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충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모충류는 섬모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원생동물로, 형태, 서식지, 생활 방식이 다양하며, 대핵과 소핵을 가지고 있다. 유성생식은 접합, 무성생식은 분열법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자유 생활을 한다. 섬모충류는 전모류와 선모류로 나뉘며, 두 종류의 핵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식포를 통해 먹이를 소화하고, 수축포로 삼투압을 조절한다. 대부분 종속영양생물로 세균이나 조류를 섭취하거나 다른 단세포 생물을 포식한다. 생식은 무성 생식인 분열과 유성 생식인 접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섬모충류는 DNA 재배열을 통해 유전자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치며, 클론 개체군에서 노화 현상이 나타난다. 피하낭류, 내핵아문 등으로 분류되며, 짚신벌레, 종벌레, 나팔벌레 등이 과학 교육 및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섬모충류 - 짚신벌레
짚신벌레는 담수 환경에 사는 단세포 섬모충류로, 섬모를 이용해 움직이며 세균을 섭취하고, 대핵과 소핵을 가지며 이분열과 접합으로 번식한다. - 섬모충류 - 나팔벌레
나팔벌레는 전 세계 담수에서 발견되는 20종 이상의 원생생물 속으로, 뿔 모양 몸체와 섬모 고리가 특징이며, 일부 종은 녹조류와 공생하고 재생 능력이 뛰어나 블레파리스마속과 관련이 있다. - 원생생물 - 유공충
유공충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원생생물로, 껍질 형태와 구성에 따라 분류되며, 해양 환경에서 생물 층서 및 고기후 연구, 석유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원생생물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섬모충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특징 | |
설명 | 섬모라는 세포기관을 가진 원생생물의 한 종류이다. |
분류 | |
학문적 분류 | 섬모충문 (Ciliophora) |
명명자 | 도플라인, 1901년 |
하위 분류 | |
아문 및 강 | 후향미세소관섬모충아문 (Postciliodesmatophora) 이모강 (Heterotrichea) 원시대핵강 (Karyorelictea) 내핵아문 (Intramacronucleata) Armophorea 콜포다강 (Colpodea) 열구섬모충강 (Litostomatea) Muranotrichea 바구니섬모충강 (Nassophorea) 빈막강 (Oligohymenophorea) Parablepharismea 층상인두강 (Phyllopharyngea) 사모섬모충강 (Plagiopylea) 전구섬모충강 (Prostomatea) 원벼룩섬모충강 (Protocruziea) 선모강 (Spirotrichea) Cariacotrichea |
참고 | 본문 참조 |
학명 | |
학명 | Ciliophora Doflein, 1901 emend. |
이전 학명 | Ciliata Perty, 1852 |
진화 | |
화석 기록 | 에디아카라기 - 홀로세 (최근) |
2. 특징
섬모충류는 섬모를 사용해 운동하는 원생동물로, 형태, 서식 장소, 생활 양식의 변화가 심하다. 대핵과 소핵을 가지며, 소핵은 생식에 관여한다. 유성생식은 접합, 무성생식은 분열법(횡분열)이나 출아법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자유생활을 한다. 섬모충류는 생물중에 염색체가 가장 많다.
섬모충류는 섬모를 사용해 운동하는 원생동물로, 형태, 서식 장소, 생활 양식이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 자유생활을 하지만, 일부는 동물에 기생하며, 이 중 ''Balantidium coli''는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유일한 섬모충류이다.[20] 섬모충류는 단세포 생물이지만, 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섬모충류는 무성 생식인 분열 외에도, 유성 생식인 접합을 통해 번식한다. 접합은 유전자 재조합과 핵 재구성을 유발하는 성적 현상이다.[24][22]
섬모충류는 표면에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길이의 섬모가 나 있는 전모류(짚신벌레)와 많은 섬모가 두세줄로 촘촘히 늘어서서 작은 막을 형성하고 다시 이것이 구전막(口前膜)을 만드는 선모류(나팔벌레)로 나뉜다. 그 외에 종벌레가 있다.
