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18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87년은 주요 사건으로 5월 크레송 샘 전투에서 살라딘이 템플 기사단과 성 요한 기사단 연합군을 격파하고, 7월 핫틴 전투에서 예루살렘 왕국 군대를 궤멸시키면서 예루살렘이 살라딘에게 함락된 해이다. 이로 인해 예루살렘 왕국은 티르에서 재건을 시도했으며, 발칸 반도 북부에서는 봉기가 격화되어 제2 불가리아 제국이 건국되었고, 가즈나 왕조가 멸망했다. 중동에서는 살라딘의 공세로 십자군 국가들이 위기에 처했으며, 유럽에서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제2 불가리아 제국이 건국되었으며, 스웨덴에서는 해안 약탈과 대주교 살해가 발생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겐노경이 히라이즈미로 도망쳤고, 송 고종이 사망했으며, 여러 인물이 탄생하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187년
지도 정보
연도
그레고리력1187년
로마 숫자MCLXXXVII
간지정미년 (丁未年)
일본분지 3년 (文治三年)
황기1847년
이슬람력582년 ~ 583년
에티오피아력1179년 ~ 1180년
히브리력4947년 ~ 4948년
주요 사건
사건살라딘, 하틴 전투에서 십자군을 격파 (7월 4일)
살라딘, 예루살렘을 함락 (10월 2일)
탄생
탄생아르튀르 1세, 브르타뉴 공작 (1203년 사망)
페르디난트 3세, 카스티야 왕국의 왕 (1252년 사망)
그레고리우스 9세, 교황 (1241년 사망)
사망
사망이삭 2세 앙겔로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 (1156년 출생)
레이몽 3세, 트리폴리 백작 (1140년 출생)
무아마드 2세, 셀주크 제국의 술탄 (1161년 출생)
게오르게 3세, 조지아 왕국의 왕 (1154년 출생)

2. 주요 사건

2. 1. 중동 및 십자군 전쟁

핫틴 전투에서 살라딘이 이끄는 아이유브 왕조 군대는 예루살렘 왕국의 십자군을 크게 무찔렀다.[9] 이 승리로 살라딘은 예루살렘을 포함한 여러 십자군 도시를 점령할 수 있었다.[10]

  • 핫틴 전투 (7월 4일): 기 드 루지냥이 이끄는 십자군(약 20,000명)은 핫틴의 뿔에서 살라딘에게 대패했다. 기 드 루지냥은 레몽 드 샤티용 등 많은 귀족, 기사들과 함께 포로로 잡혔고, 레몽 드 샤티용은 살라딘에게 처형되었다.[9]
  • 예루살렘 함락 (9월 20일 ~ 10월 2일): 발리앙 드 이벨랭이 이끄는 십자군이 항복하면서, 살라딘은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살라딘은 비교적 평화롭게 도시를 점령했고, 무슬림과 기독교인들이 재산을 가지고 도시를 떠나는 것을 허락했다.[10]
  • 제3차 십자군 준비:
  • 10월, 티레 대주교 요시아스가 로마에 도착하여 교황청에 살라딘이 핫틴 전투에서 기독교인들을 학살한 참사를 알렸다.
  • 그레고리오 8세는 교황령 ''Audita tremendi''를 발표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구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 협상했다.(10월 29일)[10]

2. 2. 동아시아

2. 3. 유럽


  • 봄 - 비잔티움 제국 황제 이사악 2세 앙겔로스는 알렉시오스 브라나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파견하여 아센과 페테르의 봉기를 진압하려 했다. 그러나 알렉시오스는 이사악 2세에게 반기를 들고 아드리아노플(에디르네)에서 황제로 선포되었다. 그는 군대를 모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려 했으나, 도시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황제의 매제인 콘라트 몬페라토가 이끄는 황실군에게 패배하여 참수당했다.[1]
  • 로베치 공성전: 이사악 2세가 이끄는 비잔티움군은 불가리아 중북부의 요새 도시 로베치를 포위했다. 3개월간의 공성전 끝에 이사악 2세는 페테르 2세와 이반 아센 1세의 공동 통치를 차르로 인정하는 휴전을 받아들였다. 이로써 제2 불가리아 제국(~1396년)이 건국되었다.
  • 여름 - 시구투나 약탈: 카렐리아인 함대가 멜라렌호에 진입하여 해안을 약탈하고, 시구투나를 불태우고 스웨덴 알마레슈테케트에서 우프살라 대주교 요하네스를 살해했다.[12]
  • 제노바 공화국피사 공화국으로부터 코르시카의 보니파시오를 탈취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8세는 두 국가 간의 불화를 해결하여 성지로의 물품 수송을 촉진했다.[13]
  • 11월 - 잉글랜드헨리 2세의 아들인 푸아티에의 리처드 (사자심왕)가 무슬림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십자군에 참여할 것을 서약했다. 그는 이 임무를 위해 자신의 재정을 쏟아붓고, 스코틀랜드윌리엄 1세와 거래를 맺어 현금을 대가로 스코틀랜드 왕국에 대한 완전한 봉건적 자치권을 부여했다.
  • 발칸 반도 북부에서 봉기가 격화되어 제2 불가리아 제국이 건국되었다.

