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23년은 여러 국가의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음력 5월 22일 왜구가 김해 지방을 침입한 사건이 발생했다. 몽골 제국은 수부타이와 제베의 지휘 아래 폴로베츠족을 격파하고, 루스 공국 연합군과 칼카강 전투를 벌였다. 주요 인물로는 맘루크 왕조의 바이바르스, 비잔티움 제국의 미카엘 8세가 태어났으며, 프랑스의 필리프 2세,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223년 | |
---|---|
1223년 | |
달력 | |
주요 사건 | 칼카 강 전투: 몽골 제국이 키예프 루스 연합군을 격파하다. |
탄생 | 미카엘 8세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2세 마리 드 브리엔 라틴 제국의 황후 |
사망 | 필리프 2세, 프랑스의 왕 조지 4세, 조지아 왕국의 왕 |
2. 연호
- 일본
- * 조오( 貞応jpn ) 2년
- * 황기 1883년
- 중국
- * 남송(南宋) : 가정(嘉定) 16년
- * 금(金) : 원광(元光) 2년
- * 대진국(大眞國) : 천태(天泰) 9년
- 중국 주변
- * 서하(西夏) : 광정(光定) 13년, 건정(乾定) 원년 (음력 12월 ~ )
- * 몽골 제국(蒙古帝國) : 태조(칭기스 칸) 18년
- * 대리국(大理國) : 천개(天開) 19년
- 조선
- * 고려(高麗) : 고종(高宗) 10년
- * 단기 3556년
- 베트남
- * 이조(李朝) : 건가(建嘉) 13년
- 불멸기원 : 1765년 ~ 1766년
- 이슬람력 : 619년 ~ 620년
- 유대력 : 4983년 ~ 4984년
3. 기년
4. 주요 사건
- 몽골 제국은 수부타이와 제베의 지휘 아래 서방 원정을 계속하여 칼카 강 전투에서 루스-쿠만 연합군을 대파했으나[13][27], 이후 사마라 벤드 전투에서는 볼가 불가르에게 패배했다.[28]
- 고양원이 방화로 소실되었다.
- 종용록이 성립되었다.
4. 1. 한국
음력 5월 22일, 왜구가 김해 지방에 침입하였다. 이는 왜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4. 2. 몽골 제국
- 1월 18일, 12월 28일의 실패 이후, 몽골 장군 무칼리가 중국의 요새인 펑샹(鳳翔)을 두 번째로 공격했으나 실패했다.[4]
- 2월 6일 – 칭기즈 칸의 명령을 받은 무칼리는 펑샹을 점령하기 위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도를 했지만 다시 실패했다.[4]
- 봄 – 테레크강 저지대에 폴로베츠 군대가 집결하고 알란족, 체르케스족, 돈 키프차크/쿠만 군대가 합류했다. 수부타이와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은 코카서스 산맥을 넘었으나 좁은 산길에 갇혔다. 몽골 장군들은 폴로베츠족에게 사절단을 보내 코카서스 민족과의 동맹을 깨도록 설득했다. 이후 몽골 기병대는 코카서스 지역을 침략하여 현지 마을을 파괴하고 노예, 소, 말을 약탈했다.[22]
- 몽골군은 폴로베츠 영토를 침략하여 돈강 근처에서 벌어진 대규모 전투에서 폴로베츠족을 격파했다. 여러 폴로베츠 지도자가 사망했고, 살아남은 이들은 서쪽으로 도망쳐 드네프르강을 건너 여러 루스 공국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드네프르강 동쪽 대초원은 몽골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수부타이와 제베는 볼가강 유역에 아스트라한을 건설했다. 수부타이는 군대를 나누어 남쪽 크림반도로 이동했고, 제베는 드네프르강으로 향했다.[23]
