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대 조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대 조명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되어 극장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자연광을 활용하다가 실내 극장으로의 변화와 함께 촛불, 가스 조명, 석회 조명 등 인공 조명이 도입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전기 조명이 등장하면서 현대 무대 조명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무대 조명은 선택적 시각 제공, 형태 강조, 초점 유도, 분위기 연출, 시간 및 공간 표현, 무대 요소 투사, 줄거리 전달, 구성, 시각 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조명 기구와 제어 시스템의 발전을 통해 더욱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해졌다. 조명 디자이너는 연출가, 무대 디자이너 등과 협력하여 공연의 콘셉트에 맞는 조명 디자인을 구현하며, 조명 기술자, 프로그래머, 오퍼레이터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무대 조명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대 조명 - 조광기
    조광기는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로, 수동 조작 방식에서 안전 조광기, 사이리스터 조광기, 트라이액 조광기를 거쳐 디지털 제어 프로토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어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 무대 조명 - 3점 조명
    3점 조명은 키 라이트, 보조광, 백라이트로 이루어져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기본 조명 기법이며, 필요에 따라 배경 조명을 추가한 4점 조명도 활용된다.
무대 조명

2. 역사

무대 조명의 초기 형태는 고대 그리스로마 극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극장을 동서 방향으로 지어 오후에 공연할 때 배우들에게는 자연광이 비추면서도, 오케스트라에 앉은 관객들에게는 빛이 직접 닿지 않도록 설계했다. 극장 상단에 큰 원형 개구부를 내어 건물을 지었을 때에도 자연광을 계속 활용했다. 초기 근대 영어 극장은 지붕이 없어 자연광을 이용했다. 극장이 실내로 이동하면서 인공 조명이 필요해졌고, 극장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 조명도 함께 발전했다. 유럽 전역에서는 촛불이 도입되면서 연극 조명이 더욱 발전했다.

올리버 크롬웰 통치 시기인 1642년, 영국에서는 모든 무대 제작이 중단되어 영국 극장은 침체기를 겪었다. 반면, 유럽 본토에서는 이 시기에 큰 발전이 있었다. 잉글랜드의 찰스 2세는 이탈리아의 연극 기법을 접하고, 왕위에 오른 후 이를 영국으로 가져왔다. 영국에 새로운 극장이 건설되면서 더 정교한 조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개조된 극장의 주요 광원은 객석 앞쪽, 특히 포레스트 스테이지에 집중된 샹들리에였다.[3] 당시 영국 극장에서는 샹들리에와 벽걸이 조명을 밝히기 위해 침지 촛불을 사용했다. 침지 촛불은 심지를 뜨거운 왁스에 반복해서 담가 만든 원통형 촛불이었다. 촛불은 관객과 배우 모두에게 뜨거운 기름을 떨어뜨렸기 때문에 자주 다듬고 다시 켜야 했다.[3] 샹들리에는 일부 관람객의 시야를 가리기도 했다.

무대 조명의 예시로, ''WWE 스맥다운 라이브'' 텔레비전 프로 레슬링 쇼에서 트러스와 LED 벽을 사용한다.


영국에는 복원 상업 극장과 복원 궁정 극장, 두 가지 유형의 복원 극장이 있었다. 상업 극장은 경제적인 이유로 조명에서 더 보수적인 경향이 있어 주로 촛불 샹들리에를 사용했다. 반면, 궁정 극장은 대륙의 혁신 대부분을 사용할 여유가 있었다.[3] 드루리 레인 극장과 코벤트 가든 극장과 같은 극장은 중앙의 큰 샹들리에로 조명이 밝혀졌으며, 극장 벽 주변에는 다양한 수의 작은 무대 샹들리에와 촛불 벽걸이 조명이 있었다.[3] 1660년에서 1665년 사이에 지어진 두 개의 주요 궁정 극장은 코크피트 극장과 홀 극장이었다. 샹들리에와 벽걸이 조명이 주요 조명원이었지만, 특히 홀에서는 다른 발전도 있었다. 1670년대에 홀 극장은 풋라이트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670년에서 1689년 사이에는 촛불이나 램프를 사용했다. 17세기 말에는 프랑스와 영국의 무대가 상당히 비슷했다고 한다.[3] 17세기 말 영국의 연극 조명에 대해서는 기록이 많지 않아, 역사가들이 가진 정보가 거의 없어 18세기 중반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1800년대 초, 드루리 레인 극장과 코벤트 가든 극장을 시작으로 영국 무대에 가스 조명이 등장했다. 1820년대에는 새로운 유형의 인공 조명이 개발되었는데, 가스 불꽃을 사용하여 생석회(산화칼슘) 원통을 가열하는 방식이었다. 특정 온도에 도달하면 생석회가 발광하기 시작했다. 이 조명은 반사경과 렌즈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었다. 석회 조명이 개발된 후 극장에서 사용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으며, 약 1837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석회 조명은 1860년대에 인기를 얻어 전기 조명으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러한 조명 발전은 현대 연극계의 많은 조명 발전을 위한 길을 열었다.

