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르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불의 거인으로, 라그나로크에서 세상을 불태우는 역할을 한다.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묘사되며, 특히 라그나로크의 예언에서 중요한 존재로 언급된다. 수르트는 무스펠스헤임에서 나와 불꽃 검을 휘두르며 신들과 싸우고 세상을 불태운다. 아이슬란드의 화산 활동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해석이 있으며, 현대 문화에서는 마블 코믹스, 게임,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의 이름을 따거나 모티브로 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괴의 남신 - 앙그라 마이뉴
조로아스터교에서 앙그라 마이뉴는 '파괴적인 정신'이라는 뜻을 가진 절대 악으로, 최고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항하여 재앙을 일으키고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는 존재이다. - 파괴의 남신 - 루드라
루드라는 베다 시대부터 숭배된 인도의 신으로, 리그베다에 초기 언급이 나타나며, '포효하는 자'로 해석되는 무시무시한 모습과 질병 치료 및 풍요를 가져다주는 자비로운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후대에 시바와 동일시되었으며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 요툰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요툰 - 로키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릭스터, 변신자 등의 별칭으로 불리며 신들에게 골칫거리와 도움을 동시에 주는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고, 발드르 살해, 라그나로크에서의 활약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수르트 | |
---|---|
기본 정보 | |
이명 | 수르투르 (Surtr) |
성별 | 남성 |
출신 | 무스펠스헤임 |
거주지 | 무스펠스헤임 |
가족 | 부모에 대한 정보는 없음 |
신화 | 노르드 신화 |
특징 | |
종족 | 요툰 (불의 거인) |
외형 | 불타는 검을 든 거인 |
역할 | 라그나로크에서 세계를 불태우는 존재 |
무기 | 불타는 검 (뢰바테인 추정) |
라그나로크에서의 역할 | |
주요 행적 | 라그나로크 때 불의 군대를 이끌고 아스가르드 침공 헤임달과의 전투 후 동귀어진 |
예언 | 라그나로크 때 불로 세계를 멸망시킬 것으로 예언됨 |
기타 | |
어원 | 검은 (Svartr) 또는 거무스름한 존재 |
관련 개념 | 무스펠스헤임, 라그나로크, 불의 거인 |
2. 어원 및 명칭
3. 출전
3. 1. 고 에다
〈무녀의 예언〉에서 볼바는 오딘에게 라그나로크 때 수르트가 남쪽에서 번쩍거리는 검을 들고 불꽃과 함께 나타나 세상을 불태울 것이라고 예언한다.[52][5]
볼바는 “층암절벽이 갈라지고”, “여자 트롤들이 길을 나선다.” 헬에서 나오는 길에 전사가 발을 디딘다. 그리고 하늘이 “갈라지리라.”고 묘사한다.[53][6] 오딘이 펜리르에게 죽임을 당하고, 수르트는 “벨리를 죽인 자”(= 프레이)와 맞붙어 싸운다고 예언한다.[53] 이어서 나오는 연에서, 여러 신들과 그들의 적들이 라그나로크에서 전투를 벌이는 모습이 묘사되고, 세상은 불꽃에 휩싸이게 되지만, 그 후 바다에서 생명으로 가득 찬 비옥한 새로운 세상이 솟아오르고, 살아남은 신들은 다시 만날 것이다.[6]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 현명한 요툰 바프스루드니르는 오딘에게 “수르트와 앙증맞은 신들이 맞붙게 될 들판을 뭐라고 부르는가?”라고 묻는다. 오딘은 그 ‘운명의 들판’은 비그리드이며, 모든 방향으로 ‘1백 리그’(1 리그는 약 4천 미터) 뻗어있는 들판이라고 대답한다.[54][7] “수르트의 불이 모든 것을 태운 뒤, 신들의 유물을 물려받게 될” 에시르가 누구냐는 오딘의 질문에 바프스루드니르는 “수르트의 불이 꺼지면”, 토르의 아들 모디와 마그니가 토르의 망치 묠니르를 갖게 될 것이라고 한다.[55][8]