- 몽골군은 형식적으로 제노바의 무역 전초기지였던 수다크를 점령했는데, 이는 크림반도의 베네치아 전초기지의 묵인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수부타이는 베네치아를 제외한 이 지역의 모든 식민지를 파괴하겠다고 약속했고, 그 대가로 베네치아인들은 수부타이에게 동유럽 왕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한편, 쿠만/키프차크 족장인 코텐은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의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 공작을 설득하여 몽골에 맞서 싸우기 위한 동맹을 맺도록 요청했다.[24]
- 2월 – 몽골의 위협에 대응하여 키예프에서 루스 공국들의 회의가 소집되었다. 여러 공작들은 코텐 칸의 설득에 따라 몽골군을 몰아내기 위해 연합군을 소집하기로 결정했다.[24]
- 3월 전반부 – 루스 공작들은 각자의 공국으로 돌아가 다가올 군사 작전을 위한 병력 모집을 시작했다. 연합군은 주로 기병대로 구성된 약 6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수부타이는 제베와 군대를 통합하고, 키예프 루스 공작들에게 이 분쟁에 관여하지 말라는 메시지와 함께 사절을 보냈다.[24]
- 4월 – 루스 공작들은 각기 다른 지역에서 군대를 이끌고 나와 키예프에서 60km 떨어진 강가에 집결했다. 작전에 참여하는 공작들은 세 주요 그룹으로 나뉘었다. 키예프 대공 므스티슬라프 3세가 이끄는 키예프군, 체르니히우와 스몰렌스크 군대를 지휘하는 므스티슬라프 2세 공작, 그리고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와 그의 사위 갈리치아의 다니엘이 이끄는 갈리치아-볼히니아 군대였다.[25]
- 몽골 지도자 수부타이와 제베는 조치가 카스피해 북쪽에서 주둔 중이며, 질병 또는 아버지 칭기즈 칸의 명령 거부로 인해 예상했던 증원군을 보낼 수 없다는 소식을 받았다. 수부타이는 루스 공작들에게 다시 사절단을 보내 평화를 제안하며 루스와 폴로베츠의 동맹을 깨뜨리려 시도했다. 그러나 몽골 사절들은 코텐 칸 추종자들에 의해 4월 말경 처형되었다.[25]
- 4월 말 – 루스군과 폴로베츠군은 드네프르강 서쪽 강둑을 따라 행진을 시작했다. 며칠 후, 두 번째 몽골 사절단이 루스 진영에 나타나 다시 평화를 제안했지만 거부당했고, 이번에는 사절단이 무사히 돌아가도록 허락되었다. 한편, 갈리치아에서 온 루스군은 흑해 해안을 따라 드네프르강을 거슬러 올라왔고, 몽골군은 동쪽 강둑에서 이들을 감시했다.[24]
- 5월 말 – 수부타이와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은 칼카강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루스 공작들 사이에서는 몽골군을 더 깊숙이 추격하는 것에 대한 의견 차이가 커졌다. 5월 말, 연합군은 칼카강 강둑에 도착했다. 폴로베츠 전위대는 본대보다 훨씬 앞서 나아가며 승리감에 도취되었다. 한편, 수부타이와 제베는 루스군을 유인하기 위한 함정을 준비했다.[26]
- 6월 – 칼카강 전투에서 루스-폴로베츠 연합군은 몽골군에게 참패했다.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남은 병력과 함께 드네프르강으로 도주했다. 키예프 대공 므스티슬라프 3세는 항복했으나 처형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그와 다른 루스 귀족들은 몽골 사절을 살해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묶인 채 나무 판자 아래 깔려 몽골 장수들이 위에서 벌이는 연회 중에 천천히 질식사하는 방식으로 처형되었다.[27]
