여 불활성 복합체(ESS)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해리 정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전체 효소 농도는 E, ES, ESS의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휨 평형법을 통해 미카엘리스-멘텐 식을 유도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연립 방정식을 풀면 [ES]는 다음과 같다.
:
이를 ''v'' = ''k''+2 [ES]에 대입하고, 파라미터 ''V''max를 사용하여 정리하면 최종 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
11. 2. 경쟁적 저해
경쟁적 저해(拮抗阻害라고도 함)란 기질과 저해제(이하, I)가 효소의 동일한 활성 중심에 결합하는 경우에 일어나는 저해를 말한다.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mathrm{E} + \mathrm{S} \, \overset{K_s} \rightleftharpoons \, \mathrm{ES} \, \overset{k_{+2}} {\longrightarrow} \, \mathrm{E} + \mathrm{P}
:\mathrm{E} + \mathrm{I} \, \overset{K_i} \rightleftharpoons \, \mathrm{EI}
기질과 저해제의 해리 상수는 다음과 같다.
:K_i = \frac{[\mathrm{E}][\mathrm{I}]}{[\mathrm{EI}]}
포함된 효소 종은 E, ES, EI의 3종류이므로 전체 효소 농도는 다음과 같다.
:[\mathrm{E}]_0 = [\mathrm{E}] + [\mathrm{ES}] + [\mathrm{EI}]
다른 값은 빠른 평형법으로 구했을 때와 같고 연립 방정식을 만들어 [ES]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mathrm{ES}] = \frac{[\mathrm{E}]_0 [\mathrm{S}]}{K_s (1 + [\mathrm{I}]/K_i) + [\mathrm{S}]}
이를 ''v'' = ''k''+2 [ES]에 대입하여 파라미터 ''V''max로 바꾸면,
:v = \frac{V_\mathrm{max}[\mathrm{S}]}{(1 + [\mathrm{I}]/K_i)K_s + [\mathrm{S}]}
11. 3. 비경쟁적 저해
기질과 저해제가 효소의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두 물질이 서로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를 비경합 저해(비경쟁 저해, 비길항 저해라고도 함)라고 한다.반응 기구는 다음과 같다.

해리 상수는 기질이 유리 효소에 결합할 때도 효소 저해제 복합체에 결합할 때도 같고, 저해제의 결합 상수도 마찬가지이므로,
:
반응 기구 내 효소 종류는 E, ES, EI, ESI의 4종류이므로, 전체 효소 농도는
:
이 3개의 식으로 연립 방정식을 만들어, [ES]에 대해 구하면,
:
이것을 ''v'' = ''k''+2 [ES]에 대입하고 파라미터 ''V''max으로 변환하면,
:
11. 4. 무경쟁적 저해
저해제가 기질과 효소의 다른 부위에 결합하지만, 유리 효소에는 결합할 수 없고, 효소-기질 복합체에만 결합할 수 있는 경우를 비경쟁적 저해(불경쟁적 저해, 비길항적 저해)라고 한다.반응 기구는 다음과 같다.

해리 상수는 다음과 같다.
:
:
반응 기구 내의 효소 종류는 E, ES, ESI의 3종류이므로, 전체 효소 농도는
:
이 3개의 식으로부터 연립 방정식을 만들어, [ES]에 대해 구하면,
:
이것을 ''v'' = ''k''+2 [ES]에 대입하여 파라미터 ''V''max로 변환하면,
:
참조
[1]
논문
Symbolism and terminology in enzyme kinetics. Recommendations 1981
[2]
논문
Symbolism and terminology in enzyme kinetics. Recommendations 1981
[3]
논문
Symbolism and terminology in enzyme kinetics. Recommendations 1981
[4]
논문
Current IUBMB recommendations on enzyme nomenclature and kinetics
[5]
문서
[6]
논문
Ident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tyrosine aminotransferase from ''Anthoceros agrestis'' unveils the conceivable entry point into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in hornworts
[7]
논문
Exploring Michaelis–Menten kinetics and the inhibition of catalysis in a synthetic mimic of catechol oxidase: an experiment for the inorganic chemistry or biochemistry laboratory
[8]
논문
Exploring the inhibitory mechanism of p-coumaric acid on α-amylase ''via'' multi-spectroscopic analysis, enzymatic inhibition assay and molecular docking
[9]
논문
Evolution and regulatory role of the hexokinases
[10]
서적
Fundamentals of Enzyme Kinetics
Wiley-Blackwell, Weinheim
[11]
서적
Physical Chemistry
Benjamin/Cummings
[12]
서적
Fundamental laboratory approaches for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Fitzgerald Science Press
1998
[13]
논문
Single Channel Properties of P2X2 Purinoceptors
[14]
논문
Nutrient limitation in the sea: Dynamics, identification, and significance
1967
[15]
논문
Commemorating the 1913 Michaelis–Menten paper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three perspectives
[16]
논문
The mode of action of urease and of enzymes in general
[17]
서적
Physical Chemistry with Biological Applications
Benjamin/Cummings
1978
[18]
문서
[19]
논문
Diffusion of a small molecule in the cytoplasm of mammalian cells
[20]
논문
The inhibition of cholinesterase by physostigmine and prostigmine
[21]
논문
Specificity of esterases
[22]
논문
Studies on plant amylases. I. The effect of starch concentration upon the velocity of hydrolysis by the amylase of germinated barley
[23]
논문
The Determination of Enzyme Dissociation Constants
https://pubs.acs.org[...]
