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스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스펠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그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고대 작센어의 단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스펠은 파멸을 상징하며, 라그나로크에서 신들의 적대자로 묘사된다. 무스펠의 군세, 자식들, 남자들이라는 표현으로 불리며, 학자들은 이들의 관계와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무스펠은 지명으로도 사용되며, 불타는 지역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 신화 -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은 그림 형제의 민담으로, 가난한 아이들이 숲에서 마녀를 만나 위기를 겪지만 지혜롭게 극복하고 행복하게 된다는 내용이며, 다양한 판본과 각색으로 존재한다.
  • 게르만 신화 - 베오울프
    《베오울프》는 8~9세기에 쓰여진 고대 영어 서사시로, 5~6세기 스칸디나비아를 배경으로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가 그렌델, 그렌델의 어머니, 용과의 전투를 통해 용기와 필멸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사회의 여러 측면을 반영하며 현대 판타지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 노르드 신화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노르드 신화 - 사가 (문학)
    사가(Saga)는 본래 '이야기'를 뜻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사를 담은 서사시를 지칭하고, 왕의 사가, 주교의 사가, 아이슬란드인의 사가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특히 아이슬란드인의 사가는 문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무스펠

2. 명칭 및 어원

'무스펠(Múspell)'이라는 명칭의 정확한 어원은 불분명하다. 다만, 여러 학자들은 고대 작센어 시 '헬리안트'에 등장하는 '무츠펠레(mûdspelle)' 및 '무츠펠리(mútspelli)', 그리고 9세기 바이에른 방언 시 '무스피리'에 등장하는 'Mûspilli'와의 관련성을 제기한다.[8][12][14]

2. 1. 어원 연구

「무스펠」(múspell)의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여러 학자들은 고대 작센(색슨)어로 쓰인 시 『헬리안트』에 등장하는 무츠펠레(mûdspelle)와 무츠펠리(mútspelli)와의 관련성을 지적하고 있다.[8][12] 고대 노르드어에서는 "무스펠"의 어원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고대 작센어에서 차용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13]

또한, 9세기의 바이에른 방언 시 『무스피리』에도, 제목이 된 "Mûspilli"라는 단어가 등장한다.[12][14]

이러한 유사한 단어들은 모두, 어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인간을 덮치는 파멸을 가리키고 있다. 『헬리안트』에는 "무츠펠의 군세가 인간을 덮친다"고 하며, 『무녀의 예언』에서의 "무스펠의 군세가 바다를 건너온다", 『로키의 말다툼』에서의 "무스펠의 자식들이 숲을 지나 온다면"이라는 표현과 유사성이 있다.[15] 그러나 『헬리안트』에서도 『무스피리』에서도, 그 단어는 불과 결부된 것이 아니다.[16] 『무스피리』의 제50 - 54절에서는 세계가 불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지만, 불타는 것은 무스피리가 오기 전, 엘리야의 피가 지상에 떨어진 것으로 시작된다고 한다(무스피리 참조). 이어서 나오는 제57절에 "무스피리의 면전에서는 가족을 도울 수 없다"고 하며, 무스피리는 심판의 날에 오는, 아마도 그리스도일 것이라고 생각된다.[13]

악셀 올릭은, 무스펠의 군세에 대해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신들의 적대자라는 것이며, 그들은 라그나로크에서의 파괴의 힘을 의인화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6] 또한 올릭은, 세계를 멸망시키는 세력과 무스펠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그 세력은 때로는 무스펠의 "군세(lýðir)"로, 무스펠의 "자식들(synir)"로도 불린다. 더욱이 "무스펠의 남자들"(Múspellz megir)[17]이라는 표현도 있으며, 스노리는 이것을 "자식들(synir)"과 번갈아 사용한다. 올릭은 『로키의 말다툼』 제42절에 등장하는 무스펠의 "자식들(synir)"이라는 표현이, 원래는 "megir"가 아니었을까 추정하고 있다.[18] 노르달은 더 나아가, "megir"가 『헬리안트』 제2591절에 나오는 "무츠펠의 힘"(Múdspelles megin)이라는 단어의 오해에서 생겨난 표현이 아닐까 추측한다.[8]