〈파프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영웅 시구르드는 드래곤 파프니르에게 수르트와 에시르가 “함께 칼을 섞게 될” 섬의 이름을 묻는다. 파프니르는 그 섬의 이름은 오스코프니르라고 대답한다.[56][9]
〈푤스빈느르가 말하기를〉 제24절에 “Surtur sinn mautu” 또는 “surtur sinn mantu”라는 구절이 있는데, ‘Sinmöru’ 로 교정되어 읽히기도 하는데, 이에 따르면 이 구절은 수르트가 신마라라는 이름의 여성 동반자를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해석된다.[57][58][10][11] 리 홀랜더는 신마라를 수르트의 아내로 잠정적으로 비정하면서, 그녀의 소재는 ‘어딘가 알 수 없는 곳’이라고 한다.[59][12]
3. 2. 신 에다
〈길피의 속임수〉 제4장에서, 옥좌에 앉은 ‘세 번째 분’은 강글레리(변장한 길피 왕)에게 무스펠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60] 세 번째 분은 빛과 불꽃이 가득한 세계인 무스펠은 니플헤임보다 앞서 있으며, 무스펠 출신이 아닌 자는 무스펠을 지나갈 수 없다고 한다. 무스펠의 입구에서는 수르트가 경계를 지키고 있는데, 그는 불꽃의 검을 가졌으며, “말세가 찾아오면 그가 와서 전쟁을 벌이고 모든 신들을 쓰러뜨린 뒤 전 세계를 불태울 것이다.”라고 한다. 〈무녀의 예언〉에서 수르트가 남쪽에서 온다고 했던 절이 인용된다.[60]
제51장에서, ‘높으신 분’은 라그나로크를 묘사하면서, “이 혼란의 도가니 가운데 하늘이 열리고 무스펠의 아들들이 쏟아져 들어올 것이다. 수르트가 말을 타고 앞장을 설 것이며, 그가 가는 곳에는 앞이나 뒤나 불이 타고 있을 것이다. 그의 칼날은 매우 날카롭고 태양보다도 밝은 빛을 발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무스펠의 아들들이 비프로스트 무지개다리를 건너면 무지개다리가 무너질 것이며, 비그리드 들판에서 싸움이 벌어질 것이라고 한다. 늑대 펜리르와 미드가르드뱀도 그 들판에 와 있을 것이며, 로키가 ‘헬의 모든 망자들’을 이끌고, 흐륌을 비롯한 모든 서리 거인들도 와 있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무스펠의 아들들은 자기들끼리 따로 전투 진용을 짜는데, 그 진용이 매우 휘황할 것이다.”[62] 에시르 신족과 마물들 사이에 격렬한 싸움이 벌어지고, 이때 수르트와 프레이가 맞붙어 싸우나 “거친 싸움 끝에 프레이가 쓰러질 것이다.”라고 한다. 프레이가 죽은 이유는 한때 그가 스키르니르에게 ‘명검’을 줘버렸기 때문이라고 한다.[62]
헤임달과 로키가 맞붙어 싸우다 서로를 죽이고 난 뒤, “수르트가 땅 위를 불로 채우고 전 세계를 불태울 것이다.”라고 하며, 〈무녀의 예언〉에 나온 문장들을 인용하고, 멸망 이후의 재생 과정과 풍요로운 신세계, 생존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생존자 중에는 호드미미스 홀트에 숨어 ‘수르트의 불길’을 피한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라는 인간 한 쌍이 있다.[63]
〈시어법〉 말미에서 “수르트의 불이란 불타는 트로이이다.”라는 에우헤메리즘적 해석이 덧붙어 있다.[64] 〈시어법〉 제2장에서 스칼드 시인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의 시가 인용되어 있는데, 여기서 에위빈드는 ‘수르트’라는 이름을 거인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로 사용하고 있다.[65]
4. 신화의 해석
베르타 필포츠는 수르트가 아이슬란드의 분출 활동에서 비롯된 존재이며, 그는 화산의 악마라고 생각했다.[67][20]
루돌프 지메크는 “수르트의 개념은 의심할 여지 없이 오래된 것”이라면서, 수르트가 10세기 스칼드 시가들에 이미 언급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 서쪽의 수르트셸리르라는 화산동굴이 9세기 필사본인 《식민의 서》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그 증거로 들었다.[51][2] 지메크는 노르드어 문헌들에서 요툰들이 대개 동쪽에 산다고 하지만 수르트만은 남쪽에서 온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이것은 “분명히 불과 열에 관련되어 있는 것”이며, “아이슬란드에서 수르트는 지하의 불(화산)의 권능을 부리는 강력한 거인으로 생각되었을 것이 분명”하다고 한다. 그리고 지메크는 신들의 적대자라는 위치의 수르트가 아이슬란드에서 유래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본다.[51] 지메크는 엘드, 에임니르, 로기, 브란딩기 등 불이 의인화된 요툰은 수르트 외에도 많다는 점을 거론한다.[68][19]