1934
[24]
문서
[25]
문서
[26]
논문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nitrogen-nitrogenase in ''Azobacter''
[27]
논문
Nitrogenase
[28]
논문
The direct linear plot: a new graphical procedure for estimating enzyme kinetic parameters
[29]
논문
The nature of experimental error in enzyme kinetic measurements
[30]
논문
Error structure of enzyme kinetic experiments: Implications for weighting in regression-analysis of experimental-data
[31]
논문
Error structure as a function of substrate and inhibitor concentration in enzyme kinetic experiments
[32]
논문
Robust regression of enzyme kinetic data
[33]
논문
A closed form solution for time-dependent enzyme kinetics
[34]
논문
ICEKAT: an interactive online tool for calculating initial rates from continuous enzyme kinetic traces
[35]
논문
Parameter estimation using a direct solution of the integrated Michaelis–Menten equation
[36]
논문
Progress curve analysis for enzyme and microbial kinetic reactions using explicit solutions based on the Lambert ''W'' function
[37]
문서
[38]
논문
The kinetics of enzyme-catalyzed reactions with two or more substrates or products: II. Inhibition: Nomenclature and theory
[39]
논문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http://pubs.acs.org/[...]
[40]
서적
Mathematical Biology: I. An Introduction
Springer
[41]
서적
Mathematical Physiology: I: Cellular Physiology
Springer
[42]
논문
A note on the kinetics of enzyme action
[43]
논문
Macromolecular crowding and confinement: biochemical, biophysical, and potential physiological consequences
[44]
논문
The quasi-steady-state assumption: A case study in perturbation
https://zenodo.org/r[...]
[45]
논문
Reaction kinetics in intracellular environments with macromolecular crowding: simulations and rate laws
[46]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47]
논문
Superefficient enzymes
2001-09
[48]
논문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tight binding enzyme inhibitors
[49]
서적
Microfluidics and Microfabrication
Springer
2009-12-23
[50]
서적
Biochemistry
http://www.pearsonhi[...]
Prentice Hall
1999-12-10
[51]
서적
Lois Générales de l'Action des Diastases
https://archive.org/[...]
Hermann
[52]
웹사이트
Victor Henri
http://www.whonamedi[...]
Whonamedit?
2011-05-24
[53]
논문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deling biochemical reactions
[54]
논문
A lung retention model based on Michaelis–Menten-like kinetics
[55]
논문
Estimating species richness: the Michaelis–Menten model revisited
[56]
논문
Evidence-based survey of the elimination rates of ethanol from blood with applications in forensic casework
[57]
논문
Kinetics of phage-mediated biocontrol of bacteria
[58]
서적
化学工学Ⅲ
岩波書店
[59]
논문
A note on the kinematics of enzyme action
[60]
서적
Physical Chemistry with Biological Applications
Benjamin/Cummings
1978
[61]
논문
Macromolecular crowding and confinement: biochemical, biophysical, and potential physiological consequences
[62]
논문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rate laws valid in intracellular environments
2006-10
[63]
논문
Reaction kinetics in intracellular environments with macromolecular crowding: simulations and rate laws
[64]
서적
Mathematical Physiology: I: Cellular Physiology
Springer
[65]
논문
The quasi-steady-state assumption: A case study in perturbation
https://zenodo.org/r[...]
[66]
서적
Mathematical Biology: I. An Introduction
Springer
[67]
서적
Comprehensive enzyme kinetics
Kluwer Academic/Plenum Pub.
[68]
논문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tight binding enzyme inhibitors
[69]
논문
Determination of specific activities and kinetic constants of biotinidase and lipoamidase in LEW rat and Lactobacillus casei (Shirota)
[70]
논문
原典からの酵素反応速度論
https://www.sbj.or.j[...]
[71]
논문
A closed form solution for time-dependent enzyme kinetics
[72]
논문
Parameter estimation using a direct solution of the integrated Michaelis–Menten equation
[73]
논문
Progress curve analysis for enzyme and microbial kinetic reactions using explicit solutions based on the Lambert W function
[74]
저널
Die Kinetik der Invertinwirkung
http://web.lemoyne.e[...]
2007-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