- 사마라 벤드 전투: 볼가 불가리아의 가브둘라 첼비르가 이끄는 군대가 수부타이, 제베, 조치가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몽골군을 격파했다. 불가르군은 전투 중 후퇴하는 척하며 몽골군을 유인한 뒤 매복 공격으로 승리했다. 패배한 수부타이와 제베는 사라이 (훗날 골든 호드의 수도) 근처로 군대를 후퇴시켰다.[28]
- 가을 – 조치, 수부타이,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은 캉글 투르크(동부 키프차크족)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그들의 통치자를 살해했다.[29]
- 겨울 – 몽골군은 유라시아 대초원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제베는 에밀강 근처에서 열병으로 갑자기 사망했는데, 독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9]
4. 3. 동아시아 (한국, 몽골 제외)
지역 | 국가/왕조 | 연호 |
---|---|---|
일본 | 일본 | 조오 2년 황기 1883년 |
중국 | 남송 | 가정 16년 |
금 | 원광 2년 | |
대진국 | 천태 9년 | |
중국 주변 | 서하 | 광정 13년, 건정 원년 (음력 12월부터) |
대리국 | 천개 19년 | |
베트남 | 이조 | 건가 13년 |
4. 4. 유럽
- 4월 13일 – 교황 호노리우스 3세는 바리스콜리아 수도회 수도사들에게 적용되던 엄격한 규칙을 완화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한다.[7]
- 5월 7일 – 슈베린 백작 하인리히 1세가 군인들과 함께 리외 섬에 상륙하여 덴마크 국왕 발데마르 2세와 그의 아들 발데마르 젊은 공을 납치한다. 발데마르 2세는 3년간 억류되었다가 1226년 부활절에 44,000 실버 마르크를 지불하고 20년 전 홀슈타인에서 빼앗은 영토를 반환한 후에야 풀려난다.[9]
- 5월 15일 – 러시아 군대가 현대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인근 드네프르강 하류의 호르티차 섬에 집결한다. 폴로브치아인(쿠만인)의 주요 군대도 이곳에 합류한다. 이에 맞서 약 20,000명에서 25,000명으로 추정되는 몽골군은 콘카 강 근처 모힐라 벨마크 언덕 북쪽 경사면에 방어 진지를 구축한다.[10]
- 5월 16일 –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소규모 병력과 일부 폴로브치아군을 이끌고 드네프르강을 건너 몽골 선봉대를 공격한다. 몽골군은 초원으로 후퇴했고, 므스티슬라비치는 이들을 추격하여 게미아베크(하마베크)라는 몽골 지휘관을 생포한다. 폴로브치아인들의 요구로 그는 처형된다.[11]
- 5월 17일 – 갈리치아의 다니엘이 드네프르강 동쪽에서 정찰대를 이끌고 몽골 분견대를 격파한다. 이 성공 이후, 전체 러시아 및 폴로브치아 연합군은 몽골 주력군을 향해 9일간 행군하여 칼카 강으로 이동한다.[12]
- 5월 31일 – 칼카 강 전투: 갈리치아의 다니엘이 이끄는 폴로브치아 기병대와 볼히니아 기병대가 칼카 강을 건너 몽골 선봉대를 공격하지만, 키예프 군대는 강 서쪽에 남아있는 등 러시아 군대는 통합된 지휘 없이 개별적으로 진격한다. 결국 오후에 몽골군의 지속적인 공격에 러시아-폴로브치아 연합군은 무너진다.[13]
- 6월 16일 – 칼카 강 전투에서 승리한 몽골 장군 수부타이는 동료 장군 제베가 사망하자 동쪽으로 철수한다.[14]
- 7월 14일 – 프랑스의 국왕 필리프 2세가 파리로 가던 중 열병으로 사망한다. 그의 아들 루이 8세가 왕위를 계승한다.
- 8월 6일 – 프랑스 국왕 루이 8세의 대관식이 랭스 대성당에서 거행된다.
- 8월 10일 – 자비의 성모 마리아 기사단(메르세데리안)이 아라곤 왕국의 국왕 하우메 1세에 의해 바르셀로나에서 법적으로 설립된다. 이 기사단은 12년 후 교황의 승인을 받는다.