3. 조명의 기능 및 특성

무대 조명은 공연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선택적 시각: 관객이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일을 볼 수 있게 한다.
  • 형태 드러냄: 3차원 무대 요소를 포함한 무대 위 사물의 모양을 다르게 보이도록 한다.
  • 초점: 관객의 시선을 특정 무대 영역으로 집중시키거나 분산시킨다.
  • 분위기: 특정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 위치 및 시간: 파란색 조명으로 밤을 표현하거나 주황색 및 빨간색 조명으로 일출이나 일몰을 나타내는 것처럼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거나 변경한다. 고보를 사용하여 하늘, 달 등의 장면을 투사할 수 있다.
  • 투사/무대 요소: 풍경을 투사하거나 무대 위에서 풍경의 역할을 한다.
  • 줄거리 (대본): 조명 이벤트를 통해 무대 안팎의 액션을 유발하거나 진행시킨다.
  • 구성: 디자이너가 관객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무대 영역만을 비추어 "그림을 그린다."
  • 시각 효과: 팝, 록 콘서트, DJ 쇼, 레이브 등에서 색깔 있는 조명과 레이저를 통해 시각 효과를 연출한다.[4][5]


조명 디자인은 예술의 한 형태이므로 정해진 "정답"은 없다. 현대에는 조명 디자인이 작품의 스타일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극 중 사건이 일어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있다. "분위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환경 조성은 필수적이다.[6]

3. 1. 기능

무대 조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2011년 카니예 웨스트 쇼의 눈부신 조명 효과

  • 선택적 시각: 무대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수 있게 하는 능력이다. 시청자가 등장인물을 볼 수 없다면, 명시적인 의도가 아닌 이상 어떤 조명 디자인도 효과가 없을 것이다.
  • 형태 드러냄: 무대 위 모양, 특히 3차원 무대 요소를 인식하는 방식을 변경한다.
  • 초점: 관객의 주의를 무대 특정 영역으로 유도하거나 다른 영역에서 주의를 분산시킨다.
  • 분위기: 장면의 분위기를 설정한다. 강렬한 붉은 조명은 부드러운 라벤더 조명과는 다른 효과를 낸다.
  • 위치 및 시간: 시간과 공간에서 위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한다. 파란색은 밤을, 주황색과 빨간색은 일출 또는 일몰을 나타낼 수 있다. 고보를 사용하여 하늘 장면, 달 등을 투사한다.
  • 투사/무대 요소: 조명은 풍경을 투사하거나 무대에서 풍경 역할을 할 수 있다.
  • 줄거리 (대본): 조명 이벤트는 무대 안팎에서 액션을 트리거하거나 진행시킬 수 있다.
  • 구성: 조명은 디자이너가 관객이 보기를 원하는 무대 영역만 표시하고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4][5]
  • 효과: 팝, 록 콘서트 또는 DJ 쇼 또는 레이브에서 색상 조명과 레이저가 시각 효과로 사용될 수 있다.


조명 디자인은 예술 형식이며, 따라서 "정확한" 방식은 없다. 조명 디자인이 작품의 스타일을 지원하면서 액션이 발생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현대적 움직임이 있다. "분위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환경은 필수적이다.[6]