앤디 오차드(Andy Orchard)는 〈길피의 속임수〉에서 나타나는 수르트의 묘사가 “아담과 이브가 낙원에서 쫓겨난 뒤 에덴동산을 지키고 있는, 불꽃 검을 든 천사에 대한 성경적이고 교부적인 개념”이 혼합된 것이 아닌가 하는 학설을 제기한다.[69][1] 존 린도우(John Lindow)는 ‘수르트’라는 이름이 수르트의 숯처럼 시커먼 외모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70][21]
수르트를 시 등으로 묘사한 시인은 그곳에서 아이슬란드의 각지에서 보이는 분화 활동에 대한 강한 인상을 반영했을 것이라고 많은 연구자들이 보고 있다. 아이슬란드에 입식하여 처음 화산 폭발을 보았을 때 수르트라는 거인이 상정되었다고도, 또한 입식 이전부터 수르트라는 불의 거인의 리더는 상정되어 있었지만 화산 활동이 지금 알려진 것과 같은 이미지를 그에게 주었다고도 생각된다.[47]
한국의 민속 신앙에서 불은 정화와 소멸,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수르트의 불은 낡은 질서를 불태우고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는 변혁의 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사회 개혁과 진보의 필요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1. 수르트와 무스펠
로렌츠 프뢸리히의 삽화(1895년)에는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프레이르가 전투를 벌이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 학자 루돌프 시메크는 "수르트의 개념은 의심할 여지 없이 오래되었다"고 주장하며, 10세기의 스칼드 에위빈드르 스칼다스필리르와 할프레드르 반드레다스칼드의 작품, ''고 에다''에 수집된 시에서 수르트가 언급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2] 또한 서부 아이슬란드의 화산 동굴 수르트셸리르의 이름이 토지개척의 서is 필사본에 이미 기록되었다는 점도 예시로 들었다.[2] 시메크는 요툰이 보통 고대 노르드 자료에서 동쪽에 산다고 묘사되지만, 수르트는 남쪽에서 왔다고 묘사되는데, 이는 "분명히 불과 열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2] 그는 "아이슬란드에서 수르트는 지하 세계의 (화산) 불의 힘을 지배하는 강력한 거인으로 여겨졌음이 분명하다"고 말하며, 수르트가 신들의 적으로 여겨지는 개념은 아이슬란드에서 시작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2] 시메크는 수르트를 요툰인 엘드, 에임니르, 로기, 브란딩기와 비교하며, 이들이 모두 불의 인격화인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9]수리, 즉 태양, 화산 불, 지하 세계의 에트루리아 신과 관련성이 제안되었으며,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학자 베르타 필포츠는 수르트의 형상이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그는 화산 악마라고 주장했다.[20] 학자 앤디 오차드는 ''길피의 속임수''에 나오는 수르트에 대한 묘사가 "불타는 검을 든 천사가 아담과 하와를 낙원에서 쫓아내고 에덴 동산을 지키는 것에 대한 성경적이고 교부적인 개념에 어느 정도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1] 학자 존 린도는 ''수르트''라는 이름이 수르트의 검게 그을린 외모를 암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21]
리처드 콜은 스노리의 무스펠의 아들들에 대한 묘사와 붉은 유대인 모티프를 비교한다. 콜은 "스노리 에다는 ''볼루스파''보다 붉은 유대인 모티프에 더 가깝다"고 적으며, 스노리의 에다 속 서술과 붉은 유대인 모티프 사이의 많은 유사점을 지적하는데, 이는 산문 에다가 볼루스파와 다르다.[22]
라그나로크 때 신들과 싸우는 군세에는 "무스펠의 아이들"이라고 불리는 무리가 포함된다.