- 교황 호노리우스 3세는 프랑스 특사 콘라트 다우라흐에게 프랑스에서 알비 십자군과 관련된 툴루즈 백작 레몽 7세와 평화 협상을 진행할 전권을 부여한다.
- 9월 29일 – 아라곤 국왕 하우메 1세는 왕국의 화폐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향후 7년간 새로운 동전 주조를 중단한다.
- 10월 8일 - 잉글랜드 국왕 헨리 3세가 웨일스 몽고메리에서 체스터 백작 라눌프 드 블론데빌의 중재로 그위네드 왕국의 통치자 르웰린 아프 요르베르스와 평화 협정을 맺는다.
- 10월 20일 - 메라니아 공작 오토 1세가 종교 공동체에 대한 기부를 위해 5개의 헌장을 발행한다.
- 11월 1일 - 프랑스 국왕 루이 8세가 왕국 관리들이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에게 진 빚을 등록하는 것을 금지하고, 대출 원금만 회수하도록 제한하는 조례를 발표한다. 이는 당시 사회의 유대인에 대한 차별적 시각을 반영한다.
- 11월 29일 - 교황 호노리오 3세가 프란치스코회의 규칙(Regula Bullata)을 승인한다. 이 규칙은 프란치스코 수도사들의 규율, 설교, 수도회 가입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 12월 24일 - 프란치스코회를 창립한 아시시의 프란치스코가 교황 호노리오 3세의 허가를 받아 이탈리아 그레초 근처 동굴에서 예수의 탄생 장면을 실제 사람과 동물을 사용하여 재현하는 구유 전시를 시작한다. 이는 크리스마스에 구유를 설치하는 전통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 리보니아 십자군: 에스토니아인들이 검의 형제 기사단과 덴마크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다. 이들은 잠시 탈린을 제외한 모든 요새를 탈환하는 성과를 거둔다.
4. 5. 기타 지역
- 1월 4일 – 게르마노스 2세가 동로마 제국의 지도자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취임했다. 그는 니케아 제국의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 황제의 손님으로서 총대주교의 주재지를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 이스탄불)에서 90km 떨어진 니케아(현재 터키의 이즈니크)로 옮겼다.[1]
- 1월 18일
- * 루수단이 오빠인 게오르기 4세 국왕이 4개월 전 몽골과의 후난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자 새로운 조지아 여왕으로 즉위했다.[2]
- * 몽골 장군 무칼리가 12월 28일 실패에 이어 중국의 요새인 펑샹(鳳翔)을 두 번째로 공격했으나 다시 실패했다.[4]
- 1월 29일 – 빌얀디 전투: 교회 예배 중 사칼리아인들이 빌얀디 성 요새 내부에서 독일군을 공격했다. 이 공격으로 리보니아 검 형제단 단원들과 많은 상인들이 살해되었다.
- 2월 2일 – 아일랜드에서는 9월 14일부터 계속되던 비가 성모 정화 축일에 멈추면서 거의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건조한 날씨를 맞이했다고 ''로흐 세 연대기''에 기록되었다.[3]
- 2월 6일 – 칭기즈 칸의 명을 받은 몽골 장군 무칼리는 펑샹을 점령하기 위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도를 했으나 또다시 실패하고 공격을 중단했다.[4]
- 3월 23일 – 교황령의 페렌티노에서 교황 호노리우스 3세 주재로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최근 아내를 잃은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예루살렘의 요한 1세 국왕, 메랑쿠르의 라울 총대주교, 교황 사절 펠라기우스 갈바니 등이 참석하여 중동의 무슬림을 상대로 한 제6차 십자군 원정을 준비했다.[5] 프리드리히 2세는 요한 1세의 딸인 브리엔의 욜란데와 결혼하는 조건으로 십자군을 이끌기로 합의했다.
