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메야마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메야마 천황은 1259년 고후카쿠사 천황에게 양위받아 즉위한 일본의 천황이다. 그는 몽골의 침략에 맞서 이세 신궁에서 기도를 올렸으며, 아들 고우다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원정을 시작했다. 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꾀했으나, 막부의 개입으로 지묘인 황통의 후시미 천황이 즉위하면서 상황 정치는 중단되었다. 이후 승려가 되어 난젠지 창건을 도왔으며, 1305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5년 사망 - 윌리엄 월리스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영국 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스털링 다리 전투 승리 후 스코틀랜드 수호관이 되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의 투쟁은 스코틀랜드 독립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 1305년 사망 - 바츨라프 2세
바츨라프 2세는 1278년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폴란드 왕으로 즉위했으며, 헝가리 왕위 계승에도 관여했으나 1305년에 사망했다. - 1249년 출생 - 존 발리올
존 발리올은 1292년부터 1296년까지 스코틀랜드의 왕이었으며,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의 간섭으로 폐위된 후 프랑스로 추방되었다. - 1249년 출생 - 에리크 5세
에스트리센 가 출신인 에리크 5세는 크리스토페르 1세의 아들이며 "클리핑"이라 불렸고, 어린 시절 모후의 섭정을 받다가 성인이 된 후 교회와 귀족을 통제하려 했지만 귀족들에게 암살당했으며, 귀족 권한을 보장하는 덴마크 왕실 헌장을 제정했으나 그의 죽음과 함께 효력을 잃었다. - 13세기 일본의 군주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 13세기 일본의 군주 - 고우다 천황
고우다 천황은 가메야마 천황의 아들로 8세에 즉위하여 1274년부터 1287년까지 재위하며 몽골의 원정을 겪었고, 이후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통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나 말년에는 불교에 심취하여 비판받기도 했다.
가메야마 천황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가메야마 천황 |
로마자 표기 | Kameyama-tennō |
한자 표기 | 亀山天皇 |
즉위 | 1260년 1월 9일 |
퇴위 | 1274년 3월 6일 |
재위 기간 (서력) | 1260년 1월 9일 – 1274년 3월 6일 |
재위 기간 (일본력) | 쇼겐(正元) 원년 11월 26일 – 분에이(文永) 11년 1월 26일 |
즉위례 | 1260년 2월 10일 (쇼겐 원년 12월 28일) |
대嘗祭 | 1260년 12월 29일 (분오 원년 11월 26일) |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연호 | 쇼겐(正元) 분오(文応) 고초(弘長) 분에이(文永) |
추호 | 가메야마인(亀山院) 또는 가메야마 천황(亀山天皇) |
휘 | 쓰네히토(恒仁) |
법명 | 곤고겐(金剛源) |
