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네타카 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네타카 친왕은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황족 쇼군으로, 1252년 11세의 나이로 세이이타이쇼군에 임명되었다. 그는 고사가 천황의 장자였으나, 어머니의 신분 때문에 왕위 계승 가능성은 낮았다. 막부에서 실권이 없었던 무네타카 친왕은 와카 창작에 몰두하여 가마쿠라 가단을 융성시켰으며, 《유엽화가집》 등 여러 와카집을 남겼다. 1266년 정실과의 밀통 사건을 구실로 쇼군직에서 해임되어 교토로 송환되었고, 1274년 3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42년 출생 - 홍규 (고려 후기)
    홍규는 고려 후기 무신정권 종식에 기여하고 원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활동한 문신으로, 임유무 제거에 가담하여 무신정권 종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원나라와의 외교 및 정치 활동을 통해 고위 관직을 역임하고 충선왕의 장인이 되어 익성군, 남양부원군에 봉해졌다.
  • 가마쿠라 막부의 정이대장군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가마쿠라 막부의 정이대장군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 1274년 사망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1274년 사망 - 안천대군
    안천대군 이어선은 조선 목조대왕과 효공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왕족으로, 안원대군, 안풍대군, 익조대왕 등과 형제이며, 김해 김씨 부인과의 사이에서 영흥군 등 세 아들을 두어 목조대왕의 직계 후손으로서 조선 왕조의 중요한 가계를 이룬다.
무네타카 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무네타카 친왕
원어 이름宗尊親王
로마자 표기Munetaka Shinnō
출생일1242년 12월 15일
출생지헤이안쿄
사망일1274년 9월 1일
사망지헤이안쿄
신분
신위친왕
역임일품친왕, 정이대장군, 중무경
정치
재임 기간1252년 5월 10일 – 1266년 8월 22일
직책쇼군
정치 체제재임
섭정고후카쿠사, 가메야마
섭정 유형군주
집권호조 도키요리, 호조 나가토키, 호조 마사무라
집권 유형싯켄
이전후지와라 노 요리쓰구
다음고레야스 친왕
가계
아버지고사가 천황
어머니다이라 노 무네코
배우자고노에 사이시, 호리카와 도모노리의 딸
자녀고레야스 친왕, 윤자 여왕, 하야타 궁 신가쿠, 서자 여왕

2. 생애

1252년 고후카쿠사 천황에게서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어 가마쿠라로 온 무네타카 친왕은, 호조 씨가 실권을 쥐고 있는 막부에서 실권이 없었기에 와카를 즐겨 지었다. 분에이 3년(1266년) 고노에 사이시와의 밀통 사건으로 모반 혐의를 받게 되어, 호조 도키무네 등에 의해 소집된 요리아이슈에서 쇼군직에서 해임되고 교토로 추방되었다. 1272년 아버지 고사가 천황이 사망하자 출가하였고, 1274년 3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무네타카 친왕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아버지고사가 천황
어머니다이라노 무네코
정실고노에 사이코
자녀
장남고레야스 친왕
장녀린시 여왕
측실호리카와노 쓰보네
차남하야타 궁 진가쿠
차녀미즈코 여왕


2. 1. 쇼군 취임

겐초 4년(1252년) 4월, 11세의 나이로 가마쿠라에 초대되어 이복동생 고후카쿠사 천황으로부터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었다.[15]

'''세이이타이쇼군 임명 사령(선지)''' - 《아즈마카가미

三品 宗尊親王|산핀 무네타카 신노일본어

右被左大臣宣偁件親王宜征夷大将軍|미기와 사이다이진노 센니 요리테 켄노 신노오 모하야 세이이타이쇼군 니 스베시일본어

建長四年四月一日 大外記中原朝臣師兼奉|겐초 시넨 시가쓰 쓰이타치 다이게키 나카하라노 아손 모로카네 우케타마와루일본어

(해석)

:3품(三品) 무네타카 친왕(宗尊親王)

:오른쪽을 사다이진[15]의 명(宣)으로 칭하노니, 이 친왕을 마땅히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삼노라.

:겐초 4년 4월 1일 다이게키 나카하라노 아손 모로카네[16] 가 명을 받든다.

무네타카 친왕은 고사 천황의 장자[17]였고 아버지에게 총애받았지만, 어머니의 신분이 낮아 왕위를 이을 가능성이 희박했다. 고사 천황은 아들의 장래를 걱정했다. 한편으로 싯켄 호조 도키요리구조 미치이에(후지와라노 요리쓰구의 할아버지)가 막부 정치에 개입하는 것에 위기감을 느껴 구조 씨를 정계에서 배제하고자 했다. 천황과 도키요리의 의도가 일치하여 '미야 쇼군(황족 쇼군)'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호조 씨의 전제 체제가 정비된 막부에서 쇼군은 아무런 권한이 없었고, 와카 창작에 몰두하며 와카 모임에 자주 참석했다. 그 결과 가마쿠라에서 무가 중심의 가단이 융성하게 되었고, 고토 모토마사, 시마즈 다다카게 등 고케닌 출신의 가인들이 배출되었다. 가마쿠라 가단은 《쇼쿠고킨와카슈》 편찬에도 영향을 주었고, 친왕 자신도 이 와카집에 가장 많이 입선된 가인이 되었다. 대표적인 와카집으로 《류요와카슈》[4], 《교쿠요와카슈》[4], 《초신구소》가 있다.

