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스맥다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스맥다운은 1999년 4월 29일 처음 방송된 미국의 프로레슬링 프로그램이다. 초기에는 WCW의 경쟁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으며, UPN, CW, MyNetworkTV, Syfy, USA 네트워크, FOX 등 다양한 방송사를 거쳐 2024년 10월부터 USA 네트워크에서 방송될 예정이다. 스맥다운은 WWE의 브랜드 분할에 따라 RAW와 함께 운영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생방송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WWE 유니버셜 챔피언은 코디 로즈, WWE 위민스 챔피언은 나이아 잭스,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은 나카무라 신스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WE 스맥다운 -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되었으며, 한때 RAW 태그팀 챔피언십과 통합되기도 했으나, 2024년 WWE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분리 및 명칭 변경되었다. - WWE 스맥다운 - WWE 애프터번
WWE 애프터번은 WWE 러와 스맥다운의 주요 장면, 선수 인터뷰 등을 제공하는 하이라이트 쇼 프로그램으로, 미국에서 처음 방송된 후 여러 국가로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IB 스포츠에서 방송된다. - WWE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WWE 프리 포 올
- WWE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WWE 새러데이 나잇 메인이벤트
WWE 새러데이 나잇 메인 이벤트는 프로레슬링 쇼로, 텔레비전 시대의 부상과 함께 프로레슬링 스타일 변화를 겪으며 발전해 왔고, 전국적인 확장, "애티튜드 시대"를 거쳐 경쟁 구도 변화와 여성 레슬링 강조 등 현대적인 흐름에 발맞추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프로레슬러, 각본, 경기, 해설, 관중으로 구성되어 대중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팬덤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 1999년 설립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1999년 설립 - 네이버
네이버는 199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 및 포털 사이트로,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뉴스, 메일, 블로그,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다.
WWE 스맥다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스맥다운! (1999–2008) 스맥다운 라이브 (2016–2019) |
장르 | 프로 레슬링 |
창작자 | 빈스 맥마흔 |
작가 | 존 스위카타 (수석 작가) 스맥다운 크리에이티브 작가 목록 참조 |
진행자 | 마이클 콜 코리 그레이브스 |
출연 | 스맥다운 로스터 |
오프닝 테마 | “Neva Play” by Megan Thee Stallion ft. RM |
총괄 프로듀서 | 폴 레베스크 리 피팅 |
국가 | 미국 |
시즌 수 | 26 |
에피소드 수 | 1122 |
카메라 | 다중 카메라 설정 |
런타임 | 120분 (광고 포함) |
회사 | WWE |
방송 정보 | |
방송 네트워크 | UPN |
방송 정보2 | |
방송 네트워크2 | The CW |
방송 정보3 | |
방송 네트워크3 | 마이 네트워크 TV |
방송 정보4 | |
방송 네트워크4 | Syfy |
방송 정보5 | |
방송 네트워크5 | USA 네트워크 |
방송 정보6 | |
방송 네트워크6 | Fox |
방송 정보7 | |
방송 네트워크7 | USA 네트워크 |
관련 프로그램 |
2. 역사
1999년 4월 29일, '''스맥다운'''이라는 이름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WCW의 목요일 프로그램인 선더의 경쟁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으며, RAW의 보완 프로그램으로 단 한 번 방송된 후 같은 해 8월 26일부터 UPN에서 정식 TV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방송사는 CW(2006년 폐국 이후), MyNetworkTV(2008년 가을~2010년 가을), Syfy(2010년 가을~2015년) 등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에는 WWE가 WCW와 ECW의 레슬러들을 대거 영입하면서, 선수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RAW와 스맥다운의 스토리와 로스터를 분리하는 브랜드 확장을 단행했다. 다만, WWF 통합 챔피언과 여성 챔피언은 양 브랜드에 모두 출연할 수 있었다.
RAW가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것과 달리, 스맥다운은 주로 녹화 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초기에는 화요일에 녹화하여 목요일에 방송하다가 2005년부터 금요일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1월 15일부터 다시 목요일 방송으로 바뀌었고, 2016년 1월부터는 RAW와 같은 USA 네트워크에서 방송되기 시작했다.