별칭 | 젠린지 전(禅林寺殿), 만리코지 전(万里小路殿), 분오 황제(文応皇帝) |
원복 | 1259년 2월 21일 (쇼겐 원년 1월 28일) |
출생 | 1249년 7월 9일 (겐초 원년 5월 27일) |
사망 | 1305년 10월 4일 (가겐 3년 9월 15일) |
사망 장소 | 가메야마 저택(亀山殿邸), 헤이안쿄 |
능묘 | 가메야마 능(亀山陵) (교토) |
대행 의례 | 1305년 10월 6일 (가겐 3년 9월 17일) |
![]() | |
정치 | |
전임 천황 | 고후카쿠사 천황 |
후임 천황 | 고우다 천황 |
섭정 | 무네타카 친왕 고레야스 친왕 |
쇼군 | 무네타카 친왕 고레야스 친왕 |
집권 | 호조 나가토키 (1256년-1264년) 호조 마사무라 (1264년-1268년) 호조 도키무네 (1268년-1284년) |
관백 | 다카쓰카사 가네히라 (1254년–1261년) 니조 요시자네 (1261년–1265년) 이치조 사네쓰네 (1265년–1267년) 고노에 모토히라 (1267년–1268년) 다카쓰카사 모토타다 (1268년–1273년) 구조 다다이에 (1273년–1274년) |
태정대신 | 사이온지 긴스케 (1262년) |
원정 | 고사가 법황 (1246년-1272년) |
가계 | |
왕가 | 일본 황실 |
아버지 | 고사가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기쓰시 |
배우자 | 후지와라노 사네코 후지와라노 기시 도인 기쓰시 사이온지 우네코 |
자녀 | 고우다 천황 외 다수 (후비, 황자녀 목록 참조) |
후비 및 황자녀 | |
황후 | 도인 기쓰시 (교고쿠인) |
중궁 | 사이온지 우네코 (이마데가와인) |
여어 | 고노에 이시코 (신요메이몬인) |
황자 | 고우다 천황 쓰네아키라 친왕 |
2. 생애
1258년 9세의 나이로 황태자(立太子)가 되었고,[7] 이듬해 정원(正元) 원년(1259년) 형인 고후카쿠사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践祚)하였다.[3] 즉위에는 아버지 고사가 상황과 어머니인 대궁원의 의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7]
문영(文永) 2년(1265년)에는 원(元)의 쿠빌라이로부터 온 국서가 고려를 거쳐 전달되어 가마쿠라에서 송달되었다. 막부는 원에 대비하는 한편, 조정은 신사(神社)에서 이국의 항복을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다.[7]
1263년 가마쿠라 막부의 6대 쇼군인 무네타카 친왕이 가마쿠라 소동으로 가마쿠라에서 쫓겨나자, 고레야스 친왕을 쇼군으로 세울 것을 요청하였다.[3]
1274년 그의 아들 고우다 천황에 양위하면서 그는 상황으로서 원정(院政)을 시작하였다.[3] 원정기 동안 몽골의 침입이 두 차례 있었다.[3] 가메야마 천황은 직접 이세 신궁에서 기도를 올렸다.[3]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상황은 일본을 위해 아마테라스의 개입을 요청했다.[3]
한편 가메야마 천황은 자신의 혈통(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꾀하여, 고후카쿠사 상황(지묘인 황통)은 이에 출가할 뜻을 밝힌다. 막부는 지묘인 황통이 홀대받는 것을 우려하여 타협안으로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을 고우다 천황의 태자로 삼았으니, 이가 후시미 천황이다. 이로 인해 양통질립의 암묵적 원칙이 시작되었다.[3]
1287년 고우다 천황이 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하면서 가메야마의 상황 정치는 중단되었다. 1289년 승려가 되어 선종(禪宗)에 들어갔으며, 1291년 난젠지(南禅寺)를 세우는 것을 도왔다.
