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라클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라클 작전은 2021년 8월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후 대한민국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현지 협력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수행한 작전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카불 함락 이후 협력자들의 안전을 위해 군 수송기를 파견하여 이들을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로 이송하고, 이후 공중급유기를 통해 한국으로 이송했다. 작전 과정에서 탈레반의 여행증명서 원본 요구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외교부는 긴급하게 여행증명서를 발급하여 지원했다. 미라클 작전을 통해 총 391명의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와 가족이 한국으로 대피했으며, 이들은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지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오쉬노부대
    오쉬노부대는 2010년 대한민국 국회 파병 결의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재건 지원을 위해 파병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로, 바그람 지역에 주둔하며 생활 환경 개선, 의료 지원, 치안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2014년 철수 시까지 아프가니스탄의 안정과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 대한민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동의부대
    동의부대는 대한민국 국군의 의료지원 부대로, 1970년 8월 창설되어 베트남에 파병되었고 1973년 3월 철수하였으며, 고현석, 안종설, 김상태 등 여러 지휘관을 거쳤다.
  • 2021년 아프가니스탄 - 2021년 탈레반 공세
    2021년 탈레반 공세는 미군 철수와 함께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상대로 시작한 군사 작전으로,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빠르게 장악하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인권 문제와 국제적 과제를 야기했다.
  • 2021년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 국민저항전선
    아프가니스탄 국민저항전선은 2021년 탈레반 공세 이후 탈레반에 저항하기 위해 결성된 군사 조직으로, 아흐마드 마수드가 이끌고 암룰라 살레가 지지를 표명하며, 판지시르를 중심으로 저항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미라클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미라클 작전
부분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 작전, 2021년 탈레반 공세,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유형긴급 대피
목표자격 요건을 갖춘 아프간인 대피
위치
장소아프가니스탄
지도 종류아프가니스탄 # 남아시아
지도 설명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 위치
계획
계획 주체외교부대한민국 국군
지휘
지휘관대한민국 공군
기간
날짜2021년 8월 24일 – 2021년 8월 27일
결과
결과자격 요건을 갖춘 아프간인 390명 대피

2. 배경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수도인 카불을 함락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현지 협력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3][4] 8월 초부터 대한민국 국방부는 아프가니스탄 협력자들을 대피시킬 계획을 세웠으며,[3] 2021년 탈레반 공세카불이 함락된 후, 8월 17일 현지 주민과 관계자들을 대피시키고 카타르에 임시 거처를 마련했다.[4] 작전의 기밀 유지를 위해 관련 출국 및 군 부대는 아프가니스탄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5]

대피 초기에는 협력자 대부분이 도보로 공항 진입을 시도했으나, 카불 공항 주변 혼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이 제안한 '버스 모델'로 작전을 변경했다. 김일응 주아프간대사관 공사참사관은 아프간인 조력자들을 태운 버스가 탈레반에 의해 14~15시간 동안 갇혀 있었다고 밝혔다.[6] 이는 탈레반 측이 여행증명서 원본을 요구하며 발생한 문제였다. 여권이나 여행증명서가 없는 사람이 많아 한국 정부가 예외적으로 여행증명서를 발급해 제공했지만, 탈레반 측은 이를 문제 삼았다.[6]

3. 진행 과정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수도인 카불에 진입했다.[6] 대한민국 정부는 8월 23일,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KC-330) 1대와 군 수송기(C-130J) 2대를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국제공항에 배치했다.[6] 이 중 C-130J 수송기를 이용하여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에서 한국인과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들을 이슬라마바드 국제공항으로 수송했다.