노르달은 이 "무스펠"이라는 단어가 북유럽에 들어왔을 때, 북유럽 사람들이 라그나로크 날에 덮쳐오는 거인 군단의 아버지로서 무스펠을 이해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무스펠의 이름은 현존하는 다른 시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무스펠의 관념은 일반 사람들에게 공유되는 것은 아니었다.[8]

3. 북유럽 신화에서의 묘사

무스펠은 남쪽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불의 나라에 산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종종 "불꽃 거인"이라고 불린다. 라그나로크에서 신들과의 전투에 나타나지만, 그 이전에는 신들과 인간들 앞에 등장하는 일은 없다.[7]

문헌에 따라 무스펠이 습격해 오는 방향이 남쪽이거나 동쪽으로 나타나는등, 무스펠의 정체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아, 현재에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3. 1. 스노리 에다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 제43장에서는, 가장 거대한 배 "나글파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무스펠이라고 설명되어 있다.[7] 그러나 동 51장에서, 해일 속에 떠오른 나글파르에 무스펠이 타고 있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무스펠의 자식들"이라고 불리는 군세는 하늘을 찢고 나타나, 앞뒤가 불길에 휩싸인 수르트를 선두로 하여, 을 몰아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건너, 그 때문에 다리가 붕괴된다고 한다.

수르트를 선두로 진군하는 무스펠의 군세.


『길피의 속임수』 제51장에서, 비그리드로 진군한 무스펠의 자식들은 독자적인 진형을 취하며, 그것이 눈이 부실 정도라고 묘사되어 있다. 이 『길피의 속임수』에서 "무스펠의 자식들"이 불꽃 거인 수르트와 함께 진군해 온다고 하는 것은, 『무녀의 예언』과 전혀 다른 내용이지만, 시구르드 노르달은, 스노리가 무스펠이 누구인지 몰랐고[8], 앞서 언급한 『로키의 말다툼』의 내용을 증거로 결론지었다고 생각하고 있다.[9]

3. 2. 고 에다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 제42절에서는, 무스펠이 신들의 나라와 무스펠이 사는 "남쪽"의 불의 나라를 가로막는 어두운 숲 뮈르크비드를 지나서 온다고 하며, 수르트와 마찬가지로 프레이와 싸운다고 한다.[7]

같은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에서는, 무스펠은 "1척의 큰 배"를 타고 "동쪽"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그 배의 키는 로키가 잡고 있다.

3. 3. 지명으로서의 무스펠

『타브라카시』 제4장·5장에서는 무스펠이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곳은 화염이 타오르는 뜨겁고 밝은 지역으로, 그 나라에서 태어난 자만이 접근할 수 있으며, 국경에서는 수르트가 경호를 맡고 있다고 설명된다.

다만 제5장에서는 아마도 동일한 장소를 가리키는 '''무스펠스헤임''' ('''무스페르스헤임'''이라고도 함)이라는 이름도 언급되고 있다.[10][11]

4. 무스펠의 정체에 대한 다양한 견해



무스펠의 정체와 역할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묘사가 다르고, 학자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무스펠은 남쪽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불의 나라에 산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종종 "'''불꽃 거인'''"이라고 불린다. 그들은 라그나로크에서 신들과의 전투에 나타나지만, 그 이전에는 신들과 인간들 앞에 등장하는 일은 없다.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 제43장에서는, 가장 거대한 배 "나글파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무스펠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동 51장에서, 해일 속에 떠오른 나글파르에 무스펠이 타고 있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무스펠의 자식들"이라고 불리는 군세는 하늘을 찢고 나타나, 앞뒤가 불길에 휩싸인 수르트를 선두로 하여, 을 몰아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건너, 그 때문에 다리가 붕괴된다고 한다.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 제42절에서는, 무스펠은 신들의 나라와 무스펠이 사는 "남쪽"의 불의 나라를 가로막는 어두운 숲 뮈르크비드를 지나서 온다고 하며, 프레이와 싸운다고 한다.