섬모충류는 대부분의 다른 진핵생물과 달리 두 종류의 핵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작고 이배체인 미세핵(세포의 생식 계열을 담당하는 "생성 핵")이고, 다른 하나는 크고 증폭된 핵인 대핵(유기체의 표현형을 조절하는 "영양 핵")이다.[14][15] 후자는 게놈의 증폭과 심한 편집을 통해 미세핵에서 생성된다. 미세핵은 자신의 유전 물질을 자손에게 전달하지만 유전자를 발현하지는 않는다. 대핵은 영양 생장을 위한 작은 핵 RNA를 제공한다.[16][15]
대핵의 분열은 대핵이 세포 분열 시마다 교체되는 Karyorelictea강에 속하는 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섬모충류 종에서 발생한다.[21] 대핵 분열은 무사분열에 의해 이루어지며, 염색체의 분리는 그 메커니즘이 알려지지 않은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15] 일정 세대수(''짚신벌레''에서는 200–350, ''Tetrahymena[21]''에서는 최대 1,500)가 지나면 세포는 노화의 징후를 보이며, 대핵은 미세핵으로부터 재생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접합'' 후에 발생하며, 그 후 접합 후 미세핵으로부터 새로운 대핵이 생성된다.[15]
식포는 식세포 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내용물이 리소좀에 의해 소화되고 분해되면서 세포 내 특정 경로를 따른다. 따라서 공포가 포함하는 물질은 식포 막을 통해 세포 안으로 확산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세포항문(항문공)에 도달했을 때 식포에 남아있는 모든 것은 세포외배출에 의해 배출된다. 대부분의 섬모충류는 또한 하나 이상의 두드러진 수축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물을 모아 세포 밖으로 배출하여 삼투압을 유지하거나, 일부에서는 이온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짚신벌레속(''Paramecium'')과 같은 일부 속에서는 각 지점이 수집 튜브인 독특한 별 모양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몸체 섬모는 각각 하나 또는 두 개의 운동기(기저체)를 포함하는 ''단일 운동기''와 ''이중 운동기''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운동기는 섬모를 지지할 수 있다. 이들은 세포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뻗어 있는 ''운동열''로 배열된다. 몸체 및 구강 운동기는 섬모충류에 고유하며 분류에 중요한 ''하부 섬모 구조''를 구성하며, 섬모를 조절하는 다양한 섬유와 미세 소관이 포함된다. 일부 형태에서는 몸체 다중 운동기도 존재하며,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서모라고 불리는 강모를 형성하는 나선섬모충류에서 발견된다.
하부 섬모 구조는 세포 피질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다른 구성 요소는 펠리클을 형성하기 위해 세포막 아래에 빽빽하게 채워져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는 작은 소포인 ''소포''이며, 유연하고 수축성에서 강성까지 다양하다. 수많은 미토콘드리아와 압출체 또한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소포의 존재, 섬모의 구조, 유사 분열의 형태 및 기타 다양한 세부 사항은 섬모충류, 아피콤플렉스충류, 그리고 와편모조류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면적으로 다른 그룹들은 소포체를 구성한다.
섬모충류는 단세포 생물이지만, 군체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많은 종이 세균이나 유기물의 미립자 등을 섭취하지만, 다른 단세포 생물을 포획하여 먹는 등, 명확한 포식자로서 행동하는 것도 있다. 단세포 조류를 세포 내에서 공생시키는 종도 알려져 있다.
섬모충은 기본적으로 섬모, 대핵, 소핵, 식포, 수축포로 이루어져 있다. 몸은 앞뒤로 가늘고 긴 것이 많으며, 복면과 배면이 뚜렷한 것도 있지만, 좌우대칭이 아닌 것이 많다. 전방 또는 전방 측면에, 세포구라고 불리는 음식 섭취구를 가진 것이 많다. 섭취된 음식은 '''식포'''라는 구형의 주머니 안에서 소화되어 흡수된다. 남은 것은 체외로 배출된다. 수축포는 체내의 수분이나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 내에는 여러 개의 세포핵이 있으며, 생식용(소핵)과 생활용(대핵)으로 기능이 나뉘어 있다.
섬모충의 최대 특징은 운동 기관으로서의 섬모이다. 과거에는 편모와 섬모는 그 생김새나 수에 따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섬모충의 섬모는, 간단한 것은, 전신에 동일하게 나 있으며, 개개의 섬모를 젓는 것처럼 흔들며, 전체적으로는 웨이브처럼 동조하여 움직임으로써, 전진 후퇴를 한다. 또한, 세포구 주변에서는, 세포구 안으로 먹이를 흘려 넣는 것처럼 작용한다.
