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스티슬라프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스티슬라프 3세는 로만 로스티슬라비치의 아들로, 1212년부터 1223년까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그는 프스코프, 스몰렌스크, 벨고로드키옙스키, 갈리치아 등 여러 공국의 공작을 거쳤다. 1221년 헝가리 군대를 격퇴했으나, 1223년 몽골 제국의 칼카 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질식사하는 방식으로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우크라이나 사람 - 파니 카플란
    파니 카플란은 1918년 블라디미르 레닌 암살을 시도한 러시아 혁명가이며, 1906년 테러 음모 연루로 투옥되었고, 레닌에게 총격을 가한 후 처형되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블라디미르 4세
    블라디미르 4세는 13세기 초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으로, 1223년 므스티슬라프 3세 사후 대공이 되어 갈리치 공국 분쟁에 관여하다 1239년 몽골 제국 침공 때 사망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로스티슬라프 2세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의 아들인 로스티슬라프 2세는 여러 지역을 소유하고 장인의 지원을 받아 키예프 대공에 올랐으나, 귀족들의 저항과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정치적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갈리치에서 추방당했다.
  • 1223년 사망 - 필리프 2세
    필리프 2세는 프랑스 카페 왕조의 왕으로, 왕권 강화, 영토 확장, 파리 정비, 문화 부흥에 기여하여 '존엄왕' 칭호를 얻었다.
  • 1223년 사망 - 무칼리
    무칼리는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초 몽골 제국에서 활약한 장군으로, 자무카 휘하에서 칭기즈 칸에게 귀순하여 그의 사준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금나라 공략에 큰 공을 세워 '국왕' 칭호를 받았고 그의 후손들은 원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므스티슬라프 3세
기본 정보
군주 칭호키예프 대공
이름 (러시아어)Мстислав Романович
이름 (우크라이나어)Мстислав Романович
생애
출생1156년/1162년
사망1223년 6월 2일
재위 기간
재위 시작1214년
재위 종료1223년
가문
왕가류리크 가문
왕조류리크 왕조
아버지로만 로스티슬라비치
어머니노브고로드-세베르스키 공 스뱌토슬라프의 딸

2. 생애

므스티슬라프 3세는 키예프 대공을 역임하기 전, 프스코프 공화국, 스몰렌스크 공국, 벨고로드키옙스키, 갈리치아 등 여러 공국을 통치했다. 1214년 사촌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노브고로드 공이 되면서 므스티슬라프 3세를 키예프 대공으로 삼았다.[4]

1221년 키예프 대공국을 침공한 헝가리 군대를 물리쳤다.[1] 그러나 1223년 징기스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 군대와의 칼카 강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몽골군에게 생포되어 질식사하는 방식으로 처형되었다.[1]

칼카 강 전투에 앞서, 몽골군의 첫 침공 정보가 전해지자 므스티슬라프 3세는 키예프에서 몽골군에 대항하는 제후 회의를 주선했다. 그러나 정작 전투에서는 강변 요새화를 게을리하여 3일 만에 몽골군의 침략을 허용했고, 제후 연합군은 패배했다. 므스티슬라프 3세는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4]

2. 1. 초기 생애 및 가계

므스티슬라프 3세는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을 역임하기 이전에는 프스코프 공화국 공작(1179년 ~ ?), 스몰렌스크 공국 공작(1197년 ~ ?), 벨고로드키옙스키(Belgorod Kievsky) 공작(1206년?), 갈리치아 공작(? - ?)을 역임했다.

1176년 로스토베츠에서 숙부 류리크, 형 야로폴크와 함께 폴로베츠족과의 전투(로스토베츠 전투)에 참가하여 패배했는데, 이것이 므스티슬라프가 정치 무대에 등장한 첫 번째 기록이다.[3]

1178년 아버지에 의해 므스티슬라프 로스티슬라비치와 다투던 비테프스크 공세슬라프 바실코비치의 원군으로 파견되어 노브고로드에서 므스티슬라프 로스티슬라비치의 주도권을 차단하고 분쟁을 수습했다.[4]

1185년 호롤 강에서 폴로베츠족과의 전투에 참가하여 전투를 종결시켰다.[5]

1195년 체르니고프의 오레그 가문 제후들이 비테프스크 원정군을 조직하고 도중에 스몰렌스크 지역을 파괴하기 시작했다. 므스티슬라프는 숙부 스몰렌스크 공 다비드의 명에 따라 요격에 나섰으나, 전투는 초반에 우세했으나 폴로츠크 공국 군에게 배후를 공격당해 포로가 되었다. (루스 내전 (1195년 - 1196년)) 1197년에는 숙부 다비드의 죽음으로 스몰렌스크 공이 되었다.

2. 2. 여러 공국 통치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을 역임하기 이전에는 프스코프 공화국 공작(1179년 ~ ?), 스몰렌스크 공국 공작(1197년 ~ ?), 벨고로드키옙스키(Belgorod Kievsky) 공작(1206년?), 갈리치아 공작(? - ?)을 역임했다.