3. 2. 특성

무대 조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선택적 시각: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수 있게 한다. 관객이 등장인물을 볼 수 없다면, 의도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조명 디자인은 효과가 없다.
  • 형태의 드러냄: 무대 위 사물의 모양, 특히 3차원 무대 요소를 인식하는 방식을 변경한다.
  • 초점: 관객의 주의를 무대 특정 영역으로 유도하거나 다른 영역에서 분산시킨다.
  • 분위기: 장면의 분위기를 설정한다. 강렬한 붉은 조명은 부드러운 라벤더 조명과는 다른 효과를 낸다.
  • 위치 및 시간: 시간과 공간에서 위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한다. 파란색은 밤을, 주황색과 빨간색은 일출 또는 일몰을 나타낼 수 있다. 고보를 사용하여 하늘 장면, 달 등을 투사한다.
  • 투사/무대 요소: 조명은 풍경을 투사하거나 무대에서 풍경 역할을 할 수 있다.
  • 줄거리 (대본): 조명 이벤트는 무대 안팎에서 액션을 트리거하거나 진행시킬 수 있다.
  • 구성: 조명은 디자이너가 관객이 보기를 원하는 무대 영역만 표시하고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4][5]
  • 효과: 팝, 록 콘서트, DJ 쇼, 레이브에서 색상 조명과 레이저가 시각 효과로 사용될 수 있다.


조명 디자인은 예술의 한 형태이므로, "정확한" 방법은 없다. 현대에는 조명 디자인이 작품의 스타일을 지원하면서 액션이 발생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다. "분위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환경은 필수적이다.[6]

'The Tuesday Club'에서 무빙 헤드, 제네릭 및 LED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장비의 예

조도럭스, 루멘, 풋-캔들로 측정된다. 조명기구의 조도는 램프 전력, 기구의 설계(및 효율성), 컬러 젤 또는 기계적 필터와 같은 광학적 장애물, 조명 영역까지의 거리, 빔 또는 필드 각도, 조명할 색상 및 재료, 다른 조명 영역과의 상대적 대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7]
색온도켈빈으로 측정한다. 조명의 겉보기 색상은 램프의 색상, 광학 경로에 있는 젤(gel)의 색상, 전력 레벨 및 조명하는 재료의 색상에 따라 결정된다.[7]

텅스텐 램프의 색상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젤(필터)을 광학 경로에 삽입하여 제어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 단일 젤을 사용하여 같은 색의 빛을 만든다. 예를 들어, 파란색 젤은 파란색 빛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시안, 마젠타, 노란색 필터를 조합하여 감산 CMY 색상 혼합을 통해 사용자 지정 색상을 얻을 수도 있다. 제조사는 감산 색상 혼합 시스템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추가로 녹색 또는 호박색("CTO" 색상 보정) 필터를 포함하기도 한다.

램프 전력도 텅스텐 램프의 색상에 영향을 준다. 램프 전력이 감소하면 텅스텐 필라멘트는 오렌지색 빛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황변 이동'' 또는 ''황변 드리프트''라고 한다. 따라서 50% 전력에서 1000와트 기기는 최대 전력으로 작동하는 500와트 기기보다 더 많은 오렌지색 빛을 방출한다.[8]

LED 조명 기구는 적색, 녹색, 파란색, 그리고 경우에 따라 호박색 LED를 서로 다른 세기로 가산 혼합하여 색상을 생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색상 혼합은 보더라이트 및 사이클로라마 조명에 자주 사용된다.[9]

빨간 젤이 있는 조명 기구에 이 모양의 고보를 사용하면 오른쪽에 표시된 것과 같은 패턴이 생성된다.


방향은 램프 출력의 모양, 품질 및 균일성을 나타낸다. 조명 기구가 만드는 빛의 패턴은 주로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1. 램프, 반사경 및 렌즈 어셈블리의 세부 사항: 램프의 장착 위치(축 방향, 베이스 위쪽, 베이스 아래쪽), 반사경의 크기와 모양, 사용되는 렌즈의 특성에 따라 빛의 패턴이 달라진다.

2. 램프의 초점: ''타원형 반사경 스포트라이트(ERS)'' 또는 ''프로파일 스포트라이트''에서 두 개의 광선이 투사 거리(무대까지의 거리)에서 교차하면 램프는 날카롭게 정의된 '하드' 가장자리를 갖는다. 두 개의 원뿔이 해당 거리에서 교차하지 않으면 가장자리가 흐릿하고 '소프트'하다. 어떤 광선(직접 또는 반사)이 다른 광선 밖에 있는지에 따라 패턴이 '얇고 부드러움' 또는 '두껍고 부드러움'일 수 있다.

