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70년은 고려 명종 즉위, 무신정변 발발, 1170년 시리아 지진, 헨리 2세의 아들 공동 왕 책봉, 토머스 베켓 암살 등이 일어난 해이다. 고려에서는 정중부, 이의방 등이 무신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고, 이로 인해 무신 정권 시대가 시작되었다. 살라딘은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했으나 가자 요새 점령에는 실패했다.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2세가 아들 젊은 헨리를 공동 왕으로 책봉했고, 토머스 베켓이 암살당했다. 또한, 체다 치즈 생산이 기록된 가장 이른 시기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70년 | |
---|---|
1170년 | |
로마 숫자 | MCLXX |
이전 년도 | 1169년 |
다음 년도 | 1171년 |
이전 10년 | 1160년대 |
다음 10년 | 1180년대 |
이전 100년 | 11세기 |
다음 100년 | 13세기 |
주요 사건 | |
연도 | 1170년 |
사건 |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토머스 베켓이 암살당함. |
2. 연호
고려는 의종 24년이자 명종 원년이다. 남송은 건도(乾道) 6년, 금은 대정(大定) 10년, 일본은 가오(가오/嘉応일본어) 2년, 서하는 건우(乾祐) 원년, 리 왕조는 찐롱바오응(正隆寶應) 8년이다.
10월 11일 - 고려에서 정중부, 이의방 등의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문신들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했다.(무신정변)[7] 이 사건으로 고려 의종은 왕위에서 쫓겨나 거제도로 유배되었으며, 그의 동생인 익양공 호가 3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명종이 되었다.[7] 고려 조정에서 궁궐 호위병들이 문신들을 학살하고 명종을 고려 왕조의 새로운 통치자로 옹립하면서, 이후 100년에 걸친 무신 정권 시대가 시작되었다.[7]
3. 사건
살라딘이 이끄는 이집트 군대가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하여 다룸을 지중해 해안에서 포위했다.[1] 방어가 허술했고, 살라딘에게 공성 무기가 없었지만 함락은 임박한 것으로 보였다. 예루살렘의 아말리크 1세는 가자 시를 방어하기 위해 성전 기사단 수비대를 가자에서 철수시켰다. 살라딘은 포위를 풀고 가자로 진격하여 하부 도시를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지만, 요새는 살라딘에게 너무 강력하여 중세 이집트로 후퇴해야 했다.[1] 살라딘은 아카바 만으로 이집트 함대를 보내 만의 머리에 있는 아일라의 십자군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2]
6월 29일 - 1170년 시리아 지진: 시리아를 강타한 대규모 지진 중 하나이다. 이는 1138년 알레포 지진을 시작으로 사해 단층을 따라 남쪽으로 전파된 일련의 대규모 지진 중 하나로, 1157년 하마, 1170년 지진과 1202년 지진으로 이어진다.[7]
알모라비드 왕조가 쇠퇴하고 알모하드 왕조가 이베리아 반도의 통제권을 획득했다.[4] 잉글랜드의 헨리 2세는 아키텐에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프랑스의 루이 7세와 헨리 2세는 샤르트르에서 만났다.[4]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를 점령했다.[4]
6월 14일, 잉글랜드 왕 헨리 2세는 아들 젊은 헨리를 공동 왕이자 왕위 계승자로 책봉했다.[4] 윌리엄 마샬 경은 젊은 헨리의 무술 교관으로 임명된다. 7월 22일, 헨리 2세와 토머스 베켓은 프랑스 프레테발에서 만나 갈등 해결에 합의했다.[4] 11월, 토머스 베켓은 세 명의 주교를 파문했다.[3] 12월 1일, 토머스 베켓은 잉글랜드 왕국으로 귀환했다.[4] 12월 29일, 토머스 베켓은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헨리 2세의 기사들에게 암살당했다.[4]
이 해는 체다 치즈 생산이 기록된 가장 이른 시기로, 헨리 2세의 파이프 롤에 따르면 1파운드당 파딩에 10,240파운드의 체다 치즈를 구매했다.
후지와라노 히데히라가 진수부 장군이 된다.[7]
일본에서 덴가 조아이 사건이 발생한다.[7]
샹파뉴 백작 앙리 1세가 사망하고, 샹파뉴 백국은 그의 아들 앙리 2세가 계승한다.
