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도롱뇽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주도롱뇽과는 폐가 없고 피부와 입 안쪽 조직을 통해 호흡하며, 4개의 사지를 가진 도롱뇽 과이다. 대부분의 종이 육상에서 생활하며, 혀를 발사하여 먹이를 잡는 특징을 보인다. 북미 대륙에 주로 분포하며, 유럽과 대한민국에서도 일부 종이 발견된다. 현재 2개의 아과와 약 516~520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UCN 적색 목록에 따라 다양한 보존 상태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주도롱뇽과 - 이끼도롱뇽
이끼도롱뇽은 한국 고유종으로, 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며 곤충류를 먹고, 4월부터 활동하며, 서식지 파괴로 개체군 피해가 우려되어 충청남도 야생생물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주도롱뇽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Plethodontidae |
과 | 미주도롱뇽과 |
명명자 | Gray, 1850년 |
분류 | |
목 | 유미목 (Urodela) |
아목 | 영원아목 (Salamandroidea) |
하위 분류 | |
아과 | 헤미닥틸리나에 (Hemidactyliinae) 플레토돈티나에 (Plethodontinae) |
속 | * 본문 참조 |
기타 | |
멸종 | Palaeoplethodon |
참고 문헌 |
2. 생물학적 특징
미주도롱뇽과는 다른 도롱뇽과 구별되는 몇 가지 독특한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폐가 없다는 점으로, 이들은 주로 피부와 입 안쪽의 점막 조직을 통해 호흡한다.[1] 성체는 일반적으로 네 개의 다리를 가지며, 앞다리에는 네 개의 발가락, 뒷다리에는 보통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다. 몸통에는 늑골 홈이 있어 몸 표면을 따라 물을 이동시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12]
크기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성체의 크기가 27mm에서 325mm까지 이른다. 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은 상당히 크게 자랄 수 있는데, 가장 큰 종인 벨 거짓 개울 도롱뇽(Isthmura bellii)은 최대 36cm 길이에 도달할 수 있다.[3]
콧구멍과 윗입술 사이에는 '비순구'라는 좁은 홈이 있어 화학수용 능력을 향상시킨다.[1][19] 또한 많은 종이 먹이를 잡기 위해 혀를 빠른 속도로 발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미주도롱뇽과는 체내 수정을 하며, 육상에서 알을 낳는다. 이 알들은 수생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어린 도롱뇽 형태로 부화하는 직접 발생을 하는 경우가 많다.[2] 이는 육상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어미가 알을 보호하는 행동이 발달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일부 동굴 도롱뇽 종은 유생 시기의 아가미를 성체가 되어서도 유지하는 네오테니(유형 성숙)를 보이기도 한다.[11] 또한 복잡하고 정형화된 구애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개체 수로 볼 때 미주도롱뇽과는 서식지에서 매우 성공적인 동물이다. 특정 지역에서는 척추동물 중 가장 우세한 생물량을 차지하기도 한다.[4] 예를 들어, 남부붉은등도롱뇽은 마크 트웨인 국유림(Mark Twain National Forest)의 한 구역에만 약 18억 8천만 마리가 서식하며, 이는 약 1.4Kt의 생물량에 해당한다고 추정된다.[5] 작은 크기와 낮은 신진대사 덕분에 다른 육상 척추동물이 이용하기 어려운 톡토기와 같은 작은 먹이를 주로 섭취하며, 이를 통해 다른 동물들과의 경쟁을 최소화하는 독자적인 생태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2. 1. 호흡
미주도롱뇽과(Plethodontidae)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폐가 없다는 점이다. 이들은 주로 피부와 입 안쪽의 점막 조직을 통해 호흡(피부 호흡)한다.[1] 몸통에는 늑골 홈이 있는데, 이는 몸 표면을 따라 물을 이동시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며 피부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한다.[12]미주도롱뇽과 도롱뇽은 거의 전적으로 피부 호흡에 의존하며,[15] 전체 산소 섭취량의 약 83%에서 93%가 피부를 통해 이루어진다.[13] 이들의 호흡률은 표면적 대 부피(SA:V) 비율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SA:V 비율이 높은 종일수록 더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14] 피부 호흡은 공기나 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므로, 폐 호흡과 달리 환기에 의한 제한 없이 지속적인 가스 교환이 가능하다.[15] 산소 분압이 동일하다면 물과 공기 양쪽에서 비슷한 효율로 산소를 흡수할 수 있다.[16] 다만, 산소화된 혈액과 산소화되지 않은 혈액이 정맥계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의 산소 부분 압력은 일반적으로 낮은 편이다.[15]
