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스가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거처이다. "신"을 뜻하는 'Áss'와 "울타리"를 의미하는 'garðr'의 합성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표기로 불린다. 《고 에다》와 《산문 에다》 등에서 묘사되며, 신들의 만남의 장소인 이다볼르, 오딘의 궁전인 글라스헤임, 여신들의 궁전인 빈골브 등이 위치해 있다. 아스가르드는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지상과 연결되며, 헤임달이 문지기 역할을 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아스가르드를 트로이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아스가르드는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영화, 만화,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세계 - 타르타로스
    타르타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카오스, 가이아에 이어 세 번째로 태어난 원시 신이자 명계보다 더 깊은 심연으로, 우라노스와 크로노스가 위험한 존재들을 가두는 데 사용했고, 후에는 제우스가 티탄 신족을 유폐시키고 죄를 지은 신과 인간들이 벌을 받는 장소로 여겨지며, 플라톤의 묘사와 로마 신화, 헬레니즘 유대교 문헌, 신약성서에도 유사한 개념이 등장한다.
  • 별세계 - 마그 멜
    마그 멜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낙원으로, 바다 너머에 위치하며 신적 존재나 특별한 영웅만이 방문할 수 있는 즐거움의 섬이다.
  • 천국 - 옥황상제
    옥황상제는 도교의 최고신으로 하늘을 다스리고 천상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으로서 선행을 쌓아 신이 된 존재로 숭배받고, 음력 1월 9일에 탄생을 기념하는 제사가 지내진다.
  • 천국 - 아르카디아 (이상향)
    아르카디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목축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스들과 아르카디아 동맹이 있었으며, 이상향, 목가적 낙원, 이상적 전원을 의미하는 유토피아의 대명사로 여겨진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가르다리키
    가르다리키는 12세기 아이슬란드 사가에 등장한 단어로, 스칸디나비아인들이 노브고로드 루스 지역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으며, "가르다르의 왕국" 또는 "가르다르의 제국"을 의미한다.
아스가르드
기본 정보
아스가르드의 위치
아스가르드
위치이드의 평원, 글라드셰임
거주자아스 신족, 그들의 배우자
특징
주요 장소발홀
빌스케르니르
브레이다블리크
글라드셰임
힘민요르드
폴크방
노아트ুন
소크바크
트룸헤임
발라스크얄프
이달스볼르
기타 특징신성한 장소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임
비프로스트 (무지개 다리)를 통해 미드가르드와 연결됨
신화적 중요성
역할신들의 고향
인간 세계에 대한 보호
질서와 정의의 중심
라그나로크파괴되지만, 새로운 세계로 재건됨
문화적 영향
대중 문화다양한 영화, 소설, 게임 등에 등장

2. 어원

단어 "Ásgarðr"는 합성어로, āss|"신"non과 garðr|"울타리"non로 구성된다.[1] 가능한 영어식 표기에는 Ásgarthr, Ásgard, Ásegard, Ásgardr, Asgardr, Ásgarth, Asgarth, Esageard, 그리고 Ásgardhr가 있다.[2]

3. 신화 속 묘사

아스가르드는 거인과 그의 말 스바딜파리에 의해 벽이 세워졌다.[2] 지상에서 아스가르드로 가려면 무지개 다리인 비프로스트를 건너야 하며,[2] 비프로스트 옆에는 아스가르드의 문지기 헤임달이 있다.[3]

아스가르드 중앙에는 이발르 평원이 있는데, 아스 신족은 중요한 문제나 회의가 있을 때 그곳에 모인다. 남성 신들의 궁전은 글라스헤임, 여성 신들의 궁전은 빈골브라고 불린다.[2] 신들은 매일 비프로스트를 건너 유그드라실 아래에 사는 울즈를 만난다.[4]

《스노리의 에다》 제1부 《길파기닝》에서는 스비디오즈의 왕 길비가 아스 신족의 마법과 지식의 비밀을 알기 위해 아스가르드를 방문한다.[5]