- 3월 25일 – 산초 2세 '경건왕'이 아버지 아폰수 2세 '비만왕'의 사망 이후 새로운 포르투갈 국왕으로 즉위했다.[6]
- 4월 13일 – 교황 호노리우스 3세는 바리스콜리아 수도회 수도사들에게 적용되던 엄격한 규칙을 완화하는 교황 칙서를 발표했다.[7]
- 4월 14일 – 스리랑카 섬에서 초다가가 데바 왕이 타밀족 설날(샤카 시대 1145년 치티라이 첫째 날)에 트린코말리에 상륙하여 힌두교 코네스와람 사원 건립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기부를 했다.[8] 이 사건은 사원 내 산스크리트어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 5월 7일 – 슈베린 백작 하인리히 1세가 군대를 이끌고 리외 섬에 상륙하여 덴마크 국왕 발데마르 2세와 그의 14세 아들 발데마르 젊은 공을 납치했다. 발데마르 2세는 1226년 부활절까지 3년간 억류되었으며, 44,000 실버 마르크를 지불하고 20년 전 홀슈타인에서 빼앗았던 영토를 반환한 후에야 풀려났다.[9]
- 5월 15일 – 루스 군대가 훗날 유명한 코사크 기지가 될 호르티차 섬(현재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인근 드네프르강 하류)에 집결했다. 코텐 칸이 이끄는 폴로브치 주력군(모두 기마 궁수)도 이곳에 합류했다. 이에 맞서는 몽골군은 약 20,000명에서 25,000명 규모로, 콘카 강 근처 모힐라 벨마크 언덕 북쪽 경사면에 방어 진지를 구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 5월 16일 –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소규모 병력과 일부 폴로브치 군을 이끌고 드네프르강을 건너 몽골 선봉대를 공격했다. 몽골군은 즉시 초원으로 후퇴했고, 므스티슬라비치는 이들을 추격하여 폴로브치 매장지 주변의 나무 울타리 뒤로 피신한 몽골 지휘관 게미아베크(혹은 하마베크)를 생포했다. 폴로브치인들이 므스티슬라비치에게 포로를 넘겨 처형할 것을 요구하면서 그의 운명이 결정되었다.[11]
- 5월 17일 – 갈리치아의 다니엘은 배 다리를 이용해 드네프르강 동쪽으로 정찰대를 이끌고 나아가 몽골 분견대를 격파했다. 몽골군은 가축과 현지 포로들을 버리고 도주했다. 이 성공적인 작전 이후, 전체 루스-폴로브치 연합군은 몽골 주력군을 향해 9일간의 행군을 시작했다. 수많은 수레에 실린 강철 갑옷과 방패들이 루스 기병대의 호위를 받으며 초원을 가로질러 이동했고, 몽골군은 칼카 강 쪽으로 후퇴했다.[12]
- 5월 31일 – 칼카 강 전투: 루스 기병대가 몽골 선봉대를 성공적으로 공격하고 칼카 강(현재 우크라이나)을 건넜다. 갈리치아의 다니엘이 이끄는 폴로브치 기병대와 볼히니아 기병대가 루스 선봉대를 구성했다. 한편, 키예프 군대는 칼카 강 서쪽에 대기하고 있었다. 루스 군대는 공격을 제대로 조율하지 못하고 개별 부대 단위로 진격하여 칼카 강에 의해 분리되었다. 오후가 되자 루스 군대는 몽골군의 지속적인 공격에 무너졌다.[13]
- 6월 16일 – 칼카 강 전투에서 승리한 몽골 장군 수부타이는 함께 군대를 이끌었던 장군 제베가 사망하자 동쪽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14]
- 7월 14일 – 프랑스의 필리프 2세가 파리로 이동하던 중 열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루이 8세 '사자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 8월 6일 – 프랑스 국왕 루이 8세의 대관식이 랭스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 8월 10일 – 자비의 성모 마리아 기사단(메르세데리안)이 아라곤 왕국의 하이메 1세 국왕에 의해 바르셀로나에서 법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기사단은 12년 후 교황의 승인을 받게 된다.