미주도롱뇽과는 저산소증 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데, 이는 혐기성 호흡에 의존하기보다는 대사율 자체를 낮추어 산소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장기간 저산소 환경을 견디는 것으로 밝혀졌다.[16]
흥미롭게도 미주도롱뇽과는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폐의 원기(폐가 될 초기 구조)를 형성한다.[17] 이 폐 원기는 발생 후 약 3주 동안 다른 유폐 도롱뇽과 유사하게 발달하지만, 이후 세포 자멸사 과정을 통해 퇴화하여 사라진다.[17] 또한, 다른 척추동물에서는 주로 폐에서 발견되는 SFTPC 유전자의 유사 유전자가 미주도롱뇽과의 유생 시기에는 피부에서 발현되고, 변태 후 성체가 되면 구강 인두 점막에서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유전자는 폐의 표면 활성제와 유사한 물질을 분비하여 피부나 구강 점막을 통한 호흡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8]
미주도롱뇽과의 폐가 없는 특징은 이들의 조상이 물살이 빠른 계류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부력으로 인해 몸이 떠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폐가 퇴화한 결과라는 가설이 있다.
일부 동굴 도롱뇽 종에서는 네오테니(유형 성숙) 현상이 나타나 유생 시기의 아가미를 성체가 되어서도 그대로 유지하며 호흡에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체 미주도롱뇽과에서는 아가미가 존재하지 않는다.[11]
2. 2. 번식
미주도롱뇽과는 다른 어떤 도롱뇽 과에서도 나타나지 않는 매우 정형화되고 복잡한 짝짓기 행동과 구애 의식을 보인다. 이러한 짝짓기 행동은 모든 미주도롱뇽과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대표적으로 암컷이 수컷의 꼬리 밑부분에 머리를 대고 몸으로 꼬리를 감싸는 '꼬리 걸치기 보행'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수컷은 몸을 돌려 정자가 담긴 주머니인 정포를 암컷의 주둥이 앞에 있는 땅이나 물체 위에 놓는다. 그 후 수컷은 꼬리를 이용하여 암컷을 정포 위로 유도하고, 암컷은 자신의 총배설강을 정포에 대어 정자 덩어리를 몸 안으로 받아들인다. 이때 정포의 밑부분은 그대로 남게 된다.[6]많은 미주도롱뇽과 종의 구애 의식에서는 수컷이 페로몬을 전달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특히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구애 행동의 일환으로 암컷의 머리 피부를 긁는 데 사용되는 커다란 앞니를 발달시킨다. 그런 다음, 턱 아래에 위치한 정신샘이라는 조직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을 암컷의 긁힌 부위에 문지른다.[6][7][8][9]
구애 페로몬은 다양한 이유로 수컷의 짝짓기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전반적으로 페로몬 분비는 암컷이 구애를 받아들이고 정자를 수용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특정 암컷과의 성공적인 짝짓기 확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구애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 구애 시간이 짧아지면 다른 경쟁 수컷에게 방해받을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는 수컷에게 중요한 이점이 된다.[10]
수컷 미주도롱뇽의 정신샘은 계절적 변화를 보이는데, 연구에 따르면 단순 관상샘의 높이나 직경에는 약간의 변화만 있지만, 분비 과립의 직경에서는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수컷이 연중 내내 짝짓기를 할 수 있는 반면, 암컷은 특정 계절에만 산란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미주도롱뇽과는 체내 수정을 하며, 대부분의 종이 육상에 알을 낳는다. 이 알들은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어린 도롱뇽 형태로 발생한다. 육상에 낳은 알은 건조나 곰팡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미가 알을 지키는 보호 습성이 발달해 있으며, 일부 종은 부화한 어린 개체를 보호하기도 한다.