3. 1. 고려
10월 11일 - 고려에서 정중부, 이의방 등의 무신들이 난을 일으켜 문신들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했다.(무신정변)[7] 이 사건으로 고려 의종은 왕위에서 쫓겨나 거제도로 유배되었으며, 그의 동생인 익양공 호가 39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명종이 되었다.[7] 고려 조정에서 궁궐 호위병들이 문신들을 학살하고 명종을 고려 왕조의 새로운 통치자로 옹립하면서, 이후 100년에 걸친 무신 정권 시대가 시작되었다.[7]
3. 2. 아시아
3. 3. 서아시아
살라딘이 이끄는 이집트 군대가 예루살렘 왕국을 침공하여 다룸을 지중해 해안에서 포위했다.[1] 방어가 허술했고, 살라딘에게 공성 무기가 없었지만 함락은 임박한 것으로 보였다. 예루살렘의 아말리크 1세는 가자 시를 방어하기 위해 성전 기사단 수비대를 가자에서 철수시켰다. 살라딘은 포위를 풀고 가자로 진격하여 하부 도시를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지만, 요새는 살라딘에게 너무 강력하여 중세 이집트로 후퇴해야 했다.[1] 살라딘은 아카바 만으로 이집트 함대를 보내 만의 머리에 있는 아일라의 십자군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2]
6월 29일 - 1170년 시리아 지진: 시리아를 강타한 대규모 지진 중 하나이다. 이는 1138년 알레포 지진을 시작으로 사해 단층을 따라 남쪽으로 전파된 일련의 대규모 지진 중 하나로, 1157년 하마, 1170년 지진과 1202년 지진으로 이어진다.[7]
3. 4. 유럽
알모라비드 왕조가 쇠퇴하고 알모하드 왕조가 이베리아 반도의 통제권을 획득했다.[4] 잉글랜드의 헨리 2세는 아키텐에서 군사 원정을 시작했다. 프랑스의 루이 7세와 헨리 2세는 샤르트르에서 만났다.[4] 베네치아 공화국은 달마티아를 점령했다.[4]
6월 14일, 잉글랜드 왕 헨리 2세는 아들 젊은 헨리를 공동 왕이자 왕위 계승자로 책봉했다.[4] 윌리엄 마샬 경은 젊은 헨리의 무술 교관으로 임명된다. 7월 22일, 헨리 2세와 토머스 베켓은 프랑스 프레테발에서 만나 갈등 해결에 합의했다.[4] 11월, 토머스 베켓은 세 명의 주교를 파문했다.[3] 12월 1일, 토머스 베켓은 잉글랜드 왕국으로 귀환했다.[4] 12월 29일, 토머스 베켓은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헨리 2세의 기사들에게 암살당했다.[4]
이 해는 체다 치즈 생산이 기록된 가장 이른 시기로, 헨리 2세의 파이프 롤에 따르면 1파운드당 파딩에 10,240파운드의 체다 치즈를 구매했다.
4. 탄생
- 4월 5일 - 이자벨 드 에노, 프랑스 왕국의 왕 필리프 2세의 첫 번째 왕비 (+ 1190년)
- 5월 9일 - 발데마르 2세('정복왕'), 덴마크의 국왕 (+ 1241년)
- 8월 8일 - 도미니코, 도미니코 수도회 창설자 (+ 1221년)
- 10월 8일 - 블라디미르 3세 이고레비치, 키예프 공 (+ 1211년)
- 아그네스 1세, 뇌베르의 백작 부인, 오세르와 토네르의 백작 (+ 1192년)
- 알-다크와르, 아이유브 왕조 의사이자 의무관 (+ 1230년)
- 아모리 1세, 프랑스 귀족 (크라옹 가문) (+ 1226년)
- 아스카이 마사츠네, 일본 와카 시인 및 작가 (+ 1221)
- 아초 6세 데스테 (또는 '''아초리노'''), 이탈리아 귀족 (+ 1212년)
- 바하우딘 자카리야, 구르 왕조 학자이자 시인 (+ 1262년)
- 에라르 드 브리엔-라메루, 프랑스 귀족 (+ 1246년)
- 에르망가르드 드 보몽, 스코틀랜드의 왕비 (+ 1233년)
- 외스타스 수도사, 프랑스 용병 및 해적 (+ 1217년)
- 프란카 비살타, 이탈리아 수녀이자 수녀원장 (대략적인 날짜)
- 플라인의 게르하르트 1세 (또는 '''플레옌'''), 독일 주교 (+ 1232년)
- 조반니 콜론나 ('''젊은이'''), 이탈리아 추기경 (+ 1245년)
- 헨리 보르빈 2세 (또는 '''부르위'''), 독일 귀족 (+ 1226)
- 허버트 드 버그, 잉글랜드 치안 판사 (대략적인 날짜)
- 존 1세 (또는 '''존 1세'''), 예루살렘의 왕 (+ 1237년)