분에이 3년(1266년) 6월, 정실 고노에 사이시와 료키의 밀통 사건을 구실로 막부는 친왕에게 모반 혐의를 씌웠다. 호조 마사무라, 호조 도키무네 등이 소집한 요리아이슈에서 친왕의 쇼군직 해임과 교토 송환이 결정되었다. 나고시류 호조 씨의 호조 노리토키가 반대하며 무장시위를 벌이다 질책받기도 했다. 차기 쇼군은 친왕의 아들 고레야스 친왕이 맡게 되었다.

2. 2. 가마쿠라 가단

무네타카 친왕은 와카(和歌) 창작에 몰두하여 와카 모임에 빈번하게 참석하였다. 그 결과 가마쿠라(鎌倉)에서 무가(武家) 중심의 가단(歌壇)이 융성해졌고, 고토 모토마사(後藤基政), 시마즈 다다카게(島津忠景) 등 고케닌(御家人) 출신의 유능한 가인(歌人)들이 대거 배출되었다. 가마쿠라 가단은 《쇼쿠고킨와카슈(續古今和歌集)》의 편찬자 선정에도 영향을 주었고, 친왕 자신도 이 와카집에 가장 많이 입선된 가인이 되었다. 대표적인 와카집으로 《류요와카슈(柳葉和歌集)》, 《교쿠요와카슈(瓊玉和歌集)》, 《초신구소(初心愚草)》가 있다.[4]

2. 3. 쇼군 해임과 출가

겐초 4년(1252년) 4월, 11세의 나이로 가마쿠라에 온 무네타카 친왕은 이복동생인 고후카쿠사 천황으로부터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으로 임명되었다.[15] 그러나 이미 호조 씨에 의한 전제 체제가 확립된 막부에서 쇼군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었다.

분에이 3년(1266년) 6월, 무네타카 친왕의 정실인 고노에 사이코와 승려 료키(良基)의 밀통 사건이 일어났다. 이를 구실로 막부는 친왕에게 모반 혐의를 씌웠다. 호조 마사무라, 호조 도키무네 등이 소집한 요리아이슈(寄合衆)에서 친왕의 쇼군직 해임과 교토 송환이 결정되었다. 이 소동으로 고케닌(御家人)들이 가마쿠라로 몰려들었고, 호조 노리토키는 군사를 이끌고 무력 시위를 벌이다 도키무네에게 경솔함을 질책받기도 했다.[4] 차기 쇼군으로는 친왕의 아들 고레야스 친왕이 임명되었다.

분에이 9년(1272년), '2월 소동'으로 친왕의 측근이 구속되고, 아버지 고사가 천황이 사망하면서 친왕은 출가하였다. 법명은 각혜(覚恵) 또는 행증(行証)이다.[4]

2. 4. 사망

1272년의 '2월 소동'으로 친왕의 측근인 나카미카도 사네타카(中御門実隆)가 구속되고, 그 직후 아버지 고사 천황이 붕어하면서 친왕은 출가하였다. 법명은 각혜(覚恵), 또는 행증(行証), 행승(行勝)이라고도 했다.

1274년 8월 1일, 친왕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33세로 서거하였다.[17]

3. 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아버지고사가 천황1220년 4월 1일1272년 3월 17일
어머니다이라노 무네코1302년다이라노 무네모토의 딸
정실고노에 사이시1241년고노에 가네쓰네의 딸
아들고레야스 친왕1264년 5월 26일1326년 11월 25일
린시 여왕1265년준삼후, 고우다 천황 후궁
후처호리카와노 쓰보네호리카와 도모모리의 딸
아들신가쿠
즈이시 여왕1272년1329년에이카몬인, 가메야마 천황 양녀, 고우다 천황 후궁



신가쿠에게는 우에다노미야, 미나모토노 무네하루, 고키덴의 세이다이 (시오야 다카사다의 아내)의 3명의 자녀가 있으며, 우에다노미야에게는 손자인 미즈카미 왕이, 미즈카미 왕에게는 장남과 차남인 교쿠슈 에이슈가 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3]

4. 연호

무네타카 친왕이 쇼군으로 재임했던 시기의 연호는 다음과 같다.

5. 쇼군 재직 시 싯켄

6. 평가

무네타카 친왕은 명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아리스가와 절, 사이바라 절, 고킨와카슈 절, 가구라 노래 절 등 다양한 작품이 그의 진적으로 여겨지지만, 대부분은 친왕이 좋아했던 헤이안 시대 명필들의 작품일 가능성이 높아 진위 여부가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네타카 친왕이 명필가라는 평가는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7.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Munetaka shinnō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https://books.google[...]
[4] 논문 1990
[5] 문서 兼仲卿暦記
[6] 문서 平戸記 "1244-04-01/1246-01-01" #寛元2年3月12日・同3年正月1日条
[7] 서적 女院領の中世的展開 同成社 2018
[8] 서적 鎌倉時代政治構造の研究 校倉書房 2016
[9] 간행물 中世前期の政治構造と王家 東京大学出版会 2015
[10] 서적 〈宮家〉成立の諸前提 同成社 2021
[11]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2020
[12] 서적 鎌倉幕府と朝廷 岩波新書 2016
[13] 서적 王と呼ばれた皇族 古代中世皇統の末流 吉川弘文館 2020
[14] 문서 #or other type 吾妻鏡 2012
[15] 문서 다카쓰카사 가네히라
[16] 문서 오시코지 모로카네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