보다 특수화된 것으로는, 구부 주변에만 섬모를 가진 것, 복면에만 가진 것, 특수한 배열을 하고 있는 것, 또는 다수의 섬모가 모여서, 부속지처럼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구부의 섬모로 먹이를 모아, 고착성 생활을 하는 종도 있다. 그러한 종에서는, 고착을 위한 자루를 가지며, 종에 따라서는 자루가 신축하는 것도 있다.
한편, 흡관충류는 섬모를 가지지 않고, 다수의 관 모양의 촉수 모양의 돌기를 가지며, 이것으로 단세포 생물을 흡착하여 흡수한다. 출아에 의해 생긴 무성아는 섬모를 가진다.
또한, 섬모로 전신이 덮인 단세포 생물로서, 오팔리나류가 있다. 처음에는 원시적인 섬모충으로 여겨졌지만, 많은 차이점이 있어 편모충에 가깝다고 여겨지기도 했으며, 현재는 독립된 분류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3. 생태
대부분의 섬모충류는 종속영양생물로, 세균, 조류와 같은 작은 유기체와 부스러기를 먹고 산다. 일부는 입이 없어 삼투영양으로 먹이를 섭취하고, 다른 섬모충류는 다른 원생동물, 특히 다른 섬모충류를 먹는 포식성을 띤다. 많은 종들이 혼합영양생물로, 포식작용과 광합성생물을 도입엽록체를 통해 또는 광합성 미생물과의 공생을 통해 결합한다.[17][18] 섬모충류 ''Halteria''는 클로로바이러스를 먹는 것으로 관찰되었다.[19]
세균이나 유기물 미립자 등을 섭취하기도 하지만, 다른 단세포 생물을 포획하여 먹는 등 명확한 포식자로 행동하기도 한다. 단세포 조류를 세포 내에서 공생시키는 종도 알려져 있다.
기본적으로 수중 생활을 하며, 플랑크톤으로도 출현하지만, 흙 속이나 유기물 퇴적물 사이, 조류나 수초의 표면 등에 많이 서식한다. 오니(汚泥) 중에도 다수 출현한다. 자루를 가지고 고착하는 것은 조류나 수초 표면뿐만 아니라 물벼룩이나 규조 껍질 위에 고착하는 것도 있다. 복면에 굵은 섬모를 가진 것은 고형물 위를 기어다니며 바퀴벌레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특수한 예로 양 등 초식 포유류의 위장에 사는 것이 있는데, 초식 포유류는 셀룰로스 분해를 스스로 할 수 없으므로, 섬모충류나 세균류가 공생하여 이를 돕는다.
4. 생식
4. 1. 무성 생식
대부분의 섬모충류는 분열이라는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한다.[21] 분열 과정에서 미세핵은 유사분열을 거치고 대핵은 길게 늘어나 무사분열을 겪는다(대핵이 분열하지 않는 핵유물류 섬모충류 제외). 그런 다음 세포는 둘로 나뉘며, 각 새로운 세포는 미세핵과 대핵의 사본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가로로 나뉘며, 섬모충류의 앞쪽 절반(''프로터'')은 하나의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고, 뒤쪽 절반(''오피스테'')은 다른 개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일부 섬모충류 그룹에서는 다른 유형의 분열이 발생한다. 여기에는 ''출아''(성숙한 부모의 몸에서 작은 섬모충 자손, 즉 "유영자"가 출현하는 것), ''스트로빌라화''(세포체를 따라 여러 번 분열하여 새로운 개체 사슬을 생성하는 것), ''팔린토미''(여러 번의 분열, 일반적으로 낭포 내에서 발생)가 있다.[22]
분열은 영양 세포 주기의 일부로 자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자가 수정(자가생식)[23]의 결과로 진행될 수도 있고, 호환 가능한 교배형의 섬모충이 유전 물질을 교환하는 성적 현상인 접합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접합은 때때로 번식의 한 형태로 묘사되지만, 번식 과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개별 섬모충이나 그 자손의 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직접적으로 초래하지 않는다.[24]
적절한 조건에서는 많은 섬모충류가 분열과 같은 무성생식으로 수를 늘린다. 대부분 횡분열, 즉 몸이 앞뒤로 이분하는 형태로 분열한다. 그 외에, 출아나 세포 내에서 출아적으로 딸세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4. 2. 유성 생식
섬모충류는 유전자 재조합과 핵 재구성을 유발하는 성적 현상인 접합을 통해 유성 생식을 한다.[24][22] 접합 시, 서로 호환되는 짝짓기 유형의 두 섬모충류는 세포질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고, 미세핵은 감수 분열을 겪는다. 대핵은 사라지고, 반수체 미세핵이 다리를 통해 교환된다. 일부 섬모충류에서는 접합하는 세포가 영구적으로 융합되지만, 대부분의 섬모충류 그룹에서는 접합 후 세포가 분리되어, 두 세포 모두 미세핵으로부터 새로운 대핵을 형성한다.[26] 접합과 자가생식은 항상 분열을 동반한다.[22]
짚신벌레와 같은 많은 섬모충류에서 접합 짝(배우자체)은 크기와 모양이 유사하거나 구별할 수 없는데, 이를 "동배우자체" 접합이라고 한다. 반면, 일부 그룹에서는 짝의 크기와 모양이 다른 "이배우자체" 접합을 한다. 예를 들어, 착생 주새류에서 한쪽 짝(소접합자)은 작고 움직이며, 다른 짝(대접합자)은 크고 착생성이다.[24]
꼬리물결짚신벌레의 접합 단계는 다음과 같다.