1298년, 난젠 사에서 승려가 되었다.[3] 1305년에 사망하였다.[3] 가메야마 천황은 교토 텐류지에 있는 가메야마노 미사사기(亀山陵)에 묻혔고, 이 황실 능묘는 궁내청에서 관리하고 있다.[5]
2. 1. 즉위
1258년 9세의 나이로 황태자(立太子)가 되었고,[7] 이듬해 1259년 형인 고후카쿠사 천황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践祚)하였다.[3] 즉위에는 아버지 고사가 상황과 어머니인 대궁원의 의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7]1263년 가마쿠라 막부의 6대 쇼군인 무네타카 친왕이 가마쿠라 소동으로 가마쿠라에서 쫓겨나자, 고레야스 친왕을 쇼군으로 세울 것을 요청하였다.[3]
1265년에는 원의 쿠빌라이로부터 온 국서가 고려를 거쳐 전달되어 가마쿠라에서 송달되었다. 막부는 원에 대비하는 한편, 조정은 신사(神社)에서 이국의 항복을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다.[7]
1274년 그의 아들 고우다 천황에 양위하면서 그는 상황으로서 원정(院政)을 시작하였다.[3] 원정기 동안 몽골의 침입이 두 차례 있었다.[3] 가메야마 천황은 직접 이세 신궁에서 기도를 올렸다.[3]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상황은 일본을 위해 아마테라스의 개입을 요청했다.[3]
한편 가메야마 천황은 자신의 혈통(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꾀하여, 고후카쿠사 상황(지묘인 황통)은 이에 출가할 뜻을 밝힌다. 막부는 지묘인 황통이 홀대받는 것을 우려하여 타협안으로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을 고우다 천황의 태자로 삼았으니, 이가 후시미 천황이다. 이로 인해 양통질립의 암묵적 원칙이 시작되었다.[3]
1298년, 난젠 사에서 승려가 되었다.[3] 1305년에 사망하였다.[3] 가메야마 천황은 교토 텐류지에 있는 가메야마노 미사사기에 묻혔고, 이 황실 능묘는 궁내청에서 관리하고 있다.[5]
2. 2. 몽골과의 관계
1265년, 원(元)의 쿠빌라이 칸이 파견한 사절단이 도착하여 일본에 복종을 요구했다.[4] 조정은 타협을 제안했지만,[4] 가마쿠라 막부는 이를 무시하고 사절단을 돌려보냈다.[4]원정(院政) 기간 동안 두 차례의 원의 대일 침공(원구(元寇))이 있었다.[7] 가메야마 상황은 이세 신궁과 구마노 산삼[7]에서 직접 기도를 올리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다.[7]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상황은 아마테라스에게 일본을 위해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7] 당시 가메야마 상황 또는 고우다 천황 중 누군가가 "몸을 바쳐 국난을 대신하는 기도"를 이세 신궁에 올렸는데, 누구에게 그 기도를 돌려야 하는지는 학자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켜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문제이다. 1274년 몽고(蒙古) 침략으로 불타버린 하코자키 신궁 신전 재건에 있어 가메야마 상황은 적국 항복의 어필을 봉납했다. 현재 하코자키 신궁 루몬(楼門)에 걸려 있는 "적국 항복(敵國降伏)"이라는 글씨는 분로쿠(文禄) 연간, 치쿠젠 국(筑前国) 영주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隆景)가 루몬을 조영했을 때 새긴 것이다.
2. 3. 가마쿠라 막부와의 관계
1258년, 가메야마 천황은 9세의 나이로 황태자(皇太子)가 되었다. 1259년 형인 고후카쿠사 천황의 양위를 받아 즉위(践祚)하였다. 즉위에는 아버지 고사가 상황과 어머니인 오미야인(大宮院)의 의향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1263년, 가마쿠라 막부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 6대 쇼군인 무네타카 친왕(고사가 천황의 장남)이 가마쿠라에서 소환되었고, 그의 아들인 고레야스 친왕이 쇼군으로 교체되었다.[3] 1266년에는 무네타카 친왕이 가마쿠라에서 추방되고, 그의 아들 유카타 왕이 쇼군이 되었다.
1265년에는 원(元)의 쿠빌라이가 보낸 사절단이 도착했다. 이들은 일본으로 향하는 도중 섬들을 약탈했고, 일본에 쿠빌라이의 지배에 복종할 것을 요구했다. 천황과 조정은 타협을 제안했지만,[4] 가마쿠라의 쇼군은 이를 무시하고 사절단을 돌려보냈다.[3]
1274년, 가메야마 천황은 아들인 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서 통치를 시작했다.[3] 상왕으로 재위하는 동안, 원나라의 두 차례 침공(원구(元寇))이 일어났다. 가메야마 상황은 직접 이세 신궁에서 기도를 올렸고,[3] 1281년 8월 15일에는 아마테라스에게 일본을 위해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3] 당시 가메야마 상황, 혹은 고우다 천황이 "몸을 바쳐 국난을 대신하는 기도"를 이세 신궁에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7] 1274년 몽골 침략으로 불타버린 하코자키 신궁 재건에 있어, 가메야마 상황은 "적국 항복" 어필을 봉납했고, 이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하코자키 신궁의 루몬(楼門)을 조영했을 때 새겨졌다.