2016년 7월 19일부터 방송 요일을 화요일로 옮기고, RAW와의 브랜드 분할을 다시 실시했다. 또한, 기존의 녹화 방송 방식에서 RAW와 마찬가지로 생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프로그램 이름도 '''스맥다운 라이브'''로 변경되었다. 2019년 10월 4일부터는 FOX에서 매주 금요일에 방송하게 되었고,[118] 프로그램명은 다시 '''스맥다운'''으로 변경되어 '프라이데이 나이트 스맥다운'(Friday Night SmackDowneng)으로 불리게 되었다. 다만, FOX의 월드 시리즈나 PAC-12 풋볼 챔피언십 중계 일정에 따라 FS1에서 방송되는 경우도 있다.
2020년 3월 13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올랜도의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무관중으로 녹화 및 방송되었다. 이후 암웨이 센터(8월 21일), 트로피카나 필드(12월 14일), 잉링 센터(4월 16일) 등으로 장소를 옮기며[119] 썬더돔 환경에서 무관중 또는 제한적 관중 체제를 유지하다가, 2021년 7월부터 유관중 경기를 재개했다. 2024년 9월 13일부터는 USA 네트워크로 복귀하여 금요일 밤 생방송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2. 1. 초기 (1999년 ~ 2009년)
'''WWF 스맥다운!'''은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의 목요일 밤 프로그램인 '''선더'''와 경쟁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스맥다운!'''은 1999년 4월 29일, UPN에서 단일 TV 특집으로 로의 세트를 사용하여 처음 방영되었다. 이후 같은 해 8월 26일, '''스맥다운!'''은 UPN에서 정규 프로그램으로 공식 데뷔했다. '''선더'''와 마찬가지로 '''스맥다운!'''은 초기에 화요일에 녹화되어 목요일에 방송되었다. 새로운 WWF 프로그램은 상당한 인기를 얻었고, 이에 WCW는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 '''선더'''의 방송 요일을 수요일로 변경했다. 프로그램 초창기에는 더 락이 자신의 캐치프레이즈 중 하나인 "Layeth the Smack down"을 언급하며 '''스맥다운!'''을 "자신의 프로그램"이라고 꾸준히 지칭했다.[15]
2002년 3월, WWF는 "브랜드 확장"을 시행했다. 이를 통해 로와 스맥다운!은 각 프로그램 및 이벤트에 독점적으로 소속된 별도의 선수 명단을 보유하게 되었고, 서로 경쟁하는 "브랜드"로 운영되었다. 이는 스포츠 리그와 유사한 방식이었다.[16] 브랜드 확장 초기에는 WWF 통합 챔피언과 여성 챔피언은 두 브랜드 프로그램에 모두 출연할 수 있었다.
2004-05 시즌에 '''스맥다운!'''은 평균 51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하며, 아메리카스 넥스트 톱 모델에 이어 UPN에서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이 되었다.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의 종영 이후, '''스맥다운!'''은 2005-06 시즌을 맞아 2005년 9월 9일부터 금요일 밤 시간대로 편성되었다. WWE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이름을 '''프라이데이 나이트 스맥다운!'''(Friday Night SmackDown!)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17]
2006년 1월, CBS 코퍼레이션과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는 UPN과 더 WB를 합병하여 그해 가을 더 CW라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출범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발표의 일환으로, 더 CW는 두 이전 네트워크의 강력한 프로그램들을 기반으로 '''프라이데이 나이트 스맥다운!'''을 2시즌 더 갱신하여 방영할 것이라고 밝혔다.[18] 2006년 9월 22일, '''프라이데이 나이트 스맥다운!'''은 더 CW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