# 호환되는 짝짓기 계통이 만나 부분적으로 융합된다.
# 미세핵은 감수 분열을 겪어 세포당 4개의 반수체 미세핵을 생성한다.
# 이 중 3개의 미세핵이 붕괴되고, 네 번째는 유사 분열을 겪는다.
# 두 세포는 미세핵을 교환한다.
# 세포가 분리된다.
# 각 세포의 미세핵이 융합되어 배수체 미세핵을 형성한다.
# 유사 분열이 세 번 일어나 8개의 미세핵이 생성된다.
# 새로운 미세핵 중 4개가 대핵으로 변환되고, 이전 대핵은 붕괴된다.
# 이분열이 두 번 일어나 4개의 동일한 딸세포가 생성된다.
세포가 직접 접합하는 유성 생식에서는 핵의 대핵과 소핵 중 소핵이 활발하게 활동한다. 짚신벌레의 경우, 두 세포가 같은 방향으로 몸을 향해 가까이 다가가면, 각각의 대핵은 소실되고, 소핵은 감수 분열로 수를 늘린다. 이후, 생긴 핵을 하나씩 서로 교환하여 접합이 종료된다. 각 세포 내에서는 교환한 핵과 원래 있던 핵이 융합하고, 그 후 대핵이 새롭게 형성된다. 이 방법은 배우자나 접합자가 특별히 생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특수하다.
5. DNA 재배열 (유전자 스크램블링)
섬모충류는 대부분의 다른 진핵생물과 달리 핵을 두 종류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작고 이배체인 미세핵이고 다른 하나는 크고 증폭된 대핵이다.[14][15] 대핵은 게놈 증폭과 편집을 통해 미세핵에서 생성된다. 대핵 DNA는 소핵 DNA로부터 유래되며, DNA 재배열과 증폭을 거친다.[15]
대핵은 소핵 복제본으로 시작하여, 소핵 염색체는 여러 조각으로 분절되고 증폭되어 많은 사본을 생성한다. 생성된 대핵 염색체는 종종 단일 유전자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Tetrahymena''의 소핵은 염색체 10개를 갖는 반면, 대핵은 20,000개 이상의 염색체를 갖는다.[27]
소핵 유전자는 "내부 제거 서열"(IES)에 의해 중단되는데, 대핵 발달 동안 IES는 제거되고, 나머지 유전자 분절인 대핵 운명 서열(MDS)은 연결되어 작동하는 유전자를 생성한다. ''Tetrahymena''는 약 6,000개의 IES를 가지며, 이 과정에서 소핵 DNA의 약 15%가 제거된다. 이 과정은 작은 RNA와 후성 유전 염색질 표지에 의해 유도된다.[27]
나선섬모충 섬모충류(예: ''Oxytricha'')에서는 "유전자 스크램블링"으로 인해 이 과정이 훨씬 더 복잡하다. 소핵의 MDS는 종종 대핵 유전자와 다른 순서와 방향으로 존재하므로, DNA 염색체 역위 및 염색체 전좌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부모 대핵에서 파생된 긴 RNA에 의해 유도된다. 나선섬모충 대핵 발달 동안 소핵 DNA의 95% 이상이 제거된다.[27]
6. 노화
클론 개체군인 짚신벌레에서 노화는 연속적인 세대에 걸쳐 발생하여 활력의 점진적인 손실을 초래하며, 접합 또는 자가수정에 의해 세포주가 활력을 되찾지 않는 한 지속된다. ''Paramecium tetraurelia''에서 클론 노화 라인은 접합 또는 자가 수정을 통해 세포주가 젊어지지 않으면 약 200번의 분열 후에 활력을 잃고 소멸된다. 클론 노화의 기초는 1986년 Aufderheide의 이식 키메라 실험[28]에 의해 밝혀졌는데, 그는 세포질이 아닌 대핵이 클론 노화의 원인임을 입증했다. Smith-Sonneborn,[29] Holmes and Holmes,[30] 및 Gilley and Blackburn[31]의 추가 실험은 클론 노화 동안 DNA 손상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DNA 손상은 ''P. tetraurelia''의 노화의 원인으로 보인다.