2. 3. 구애 행동
미주도롱뇽과는 다른 어떤 도롱뇽 과에서도 나타나지 않는 매우 정형화되고 복잡한 짝짓기 행동과 구애 의식을 보인다. 짝짓기 행동은 모든 미주도롱뇽과에서 균일한 경향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암컷이 수컷의 꼬리 밑동에 머리를 대고 몸으로 꼬리를 감싸는 '꼬리 걸치기 보행'을 포함한다. 수컷은 몸을 돌려 정자 덩어리인 정포를 암컷의 주둥이 앞 바닥에 놓는다. 이후 수컷은 꼬리로 암컷을 정포 위로 유도하고, 암컷은 총배설강을 정포에 대어 정자 덩어리를 몸 안으로 가져간다. 이때 정포의 밑부분은 바닥에 남겨둔다.[6]
많은 미주도롱뇽과 종에서는 구애 의식 중에 수컷이 페로몬을 전달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앞니가 커지는데, 이는 구애 과정에서 암컷의 머리 피부를 긁는 데 사용된다. 그 후, 수컷은 턱 아래에 위치한 정신샘이라는 조직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을 암컷의 긁힌 부위에 문지른다.[6][7][8][9]
구애 페로몬은 여러 이유로 수컷의 짝짓기 성공률을 크게 높인다. 페로몬 분비는 암컷이 구애와 정자 전달을 더 잘 받아들이게 만든다. 이는 특정 암컷과의 성공적인 짝짓기 가능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구애 시간을 단축시켜 다른 경쟁 수컷에게 방해받을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수컷 미주도롱뇽의 정신샘은 단순 관상샘의 높이와 직경에서 약간의 변화만 보이지만, 분비 과립의 직경에서는 큰 변화가 관찰된다. 이는 수컷이 연중 짝짓기가 가능한 반면, 암컷은 특정 계절에만 산란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2. 4. 화학수용
미주도롱뇽과의 특징 중 하나는 콧구멍과 윗입술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한 좁은 홈인 비순구(nasolabial grooveeng)이다.[1][19] 이 홈에는 샘이 줄지어 있어 화학수용 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는 미주도롱뇽과에서 후각엽과 비강 점막이 다른 도롱뇽 과에 비해 더 발달한 것과 관련이 있다.[1][19] 일부 자료에서는 이를 비순선(鼻唇腺)이라고도 부르며, 좁은 홈 모양의 후각 기관으로 설명한다.비순구의 존재는 미주도롱뇽과가 폐가 없다는 사실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폐가 있는 일부 도롱뇽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발견되지만, 크기가 더 작고 미주도롱뇽과처럼 콧구멍(비공) 근처에 배열되어 있지는 않다.[19] 미주도롱뇽과는 폐가 없어 공기를 내뿜어 비강 내 기압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후각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물이나 이물질을 비강에서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19]
비순구는 이러한 배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홈은 콧구멍 주변에서 더 깊고 좁으며, 홈에 있는 샘의 구멍은 약간 솟아 있어 중력에 의해 액체가 콧구멍과 비강 함몰부에서 흘러나가도록 돕는다. 또한, 콧구멍 주변의 비순샘은 지질 막을 분비하는데, 이 분비물과 물의 극성 차이로 인해 비강에서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더욱 도움을 준다.[19]
2. 5. 혀
많은 종이 발사체 혀와 설골 장치를 가지고 있어 먹이를 잡기 위해 몸길이의 거의 1배에 달하는 거리를 빠른 속도로 발사할 수 있다.3. 생태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성체는 폐가 없고 피부와 입 안쪽 표면(구강)을 통해 호흡한다. 이는 과거 계류에 서식하던 조상이 물에 떠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폐가 퇴화한 결과로 여겨진다. 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은 상당히 크게 자랄 수 있는데, 가장 큰 종인 벨 거짓 개울 도롱뇽(Isthmura bellii)은 몸길이가 36cm에 달하기도 한다.[3] 성체의 크기는 종에 따라 27mm에서 325mm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앞다리에는 4개, 뒷다리에는 5개의 발가락이 있다. 또한, 많은 종들은 먹이를 잡기 위해 혀를 몸길이만큼이나 멀리, 빠른 속도로 쏠 수 있는 발사체 혀와 설골 장치를 가지고 있다. 윗입술과 콧구멍 사이에는 비순선( Naso-labial grooveeng )이라는 좁은 홈 모양의 후각 기관이 있는 것도 특징이다.