1287년 고우다 천황의 퇴위를 종용하여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을 즉위시켜 후시미 천황으로 만들면서 가메야마의 상왕 정치는 중단되었다.[3] 이는 히라이 요리쓰나가 주도하는 막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인 히사아키 친왕이 쇼군이 되어 지묘인통의 지위를 강화했다.[3]
1289년 가메야마 상황은 난젠지에서 출가하여 법황(法皇)이 되었고, 법명은 금강원(金剛源)이다. 그는 선종(禅宗)에 귀의하여, 공가(公家) 사이에도 선종이 점차 침투해 갔다. 1291년에는 교토에 난젠지 불교 사찰을 세우는 것을 도왔다.[3]
1290년 궁중에 아사하라 사건이 일어나 후시미 천황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였고, 처음에는 호조 씨(北条氏)에 대한 불만으로 여겨졌지만, 다이고쿠지통계 산조 사네모리의 연관성이 의심되면서, 후시미 천황과 사이온지 긴히라는 가메야마 법황을 배후로 지목했다. 그러나 고후카쿠사 법황이 이를 물리치고, 가메야마 법황도 막부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뜻을 밝힘으로서 사건은 마무리 되었다.
가메야마 법황은 피리(笛)・비파(琵琶)・최락마(催楽馬)・신악(神楽)・랑영(朗詠) 등 여러 가지 예능에 통달하였고, 1302년에는 축국(蹴鞠)을, 이듬해에는 랑영을 전수했다.[8]
2. 4. 양위와 원정
1259년 11월, 형인 고후카쿠사 천황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가메야마 천황이 즉위하였다.[3] 1263년 가마쿠라 막부의 6대 쇼군인 무네타카 친왕이 가마쿠라 소동으로 쫓겨나자, 고레야스 친왕을 쇼군으로 세울 것을 요청하였다.[4]1274년 아들 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으로서 원정(院政)을 시작했다.[4] 원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몽골의 침입(원구(元寇)))이 있었는데, 가메야마 상황은 직접 이세 신궁(伊勢神宮)에서 기도를 올렸다.[4]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상황은 일본을 위해 아마테라스(天照大神)의 개입을 요청했다. 하코자키 신궁(筥崎宮) 신전 재건에 있어 가메야마 상황은 적국 항복의 어필을 봉납했고, 현재 하코자키 신궁 루몬(楼門)에 걸려 있는 "적국 항복(敵國降伏)"이라는 글씨는 분로쿠(文禄) 연간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隆景)가 루몬을 조영했을 때 새긴 것이다.[7]
가메야마 천황은 자신의 혈통(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꾀하였고, 고후카쿠사 상황(지묘인 황통)은 출가 의향을 밝혔다. 막부는 지묘인 황통이 홀대받는 것을 우려하여 후시미 천황을 고우다 천황의 태자로 삼았고, 이로 인해 양통질립(兩統迭立)의 원칙이 시작되었다.