3. 고보 또는 브레이크 업 패턴: ERS 및 유사한 조명 기구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보통 모양이 잘린 얇은 금속 시트이다. 조리개 근처의 조명 기구에 삽입되며, 잎, 파도, 별 등 다양한 모양이 있다.[10]

4. 조명 장비 및 기술

스탠리 맥캔들리스는 극장에서 사용되는 빛의 제어 가능한 특성을 처음으로 정의한 사람 중 하나이다. 그는 저서 ''무대 조명 방법''에서 조명 디자이너가 조작할 수 있는 특성으로 ''색상'', ''분포'', ''강도'', ''움직임''을 제시했다.[13][14] 맥캔들리스 방법은 무대 위 물체를 세 각도(왼쪽과 오른쪽에 45도, 정면에 90도)에서 조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공식은 조디 브리그스가 제시한 '빛의 변수'로, 각도, 색상, 강도, 거리, 질감, 가장자리 품질, 크기, 모양을 포함한다.[15]

초점(Focus)은 조명이 향하는 지점을 말하며, 조명 "핫 스팟"이 배우의 머리 높이에 오도록 설정해야 한다.[11] 위치(Position)는 조명의 극장 내 위치를, 매달기(Hanging)는 조명을 위치에 배치하는 행위를 의미한다.[11]

전체 조명 장치는 조명 자체, 지지 구조, 케이블, 제어 시스템, 조광기, 전원 공급 장치, 조명 보드를 포함하며, 조명을 매달거나 배턴을 매다는 것은 '장비 설치'라고 한다.

4. 1. 조명 기구의 종류

조명 디자인에서 조명기구(또는 조명장치)는 조명 디자이너가 쇼에 제공하는 효과의 일부로서 제어된 조명을 생성하는 장치이다.[11] ''조명''과 광원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조명기구''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극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기구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본 구성 요소를 가진다.

  • 상자/하우징: 전체 기구를 수용하고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용기.
  • 광원(램프).
  • 렌즈 또는 개구부: 빛이 나오도록 설계된 틈새.
  • 반사판: 렌즈나 개구부 쪽으로 더 많은 빛을 향하도록 광원 뒤 또는 주변에 위치.


대부분의 극장 전구는 텅스텐-할로겐 램프이다.[17] 형광등은 작업등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고강도 방전 램프(HID 램프)는 매우 밝은 빛 출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18] 지난 6년 동안 다양한 LED 기반 조명 장치가 출시되었으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Ovation E-190WW LED 타원형 스폿(ERS)이 20.5인치 트러스에 걸려 있다.


대부분의 기구는 U자형 ''요크'' 또는 ''트러니언 암''에 의해 지지되며, 무게 중심 근처에 클램프가 고정되어 배턴에 매달린다.[19] 조절 가능한 C 렌치, 래칫(미국) 또는 스패너(영국)가 종종 기술자가 설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19]

대부분의 장소에서는 추가 금속 안전 케이블 또는 체인을 설비와 트러스 또는 기타 스트링 지지 앵커리지 사이에 부착해야 한다.[20]

조명은 크게 ''플러드라이트''(와시 라이트)와 ''스포트라이트''로 분류된다. 스포트라이트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플러드라이트는 제어가 불가능하다.

  • 프로파일: 복합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이미지 경로 내에 "고보" 또는 셔터를 배치할 수 있다. 정밀한 초점을 허용한다. 영국, 호주, 유럽에서는 프로파일,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ERS'', ''엘립소이드'' 또는 Lekolite라고 한다.


최근 무빙 라이트(자동화된 조명)가 극장 및 무대 조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대 조명


일반적인 무빙 라이트를 통해 디자이너는 빛의 위치, 색상, 모양, 크기, 스트로빙을 제어할 수 있다.[12]

트러스에 매달린 무빙 라이트, 장비 설치 및 체인 모터 준비


자동화 기구는 "무빙 헤드" 또는 "무빙 미러/스캐너"로 나뉜다. 스캐너는 램프, 회로 기판, 변압기, 효과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를 가지며, 거울을 팬 및 틸트하여 빛을 움직인다. 무빙 헤드는 헤드 내부에 효과 및 램프 어셈블리를 가지고 있으며, 변압기 및 기타 전자 장치는 베이스 또는 외부 밸러스트에 있다. 스캐너는 빠르고 저렴하지만 움직임 범위가 좁고, 무빙 헤드는 넓은 움직임 범위와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가지지만 비싸다.[12]

호주 및 기타 지역에서 극장 조명 기구 내의 백열 전구는 ''버블''이라고 불린다.[21] 램프의 유리 부분을 직접 만지면 안 된다. 알코올 솜으로 세척해야 한다.
조명 기구의 종류