- 교황 호노리우스 3세는 프랑스 특사 콘라트 다우라흐에게 프랑스에서 툴루즈 백작 레몽 7세와 평화 협상을 진행할 전권을 부여했다.
- 9월 29일 – 아라곤 국왕 하이메 1세는 왕국 화폐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향후 7년간 새로운 동전 주조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 봄 – 테레크강 저지대에 폴로브치 군대가 집결하고, 알란, 체르케스, 돈 키프차크/쿠만 군대가 합류했다. 몽골군은 캅카스 산맥을 넘으려 했으나 좁은 산길에 갇혔다. 몽골 장군 수부타이와 제베는 폴로브치족에게 사절을 보내 코카서스 민족과의 동맹을 파기하도록 설득했다. 이후 몽골 기병대는 캅카스 지역을 침공하여 현지 마을을 파괴하고 노예, 소, 말을 약탈했다.[22]
- 몽골군은 폴로브치 영토를 침략하여 돈강 근처에서 벌어진 대규모 전투에서 폴로브치족을 격파했다. 여러 폴로브치 지도자들이 사망했고, 생존자들은 서쪽으로 도망쳐 드네프르강을 건너 여러 루스 공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드네프르강 동쪽의 대초원은 몽골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수부타이와 제베는 볼가강 유역에 아스트라한을 건설했다. 수부타이는 군대를 나누어 남쪽의 크림반도로 이동했고, 제베는 드네프르강으로 향했다.[23]
- 몽골군은 명목상 제노바 공화국의 무역 전초기지였던 수다크를 점령했는데, 이는 크림반도의 인접한 베네치아 공화국 전초기지의 암묵적인 동의 하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수부타이는 베네치아를 제외한 이 지역의 모든 식민지를 파괴하겠다고 약속했고, 그 대가로 베네치아인들은 수부타이에게 동유럽 왕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한편, 쿠만/키프차크 족장 코텐 칸은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의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 공작을 설득하여 몽골에 맞서 싸우기 위한 동맹을 맺도록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알렸다.[24]
- 2월 – 키예프에서 루스 공국들의 회의가 소집되었다. 여러 공국들은 코텐 칸의 설득에 따라 몽골을 몰아내기 위해 연합군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3월 전반기에 루스 공작들은 각자의 공국으로 돌아가 다가올 군사 작전을 위한 병력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연합군은 주로 기병으로 구성된 약 6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수부타이는 제베와 군대를 합친 후, 키예프 루스 공작들에게 사절을 보내 이 분쟁은 그들과 관련이 없으니 개입하지 말라고 전했다.[24]
- 4월 – 루스 공작들은 각기 다른 지역에서 군대를 이끌고 나와 키예프에서 60km 떨어진 강가에 집결했다. 작전에 참여하는 공작들은 세 주요 그룹으로 나뉘었다. 키예프군은 대공 므스티슬라프 로마노비치 '노인'이 이끌었다. 두 번째 그룹은 체르니히우와 스몰렌스크 군대로, 므스티슬라프 2세 공작이 지휘했다. 세 번째 그룹은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와 그의 사위 갈리치아의 다니엘이 이끄는 갈리치아-볼히니아 군대로,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출발했다.[25]
- 몽골 지도자 수부타이와 제베는 조치가 카스피해 북쪽에 주둔하고 있으며, 그의 질병 또는 아버지 칭기즈 칸의 명령 거부 혐의 때문에 예상했던 증원군을 보낼 수 없다는 소식을 받았다. 수부타이는 루스 공작들에게 다시 사절단을 보내 평화를 제안하며 루스와 폴로브치 동맹을 깨뜨리려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몽골 사절들은 처형되었는데, 이는 4월 말까지 코텐 칸의 추종자들이 주도하여 실행한 것으로 보인다.[25]
- 4월 말 – 루스-폴로브치 연합군은 드네프르강 서쪽 강둑을 따라 행군했다. 행군 시작 며칠 후, 두 번째 몽골 사절단이 루스 진영에 나타나 다시 평화를 제안했다. 제안이 거부되자 사절단은 무사히 떠나도록 허락받았다. 한편, 갈리치아에서 온 루스 군대는 배나 장비와 식량을 실은 수레를 이용하여 흑해 해안을 따라 드네프르강을 거슬러 올라왔고, 몽골군은 동쪽 강둑에서 이들을 감시했다.[24]
- 5월 말 – 수부타이와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은 칼카 강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루스 공작들 사이에서는 몽골군을 더 깊숙한 초원으로 추격하는 것이 현명한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커졌다. 5월 말까지 연합군은 칼카 강둑에 도착했다. 폴로브치 선봉대는 나머지 루스 군대보다 훨씬 앞서 나아가며 승리감에 도취되었다. 한편, 수부타이와 제베는 루스 군대를 함정에 빠뜨릴 준비를 하고 있었다.[26]