무녀의 예언』에서는, 무스펠은 "1척의 큰 배"[7]를 타고 "동쪽"에서 나타난다고 하며, 그 배의 키는 로키가 잡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무스펠이 습격해 오는 방향이 문헌에 따라 남쪽이거나 동쪽이거나 하는 점, 그리고 무스펠의 정체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아, 현재에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길피의 속임수』 제51장에서, 비그리드로 진군한 무스펠의 자식들은 독자적인 진형을 취하며, 그것이 눈이 부실 정도라고 묘사되어 있다.

"무스펠"(múspell)의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여러 학자들은 고대 작센(색슨)어로 쓰인 시 『헬리안트』에 등장하는 무츠펠레(mûdspelle)와 무츠펠리(mútspelli)와의 관련성을 지적하고 있다.[8][12] 고대 노르드어에서는 "무스펠"의 어원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고대 작센어에서 차용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13]

9세기의 바이에른 방언 시 『무스피리』에도, 제목이 된 "Mûspilli"라는 단어가 등장한다.[12][14]

이러한 유사한 단어들은 모두 어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인간을 덮치는 파멸을 가리키고 있다. 『헬리안트』에는 "무츠펠의 군세가 인간을 덮친다"고 하며, 『무녀의 예언』에서의 "무스펠의 군세가 바다를 건너온다", 『로키의 말다툼』에서의 "무스펠의 자식들이 숲을 지나 온다면"이라는 표현과 유사성이 있다.[15] 그러나 『헬리안트』와 『무스피리』에서는, 그 단어가 불과 결부된 것이 아니다.[16] 『무스피리』의 제50 - 54절에서는 세계가 불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지만, 불타는 것은 무스피리가 오기 전, 엘리야의 피가 지상에 떨어진 것으로 시작된다고 한다(무스피리 참조). 이어서 나오는 제57절에 "무스피리의 면전에서는 가족을 도울 수 없다"고 하며, 무스피리는 심판의 날에 오는, 아마도 그리스도일 것이라고 생각된다.[13]

4. 1. 악셀 올릭의 견해

악셀 올릭은 무스펠의 군세가 신들의 적대자이며, 라그나로크에서 파괴의 힘을 의인화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6] 그는 세계를 멸망시키는 세력과 무스펠의 관계를 고찰하면서, 그 세력이 때로는 무스펠의 "군세(lýðir)"로, 때로는 무스펠의 "자식들(synir)"로 불린다고 말한다. 또한 "무스펠의 남자들"(Múspellz megir)[17]이라는 표현도 있으며, 스노리는 이것을 "자식들(synir)"과 번갈아 사용한다고 설명한다. 올릭은 『로키의 말다툼』 제42절에 등장하는 무스펠의 "자식들(synir)"이라는 표현이 원래는 "megir"가 아니었을까 추정하고 있다.[18]

4. 2. 시구르드 노르달의 견해

시구르드 노르달은 스노리가 무스펠의 정체를 정확히 몰랐으며, 로키의 말다툼의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추정한다.[8][9] "무스펠"(múspell)이라는 단어가 북유럽에 들어왔을 때, 북유럽 사람들은 라그나로크 때 덮쳐오는 거인 군단의 아버지로 무스펠을 이해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무스펠의 이름은 현존하는 다른 시에는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무스펠의 관념이 일반 사람들에게 공유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8]

참조

[1]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3] 서적 生と死の北欧神話 松柏社 2002
[4] 서적 北欧神話 宇宙論の基礎構造
[5]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997
[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8]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9]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1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1]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12]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13] 논문 ムースピリの思想と構成 1986
[14]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15]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16]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17] 웹사이트 voluspa-51 http://torisugari.wo[...] 2013-10-09
[18]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