명칭설명특징사용 용도플러그회로색상기타
보더 라이트75~200 W 할로겐 전구를 무대 가로 폭과 동일하게 늘어놓은 조명1대의 길이는 1칸 또는 반 칸식전, 고전 예능, 연극, 클래식/관현악 콘서트 등30 A C형 콘센트3~4 회로 (무대 좌우로 나누어 6~8 회로)W, #17, #71, #72상설, 보더 라이트 배턴, 전동/수동 승강
서스펜션 라이트 (서스)서스 배턴에 매달아 사용기구 연결용 전원 콘센트, 플라이 덕트/콘센트 박스, 수동/전동 승강바닥 조명, 비스듬히(붓치), 백, 네라이 등20A C형 콘센트 (직회로는 30A C형 콘센트)2~40 회로 이상 (조광 회로 외 직회로, DMX out, Ethernet)바닥 조명: 흰색, #72, #78소/중형 홀 1~3개, 대형/방송용 홀 5~6개 이상
어퍼 호리즌트 라이트85~1000W 램프 사용, 가로 폭과 같은 길이1칸 또는 반 칸, 할로겐 박스무대 뒤쪽 호리존트 막/벽 조사30A C형 콘센트3~8 회로 이상#71, #72, #63, #222단 설치 가능, LH와 병용
풋라이트무대 전면 가장자리, 꽃길 바닥 설치가로 폭과 같은 길이, 1간 또는 반 간발레, 서는 위치 기준, 다리 미용30A C형 콘센트3~4 회로W, #17, #72"각광을 받다" 어원
로어 호리존트 라이트 (로호리)가로 폭과 동일하게 배치, 1간 또는 반 간무대 뒤쪽 호리존트 막 아래에서 조사30A C형 콘센트3~4 회로#72, #59, #22, #40가림막 사용
무대 사이드 스폿 (SS)무대 측면 설치파 라이트, 볼록 렌즈 스폿, 스탠드/베이스 사용얼굴, 대도구, 간판 조명플로어 콘센트
토멘터 스포트라이트 (토멘)프로시니엄 아치 대신주 무대 측 상부 설치SS 설치 지장 시 사용, 사선 사용사다리 사용 설치
씨링 라이트객석 천장 설치무대 대각선 위에서 조명20A, 30A C형 콘센트8 회로 이상 (2대 1회로)제1/2 씨링, 2단 설치, 핀 룸 공용
프론트 라이트객석 내부 양쪽 위치센터 라이트 보조, 빛 방향 표현볼록 렌즈 스포트라이트아래: 어두운색, 위: 밝은 색소규모 설치 X
핀 스포트라이트 (핀)연기자 추적 스포트라이트제논 핀 스포트라이트, 램프 핀조명 조정실/전용 방 설치, 1인 1대 조작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1인 3대)700W~2kW 핀 2~4대 상설
볼록 렌즈 스포트라이트Convex, C-6(6인치), C-8(8인치), PC(평볼록 렌즈)가장자리 선명, 특정 인물 조명, 할레이션 적음, 원거리 적합6인치: 500W, 8인치: 1kW 전구
프레넬 렌즈 스포트라이트F-6, F-8 표현 X, 500W 프레넬가장자리 흐릿, 배경 조명 등 얼룩 방지
PAR 라이트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포물선형 알루미늄 반사경)AC, VN, N, M, W, 조사면 세로음악 분야, 라이브 하우스8/4/7인치(64/36/56), 300~1000W 전구
엘립소이달 리플렉터 스포트라이트 (ERS)렌즈 2개 이상, 초점 조절, 고보/네타 투영커터, 간판 조명
할로겐 박스렌즈 X, 램프만로어/어퍼 호리존트 라이트, 풋라이트
무빙 라이트광원: 메탈 할라이드 램프, LED좌우 540°, 상하 270° 회전, 고보/아이리스/컬러 필터 내장현대 무대 조명 필수최대-최소 시간 소요
무빙 미러/스캐너등기구 X, 렌즈 근처 미러 움직임빠른 움직임
이펙트 머신램프 하우스, 효과 휠, 렌즈효과 휠: 스파이럴 머신, 슬라이드, 필름, 디스크다양한 효과다양한 크기 렌즈


4. 2. 설치 위치에 따른 분류



무대 조명은 설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보더 라이트(Border Light): 무대 가로 폭과 동일하게 75~200 W 할로겐 전구를 늘어놓은 조명이다. 조명기구 1대의 길이는 1칸 또는 반 칸이다. 보통 3~4 회로로 나뉘며, 전력 용량에 따라 무대 좌우로 나누어 6~8 회로가 되기도 한다. 주로 식전이나 고전 예능처럼 평평한 빛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연극에서도 서스펜션 라이트 회로 수에 맞춰 색상을 넣어 사용한다.[11]