7. 계통 분류
다음은 피하낭류의 계통 분류이다.[40][41][42]
디노조아
* 와편모충류
* 페르킨수스류
넓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 좁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 크로메라류
* 콜포델라류
2016년의 계통 분석에 따르면,[1] 메소디니류는 다른 모든 섬모충류의 자매군으로 일관되게 나타난다. 또한 내대핵류 내에서 두 개의 큰 하위 그룹이 구분된다.
- SAL (나선섬모충강+무장섬모충강+구협섬모충강)
- CONthreeP 또는 복부섬모충류(콜포데아강+빈모강+비섬모강+엽인두강+사구섬모충강+전구강)
원형십자섬모충강은 복부섬모충류/CONthreeP의 자매군으로 나타난다. 카리아코섬모충강은 분석에서 제외되었지만, 원래 내대핵류의 일부로 확립되었다.[1]
이치구섬모충류는 2018년에[34] 이치구섬모충강으로 확인되었으며, 무장섬모충강과 관련이 있다.
'''섬모충류'''
- 메소디니류
- 후섬모형강
- * 핵유물섬모충강
- * 이형섬모충강
- 내대핵류
- * SAL
- ** 이치구섬모충강
- ** 무장섬모충강
- ** 구협섬모충강
- ** 나선섬모충강
- * 카리아코섬모충강
- * 원형십자섬모충강
- * CONthreeP
- ** 원반섬모충목
- ** 콜포데아강
- ** 비섬모강
- ** 엽인두강
- ** 빈모강
- ** 전구강
- ** 사구섬모충강
과거에는 단세포 동물로서 원생동물 중 가장 복잡한 체제를 가지고 가장 고등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종류가 후생동물의 조상이라는 섬모충류 기원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동물계와의 계통 관계가 부정되었으며, 오히려 단세포 조류인 와편모조류, 말라리아 원충을 포함하는 아피콤플렉사와 매우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세 그룹을 묶어 알베올라타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여기에 어떤 분류학적 위치를 부여할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8. 분류
섬모충류는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안되었으며, 현재도 하위 분류군에 대한 개편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 중 하나이다.[1]
아문 | 강 | 목 | 비고 |
---|---|---|---|
후향미세소관섬모충아문 (Postciliodesmatophora) | 원시대핵강 (Karyorelictea) | 원구목 (Protostomatida), 록소데스목 (Loxodida), 원시이모목 (Protoheterotrichida) | |
이모강 (Heterotrichea) | 이모목 (Heterotrichida), Licnophorida | 나팔벌레속(Stentor) 포함 | |
colspan="2"| | |||
내핵아문 (Intramacronucleata) | 콜포다강 (Colpodea) | 콜포다속(Colpoda) 포함 | |
열구섬모충강 (Litostomatea) | 신장구목 (Haptorida), 측구목 (Pleurostomatida) | 강섬모충속(Didinium) 포함 | |
Vestibulifera, Entodiniomorphida | 낭섬모충속(Balantidium) 포함 | ||
선모강 (Spirotrichea) | 미주목 (Urostylida), 열하모목 (Stichotrichida), 산포하모목 (Sporadotrichida), Plagiotomida | Tintinnidium, Halteria, Stylonychia 포함 | |
자라하모목 (Euplotida), Kiitrichida | |||
층상인두강 (Phyllopharyngea) | 클라미도돈목 (Chlamydodontida), 디스테리아목 (Dysteriida) | ||
외생배목 (Exogemmida), 내생배목 (Cryptogemmida) | |||
유문목 (Rhynchodida), 히포코마목 (Hypocomatida) | |||
바구니섬모충강 (Nassophorea) | |||
전구섬모충강 (Prostomatea) | Coleps 포함 | ||
빈막강 (Oligohymenophorea) | 빈막목 (Peniculida) | 짚신벌레속(Paramecium) 포함 | |
고착목 (Sessilida), 유영목 (Mobilida) | 종벌레속(Vorticella) 포함 | ||
사모충목 (Plagiopylida) |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한 인트라마크로누클레이아타류[39]
- 피갑목 (Armophorida) - 피갑류 (Armophorea)로 분류하기도 한다.