- 6월 – 칼카 강 전투 패배 후, 므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남은 갈리치아 군대와 함께 드네프르강으로 도주했다. 므스티슬라프 로마노비치 '노인'은 항복했으나 처형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그와 다른 루스 귀족들은 몽골 사절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묶인 채 나무 판자(또는 연단) 아래에 눕혀졌고, 그 위에서 수부타이, 제베, 그리고 몽골 장교들이 연회를 벌이는 동안 천천히 질식사했다고 전해진다.[27]
- 사마라 벤드 전투: 가브둘라 첼비르가 이끄는 볼가 불가르 군대가 수부타이, 제베, 조치가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몽골군을 격파했다. 전투 중 불가르 군대는 후퇴하는 척하며 몽골군을 유인했고, 이후 주력 부대가 매복 공격을 가했다. 수부타이와 제베는 사라이(훗날 금장 칸국의 수도) 근처, 볼가강이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 부근으로 군대를 후퇴시켰다.[28]
- 가을 – 조치, 수부타이, 제베가 이끄는 몽골군은 캉글리 투르크(동부 키프차크족 또는 '야생 폴로브치족')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그들의 통치자를 살해했다. 겨울 동안 그들은 유라시아 스텝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계속 이동했다. 제베는 에밀강 근처에서 열병으로 갑자기 사망했는데, 독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9]
5. 탄생
- 1월 25일 - 모드 드 레이시, 잉글랜드의 귀족. (1289년 사망)
- 고려 영종 - 고려의 추존 국왕.
- 귀도 1세 다 몬테펠트로 - 이탈리아의 귀족. (1298년 사망)
- 르웰린 압 그리피드 - 웨일스의 왕자. (1282년 사망)
- 무가이 뇨다이 - 일본의 선승. (1298년 사망)
- 미카엘 8세 - 비잔티움 제국 팔라이올로고스 왕조의 황제. (1282년 사망)
- 바이바르스 - 맘루크 왕조의 술탄. (1277년 사망)
- 스테판 우로시 1세 - 세르비아의 왕. (1277년 사망)
- 이븐 압드 알-자히르 - 이집트의 역사가. (1293년 사망)
- 이치조 사네쓰네 -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284년 사망)
- 존 피츠앨런 2세 - 잉글랜드의 귀족. (1267년 사망)
- 카스티야의 프레데릭 - 카스티야의 귀족. (1277년 사망)
- 프로방스의 엘레오노르 - 잉글랜드 왕국의 왕비, 헨리 3세의 부인. (1291년 사망)
- 휴 르 데스펜서 - 잉글랜드의 귀족. (1265년 사망)
6. 사망
- 2월 28일 (음력 1월 27일) - 게이엔,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 1140년)
- 3월 8일 – 빈센티 카들루베크, 크라쿠프 대교구의 주교 (* 1150년경)
- 3월 25일 – 아폰수 2세 ('''비만왕'''), 포르투갈 왕국의 제3대 국왕 (* 1185년)
- 5월 31일 – 므스티슬라프 2세 스뱌토슬라비치, 키예프 공 (* 1168년)
- 6월 4일 – 보리에의 휴, 잉글랜드의 수도원장이자 주교
- 6월 14일 (음력 5월 14일) - 모리사다 친왕,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 (* 1179년)
- 7월 7일 – 이븐 쿠다마, 우마이야 왕조의 신학자 (* 1147년)
- 7월 8일 – 곤노에 모토미치, 일본 귀족 (* 1160년)
- 7월 14일 – 필리프 2세 ('''아우구스투스'''), 중세 프랑스 카페 왕조의 제7대 국왕 (* 1165년)
- 9월 13일 (음력 8월 17일) - 카쿠카이,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진언종 승려 (* 1142년)
- 12월 20일 (음력 11월 27일) - 오토모 요시나오,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고케닌, 오토모 씨의 초대 당주 (* 1172년)
'''날짜 미상'''
- 알라만다 드 카스텔노, 프랑스 트루바두르이자 작가
- 웨일스의 제럴드, 노르만 족 부제이자 작가 (* 1146년경)
- 스트래선의 질 브리게이트, 스코틀랜드 귀족 (* 1150년경)
- 선종, 금나라의 제8대 황제 (* 1163년)
- 예스, 중국 철학자이자 정치인 (* 1150년)
- 운케이, 일본 불교 승려이자 조각가 (* 1150년경)
- 윌리엄 드 콘힐, 잉글랜드 부제이자 주교