〈길피의 속임수〉 제51장에는 하늘을 찢으며 말을 몰고 나타나는 무스펠의 아이들 선두에 앞뒤가 불길에 휩싸인 수르트가 있다고 한다.[45] 그러나 〈무녀의 예언〉에서는 무스펠이 불의 신 로키가 키를 잡는 나글파르의 배를 타고 동쪽에서 쳐들어온다고 묘사되며, 남쪽에서 온다고 묘사되는 수르트와는 별도로 행동하는 것처럼 보인다.[39] 무스펠의 이름은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 제42절에도 나타난다. 프레이가 뮈르크비즈(아스가르드와 무스펠의 나라를 가르는 숲)을 넘어 나타나는 무스펠의 아이들과 싸운다는 내용이 나오지만, 이 부분에는 수르트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46]
4. 2. 수르트와 레바테인
학자 루돌프 시메크는 수르트가 10세기의 스칼드 에위빈드르 스칼다스필리르와 할프레드르 반드레다스칼드의 작품, ''고 에다''에 수집된 시에서 언급되었으며, 서부 아이슬란드의 화산 동굴 수르트셸리르의 이름이 토지개척의 서is 필사본에 이미 기록되었다는 점을 들어 "수르트의 개념은 의심할 여지 없이 오래되었다"고 주장한다.[2] 수르트는 남쪽에서 왔다고 묘사되는데, 이는 "분명히 불과 열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시메크는 지적한다.[2] 시메크는 수르트가 지하 세계의 (화산) 불의 힘을 지배하는 강력한 거인으로 여겨졌다고 말하며, 엘드, 에임니르, 로기, 브란딩기와 같이 불의 인격화로 보인다고 언급했다.[2][19]베르타 필포츠는 수르트의 형상이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에서 영감을 받은 화산 악마라고 주장했다.[20] 앤디 오차드는 ''길피의 속임수''에 나오는 수르트에 대한 묘사가 "불타는 검을 든 천사가 아담과 하와를 낙원에서 쫓아내고 에덴 동산을 지키는 것에 대한 성경적이고 교부적인 개념에 어느 정도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본다.[1] 존 린도는 ''수르트''라는 이름이 수르트의 검게 그을린 외모를 암시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21]
《고 에다》의 스비프다그의 노래(Svipdagsmál)의 후반부를 구성하는 푤스비즈의 말에 등장하는 검 "레바테인"은 수르트의 불꽃 검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이 노래에는 수르트의 아내로 여겨지는 '''신모라'''(Sinmara)의 이름도 나온다. 신모라는 9개의 열쇠로 잠긴 '''레갸르른'''(Lægjarn) 상자에 보관된 레바테인을 맡고 있다고 한다.
5. 현대 문화에서의 수르트
아이슬란드의 화산섬 쉬르트세이섬(Surtsey)과 화산동굴 수르트셸리르는 수르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1] 토성의 위성인 수르트와 목성의 위성 이오에 있는 화산 수르트도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51]
존 찰스 돌맨이 그린 〈불의 검을 든 거인〉은 무스펠의 경계를 지키는 수르트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다.[51]
마블 코믹스의 《토르》 시리즈에는 수르트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29] 수르트는 2017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토르: 라그나로크》에 정식으로 등장하기 전에 애니메이션 영화 《토르: 아스가르드의 전설》의 뒷이야기에 중요한 인물이었다.[30]
스웨덴의 데스메탈 밴드 아몬 아마스의 8집 음반 제목은 《Surtur Rising》이며, 콜롬비아의 파워메탈 밴드 Legends도 2013년 1집 음반 《De la tierra a la luz》에 "Surt"라는 트랙을 넣었다.