1176년 로스토베츠에서 숙부 류리크, 형 야로폴크와 함께 폴로베츠족과의 전투(로스토베츠 전투)에 참가하여 패배했는데, 이것이 므스티슬라프가 정치 무대에 등장한 첫 번째 기록이다.[3]

1178년 아버지에 의해 므스티슬라프 로스티슬라비치와 다투던 비테프스크 공 세슬라프 바실코비치의 원군으로 파견되어 노브고로드에서 므스티슬라프 로스티슬라비치의 주도권을 차단하고 분쟁을 수습했다.[3]

1185년 호롤 강에서 폴로베츠족과의 전투에 참가하여 전투를 종결시켰다.[3]

1195년 체르니고프의 오레그 가문 제후들이 비테프스크 원정군을 조직하고 도중에 스몰렌스크 지역을 파괴하기 시작했다. 므스티슬라프는 숙부 스몰렌스크 공 다비드의 명에 따라 요격에 나섰으나, 전투는 초반에 우세했으나 폴로츠크 공국 군에게 배후를 공격당해 포로가 되었다. (루스 내전 (1195년 - 1196년))[3] 1197년에는 숙부 다비드의 죽음으로 스몰렌스크 공이 되었다.[3]

1214년 사촌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노브고로드 공이 되었고, 므스티슬라프를 키예프 대공으로 삼았다.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다음 해 여름까지 가르치에 기반을 구축했다.[3]

2. 3. 키예프 대공 즉위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을 역임하기 이전에는 프스코프 공화국 공작(1179년 ~ ?), 스몰렌스크 공국 공작(1197년 ~ ?), 벨고로드키옙스키(Belgorod Kievsky) 공작(1206년?), 갈리치아 공작(? - ?)을 역임했다.

1214년, 사촌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노브고로드 공이 되면서 므스티슬라프 3세를 키예프 대공으로 삼았다.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다음 해 여름까지 가르치에 기반을 구축했다.[4]

1221년에는 키예프 대공국을 침공한 헝가리 군대를 물리쳤다.[1] 1223년 징기스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 군대와의 칼카 강 전투에서 대패하여 몽골 제국 군대에게 생포되어 질식사시키는 방식으로 처형되었다.[1]

2. 4. 헝가리 격퇴 및 몽골과의 전투

1221년 헝가리 군대를 격퇴하고,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징기스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 군대에 크게 패하였다.[4] 몽골군에 생포되어 질식사 방식으로 처형되었는데, 잭 웨더포드의 ''칭기스 칸, 그리고 현대 세계의 탄생''에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4]

> … (전략) … 몽골인들은 세 사람을 고위 귀족에 걸맞게 펠트 양탄자로 감싸고, 게르의 마룻바닥 아래에 집어넣어 몽골인들이 위층 바닥에서 밤새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는 동안 천천히, 그러나 피를 흘리지 않고 그들을 짓눌렀다. 몽골인들에게는 대사를 죽인 것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러시아인들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고, 몽골 지도자들이 부당하게 죽은 몽골인의 복수를 위해 항상 기꺼이 어디까지 갈 것인지를 자신의 부하들에게 재확인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했다.

노브고로드 연대기에 따르면 몽골과 싸우기 위해 파견된 대규모 러시아 군대 중 "열 명 중 한 명만이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한다.[4] 이는 7세기 전 훈족의 유럽 공격 이후 처음으로 아시아 군대가 유럽을 침략하여 주요 군대를 완전히 전멸시킨 사건이다.[4]

1223년, 몽골군의 첫 침공 정보가 전해지자 므스티슬라프는 키예프에서 몽골군에 대항하는 제후 회의를 주선했다. 그러나 정작 칼카 강 전투에서는 강변 요새화를 게을리하여 3일 만에 몽골군의 침략을 허용했고, 제후 연합군은 패배했다. 므스티슬라프는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4]

2. 5. 칼카 강 전투의 배경과 결과

1223년 징기스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 군대와의 칼카 강 전투에서 므스티슬라프 3세는 대패하고 몽골군에게 생포되어 질식사하는 방식으로 처형되었다.[4]

1223년, 몽골 제국 군의 첫 번째 침공 정보가 전해지자 므스티슬라프 3세는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와 함께 키예프에서 몽골군에 대항하는 제후들과의 회의를 주선했다. 그러나 칼카 강 전투에서 강변 요새화를 게을리하여 3일 만에 침략을 허용했고, 제후들의 연합군은 패배했다. 므스티슬라프 3세는 포로로 잡혔고, 몽골군은 그와 그의 두 사위를 펠트 양탄자로 감싼 뒤 게르의 마룻바닥 아래에 집어넣었다. 몽골인들이 위층 바닥에서 밤새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는 동안 이들은 천천히 질식사했다.[4]

노브고로드 연대기에 따르면 몽골과 싸우기 위해 파견된 대규모 러시아 군대 중 "열 명 중 한 명만이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7세기 전 훈족의 유럽 공격 이후 처음으로 아시아 군대가 유럽을 침략하여 주요 군대를 완전히 전멸시킨 사건이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들스뱌토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노브고로드 공(1218년 - 1219년), 폴로츠크 공(1222년 - 1232년), 스몰렌스크 공(1232년 - 1239년)
아들이쟈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5]갈리치 공블라디미르 이고레비치의 아들로도 불림
아들브세볼로트 므스티슬라비치노브고로드 공(1219년 - 1221년), 스몰렌스크 공(1239년 - 1249년)
아들로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스몰렌스크 공므스티슬라프 다비도비치의 아들로도 불림
아가피야 므스티슬라브나1195년에 노브고로드 공 콘스탄틴 블라디미로비치와 결혼
이름 불명투로프 공 안드레이 이바노비치와 결혼


참조

[1] 서적 "Русская земля." https://books.google[...] Издательство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1951
[2] 서적 Княжеские владения на Руси в X-первой половине XIII в https://books.google[...] Изд-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77
[3] 서적 Кризис средневековой Руси: 1200-1304 https://books.google[...] Прогресс 1989
[4]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rown 2005-03-22
[5] 웹사이트 Л.Войтович http://litopys.or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