그러나 더 CW는 이후 '''스맥다운'''의 계약 갱신을 거부했고, 2008년 10월부터는 폭스 엔터테인먼트 그룹이 설립한 MyNetworkTV에서 방영권을 인수하여 방송을 이어갔다. MyNetworkTV는 더 CW에 합류하지 않은 이전 UPN 및 WB 계열 방송국들을 대상으로 설립된 네트워크였다.[19] 이전과 동일한 금요일 밤 시간대를 유지한 MyNetworkTV에서의 '''스맥다운''' 시즌 첫 방송은 32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하며, 그날 밤 네트워크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이 되었다.[20] 2009년 3월 20일, '''스맥다운'''은 500회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21]
2. 2. Syfy 및 USA 네트워크 시절 (2010년 ~ 2019년)
2010년 10월 1일, 스맥다운은 NBC 유니버설과의 새로운 방송 계약에 따라 Syfy 채널로 옮겨 기존의 금요일 밤 시간대를 유지했다.[7] Syfy에서의 첫 방송 전에는 마이클 콜이 진행하는 "프리게임" 쇼가 있었다. 이 이동으로 Syfy는 스맥다운 방영권에 약 3000만달러를 지불했는데, 이는 이전 방송사인 MyNetworkTV가 지불했던 2000만달러보다 높은 금액이었다.[8]2011년 8월 29일 Raw 방송을 통해 WWE는 브랜드 확장을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로써 소속 선수들은 Raw와 스맥다운 양쪽 프로그램에 자유롭게 출연할 수 있게 되었다.[22] 2011년 10월 14일 방송분으로 스맥다운은 미국 텔레비전 역사상 두 번째로 오랫동안 방영된 주간 에피소드 형식의 TV 시리즈가 되었다(가장 오래 방영된 시리즈는 Raw이다). 2013년 1월 18일에는 700회 방송을 기념했다.
2014년 10월 10일, 스맥다운은 15주년 기념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14] 이 특집 방송에서는 스테파니 맥마흔이 먼저 등장했고, 이후 로리나이티스와 롱이 차례로 등장하여 서로 경쟁하다가, 결국 레슬매니아 XXVIII에서처럼 각자가 팀 주장을 맡는 조건으로 15인 태그팀 경기를 열기로 결정했다.[23] 경기 결과는 롱이 이끄는 팀의 승리였다.[24] 2014년 12월 16일에는 Syfy의 자매 채널인 USA 네트워크에서 'SuperSmackDown Live!'라는 제목으로 800회 특집 생방송을 방영했으며, 메인 이벤트 경기는 돌프 지글러와 세스 롤린스의 대결이었다.[25]
2015년 1월, 스맥다운은 다시 목요일 시간대로 방송 시간을 옮겼다. 이는 마케터들이 주말을 앞두고 영화 개봉 홍보 등에 더 많은 광고비를 지출하는 경향이 있어 광고 수익을 늘리고, Syfy 채널에 더 젊은 시청자층을 유입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되었다.[26] 금요일 밤에 방영된 마지막 스맥다운 방송은 243만 명의 시청자와 0.7의 시청률을 기록했다.[27] 2016년 1월 7일부터는 USA 네트워크로 방송 채널을 옮겼으며, 시간대는 목요일 밤을 유지했다.[10][11][28] 이로써 Raw, 스맥다운, 터프 이너프 등 WWE의 주요 프로그램 3개가 처음으로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되게 되었다.[11][29]