3. 1. 《고 에다》

히미르의 노래에서 토르티르에기르와 신들을 위한 연회에 쓸 만큼 큰 솥을 구하기 위해 아스가르드에서 히미르의 궁전으로 여행할 때 아스가르드가 언급된다.[1][2][3][4] 토르의 망치 도난에서는 로키가 토르에게 망치를 되찾기 위해 프레이야로 변장하도록 설득하려 할 때, 망치 없이는 거인들이 곧 아스가르드에 살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부분에서 아스가르드가 언급된다.[3][5]

그림니스말에는 알브하임, 노아툰, 발할라 등 신들의 여러 거처가 우주론적 묘사와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아스가르드에 있다고 파악한다. 그러나 시 전체에서 아스가르드는 언급되지 않는다.[6][7] 볼루스파는 아시르 신들의 가장 일반적인 만남의 장소 중 하나인 이다볼르를 언급하는데, 길파기닝에서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이를 아스가르드 중앙에 위치시킨다.[8][9]

3. 2. 《산문 에다》

《산문 에다》에 따르면, 아스가르드는 들이 지구를 만들고 바다로 둘러싼 후 세계 중앙에 건설한 도시이다. 신들은 이미르의 두개골로 하늘을 만들고, 그의 눈썹으로 미드가르드를 형성했다.[1] 아스가르드는 트로이와 동일시된다.[1]

아스가르드 건설에 대한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와 번역 비교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6]아서 길크리스트 브로듀어 번역[1]



아스가르드가 건설된 후, 신들은 도시 중앙 이다볼르에 글라드헤임르라는 신전을 건설하고, 오딘을 위한 높은 자리와 다른 신들을 위한 열두 개의 자리를 마련했다.[1] 또한 여신들을 위한 빙골프를 건설했다.[1] 라그나로크 이후, 발리발드르와 같은 일부 신들은 아스가르드가 있던 이다볼르에서 다시 만나 에시르가 소유했던 금으로 된 체스 말을 발견한다.[1]

이름 없는 요툰이 그의 말 스바딜파리와 함께 신들에게 3년 안에 요새를 짓는 대가로 프레이야와의 결혼, 태양과 달을 요구했다. 신들은 1년 안에 완료하는 조건으로 동의했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건축가는 제시간에 완성하지 못하고 토르에게 죽임을 당한다.[1] 이 요새는 일반적으로 아스가르드로 여겨진다.[7]

길파기닝에서 중심적인 우주적 나무인 유그드라실은 세 개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에시르에게 이어지는데, 이는 아스가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8][9] 비프로스트 다리는 하늘에서 지구로 뻗어 있으며, 에시르는 매일 이 다리를 건너 우르드르의 우물에서 회의를 연다. 따라서 비프로스트는 아스가르드로 가는 다리로 해석된다.[10]

《스칼드스카팔말》에서 아스가르드는 아시르의 고향으로 언급되며, 발할라를 포함한 여러 장소가 아스가르드 안에 있다고 묘사된다. 또한 토르의 별칭으로 '아스가르드의 수호자'(verjandi Ásgarðsnon)가 기록되어 있다.

아스가르드를 둘러싼 벽은 거인과 그의 말 스바딜파리에 의해 세워졌다. 지상에서 아스가르드로 가려면 무지개 다리인 비프로스트를 건너야 한다.[2] 비프로스트 옆에는 아스가르드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 헤임달이 있다.[3] 아스가르드 중앙에는 이발르 평원이 있으며, 아스 신족은 중요한 문제나 회의가 있을 때 그곳에 모인다.[2] 남성 신들의 궁전은 글라스헤임, 여성 신들의 궁전은 빈골브라고 불린다.[2] 신들은 또한 매일 비프로스트를 건너 울즈를 만난다.[4] 《스노리의 에다》 제1부 《길파기닝》에서는, 스비디오즈의 왕 길비가 아스 신족의 마법과 지식의 비밀을 알기 위해 아스가르드를 방문한다.[5]