대부분의 미주도롱뇽과는 체내 수정을 하며, 많은 종들이 육상에서 짝짓기와 번식을 한다. 이들은 알을 육지에 낳으며, 올챙이와 같은 수생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어미와 같은 모습의 작은 새끼로 바로 부화하는 직접 발생을 한다. 이는 다른 도롱뇽과에 비해 알의 크기가 커지고 배아 발달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2] 육상에 알을 낳는 종들은 알이 마르거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어미가 알을 보호하는 습성이 발달했으며, 일부 종은 부화한 새끼까지 보호하기도 한다. 또한 복잡한 구애 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생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게 되면서 번식을 위해 물가에 의존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는 미주도롱뇽과가 다양한 육상 환경으로 퍼져나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종 분화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이들의 생태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완전히 물속에서만 사는 종(유생 상태로 성숙하는 종 포함), 완전히 육지에서만 사는 종, 심지어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성 종까지 존재한다.
개체 수 측면에서 미주도롱뇽과는 서식지에서 매우 성공적인 동물로 평가받는다. 일부 지역에서는 척추동물 중 가장 많은 생물량을 차지하기도 한다.[4] 예를 들어, 미주리주의 마크 트웨인 국유림(Mark Twain National Forest) 한 구역에는 남부 붉은배 도롱뇽(Southern red-backed salamander)이 약 18억 8천만 마리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약 1400ton의 생물량에 해당한다.[5] 작은 몸집과 낮은 신진대사 덕분에 다른 육상 척추동물들이 잘 이용하지 않는 톡토기(Collembola)와 같은 작은 먹이를 주로 먹을 수 있어, 다른 동물 그룹과의 경쟁을 피하며 독자적인 생태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4. 진화사
미주도롱뇽과는 자매군인 뱀도롱뇽과에서 백악기-고생대 경계 즈음에 분화되었으며, 고생대에 걸쳐 다양하게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20] 이 과의 기원은 북아메리카로 여겨진다. 유럽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화석은 슬로바키아의 중기 미오세 지층에서 나왔다.[21]
이들은 주로 알래스카 최남단과 캐나다 노바스코샤 이남의 북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며, 특히 애팔래치아 산맥 지역에 많은 종이 서식한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볼리비아 중부와 브라질 동남부에도 분포하는데, 이는 남반구에 서식하는 유일한 유미목 과이다.
유럽에는 미즈카키도롱뇽속에 속하는 몇몇 종만이 남부 프랑스,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 등지에 분포한다. 한편, 2005년 대한민국에서는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신종인 이끼도롱뇽(''Karsenia koreana'')이 발견되었다. 면역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한국의 이끼도롱뇽은 올리고세 시기 미주도롱뇽류가 베링 해협을 건너 유라시아 대륙으로 분포를 넓혔을 때 남겨진 유존종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5. 분포
주로 알래스카 최남부, 캐나다 노바스코샤 이남의 북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한다. 특히 애팔래치아 산맥 지역에 많은 종이 집중되어 서식하고 있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볼리비아 중부와 브라질 동남부에서도 발견되며, 남반구에 서식하는 유미목 중 유일한 과이다.