  • 서스펜션 라이트(Suspension Light) (통칭 서스): 서스 배턴에 매달아 사용한다. 서스 배턴은 기구 연결용 전원 콘센트가 내장된 플라이 덕트나 콘센트 박스를 갖춘 장치로, 행사에 맞춰 기구를 설치한다. 회로 수는 홀마다 다르며, 2~40 회로 이상이다. 서스 배턴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승강 가능하다. 객석에서 가까운 쪽부터 1 서스, 2 서스, 3 서스 등으로 부른다.
  • 바닥 조명: 흰색과 짙은 파란색(#72)을 주로 사용하며, 프레넬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여 얼룩 없이 액팅 에어리어를 비춘다.
  • 비스듬히: 무대 위 인물이나 물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 상하 4대를 한 색상으로 설치하며, 주로 볼록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한다.
  • 백: 실루엣을 표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등체를 사용한다.
  • 네라이 (통칭 서스): 스포트라이트의 일종이다. 주로 제1, 제2 서스펜션 우측, 중앙, 좌측에 6대를 설치하며, 볼록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한다.[11]

  • 어퍼 호리즌트 라이트(Upper Horizont Light): 85~1000W 램프를 사용하며, 무대 뒤쪽 흰색 또는 크림색 호리존트 막이나 벽을 비추는 다등 조명이다. 3~8 회로 이상을 가지며, 컬러 필터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홀에 따라서는 2단으로 설치되기도 한다.[11]

  • 풋라이트(FootLight): 무대 전면 가장자리나 꽃길 바닥에 설치된다. 보통 3~4회로이며, 30A C형 콘센트가 주류를 이룬다. 주로 발레 등에서 사용되며, 서는 위치를 잡거나 다리를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광량이 많으면 호리존트에 그림자가 생기므로 주의해야 한다.[11]

  • 로어 호리즌트 라이트(Lower Horizont Light) (통칭 로호리): 무대 뒤쪽 호리존트 막을 아래에서 비추는 다등 조명이다. 3~4 회로를 가지며, 5 회로 이상은 무대를 점유하므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 관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무대 색에 맞춘 가림막을 설치하기도 한다.[11]

  • 무대 사이드 스폿(Stage Side Spot) 또는 사이드 스폿 라이트(Side Spot Light) (통칭 SS): 무대 측면에 설치되며, 주로 파(Par) 라이트나 볼록 렌즈 스폿을 스탠드나 베이스에 설치한다. 사람 얼굴이나 대도구, 간판을 비추는 데 사용된다.[11]

  • 토멘터 스포트라이트(Tormentor Spot Light) (통칭 토멘): 프로시니엄 아치의 대신주 무대 측 상부에 설치된다. SS 설치가 어렵거나, 위에 설치하여 사선으로 사용할 때 쓰인다.[11]

  • 씨링 라이트(Ceiling Light): 객석 천장에 설치되어 무대 대각선 위에서 조명을 비춘다. 홀 규모에 따라 제1, 제2 씨링이 있고, 2단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주로 무대 면을 똑바로 비추거나 특정 장소를 겨냥한다.[11]

  •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 객석 내부 양쪽에 위치하며, 센터 라이트(CL) 보조 역할이나 저녁놀 등 빛의 방향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소규모에는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로 볼록 렌즈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한다.[11]

  • 핀 스포트라이트(PIN Spot Light) (통칭 핀): 연기자를 따라다니는 스포트라이트이다. 광량이 큰 제논 핀 스포트라이트나 부드러운 빛의 램프 핀을 사용하며, 조명 조정실이나 전용 방에 설치한다. 보통 핀 스포트라이트 하나에 오퍼레이터 한 명이 조작한다.[11]

4. 3. 조명 제어 시스템

MA Lighting의 grandMA2 Full Size 콘솔


조명 제어 도구는 빛의 질을 변화시키는 모든 것으로, 역사적으로 조도 제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기술 발전으로 조도 제어가 비교적 간단해졌으며, 고체 다이오드 디머는 하나 이상의 조명 컨트롤러로 제어된다.[22] 컨트롤러는 일반적으로 조명 콘솔(조명 데스크 또는 라이트 보드)이며, 매우 많은 수의 디머 또는 조명 기구를 정교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되었다.[22] 더 간단한 장치는 최소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저장된 조명 상태 시퀀스를 재생할 수 있다.