3. 인물

=== 탄생 ===

소스에서 주어진 탄생 인물 중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히 기술된 인물은 제외하고, 나머지 인물들만 간략하게 나열한다.



=== 사망 ===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된 사망자는 제외하고, 나머지 인물만 간략하게 나열한다.

  • 3월 23일 (문치 3년 2월 12일) - 평신범(平信範),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공경
  • 4월 26일 (문치 3년 3월 16일) - 후지와라 나리노리(藤原成範),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4월 27일 (문치 3년 3월 17일) - 후지와라 유키타카(藤原行隆),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의 공가
  • 12월 2일 (문치 3년 11월 1일) - 후지와라 이에미치(藤原家通), 헤이안 시대・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3. 1. 탄생


  • 2월 23일 - 페드로 1세, 우르젤 백국 백작 (1258년 사망)
  • 3월 29일 - 아르튀르 1세, 브르타뉴 공국 공작 (1203년 사망)[1]
  • 7월 29일 - 이븐 아비 알담(Ibn Abi'l-Dam), 시리아 역사가이자 판사 (1244년 사망)[2]
  • 9월 5일 - 루이 8세, 프랑스 국왕 (1226년 사망)[3]
  • 엘라 오브 솔즈베리, 솔즈베리 백작 3대 백작 부인 (1261년 사망)[4]
  • 곤살부스 드 아마란테, 포르투갈 사제 (1259년 사망)[5]
  • 하산 3세,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 통치자 (1221년 사망)[6]
  • 이븐 아들란(Ibn 'Adlan), 아유브 왕조의 암호학자(암호학자)이자 시인 (1268년 사망)[7]
  • 고가 미치테루(Koga Michiteru), 일본 귀족이자 시인 (1248년 사망)[8]
  • 유커장(Liu Kezhuang), 중국 시인이자 문학 비평가 (1269년 사망)[9]
  • 피에르 1세, 브르타뉴 공작이자 섭정 (1250년 사망)[10]
  • 블라디미르 4세, 키예프 대공국 대공 (1239년 사망)[11]
  • 콘라트 1세, 마조프셰 공작, 크라쿠프 공작 (1247년 사망)[12]
  • 성신, 정토진종승려 (1275년 사망)[13]
  • 니타 마사요시, 고케닌 (1257년 사망)[14]
  • 야베 젠니, 호조 야스토키의 전처 (1256년 사망)[15]

3. 2. 사망

4. 연호 및 기년

지역왕조연호단기
조선고려명종 17년3520년
중국남송순희 14년
대정 27년
서하건우 18년
중국 주변서요천희 10년?
지역연호신무 천황 즉위 기원
일본문치 3년황기 1847년
지역왕조연호
베트남리조천자가서 2년

4. 1. 동아시아

구 প্রয়ότε내용
조선
중국
중국 주변서요 천희 10년?
일본


  • 간지 : 정미
  • 후백하 법황, 동대사(교왕호국사)의 수리를 하리마 국에 명령하다.
  • 겐의경, 아타카세키를 통과하다.
  • 겐의경, 히라이즈미로 도망치다.
  • 겐의경, 후지와라 히데히라의 보호 아래 들어가다.
  • 류큐에서, 슌텐 즉위(전설상).

4. 2. 기타


연호신무 천황 즉위 기원
문치 3년황기 1847년


  • 중국

왕조연호
남송순희 14년
대정 27년
서하건우 18년


  • 중국 주변

왕조연호
서요천희 10년


  • 조선

왕조연호단기
고려명종 17년3520년


  • 베트남

왕조연호
리조천자가서 2년


  • 불멸기원 : 1729년 - 1730년
  • 이슬람력 : 582년 - 583년
  • 유대력 : 4947년 - 4948년

참조

[1]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ē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3] 서적 Hattin 1187, Saladin's Greatest Victory Osprey
[4] 서적 Hattin 1187, Saladin's Greatest Victory Osprey
[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6] 서적 Hattin 1187, Saladin's Greatest Victory Osprey
[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8] 서적 Hattin 1187, Saladin's Greatest Victory Osprey
[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0] 서적 Crusading Warfare, 1097–119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Third Crusade 1191: Richard the Lionheart, Saladin and the struggle for Jerusalem Osprey
[12] 웹사이트 Sigtuna hukkumine http://haridus.opleh[...] Haridus
[13] 서적 Héros corses du Moyen Age Albiana
[14]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VIIIe-XIIIe sièc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5] 학술지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inancial R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