대피 초기에는 협력자 대부분이 도보로 카불 공항 진입을 시도했으나, 공항 주변의 혼란으로 인해 23일 하루 동안 26명만이 공항에 들어오는 데 그쳤다.[6]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 측의 제안을 받아들여 버스를 이용한 대피 방식을 도입했다.[6] 김일응 주아프간대사관 공사참사관의 현장 지휘 하에,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들은 버스를 타고 카불 국제공항으로 이동했다.[6] 그러나 탈레반은 이들이 소지한 여행증명서가 사본이라며 문제를 삼았고, 이들은 에어컨도 없는 버스 안에서 14시간 이상 갇혀 있어야 했다.[6] 카불 공항은 4개의 입구가 있으며, 남동쪽 에비게이트, 이스트게이트, 노스게이트 등이 있는데, 도보로 출입이 가능한 곳은 에비게이트와 이스트게이트이다.[8] 보통은 에비게이트에 사람들이 몰려 있으며, 한국도 에비게이트를 통해 도보로 소수가 입장했고, 전세버스 6대로 대부분이 공항에 입장했다.[8]

8월 26일, KC-330 공중급유기를 이용하여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와 가족 377명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이송했다.[6] 당초 391명이 이송될 예정이었으나, 이슬라마바드 국제공항에서 신원 재확인 결과 1명이 명단에 없어 C-130J 수송기를 이용해 카불 공항으로 돌려보내졌다.[6] 8월 27일에는 C-130J 수송기를 이용하여 추가로 13명의 아프가니스탄인을 인천국제공항으로 이송했다.

4. 여행증명서 발급

아프가니스탄 정부 붕괴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들은 여권 발급에 어려움을 겪었다.[7] 한국 대사관이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여행증명서를 요구했으나,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7] 이에 대한민국 외교부는 주말에 긴급 출근하여 여행증명서를 제작, 22일 외교행랑을 통해 카불 현지로 전달하여 한국으로의 입국을 지원했다.[7]

5. 탈레반과의 협상

6. 카불 공항의 상황

카불 공항은 4개의 입구가 있으며, 남동쪽 에비게이트, 이스트게이트, 노스게이트 등이 있는데, 도보로 출입이 가능한 곳은 에비게이트와 이스트게이트이다.[8] 보통은 에비게이트에 사람들이 몰려 있다. 한국도 에비게이트를 통해 도보로 소수가 입장했고, 전세버스 6대로 대부분이 공항에 입장했다. 검문소에서 탈레반이 여권이나 여행증명서 확인을 해야지만 입장을 허가해준다.[8]

7. 결과

미라클 작전을 통해 총 391명의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와 그 가족들이 한국으로 안전하게 대피했다. 이들은 한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임시 거처에서 생활하며,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 및 지원을 받고 있다.

8. 비판

8. 1. 정부의 늑장 대응 논란

8. 2. 제한적인 지원 대상

참조

[1] 뉴스 'Operation Miracle' complete with 390 Afghan arrivals https://koreajoongan[...] 2021-09-11
[2] 뉴스 378 Afghan Co-workers, Family Members Arrive in South Korea http://koreabizwire.[...] The Korea Bizwire 2023-10-17
[3] 뉴스 軍 "8월 초부터 '미라클 작전' 준비...방어 능력 때문에 C-130 먼저 투입" https://www.ytn.co.k[...] 2021-09-11
[4] 뉴스 아프간서 대사·교민 등 한국인 모두 철수…카타르에 임시 공관(종합3보) https://www.yna.co.k[...] 2021-09-11
[5] 뉴스 청와대가 꼽은 '미라클 작전' 성공 비결은 '비밀 유지' https://www.sisajour[...] 2021-09-11
[6] 뉴스 "폭탄테러 발생한 게이트로 통과"…며칠 늦었더라면 참사 휘말릴 뻔 서울신문 2021-08-27
[7] 뉴스 "탈레반 오기 직전 아프간인 여행증명서 외교행랑 받아 작전 시작" 미디어펜 2021-08-27
[8] 뉴스 가까스로 'IS 테러' 피한 아프간 이송팀…첩보입수 뒤 작전에 속도 연합뉴스TV 2021-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