- 이븐 툼루스, 안달루시아 학자이자 의사 (* 1164년경)
- 제베 ('''화살'''), 몽골 제국의 장군 (추정)
- 페르난 구티에레스 데 카스트로, 스페인 귀족 (* 1180년경)
- 헨리 1세 ('''원로'''), 독일 귀족이자 기사 (* 1158년)
- 므스티슬라프 로마노비치 ('''원로'''), 키예프 공국의 대공
- 무칼리 (또는 '''무크라이'''), 몽골 제국의 군 지도자 (* 1170년)
- 산초 (또는 '''상체'''), 아라곤 귀족 (* 1161년)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Rowman & Littlefield
2015
[3]
간행물
Extreme Flooding in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The Early Years, AD 1 to AD 1300
Wiley
2016
[4]
서적
The Mongol World
Taylor & Francis
2022
[5]
서적
Pelagius and the Fifth Crusa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6]
서적
Historia Genealógica de la Real Casa Portuguesa
Lisboa Occidental
1735
[7]
서적
History of the Religious House of Pluscardyn
Convent of the Vale of Saint Andrew
1881
[8]
서적
History of Ceylon
Ceylon University Press
1959
[9]
서적
The Medieval Crossbow: A Weapon Fit to Kill a King
Pen and Sword
2022
[10]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11]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12]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2011
[13]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14]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Bloomsbury Publishing
2006
[15]
서적
The Council of Bourges, 1225: A Documentary History
Taylor & Francis
2019
[16]
서적
Reconquest and Crusade in Medieval Spa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3
[17]
서적
The Gothic King: A Biography of Henry III
Peter Owen Publishers
2013
[18]
서적
Princely Brothers and Sisters: The Sibling Bond in German Politics, 1100-1250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
[19]
서적
Popes and Jews, 1095–1291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0]
간행물
A Contrastive Analysis of Neapolitan Presepio Figurines and Their Construction Phases: From Culture to Langua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9
[21]
서적
Hark: The Biography of Christmas
Lion Hudson
2017
[22]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23]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2011
[24]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25]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2011
[26]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27]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2011
[28]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29]
서적
Kalka River 1223 - Genghiz Khan's Mongols invade Russia
Osprey
2001
[30]
서적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Harrassowitz Verlag
1993
[31]
웹사이트
Eleanor Of Provence ! queen of England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