1287년 고우다 천황이 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하면서 가메야마의 상황 정치는 중단되었다. 1289년 승려가 되어 젠 종(禪宗)에 들어갔으며, 1291년 난젠 사를 세우는 것을 도왔다.[5]
1305년 사망하였으며, 교토 텐류지(天龍寺)에 있는 가메야마노 미사사기(亀山陵)에 묻혔다.[5]
2. 5. 황통 분열과 양통질립
1258년, 9세의 나이로 황태자가 되었다.[3] 1260년 1월 9일 (쇼겐 원년 11월 26일), 고후카쿠사 천황이 퇴위하면서 동생이 황위를 계승(센소)하였고, 곧이어 가메야마 천황으로 즉위하였다.[3]1263년, 가마쿠라 반란 당시, 6대 쇼군인 무네타카 왕자(고사가 천황의 장남)가 가마쿠라에서 소환되어 그의 아들인 고레야스 왕자로 교체되었다. 1265년,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 칸이 파견한 사절단이 일본에 도착하여 복종을 요구했으나, 가마쿠라의 쇼군은 이를 무시하고 사절단을 돌려보냈다.[4]
1274년, 아들인 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으로서 섭정을 시작했다. 상황 재위 기간 동안 몽골의 일본 원정이 두 차례 일어났으며, 가메야마 상황은 직접 이세 신궁에서 기도를 올렸다.[5]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법황은 아마테라스에게 일본을 위해 개입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막부는 가메야마를 의심했고, 1287년 고우다 천황을 퇴위시키고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을 후시미 천황으로 즉위시켜 가메야마의 상황 정치는 중단되었다. 이후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인 히사아키 왕자가 쇼군이 되면서 지묘인통의 지위가 강화되자, 가메야마는 1289년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1291년, 교토에 난젠지 불교 사찰을 건립하는 것을 도왔다.[5]
2. 6. 출가와 사망
가메야마 천황은 1274년 아들 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으로서 원정(院政)을 시작했다.[3] 원정 기간 동안 두 차례 몽골의 침입이 있었는데, 가메야마 천황은 직접 이세 신궁(伊勢神宮)에서 기도를 올렸다.[4] 1281년 8월 15일, 가메야마 상황은 일본을 위해 아마테라스(天照大神)의 개입을 요청했다.[4]그러나 막부는 가메야마를 의심했고, 1287년 고우다 천황의 퇴위를 종용하여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을 즉위시켜 후시미 천황으로 만들었다. 이로써 가메야마의 상황 정치는 중단되었다.[4]
이후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인 히사아키 친왕이 쇼군이 되어 지묘인토(持明院統)의 지위를 강화했고, 이는 가메야마를 낙담시켰다. 1289년 그는 승려가 되어 선종(禪宗)에 들어갔고, 이로 인해 젠 불교가 조정 귀족 사회에 서서히 침투했다.[4] 1291년, 그는 교토(京都)에 난젠지(南禅寺) 불교 사찰을 세우는 것을 도왔다.[4]
1298년, 난젠 사에서 승려가 되었다.[3] 1305년에 사망하였다.[3] 가메야마 천황은 교토 텐류지(天龍寺)에 있는 가메야마노 미사사기(亀山陵)에 묻혔고, 이 황실 능묘는 궁내청(宮内庁)에서 관리하고 있다.[5]
3. 가계도
- 황후 : 쿄고쿠인(京極院) 토우인(후지와라) 키츠시(洞院(藤原) 佶子) -토우인 사네오(洞院 実雄)의 딸
- * 제1황녀 : 겐시 내친왕(睍子 内親王) (1262-1264)[2]
- * 제1황자 : 시로히토 친왕(知仁 親王) (1265-1267)[2]