2016년 5월 25일, Raw와 스맥다운 간의 브랜드 확장 및 분리를 다시 시행하면서 스맥다운의 방송 요일을 화요일 밤으로 변경하고 생방송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30] 2016년 7월 11일 Raw 방송에서는 빈스 맥마흔 회장이 셰인 맥마흔을 스맥다운의 커미셔너로 임명했다.[31] 그 다음 주 Raw에서는 다니엘 브라이언이 새로운 스맥다운 단장으로 발표되었다.[32] 2016년 7월 19일부터 스맥다운은 화요일 밤 생방송 체제로 전환되었으며, 같은 날 브랜드 분할 드래프트가 실시되었다. 7월 22일, 단장 다니엘 브라이언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스맥다운 로고를 공개하고 프로그램 명칭을 '스맥다운 라이브'(SmackDown Liveeng)로 변경한다고 밝혔다.[33] 2018년 4월 10일, 스맥다운 커미셔너 셰인 맥마흔은 다니엘 브라이언이 현역 선수로 복귀하게 되었음을 알리고, 페이지를 새로운 스맥다운 단장으로 임명했다.[34]
2. 3. Fox 시절 (2019년 ~ 2024년)
2018년 6월 26일, 폭스는 연간 2.05억달러 규모의 계약을 통해 5년간 ''스맥다운''을 방영하기로 발표했다. ''스맥다운''은 2019년 10월 4일 폭스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으며, 이날은 프로그램 20주년을 기념하는 특집 방송으로 꾸며졌다. 이로써 ''스맥다운''은 다시 금요일 밤 시간대로 돌아왔고, 1992년 11월 14일 ''토요일 밤의 메인 이벤트'' 이후 처음으로 WWE 프로그램이 폭스 네트워크에서 방영되었다.[35][36][37] 당시 WWE는 USA 네트워크와 맺었던 ''스맥다운'' 및 ''WWE 로우'' 방영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었고, 폭스는 20세기 폭스 스튜디오를 디즈니에 매각한 후 라이브 스포츠 프로그램과 비대본(unscripted) 엔터테인먼트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었다. 폭스는 처음에는 폭스 네트워크에서 ''로우''를, FS1에서 ''스맥다운''을 방영하길 원했으나,[38][39] NBC유니버설이 ''로우'' 재계약에 집중하면서 폭스는 ''스맥다운'' 확보에 주력하게 되었다.[40] 폭스는 계약의 일환으로 자사 스포츠 채널을 통해 ''스맥다운''을 더 많이 홍보하고, FS1에서 WWE 관련 스튜디오 쇼(''WWE 백스테이지'')를 방영할 것을 약속했다.[41]
2020년 3월 13일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모든 WWE 투어 쇼가 중단되면서, ''스맥다운'', ''로우'', 페이퍼뷰는 올랜도의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관중 없이 진행되었다. 첫 무관중 방송에서는 트리플 H가 특별 해설을 맡았고, 이전 주 일리미네이션 챔버 페이퍼뷰에서 열린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일리미네이션 챔버 경기가 재방송되기도 했다.[42][43] 같은 해 8월 17일, WWE는 8월 21일 ''스맥다운'' 방송부터 올랜도의 암웨이 센터에서 "WWE 썬더돔"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쇼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썬더돔에서는 가상 관중 시스템과 향상된 경기장 연출을 도입했으며, 이후 플로리다 내 트로피카나 필드(2020년 12월), 잉글링 센터(2021년 4월) 등으로 장소를 옮겨 무관중 또는 제한적 관중 체제를 유지했다.[61][62][119] WWE는 2021년 7월부터 ''스맥다운''과 ''로우'' 브랜드의 라이브 투어를 재개했다.[64]
폭스로 채널을 옮긴 후, ''스맥다운''은 메이저 리그 야구 포스트시즌 경기 등 다른 폭스 스포츠 프로그램 중계로 인해 종종 FS1 채널로 옮겨 방송되었다.[44][45] 2019년 10월에는 월드 시리즈 중계 여파로 1시간 분량의 특집 방송이 다음 주 일요일 오후에 폭스에서 방영되기도 했다.[46][47]
