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조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조조아(Myzozoa)는 아피콤플렉사, 와편모조류, 크로메리다, 퍼킨소조아의 4개 문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이들은 세포내 공생을 통해 획득한 색소를 가진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다. 미조조아는 섬모충류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선형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공유한다. 미조조아라는 용어는 유폐포생물 아래에 있는 섬모충류를 제외하며, 콜포델리드류, 크로메리다, 정단복합충류는 자매 분류군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조조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미오조아 | |
![]() | |
| 분류 정보 | |
| 학명 | Myzozoa |
| 명명자 | Cavalier-Smith & Chao |
| 계급 | 문 |
| 하위 분류 계급 | 문 |
| 하위 분류 | 정단복합체충류 쌍편모생물 크로메리다 퍼킨소조아 |
2. 하위 분류
- 디노조아 (Dinozoa)
- * 페르킨수스강 (Perkinsozoa)
- * 와편모충강 (Dinoflagellata)
- 넓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 * 좁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Apicomplexa) 또는 포자충류 (Sporozoa)
- * Apicomonadea
- ** 크로메라목 (Chromerida)
- ** 콜포델라목 (Colpodellida)
미조조아(Myzozoa)에는 약 4개의 문(Phyla)이 있다.[7]
- 아피콤플렉사 (Apicomplexa) – 생식세포를 제외하고는 축사 구조가 없는 기생성 원생동물
- 와편모조류 (Dinoflagellate) – 대부분 해양에 서식하며, 많은 종이 엽록체를 가지고 있는 편모충
- 크로메리다 (Chromerida) – 광합성을 하는 원생동물로 이루어진 해양 문
- 퍼킨소조아 (Perkinsozoa)
3. 계통 분류
다음은 피하낭류의 계통 분류이다.[19][20][21]
{| class="wikitable"
|-
! 피하낭류
|-
|
{| class="wikitable"
|-
! 섬모충류
|-
|
{| class="wikitable"
|-
! 미오조아
|-
|
{| class="wikitable"
|-
! 콜포네마강
|-
|
{| class="wikitable"
|-
! 아카보모나스류
|-
|
{| class="wikitable"
|-
! 미조조아
|-
|
{| class="wikitable"
|-
! 디노조아
|-
|
|-
! 넓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
|
{| class="wikitable"
|-
! 좁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
|
|}
|}
|}
|}
|}
|}
|}
미조조아(Myzozoa)에는 다음과 같은 4개의 문(Phyla)이 있다.
- 아피콤플렉사(Apicomplexa) – 생식세포를 제외하고는 축사 구조가 없는 기생성 원생동물이다.
-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 대부분 해양에 서식하며, 많은 종이 엽록체를 가지고 있는 편모충이다.
- 크로메리다(Chromerida) – 광합성을 하는 원생동물로 이루어진 해양 문이다.
- 퍼킨소조아(Perkinsozoa)
미조조아(Myzozoa)라는 용어는 2012년 Adl 등의 원생생물 그룹 분류에서 고려되지 않았다.[7] 엄격한 분류학은 그룹의 모든 생물이 공유하는 공통적인 특성만을 고려한다. 미조조아의 각 구성 그룹 내 일부 생물은 미조사이토시스(myzocytosis) 능력을 상실했다. 또한, 분류학은 분자 계통 발생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현재의 한 분류는 아피콤플렉사, 섬모충류, 와편모조류를 제외한 모든 알베올라타(alveolate) 분류군을 "원알베올라타(Protalveolata)"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명명한다.[7] 초기 공룡(dinozoans)을 "와편모조류" 그룹 내에 포함할지, 아니면 외부에 포함할지 여부에 대한 어려움은 원알베올라타(Protalveolata)와 같은 분류를 선호하게 만들며,[7] "콜포델라류(colpodellids)"의 두 속, 보로모나스(Voromonas)와 콜포델라(Colpodella) 사이의 잠재적인 다계통군 관계도 마찬가지이다.[6]
3. 1. 진화
미조조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큰 분류군은 섬모충류이다.[1] 이 두 생물군은, 지금까지 연구된 대부분의 진핵생물과는 달리, 선형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조사된 대부분의 다른 진핵생물은 원형 게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조조아라는 분류학적 용어는 상위 분류군인 유폐포생물 아래에 있는 섬모충류를 명확하게 제외한다.[1] 따라서 유폐포생물은 미조조아와 섬모충류[8], 그리고 위에서 논의된 더 작은 그룹을 포함하는 두 개의 큰 그룹을 포함한다.모든 미조조아는 세포내 공생을 통해 획득한 색소를 가진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9]