- * 제2황자 : 요시히토 친왕(世仁 親王) - (고우다 천황)[2]
- 중궁 : 이마데가레이인(今出川院) 사이온지(후지와라) 우네코(키시)(西園寺(藤原) 嬉子) (1252-1318) - 사이온지 킨스케(西園寺 公相)의 딸
- 뇨고 : 신요메이몬인(新陽明門院) 코노에(후지와라) 쿠라코(이시)(近衛(藤原) 位子) (1262-1296) - 코노에 모토히라(近衛基平)의 딸
- * 제8황자 : 히라히토 친왕(啓仁 親王) (1276-1278)
- * 제10황자 : 츠쿠히토 친왕(継仁 親王) (1279-1280)
- 비(妃) : 쇼쿤몬인(昭訓門院) 사이온지(후지와라) 에이코(에이시)(西園寺(藤原) 瑛子) (1273-1336) - 사이온지 사네카네(西園寺 実兼)의 딸
- * 제14황자 : 츠네아키 친왕(恒明 親王) - (1303-1351)
- 텐지 : 쿠가씨(久我氏) - 쿠가 미치요시(久我通能)의 딸
- * 제3황자 : 세이카쿠 법친왕(性覚 法親王) (1267-1293)
- 텐지 : 산죠(후지와라)씨(三条(藤原)氏) - 산죠 사네히라(三条 実平)의 딸
- * 제4황자 : 료죠 법친왕(良助 法親王) (1268-1318)
- * 제6황자 : 쇼운 법친왕(聖雲 法親王) (1271-1314)
- * 제7황자 : 카쿠운 법친왕(覚雲 法親王) (1272-1323)
- * 제5황녀 : 구조 모토노리의 부인
- 텐지 : 산죠(후지와라)씨(三条(藤原)氏) - 산죠 가네토(三条 実任)의 딸
- * 제5황자 : 이츠츠지노미야(五辻宮) 모리요시 친왕(守良 親王)
- 텐지 : 츄나곤노텐지(中納言典侍) 홋쇼지(후지와라) 마사코(가시)(法性寺(藤原) 雅子) - 홋쇼지 마사히라(法性寺 雅平)의 딸
- * 제2황녀 : 소케이몬인(昭慶門院) 키시 내친왕(憙子 内親王) (1270-1324)
- 텐지 : 스이텐지(帥典侍) 타이라씨(平氏) - 타이라노 토키나카(平 時仲)의 딸
- * 제9황자 : 쥰죠 법친왕(順助 法親王) (1279-1322)
- * 제11황자 : 자토 법친왕(慈道 法親王) (1282-1341)
- * 제20황자 : 고엔 법친왕(行円 法親王)
- 궁인 : 토우인(후지와라) 마이시(洞院(藤原) 禖子) - 토우인 사네오(洞院 実雄)
- * 제3황녀 : 오사메코(리시) 내친왕(理子 内親王) (1274-1282)
- 궁인 : 교코쿠인죠시(京極院雑仕) 칸센(貫川)
- * 황녀 : 고노에 이에모토의 부인
- 궁인 : 겐쿠법사(玄駒法師)의 딸
- * 황자 : 카네요시 친왕(兼良 親王)
- 궁인 : 후지와라노 히사코(쥬시)(藤原 寿子) - 후지와라노 시키후사(藤原 景房)의 딸
- * 황자 : 레운 법친왕(叡雲 法親王) 또는 사다요시 친왕(定良親王)
- 궁인 :산죠(후지와라)씨(三条(藤原)氏) - 산죠 킨타시(三条 公親)의 딸
- * 황자 : 쇼에 법친왕(性恵法親王)
- 궁인 : 오구라씨(小倉氏) - 오구라 키메오(小倉 公雄)의 딸
- * 황자 : 코운 법친왕(恒雲法親王)
- 궁인 : 민부경 삼위 - 키타바타케 모리치카(北畠 師親)의 딸 또는 히로하시 츠네미츠(広橋 経光)의 딸[9],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과의 사이에서 고라 친왕(恒良親王) 출생.[9]
- * 쇼고인(聖護院) 쥰고(准后) 손친 법친왕(尊珍法親王)[9]
4. 연호
가메야마 천황의 재위 기간은 하나 이상의 일본 연호(元号, ''nengō'')로 더 구체적으로 구분된다.[6]
5. 평가 및 영향
6. 기타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and Jinnō Shōtōki
[2]
서적
[3]
서적
[4]
서적
Japan: A History in Art
[5]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6]
서적
[7]
서적
熊野大神―蘇りの聖地と神々のちから―
戎光祥出版
[8]
논문
大覚寺統の天皇と音楽
吉川弘文館
[9]
서적
征夷大将軍・護良親王
戎光祥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