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극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극겸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조선 태조의 7대 외조부이다. 문공유의 장남으로, 일찍부터 글재주를 보였으며,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의종 때 문과에 급제했다. 좌정언으로 있으면서 왕의 총애를 받던 내시의 비행을 비판했다가 좌천되기도 했으나, 이후 복관되어 벼슬이 올랐다. 무신정변 이후 이의방의 추천으로 우승선, 어사중승을 거쳐 무신정권의 자문역을 맡았으며, 용호군대장군과 상장군을 겸임했다. 1187년 권판상서이부사에 이르렀으며, 직언을 서슴지 않아 명성을 얻었다. 재상이 된 후에는 최세보와 함께 《의종실록》을 편찬했으며, 사후 청백리로 칭송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2년 출생 - 후지와라노 히데히라
후지와라노 히데히라는 12세기 오슈 후지와라 씨의 3대 당주로, 17만 기병을 거느리고 겐지의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를 보호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대립하다가 사후 그의 유해가 미라 형태로 주손지 곤지키도에 안치되었다. - 1122년 출생 - 금 해릉양왕
금 해릉양왕은 금나라의 황제로, 희종을 시해하고 황위를 찬탈하여 한족 문화 장려, 수도 이전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폭정과 남송 정벌 실패로 민심을 잃고 살해당해 황제의 지위를 박탈당했다. - 고려의 문벌귀족 - 윤관
고려 시대 윤관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무신이자 정치가로, 숙종 대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여진 정벌을 주도하여 동북 9성을 축조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실각한 후 그의 묘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고려의 문벌귀족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려의 대장군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대장군 - 김취려
김취려는 고려 시대 음관 출신 무신으로, 거란족 침입 격퇴와 반란 평정 등의 공을 세워 판병부사 시중에 이르렀고 고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청렴결백하고 뛰어난 계략으로 전공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극겸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문극겸 |
한자 표기 | 文克謙 |
로마자 표기 | Mun Geukgyeom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un Kŭkkyŏm |
예일 표기 | Mwun Kukkyem |
2. 생애
문극겸은 문공유의 장남이자 조선 태조의 7대 외조부로, 일찍부터 글재주가 뛰어났다. 큰아버지 문공인의 문음 혜택으로 관직에 나갔으나, 여러 번 과거에 낙방했다. 의종 때 문과에 급제, 좌정언으로 재직 중 왕의 총애를 받던 내시 백선연 등의 비리를 비판하다 좌천되었으나, 이후 복직되었다.
1170년 정중부 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으로 명종이 즉위하고 많은 문신들이 처벌받았지만, 문극겸은 이의방의 인척이었던 덕분에 살아남았다. 그는 이의방과의 친분을 이용하여 이공승 등 많은 문신들을 구했다. 명종 즉위 후, 이의방의 추천으로 우승선, 어사중승을 거쳐 무신정권의 자문역을 맡았다. 이후 용호군대장군을 겸임하였고, 재상이 된 후에도 상장군을 겸임하였다.
1187년, 권판상서이부사에 올랐으며, 직언을 서슴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다. 최세보와 함께 <의종실록>을 편찬하였다.
2. 1. 초기 생애
문공유의 장남이며, 조선 태조의 7대 외조부이다.문극겸은 일찍부터 글을 잘 지었다. 큰아버지 문공인이 고관 대작이라서 그의 문음의 혜택으로 산정도감판관이 된 뒤 여러 번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낙방했다. 그 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좌정언으로 있을 때 의종의 총애를 받던 내시 백선연 등의 잘못을 비판하는 상소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좌천되었다.
그 후 의종은 문극겸의 상소가 정당한 것임을 알고 복관시킨 뒤, 벼슬을 올려주었다.
2. 2. 정치 활동
문극겸은 일찍부터 글을 잘 지었다. 큰아버지 문공인이 고관 대작이라서 그의 문음 혜택으로 산정도감판관(刪定都監判官)이 된 뒤 여러 번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낙방했다. 그 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좌정언(左正言)으로 있을 때 의종의 총애를 받던 내시 백선연 등의 잘못을 비판하는 상소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좌천되었다.[1]그 후 의종은 문극겸의 상소가 정당한 것임을 알고 복관시킨 뒤 벼슬을 올려주었다. 1170년 정중부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잡아 명종을 왕위에 앉히고 문신들을 마구 처벌하였는데, 그는 이의방의 인척인 점으로 무사히 살아났으며, 이의방과 가까운 점을 활용하여 이때 이공승 등 많은 문신들을 구해 주었다.[1] 명종 즉위 후 이의방의 추천으로 우승선(右承宣)·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고 무신정권의 자문역으로 무신들에 대하여 고사(故事)의 자문에 응하였다. 그 뒤 용호군대장군(龍虎軍大將軍)을 겸하였고 재상이 된 뒤에도 상장군을 겸임하였다.[1]
1187년 권판상서이부사(權判尙書吏部事)에 이르렀다. 직언을 서슴지 않기로 유명하였다. 재상이 된 후 상장군을 겸임하여 최세보와 함께 <의종실록>을 편찬하였다.[1]
그는 두 딸이 무신 정변의 주역 이의방의 동생인 이린에게 시집갔다. 그러나 이의방과 친하지도 않았고, 무인들에게 아부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린의 장인인 덕에 무신 정변 이후에도 목숨을 유지할 수 있었다.[1]
3. 사후
청백리로 칭송받았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문익(文翼) |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
아버지 | 문공유(文公裕, 1088년 ~ 1159년) |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형부상서(刑部尙書)·검교태자태보(檢校太子大保) |
외조부 | 한안인(韓安仁, ? ~ 1122년)[1] |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문열공(文烈公) |
어머니 | 단주 한씨(湍州韓氏) | |
부인 |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이시민(李時敏)의 딸[1] | |
장남 | 문후식(文侯軾, ? ~ ? ) | 대부경, 도병마사 |
차남 | 문유필(文惟弼, ? ~ 1228년) | 참지정사(叅知政事)·판예부사(判禮部事) |
첫째 사위 | 임부(任溥)[1] | 증 이부상서(吏部尙書) 한림학사(翰林學士) |
둘째 사위 | 차거수(車擧首)[1] | 직사관(直史館) |
셋째 사위 | 문득려(文得呂, ? ~ 1196년)[1] | 상장군(上將軍) |
넷째 사위 | 이린(李璘) | 내시집주(內侍執奏), 태조 이성계의 6대조 |
다섯째 사위 | 이거(李琚) | 이의방의 동생 |
5. 평가
문극겸은 처음에는 숙부의 음서로 관직에 나아갔으나,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간관이 되었다. 의종 측근의 비행을 탄핵하여 지방관으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나, 의종은 문극겸의 정당성을 인정하여 복직시켰다.[1] 정중부 등의 쿠데타로 무신정권이 수립된 후에는 이의방의 추천으로 우승선에 발탁되었고, 중요한 정책을 논의하는 중방에 참여하기 위해 상장군(정3품)의 무관직을 겸임하기도 했다.[1] 1187년에는 권판상서이부사에 올랐으며, 저서로는 "의종실록"이 있다.[1]
6. 기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KBS 드라마 무인시대에서 김종결이 문극겸 역을 연기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