- 피사의 레오나르도, 이탈리아 수학자 (대략적인 날짜)
- 로페 디아스 2세, 카스티야 귀족 (하로 가문) (+ 1236년)
- 마엘그운 압 리스, 데헤우바르트의 웨일스 공 (+ 1230)
- 부유의 마틸다, 브라반트의 공작부인 (대략적인 날짜)
- 미나모토노 이에나가, 일본 귀족이자 시인 (+ 1234년)
- 무칼리 (또는 '''무칼라이'''), 몽골 군사 지도자 (+ 1223년)
- 퐁스 다르타파, 카탈루냐 귀족이자 트루바두르 (+ 1246)
- 라눌프 드 블론데빌, 잉글랜드 귀족이자 섭정 (+ 1232)
- 리처드 드 퍼시, 잉글랜드 귀족 (대략적인 날짜)
- 로드리고 히메네스 데 라다, 나바라 주교 (+ 1247년)
- 로저 드 레이시, 잉글랜드 귀족이자 십자군 (+ 1211)
- 사이어 드 퀸시, 초대 윈체스터 백작 (대략적인 날짜)
- 비텔스바흐의 소피아, 독일 귀족 (+ 1238년)
- 테오데리히 2세 폰 비트, 독일 대주교 (+ 1242년)
-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독일 서정 시인 (+ 1230)
- 양종, 서하의 중국 황제 (+ 1211)
- 자오루쿼, 중국 역사가이자 정치가 (+ 1231년)
- 타이라노 키요무네, 헤이안 시대의 무장 (+ 1185년)
- 이도전, 남송의 유학자 (+ 1217년)
5. 사망
- 고려의 환관 왕광취.
- 1월 22일 - 왕충양, 중국 철학자이자 전진교 창시자.
- 4월 23일 - 미나모토노 타메토모, 일본 헤이안 시대의 무사.
- 5월 6일 - 로페 디아스 1세 데 아로, 카스티야 귀족.
- 5월 21일 - 핀치알의 고드릭, 잉글랜드 은자이자 상인.
- 7월 25일 - 레지날드 2세 드 바르, 프랑스 귀족.
- 8월 19일 - 므스티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키예프 대공국 대공.
- 9월 6일 - 쿠트브 알딘 마우두드, 모술의 자그왕조 통치자.
- 9월 14일 - 렝겐펠트의 하일리카, 독일 여백작.
- 11월 18일 - 알베르트 1세 ('''곰'''), 독일 귀족이자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 11월 20일 - 마이센의 게룽, 독일 주교.
- 11월 28일 - 오와인 구위네드, 웨일스의 구위네드의 군주.
- 12월 20일 - 알-무스탄지드, 아바스 칼리프.
- 12월 29일 - 토마스 베켓, 잉글랜드 대주교.
- 아부 하미드 알-가르나티, 안달루시아 여행가.
- 아인딜라스 우아 클룸하인, 아일랜드 수석 시인이자 작가.
- 크리스티나 뷔에른스도터, 스웨덴 여왕.
- 엘리에제르 벤 나단, 독일 랍비이자 시인.
- 발켄부르크의 게를라흐, 네덜란드 은자.
- 곤살루 멘데스 다 마이아, 포르투갈 기사.
- 하웰 압 오와인 기네드, 기네드 왕.
- 이븐 자파르 알-시킬리, 아랍-시칠리아 정치인.
- 요셉 김히, 스페인 랍비이자 시인.
- 로버트 피츠하딩, 잉글랜드 귀족.
- 루벤 2세, 아르메니아 왕자.
- 지쇼우 먀오종, 중국 선종 고승.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3]
서적
Henry II
[4]
서적
Thomas Becket
Weidenfeld & Nicolson
[5]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Irelan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Largest Cities Through History
https://web.archive.[...]
2006-03-01
[7]
학술지
The 12th century seismic paroxysm in the Middle East: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earth-pri[...]
Istituto Nazionale Geofisica e Vulcanologia
[8]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9]
서적
Sweden: The Nation's Histor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