2023년 7월 1일 영국 런던의 더 O2 아레나에서 머니 인 더 뱅크 이벤트가 열리는 것과 연계하여, 하루 전인 6월 30일 ''스맥다운''이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스맥다운'' 역사상 처음으로 영국 현지 프라임타임 시간대에 BT 스포츠를 통해 생방송된 사례다.[48] 2024년에는 다른 WWE 프리미엄 라이브 이벤트와 연계하여 해외에서 ''스맥다운'' 방송이 진행되기도 했다. 5월 3일에는 백래시 프랑스를 앞두고 프랑스 데신-샤르피외의 LDLC 아레나에서, 5월 24일에는 킹 앤 퀸 오브 더 링을 앞두고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제다 슈퍼 돔에서,[49] 8월 30일에는 배쉬 인 베를린을 앞두고 독일 베를린의 우버 아레나에서 각각 방송이 이루어졌다.[50]
2. 4. USA 네트워크 복귀 (2024년 ~ 현재)
2023년 9월 21일, WWE와 Fox의 계약 만료 후 ''스맥다운''이 2024년 10월 USA 네트워크로 복귀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NBC유니버설과의 새로운 계약은 5년간 14억달러 규모로, 이전 계약보다 증액된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 조건에는 WWE가 자매 방송사인 NBC를 위해 매년 4개의 프라임타임 특집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51] 이 특집 프로그램은 2024년 12월 NBC에서 첫 방송되며 부활한 ''토요일 밤의 메인 이벤트''로 확인되었다.[52]원래 ''스맥다운''의 USA 네트워크 복귀 예정일은 Fox 첫 방송 5주년이 되는 2024년 10월 4일이었다. 하지만 Fox는 해당 시간대에 ''Fox 대학 미식 축구'' 첫 방송을 편성하기 위해 ''스맥다운'' 마지막 3회를 자매 채널인 FS1으로 옮길 계획이었다.[53] 2024년 5월 9일, USA 네트워크는 ''스맥다운''이 기존의 금요일 밤 시간대를 유지하며, 예정보다 앞당겨진 2024년 9월 13일부터 채널에 복귀한다고 공식 발표했다.[54]
3. 대한민국에서의 스맥다운
(내용 없음)
4. 주요 구성
WWE 스맥다운은 초기에 UPN 채널에서 목요일 저녁에 방송되었으며, 이를 위해 화요일 저녁에 녹화를 진행했다. 때때로 화요일 밤에 라이브 특집 방송을 하기도 했으며, 이는 이후 정규 방송 시간대인 목요일 밤에 재방송되었다. 2008년 1월 25일 방송부터 HD 방송을 시작했고, 이때 모든 WWE 주간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새로운 공용 세트가 처음으로 선보였다. HD 방송 전환과 함께 프로그램 시작부터 사용되던 느낌표가 공식 로고를 포함한 모든 관련 자료에서 사라졌으며, 로고는 2001년에서 2008년까지 사용된 것과 비슷하지만 더 어두운 파란색 계열로 변경되었다.
초기 스맥다운 세트는 타원형 타이탄트론 입구와 무대(일명 "오벌트론")[55]를 특징으로 하여, 당시 사각형 타이탄트론을 사용하던 ''Raw Is War'' 세트와 차별점을 두었다. 이후 오벌트론은 무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개선되었다. 2001년 8월, 프로그램 2주년을 맞아 새로운 로고와 세트가 공개되었다. 이 세트는 입구 위에 주먹 조형물이 중앙에 위치하고 그 위에 WWF/E 스크래치 로고가 있었으며, 양쪽에는 산산조각 난 유리 모양의 패널과 각각 두 개의 타이탄트론이 배치되었다.
프로그램의 테마곡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짐 존스턴이 작곡한 곡들이 사용되었고, 이후 마릴린 맨슨, 드로닝 풀, 그린 데이, 폴 아웃 보이, 패닉! 앳 더 디스코, AC/DC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곡들이 사용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드로닝 풀의 "Rise Up"은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테마곡이다. 테마곡의 상세한 목록과 사용 기간은 아래 표와 같다.
2005년에서 2007년 사이, 스맥다운이 슈퍼쇼 형태로 Raw와 같은 경기장을 사용할 때는 Raw 세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활용하기도 했다.