대규모 쇼 또는 설치의 경우 여러 콘솔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며, MIDI 기술의 특정 분기인 MSC(MIDI 쇼 제어)를 사용하여 전체 쇼를 자동화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조명 컨트롤러를 사운드, 자동 무대 장치, 화려한 불꽃놀이 및 기타 효과에 대한 컨트롤러와 결합하거나 조정한다. 쇼 제어를 참조하라.

조명 컨트롤러는 제어 케이블, 무선 링크(예: DMX512)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디머(또는 자동 조명 기구)에 연결된다.[23] 이를 통해 부피가 크고 뜨겁고 때로는 시끄러운 디머를 무대와 관객으로부터 멀리 배치하고, 자동 조명 기구를 필요한 곳에 배치할 수 있다. DMX512 외에도 새로운 제어 연결에는 RDM(원격 장치 관리)과 제어 네트워크 아키텍처(ACN)이 있다.[23] RDM은 DMX512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장치에 관리 및 상태 피드백 기능을 추가한다.[23] ACN은 완벽한 기능을 갖춘 다중 컨트롤러 네트워킹 프로토콜로, 장치로부터 위치, 상태 또는 오류 조건을 피드백받을 수 있으며, 훨씬 더 자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23]

디머는 조명 기구 램프의 평균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램프 밝기는 전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램프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달라진다. 전압이 감소하면 램프 전류도 감소하여 빛 출력이 감소(디밍)된다. 반대로, 전압이 높으면 램프 전류가 높아져 빛 출력이 증가(밝아짐)한다. 디머는 ''랙'' 또는 ''디머 랙''이라 불리는 대형 인클로저에 있으며, 상당한 삼상 전력을 소비한다. 탈착식 모듈은 20암페어, 2.4-킬로와트에서 100암페어 장치에 이른다.

백열 램프는 디밍될 때 약간의 색상 변화가 발생하여 디머를 통해 제한적인 색상 제어가 가능하다. 페이드(밝기 전환)는 밝기를 올리거나(UP) 내릴(DOWN) 수 있으며, 이는 전환 중 빛 출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함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최신 디머는 반도체이지만, 많은 기계식 디머도 여전히 작동 중이다.[24]

많은 경우, 디머는 ''정전력 모듈''(CPM)로 대체될 수 있다. CPM은 연기 기계, 체인 윈치 및 일정한 작동 전압이 필요한 장면 모터와 같은 디밍되지 않는 전기 장치에 라인 전압을 공급한다. CPM은 켜질 때마다 조명 콘솔 레벨과 관계없이 장치에 완전히 전원을 공급한다. 특정 라인 전압(예: 미국에서는 120V, 60 Hz 전원)[25]이 필요한 디밍되지 않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CPM을 사용해야 한다. 디밍되지 않는 장치를 제어하는 데 디머를 사용하는 것은 드물다. 제어 손실로 인해 디머가 회로를 디밍하여 장치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빙 헤드와 같은 장치는 독립적인 전원이 필요하다. 부분적으로 디밍된 채널에서 작동할 수 없으며, 여러 기능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다른 여러 채널이 필요하다. 렌턴 제어를 단순화하기 위해 많은 데스크에서는 픽스처 섹션을 제공하여 렌턴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더 간단한 규모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픽스처는 또한 연기 기계, 눈 기계, 헤이즈 기계 등을 통합하여 많은 특수 효과를 단일 데스크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현대식 조명 기구는 빛의 강도 외에도 방향, 색상, 빔 모양, 투사된 이미지 및 빔 각도를 포함한 효과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기를 점점 더 빠르고 조용하게 움직이는 능력이 업계 목표이다. 일부 자동 조명에는 디밍 기능이 내장되어 외부 디머와 관계없이 제어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다.

무대 조명에서는 수많은 전기 회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밝기를 변경해야 한다. 조작부인 '''조광 조작탁'''과 부하 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광기반'''이 두뇌이자 심장부 역할을 한다(조작부와 조광기가 일체화된 장치도 있다). 조작탁은 최근 DMX화가 증가하고 있다. 조광기는 1회로당 30 A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최대 20 A까지로 제한하는 홀이 많다.