2019년 국제천문연맹은 NameExoWorlds 2019 캠페인의 결과로 별 HAT-P-29와 그 행성인 목성 크기의 행성 HAT-P-29b에 각각 무스펠헤임과 수르트라는 이름을 붙였다.[27][28]
모바일 비디오 게임 《명일방주》의 여성 오퍼레이터는 이 거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게임에서 가장 강력한 유닛 중 하나로 여겨진다.[31]
6. 한국과의 관련성 (별도 목차)
6. 1. 한국 신화/민속과의 비교
6. 2. 한국 문화 속 수용
북유럽 신화 자체가 대중문화에서 널리 차용되면서 수르트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임, 영화, 소설 등에서 수르트 또는 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나 설정을 찾아볼 수 있다.[29][30][31]마블 코믹스에서는 캐릭터로 각색되었으며, 1963년 10월 《미스터리로의 여행》 #97에 처음 등장했다.[29]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토르: 라그나로크》에 정식으로 등장하기 전에 애니메이션 영화 《토르: 아스가르드의 전설》의 뒷이야기에 중요한 인물이었다.[30]
모바일 비디오 게임 《명일방주》의 여성 오퍼레이터는 이 거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게임에서 가장 강력한 유닛 중 하나로 여겨진다.[31]
토성의 위성인 수르트와 목성의 위성 이오에 있는 화산인 수르트 모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9년 국제천문연맹은 NameExoWorlds 2019 캠페인의 결과로 별 HAT-P-29와 그 행성인 목성 크기의 행성 HAT-P-29b에 각각 무스펠헤임과 수르트라는 이름을 붙였다.[27][28]
참조
[1]
문서
Orchard
1997
[2]
문서
Simek
2007
[3]
서적
The Norse Myths: Stories of The Norse Gods and Heroes Vividly Retold
https://books.google[...]
Quercus
2018
[4]
서적
The Mythology Book
DK
[5]
문서
Dronke
1997
[6]
문서
Dronke
1997
[7]
문서
Larrington
1999
[8]
문서
Larrington
1997
[9]
문서
Larrington
1997
[10]
문서
An Edition of Svipdagsmál
1991
[11]
문서
Bellows
2004
[12]
문서
Poetic Edda
1962
[13]
문서
Faulkes
1995
[14]
문서
Faulkes
1995
[15]
문서
Faulkes
1995
[16]
문서
Faulkes
1995
[17]
문서
Faulkes
1995
[18]
문서
Faulkes
1995
[19]
문서
Simek
2007
[20]
문서
Phillpotts
1905
[21]
문서
Lindow
1997
[22]
간행물
Snorri and the Jews
https://chs.harvard.[...]
Center for Hellenic Studies - Harvard University
2020-04-27
[23]
간행물
Ritual responses to catastrophic volcanism in viking age Iceland: Reconsidering Surtshellir cave through Bayesian analyses of AMS dates, tephrochronology, and texts
2021-02-01
[24]
간행물
"Rannsókn á minjum í Surtshelli"
http://www.thjodminj[...]
Þjóðminjasafn Íslands / The National Museum of Iceland
[25]
웹사이트
Outlaws of Surtshellir cave: The underground economy of viking age Iceland
https://www.research[...]
2021-07-29
[26]
웹사이트
Surtshellir: A fortified outlaw cave in west Iceland
https://www.research[...]
2021-07-29
[27]
웹사이트
Denmark names new planet after Norse fire giant Surt
https://www.thelocal[...]
The Local
2019-12-17
[28]
웹사이트
2019 Approved Names
https://www.nameexow[...]
2019-12-17
[29]
서적
The Encyclopedia of Supervillains
Facts on File
1987
[30]
웹사이트
How Thor Defeated Surtur So Easily (But Couldn't Beat Hela)
https://screenrant.c[...]
2020-09-25
[31]
웹사이트
Surtr
https://gamepress.gg[...]
GamePress
[32]
문서
Orchard
1997
[33]
문서
Simek
2007
[34]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5]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1]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4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3]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4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7]
서적
『宇宙論の基礎構造』
[48]
서적
『北欧神話の世界』
[49]
서적
『宇宙論の基礎構造』
[50]
서적
1997
[51]
서적
2007
[52]
서적
1997
[53]
서적
1997
[54]
서적
1999
[55]
서적
1997
[56]
서적
1997
[57]
서적
An Edition of Svipdagsmál
1991
[58]
서적
2004
[59]
서적
Poetic Edda
1962
[60]
서적
1995
[61]
서적
1995
[62]
서적
1995
[63]
서적
1995
[64]
서적
1995
[65]
서적
1995
[66]
서적
1995
[67]
서적
1905
[68]
서적
2007
[69]
서적
1997
[70]
서적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