2012년 8월 3일부터는 ''Raw 1000'' 특집에서 처음 공개된 수정된 WWE HD 유니버설 세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58] 또한, WWE는 수잔 지 코먼 유방암 재단과 협력하여 유방암 인식 개선 캠페인을 진행했는데, 특정 기간 동안 스맥다운 세트에 분홍색 리본 장식이 추가되고 링의 중간 로프가 특별히 분홍색으로 교체되었다. 스맥다운의 링 로프는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주로 파란색이었으나(2001~2002년 잠시 검은색 사용), 2012년 12월 모든 WWE 프로그램의 로프가 흰색으로 통일되면서 영구적으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8월 22일부터는 16:9 레터박스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2015년 1월 15일, 방송 시간이 목요일 밤으로 변경되면서 그래픽 패키지가 전면 개편되었고(16:9 형식 최적화), 새로운 인트로 영상과 수정된 스맥다운 로고가 공개되었다. 2015년 3월 26일에는 링 왼쪽에 작은 LED 보드가 추가되었으며, 9월 14일 ''Raw'' 시즌 프리미어에서는 중간 로프가 일시적으로 금색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2015년 10월에는 다시 유방암 인식 개선 캠페인의 일환으로 중계석, 입장 경사로, 링 스커트 등이 수잔 G. 코먼 재단과 공동 브랜딩되었고 중간 로프는 분홍색으로 사용되었다.[59]
2016년 브랜드 분할 이후, 링 로프는 다시 스맥다운 고유의 파란색으로 돌아왔고 새로운 세트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초기의 새 세트는 이전 PPV 세트와 유사하여 비판을 받았고, 이에 한 달 후 중앙에 반원형 타이탄트론과 다수의 LED 패널을 갖춘 독창적인 디자인의 무대가 제작되었다. 이 세트에는 입장 경사로에 LED 바닥 패널도 도입되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후 폭스 채널로 이적하면서 ''Raw''와 ''스맥다운'' 모두 새로운 세트를 선보였다. 이 세트는 대형 타이탄트론 스크린과 반원형 아치 구조를 특징으로 하여, 부분적으로는 초창기 스맥다운 무대 디자인과 유사성을 보였다.[60]
코로나19 팬데믹 기간(2020년 3월 중순 ~ 2021년 7월 중순) 동안 모든 WWE 프로그램은 투어 공연을 중단하고 관중 없이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스맥다운은 처음에는 올랜도의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촬영되었고, 이후에는 "썬더돔"이라는 특수 제작된 폐쇄형 세트가 있는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썬더돔은 PPV 쇼와 유사한 대규모 프로덕션 환경을 갖추고, 비디오 보드로 구성된 관람석에 가상 관중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61][62][63]
2021년 7월 라이브 투어가 재개되면서 ''스맥다운''과 ''Raw''는 고해상도 LED 스크린과 증강 현실 그래픽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유니버설 무대를 채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64]
곡 제목 | 작곡 및/또는 연주 | 사용 기간 | 참조 |
---|---|---|---|
"Smack" | 짐 존스턴 | 1999년 4월 29일 – 2001년 8월 9일 | [65] |
"The Beautiful People" | 마릴린 맨슨 | 2001년 8월 16일 – 2003년 5월 15일 | [65] |
"I Want It All" | 짐 존스턴 | 2003년 5월 22일 – 2004년 9월 16일 | [65][66] |
"Rise Up" | 드로닝 풀 | 2004년 9월 23일 – 2008년 9월 26일 | [65][67] |
"If You Rock Like Me" | 짐 존스턴 | 2008년 10월 3일 – 2009년 9월 25일 | [65] |
"Let It Roll" | Divide the Day | 2009년 10월 2일 – 2010년 9월 24일 | [65] |
"Know Your Enemy" | 그린 데이 | 2010년 10월 1일 – 2012년 10월 19일 | [65] |
"Born 2 Run" | 7Lions | 2012년 10월 26일 – 2014년 4월 4일 | [65] |
"This Life" | CFO$ | 2014년 4월 11일 – 2015년 1월 9일 | [65] |