- Clevelandellida - 피갑류 (Armophorea)로 분류하기도 한다.
- 즐구목 (Odontostomatida) - 사모섬모충강 (Plagiopylea)에 포함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 Phacodiniida


8. 1. 후향미세소관섬모충아문 (Postciliodesmatophora)
- 원시대핵강 (Karyorelictea)
- ** 원구류 (原口類) 또는 원구목 (Protostomatida)
- ** 록소데스목 (Loxodida)
- ** 원시이모류 (原始異毛類) 또는 원시이모목 (Protoheterotrichida)
- 이모류 (異毛類) 또는 이모강 (Heterotrichea) - 나팔벌레속 (''Stentor'')
- ** 이모목 (異毛目, Heterotrichida)
- ** Licnophorida
8. 2. 내핵아문 (Intramacronucleata)
내핵아문(Intramacronucleata)은 다양한 섬모충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다음은 내핵아문에 속하는 주요 강(Class)들이다.- 콜포다강 (Colpodea) - 예: 콜포다속(`Colpoda`)
- 열구섬모충강 (Litostomatea)
- 독포섬모충류(Haptoria) - 예: 강섬모충속(`Didinium`)
- 신장구류 (Haptorida)
- 측구목 (Pleurostomatida)
- 모구류 (Trichostomatia) - 예: 낭섬모충속(`Balantidium`)
- Vestibulifera
- Entodiniomorphida
- 선모류 (Spirotrichea)
- 산모류 (Choreotrichia) - 예: `Tintinnidium`
- 소모류 (Oligotrichia) - 예: `Halteria`
- 극모류 (Stichotrichia) - 예: `Stylonychia`
- 미주류 (Urostylida)
- 열하모류 (Stichotrichida)
- 산포하모류 (Sporadotrichida)
- Plagiotomida
- 하모류 (Hypotrichia)
- 자라하모류 (Euplotida)
- Kiitrichida
- 층상인두류 (Phyllopharyngea)
- 층상인두아강 (Phyllopharyngia)
- 클라미도돈목 (Chlamydodontida)
- 디스테리아목 (Dysteriida)
- 누두류 (Chonotrichia)
- 외생배류 (Exogemmida)
- 내생배류 (Cryptogemmida)
- 유문아강 (Rhynchodia)
- 유문류 (Rhynchodida)
- 히포코마목 (Hypocomatida)
- 흡관류 (Suctoria)
- 외생아류 (Exogenida)
- 내생아류 (Endogenida)
- 외전아류 (Evaginogenida)
- 바구니섬모충류 (Nassophorea)
- 전구섬모충류 (Prostomatea) - 예: `Coleps`
- 빈막류 (Oligohymenophorea)
- 빈막아강 (Peniculia) - 예: 짚신벌레(`Paramecium`)
- 빈막목 (Peniculida)
- 막구아강 (Hymenostomatia) - 예: 테트라하이메나(`Tetrahymena`)
- Scuticociliatia
- 주모류 (Peritrichia) - 예: 종벌레(`Vorticella`)
- 고착류 (Sessilida)
- 유영류 (Mobilida)
- 무구아강 (Astromatia)
- 무구목 (Astomatida)
- 후구류 (Apostomatia)
- 사모섬모충류 (Plagiopylea)
- 사모충목 (Plagiopylida)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한 인트라마크로누클레이아타류는 다음과 같다.[39]
- 피갑목 (Armophorida) - 피갑류 (Armophorea)로 분류하기도 한다.
- Clevelandellida - 피갑류 (Armophorea)로 분류하기도 한다.