3. 3. 《윙글링가 사가》

스노리 스투르루손이 저술한 『잉글링족의 사가』에 따르면, 과거 타나크비스르(타나크비스르라고도 함[6]) 또는 바나크비스르라고 불렸던 곳이 스노리 시대에는 타나이스라고 불렸으며, 흑해로 흘러드는 강(현재의 돈강[7])이 있었다. 이 강으로 나뉜 지역의 동쪽은 아시아, 서쪽은 에우로파 또는 에네르, 흑해의 북쪽은 대스비오스 또는 한랭스비오스(스웨덴)라고 불렸다. 이 아시아, 타나크비스르 동쪽 지역에 아스가르드 또는 아스헤임이라고 불리는 나라가 있었으며, 그 수도가 아스가르드였다고 한다.[8] 이후 아스 사람들은 타나이스 강 지류 사이에 있던 바나헤임 또는 바나랜드를 침략하였고, 전쟁이 시작되었다.[9]

항쟁은 오래 지속되었고, 마침내 화의를 맺게 되었으며, 양국은 서로 인질을 교환하였다. 아스헤임에서는 헤니르, 미미르를 상대방에게 보냈다고 한다.[10]

4. 해석 및 논쟁

고대 북유럽 신화의 우주론은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모호하고 종종 모순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아스가르드를 세계 중심에 위치시키고, 그 주위를 미드가르드가, 그리고 그 너머에는 요툰(jötnar)이 사는 땅이 둘러싸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바다가 모든 것을 감싸고 있다고 기술한다. 그는 또한 신들의 거처를 하늘에 위치시킨다. 이로 인해 아스가르드 또는 유그드라실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시스템, 때로는 하늘을 향해 위로 뻗어나가는 수직 축을 가진 시스템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신들이 하늘에 산다고 생각했는지 여부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 일부는 스노리의 견해에 동의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그가 때때로 기독교적 틀에서 체계를 제시하며 이러한 구조는 에다시집이나 스깔딕 시가에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공간적 우주론적 모델을 만들려는 개념 자체는 구전 전통이 내부적으로 지리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자연주의적이고 구조화된 체계를 형성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대안적인 제안은 세계를 일반적으로 통과할 수 없는 통로로 연결된 여러 영역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스가르드가 인간의 영역의 동쪽과 서쪽, 바다 위와 비프로스트 위에 모두 위치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아스가르드를 트로이와 연결하려는 경향은 더 넓은 유럽 문화 관행의 일부로, 이는 자신의 문화에 대한 트로이 기원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먼저 ''아이네이스''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며 제프리 가우먼의 ''Historia regum Britanniae''에서도 영국의 건국에 대한 내용으로 등장한다.[1]

5. 대중문화 속 묘사

아스가르드와 발할라는 대중문화에서 여러 차례 묘사되었다.

5. 1. 영화

1989년 코미디 영화 《에릭 바이킹》(Erik the Viking)에서 아스가르드(Asgard)는 고원 지대에 위치한 발할라 궁전(Halls of Valhalla)이 지배하는 얼어붙은 황무지로 묘사된다. 이 영화에서 아사 신족(Æsir)은 버릇없는 아이들로 묘사된다.[1]

5. 2. 만화

토르는 1962년 8월에 발행된 만화 시리즈 ''미스터리 여정'' #83호에서 마블 유니버스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그는 로키, 오딘과 함께 만화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토르와 로키는 2011년 영화 ''토르''에서 처음으로 함께 등장한다. 그 후 토르는 ''어벤저스'' 시리즈를 포함한 여러 영화에 등장하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주요 캐릭터가 되었다. 아스가르드는 영화 ''토르: 라그나로크''에서 고대 노르드 신화에 따라 파괴되는 것으로 묘사되며, 이는 영화의 중심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소들과 다른 노르드 신화 요소들은 마블 유니버스를 기반으로 한 비디오 게임, TV 시리즈, 책에도 등장하지만, 역사적 자료를 면밀히 따르지는 않는다.

5. 3. 비디오 게임

2018년작 북유럽 신화를 배경으로 한 게임 갓 오브 워의 후속작인 비디오 게임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서 탐험 가능한 영역이다.[1]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는 아스가르드가 "환영 퀘스트"의 일부로 등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Erik the Viking (1989) https://www.rottento[...] 2024-01-09
[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6] 서적 北欧の神話
[7] 문서 정확에는 돈강이 흘러드는 것은, 흑해와 해협으로 이어진 내해의 아조프해.
[8]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9]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10]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 北欧王朝史 - (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