"Centuries" | 폴 아웃 보이 | 2014년 10월 10일 (스맥다운 15주년 기념) | [68][69] |
"Black and Blue" | CFO$ | 2015년 1月 15일 – 2016년 7월 19일 | [70] |
"Take a Chance" | CFO$ | 2016년 7월 26일 – 2019년 9월 24일 | [71] |
"Victorious" | 패닉! 앳 더 디스코 | 2018년 10월 16일 (스맥다운 1000회 기념) | |
"Are You Ready" | AC/DC | 2019년 10월 4일 – 2022년 10월 14일 | |
"Prime Time Open" | 짐 존스턴 | 2021년 5월 7일 (추억의 스맥다운 특집) | |
"Nobody Better Than Me" | def rebel ft. Supreme Madness | 2022년 10월 21일 – 2024년 9월 6일 | |
"Red" | 하디 ft. 모건 월렌 | 2023년 12월 8일 (트리뷰트 투 더 트룹스 2023) | |
“Neva Play” | 메건 지 스탈리온 ft. RM | 2024년 9월 13일 – 현재 | [1] |
4. 1. 커미셔너
스맥다운의 최고 책임자를 의미한다.이름 | 날짜 |
---|---|
셰인 맥마흔 | 2016년 7월 11일 ~ 2019년 1월 17일 |
4. 2. 제너럴 매니저 (단장)
RAW와 마찬가지로, 스맥다운에도 매치 메이킹 권한 등을 가진 최고 책임자 역할인 제너럴 매니저(General Manager, GM) 또는 단장이 있었다. 초대 단장은 스테파니 맥맨이었으며, 프로그램 오너였던 빈스 맥맨도 단장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인물이 단장직을 거쳐갔으나, 2014년 비키 게레로의 해고 이후 한동안 공석 상태로 어쏘리티가 실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2016년 브랜드 분할과 함께 대니얼 브라이언이 단장으로 임명되었지만, 2018년 12월 페이지를 마지막으로 단장 제도는 폐지되었다. 이후 약 5년간 단장 없이 운영되다가 2023년 10월 13일, 트리플 H가 닉 앨디스를 새로운 단장으로 임명하면서 제도가 부활했다.[120]역대 스맥다운 단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빈스 맥맨 | 2002년 3월 18일 ~ 2002년 7월 18일 | 프로그램 오너로서 GM 역할 수행 |
스테파니 맥맨 | 2002년 7월 18일 ~ 2003년 10월 19일 | 초대 GM |
폴 헤이먼 | 2003년 10월 23일 ~ 2004년 3월 22일 | |
커트 앵글 | 2004년 3월 25일 ~ 2004년 7월 22일 | |
테디 롱 | 2004년 7월 29일 ~ 2007년 9월 21일 | 1차 재임 (원본 소스에는 7월 9일 시작으로도 표기됨) |
비키 게레로 | 2007년 9월 28일 ~ 2009년 4월 6일 | 1차 재임, 빈스 맥맨이 임명 (원본 소스에는 2007년 10월 시작으로도 표기됨) |
테디 롱 | 2009년 4월 10일 ~ 2012년 4월 1일 | 2차 재임 |
비키 게레로 | 2011년 1월 21일 ~ 2011년 2월 18일 | 테디 롱 재임 중 임시 GM |
존 로리네이티스 | 2012년 4월 2일 ~ 2012년 6월 17일 | RAW GM 겸임 |
임시 단장 | 2012년 6월 22일 ~ 2012년 7월 20일 | 믹 폴리, 비키 게레로, 테디 롱 (번갈아 담당, RAW 임시 GM 겸임), 잭 라이더 (2012년 7월 13일 하루) 등 |
부커 T | 2012년 8월 3일 ~ 2013년 7월 12일 | 빈스 맥맨이 임명 (원본 소스에는 2012년 8월 시작으로도 표기됨) |
비키 게레로 | 2013년 7월 19일 ~ 2014년 6월 23일 | 2차 재임, 해고 후 GM 공석 및 어쏘리티 실권 장악 |
대니얼 브라이언 | 2016년 7월 19일 ~ 2018년 4월 10일 | 브랜드 분할 후 임명 (원본 소스에는 4월 3일 종료로도 표기됨) |
페이지 | 2018년 4월 10일 ~ 2018년 12월 18일 | GM 제도 폐지로 실권 상실 (원본 소스에는 12월 17일 종료로도 표기됨) |
닉 앨디스 | 2023년 10월 13일 ~ 현재 | 트리플 H가 임명[120] (원본 소스에는 10월 14일 시작으로도 표기됨) |
4. 3. 해설자
2001년 11월 ~ 2002년 3월2001년 8월 ~ 2001년 10월
2002년 3월 ~ 2006년 6월
2015년 4월 16일
2016년 2월 18일
2015년 4월 23일 ~ 2015년 6월 18일
2015년 7월 30일 ~ 2015년 8월 20일
2016년 7월 7일 ~ 2016년 7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