- 즐구류 (Odontostomatida) - 사모섬모충강 (Plagiopylea)에 포함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 Phacodiniida
9. 이용
생활 속에서 의식적으로 이용하는 장면은 거의 없다. 과학 교육에서는 종벌레, 나팔벌레, 짚신벌레 등이 초등학교부터 좋은 관찰 재료가 된다.
모델 생물로 몇 가지가 이용되고 있다. 테트라히메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이다.
참조
[1]
논문
The All-Data-Based Evolutionary Hypothesis of Ciliated Protists with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Phylum Ciliophora (Eukaryota, Alveolata)
2016-04-29
[2]
논문
Anaerobic ciliates as a model group for studying symbioses in oxygen-depleted environments
https://pubmed.ncbi.[...]
[3]
서적
Protist Diversit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https://www.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09
[4]
논문
Regulation of zo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on in a temperate, coastal ecosystem. 2. Ciliates
[5]
서적
The Ciliated Protozoa 3rd Edi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6]
웹사이트
ITIS Report
https://www.itis.gov[...]
2014-12-11
[7]
논문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2018-01-01
[8]
논문
Reconsideration of systematic relationships within the order Euplotida (Protista, Ciliophora) using new sequences of the gene coding for small-subunit rRNA and testing the use of combined data sets to construct phylogenies of the Diophrys-complex
2008-12
[9]
논문
A unique euplotid ciliate, Gastrocirrhus (Protozoa, Ciliophora): assessment of its phylogenetic position inferred from the small subunit rRNA gene sequence
[10]
서적
Urtiere oder Protozoa I: Wimpertiere oder Ciliata -- Volume I General Section And Prostomata
https://archive.org/[...]
1930
[11]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CILIATA
https://www.merriam-[...]
2017-12-22
[12]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2019
[13]
논문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14]
논문
The Macronucleus of Ciliates
https://books.google[...]
1969
[15]
서적
Handbook of the Protists
https://www.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16]
논문
The DNA of ciliated protozoa.
1994-06
[17]
논문
Mixotrophy in ciliates
https://pubmed.ncbi.[...]
[18]
논문
Dimorphism in cryptophytes-The case of Teleaulax amphioxeia/Plagioselmis prolonga and its ecological implications
[19]
논문
The consumption of viruses returns energy to food chains
2023-01-03
[20]
서적
The Ciliated Protozoa: Characterization, Classification, and Guide to the Literature
https://archive.org/[...]
Springer
[21]
서적
The ciliated protozoa: characterization, classification, and guide to the literature
Springer
2008
[22]
서적
The ciliated protozoa: characterization, classification, and guide to the literature
Springer
2008
[23]
논문
Autogamy in Paramecium. Cell cycle stage-specific commitment to meiosis
1986-10
[24]
논문
Nuclear phenomena during conjugation and autogamy in ciliates
http://www.sciencedi[...]
1972
[25]
간행물
The conjugation of ''Vorticella microstoma''
1943
[2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Ciliata
http://www.ucmp.berk[...]
2009-01-16
[27]
논문
DNA rearrangements directed by non-coding RNAs in ciliates
[28]
논문
Clonal aging in ''Paramecium tetraurelia''. II. Evidence of functional changes in the macronucleus with age
[29]
논문
DNA repair and longevity assurance in Paramecium tetraurelia
[30]
논문
Accumulation of DNA damages in aging ''Paramecium tetraurelia''
1986-07
[31]
논문
Lack of telomere shortening during senescence in ''Paramecium''
http://www.pnas.org/[...]
[32]
논문
Ciliated protozoans from the Precambrian Doushantuo Formation, Wengan, South China
[33]
논문
Triassic leech cocoon from Antarctica contains fossil bell animal
2012-12-18
[34]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and comparative morphology indicate that odontostomatids (Alveolata, Ciliophora) form a distinct class-level taxon related to Armophorea
https://www.scienced[...]
2018
[35]
간행물
Flagellate megaevolution: the basis for eukaryote diversific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00
[36]
웹사이트
Balantidias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37]
학술지
Current World Status of ''Balantidium coli''
2008-10
[38]
학술지
Taxonomic re-assignment of Cryptocaryon irritans, a marine fish parasite
[39]
웹인용
Intramacronucleata incertae sedis
http://www.marinespe[...]
2013-03-22
[40]
학술지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
[41]
학술지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42]
학술지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2017-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