미조조아와 원유폐포생물 내의 분기 순서는 부분적으로만 이해된다. 콜포델리드류, 크로메리다, 정단복합충류의 세 그룹은 자매 분류군인 것으로 보인다.[10] 다른 세 그룹 - 퍼킨시드류, 신디니알레스, 옥시리스는 와편모조류와 멀리 관련되어 있다.[11][12]
4. 분류 체계의 한계
아피콤플렉사(Apicomplexa), 와편모조류(Dinoflagellate), 크로메리다(Chromerida), 퍼킨소조아(Perkinsozoa)를 포함하는 미조조아(Myzozoa)는 2012년 Adl 등의 원생생물 그룹 분류에서 고려되지 않았다.[7] 엄격한 분류학은 그룹 내 모든 생물이 공유하는 공통적인 특성만을 고려하는데, 미조조아의 각 구성 그룹 내 일부 생물은 미조사이토시스(myzocytosis)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또한, 분류학은 분자 계통 발생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현재 분류 체계에서는 아피콤플렉사, 섬모충류, 와편모조류를 제외한 모든 알베올라타(alveolate) 분류군을 "원알베올라타(Protalveolata)"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명명한다.[7] 초기 공룡(dinozoans)을 "와편모조류" 그룹에 포함할지 여부와 "콜포델라류(colpodellids)"의 두 속인 보로모나스(Voromonas)와 콜포델라(Colpodella) 사이의 잠재적인 다계통군 관계도 원알베올라타(Protalveolata)와 같은 분류를 선호하게 만든다.[7][6]
참조
[1]
논문
Protalveolate phylogeny and systematics and the origins of Sporozoa and dinoflagellates (phylum Myzozoa nom. Nov.)
https://www.infona.p[...]
[2]
논문
Ultrastructure of a novel tube-forming, intracellular parasite of dinoflagellates: Parvilucifera prorocentri sp. nov. (Alveolata, Myzozoa)
2008-02
[3]
웹사이트
Alveolates
http://tolweb.org/Al[...]
2009-06-14
[4]
논문
Free-living protozoa in two unchlorinated drinking water supplies identified by phylogenic analysis of 18S rRNA gene sequences
2009-05
[5]
논문
Only six kingdoms of life
2004-06
[6]
논문
Protalveolate phylogeny and systematics and the origins of Sporozoa and dinoflagellates (phylum Myzozoa nom. nov.)
2004-09
[7]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8]
웹사이트
Protalveolata – Wikispecies
https://species.wiki[...]
[9]
서적
Plastid Genome Evolution
[10]
논문
A photosynthetic alveolate closely related to apicomplexan parasites
2008-02
[11]
논문
Multiple protein phylogenies show that Oxyrrhis marina and Perkinsus marinus are early branches of the dinoflagellate lineage
[12]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surface morphology of ''Colpodella edax'' (Alveolata): insights into the phagotrophic ancestry of apicomplexans
[13]
논문
Loss of nucleosomal DNA condensation coincides with appearance of a novel nuclear protein in dinoflagellates
2012-12
[14]
Thesis
Molecular ecology and phylogeny of protistan algal symbionts from corals
http://ses.library.u[...]
[15]
논문
Ultrastructure of a novel tube-forming, intracellular parasite of dinoflagellates: Parvilucifera prorocentri sp. nov. (Alveolata, Myzozoa)
http://linkinghub.el[...]
[16]
웹인용
Alveolates
http://tolweb.org/Al[...]
2009-06-14
[17]
논문
Free-living protozoa in two unchlorinated drinking water supplies identified by phylogenic analysis of 18S rRNA gene sequences
http://aem.asm.org/c[...]
2011-01-18
[18]
논문
Only six kingdoms of life
http://rspb.royalsoc[...]
[19]
논문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1]
논문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