5. 조명 전문가

조명 디자이너(LD)는 다양한 종류의 조명 기구와 그 사용법을 잘 알고 있다. LD는 연출가, 부무대감독(DSM), 무대 디자인자와 협의하고, 리허설을 보면서 기구 목록, 조명 배치를 만들고, DSM에게 각 조명 큐(LX)가 스크립트에서 언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는지 알려준다. DSM은 이를 플롯 북에 기록한다. 기구 목록은 색상 젤, 고보, 컬러 휠, 반사판 및 기타 액세서리를 포함한 모든 필요한 조명 장비 목록이다. 조명 배치는 보통 공연이 열리는 극장의 평면도이며, 모든 조명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대략적인 조명 초점 및 방향, 참조 번호, 액세서리, 디머 시스템의 주소 번호(할당된 DMX 주소) 및 조명 제어 콘솔의 채널이 지정된다.[16]

조명 디자이너는 연출가 또는 수석 기획자가 제시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디자인을 만들 때 다양한 조명 기구와 색상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경험이 필요하다. 많은 디자이너가 조명 기술자로 경력을 시작한다. 이는 극장 과정을 제공하는 직업 전문 대학이나 대학교에서의 훈련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더 큰 규모의 장소 및 프로덕션의 많은 직업은 극장 조명에 대한 직업 학교 또는 대학 학위, 최소한 학사 학위가 필요하다.

연극 분야와 영화 분야의 조명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연극 분야영화 분야


6. 현대 무대 조명의 동향과 전망

현대 무대 조명은 LED 기술 발전과 컴퓨터 제어 시스템 고도화로 더욱 다양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LED 조명은 기존 할로겐 램프를 대체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무빙 라이트와 같은 특수 조명 기구는 역동적이고 화려한 조명 효과 연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무대 조명은 단순히 무대를 밝히는 것을 넘어, 영상, 음향, 특수 효과 등 다른 기술 요소들과 통합되어 공연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프로젝션 매핑, 인터랙티브 조명 등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면서 무대 조명은 공연 예술 표현 영역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대신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 조명 기구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 기구는 좌우 540°, 상하 270° 회전하며, 고보, 아이리스, 컬러 필터 등이 내장되어 있어 색상과 무늬를 변경하고 움직일 수 있다. 조명 기구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최대에서 최소까지 시간이 걸린다. 무빙 헤드와 유사한 기능을 갖지만, 등기구 자체는 움직이지 않고 렌즈 근처의 미러가 움직여 조명 효과를 내며, 움직임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6. 1. 한국 무대 조명의 과제와 전망

한국의 무대 조명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지만, 조명 디자인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 조명 디자이너 양성 및 교육 시스템 강화, 공연 제작 환경 개선, 다양한 장르와 형식의 공연 지원 등이 필요하다.

특히, 무대 조명이 사회적 약자를 조명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외된 계층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에서 조명을 통해 등장인물의 심리 상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거나,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다룬 공연에서 조명을 통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소규모 공연장 및 지역 공연 단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첨단 조명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공연 콘텐츠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참조

[1] 문서 Stage Lighting Design Principle and Process http://www.odu.edu/~[...]
[2] 웹사이트 theatrecrafts' Types of Lanterns http://www.theatrecr[...] 2012-06-29
[3] 서적 Theatre Lighting Before Electricity https://archive.org/[...] Wesleyan UP U
[4] 서적 A Method of Lighting the Stage, Fourth Edition Theatre Arts Books
[5]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6]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7]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8]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9] 웹사이트 Learn Stage Lighting - How do I Use Color Effectively? http://www.learnstag[...]
[10]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11]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12]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13] 뉴스 Remember Stanley McCandless? http://livedesignonl[...] Penton Media, Inc 2007-05-01
[14] 서적 A Method of Lighting the Stage, Fourth Edition Theatre Arts Books
[15] 서적 Encyclopedia of Stage Lighting McFarland
[16]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17] 서적 Scenic Art for the Theatre https://books.google[...] Susan Crabtree and Peter Beudert
[18] 서적 Interior Graphic Standards https://books.google[...] Corky Binggeli and Patricia Greichen
[19] 웹사이트 Stage Lighting Primer http://www.stageligh[...]
[20] 웹사이트 Connecticut College Theater Services Hazard Communication Guide http://www.conncoll.[...] 2010-05-27
[21] 웹사이트 Glossary of Technical Theatre Terms – Lighting (advanced) – Theatrecrafts.com http://www.theatrecr[...] 2019-05-11
[22]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23]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24]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25] 서적 Designing With Light: An Introduction to Stage Lighting, Fourth Edition McGraw 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