미즈카키도롱뇽속에 속하는 몇몇 종은 남유럽의 남부 프랑스, 이탈리아, 사르데냐 섬 등지에 분포한다. 또한, 2005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새로운 종인 이끼도롱뇽(''Karsenia koreana'')이 발견되었다. 면역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한국의 이끼도롱뇽은 올리고세 시기에 베링 해협을 건너 유라시아 대륙으로 분포를 넓혔던 종들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존종으로 여겨진다.
6. 분류
미주도롱뇽과(Plethodontidae)는 도롱뇽목(Caudata) 영원아목(Salamandroidea)에 속하는 양서류 과이다.[27] 이 과는 현존하는 도롱뇽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알려진 전체 도롱뇽 종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아과(Hemidactyliinae, Plethodontinae)로 나뉘며, 약 29개 속에 516에서 520 종이 속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1. 하위 분류
미주도롱뇽과(Plethodontidae)는 현존하는 2개의 아과와 약 516~520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9개 속에 나뉘어 알려진 도롱뇽 종의 대다수를 차지한다:아과 | 속, 학명 및 저자 | 일반명 | 종 수 |
---|---|---|---|
Hemidactyliinae Hallowell, 1856 | Aquiloeurycea Rovito, Parra-Olea, Recuero, and Wake, 2015 | 6 - 7 | |
Batrachoseps Bonaparte, 1839 | 가는도롱뇽 | 23 | |
Bolitoglossa Duméril, Bibron & Duméril, 1854 | 열대나무도롱뇽 | 139 - 140 | |
Bradytriton Wake & Elias, 1983 | 핀카 치블락 도롱뇽 | 1 | |
Chiropterotriton Taylor, 1944 | 벌어진발 도롱뇽 | 23 | |
Cryptotriton García-París & Wake, 2000 | 숨겨진 도롱뇽 | 7 | |
Dendrotriton Wake & Elias, 1983 | 파인애플 도롱뇽 | 8 | |
Eurycea Rafinesque, 1822 | 북아메리카 개울 도롱뇽 | 34 | |
Gyrinophilus Cope, 1869 | 샘 도롱뇽 | 4 | |
Hemidactylium Tschudi, 1838 | 네발가락 도롱뇽 | 1 | |
Isthmura Dubois and Raffaelli, 2012 | 7 | ||
Ixalotriton Wake and Johnson, 1989 | 점핑 도롱뇽 | 2 | |
Nototriton Wake & Elias, 1983 | 이끼 도롱뇽 | 22 | |
Nyctanolis Elias & Wake, 1983 | 긴 팔다리 도롱뇽 | 1 | |
Oedipina Keferstein, 1868 | 벌레 도롱뇽 | 40 | |
Parvimolge Taylor, 1944 | 열대 난쟁이 도롱뇽 | 1 | |
Pseudoeurycea Taylor, 1944 | 가짜 개울 도롱뇽 | 41 | |
Pseudotriton Tschudi, 1838 | 진흙 및 붉은 도롱뇽 | 2 - 4 | |
Stereochilus Cope, 1869 | 줄무늬 도롱뇽 | 1 | |
Thorius Cope, 1869 | 미세 도롱뇽 | 29 | |
Urspelerpes Camp, Peterman, Milanovich, Lamb, Maerz, and Wake, 2009 | 패치코 도롱뇽 | 1 | |
Plethodontinae Gray, 1850 | Aneides Baird, 1851 | 나무 도롱뇽 | 10 |
Desmognathus Baird, 1850 | 검은 도롱뇽 | 39 | |
Ensatina Gray, 1850 | 엔사티나 | 1 | |
Hydromantes Gistel, 1848 | 물갈퀴 도롱뇽 | 5 | |
Karsenia Min, Yang, Bonett, Vieites, Brandon & Wake, 2005 | 한국 틈새 도롱뇽 | 1 | |
Phaeognathus Highton, 1961 | 레드 힐스 도롱뇽 | 1 | |
Plethodon Tschudi, 1838 | 끈적이고 산 도롱뇽 | 58 | |
Speleomantes Dubois, 1984 | 유럽 동굴 도롱뇽 | 8 |
2006년의 주요 개정을 통해, 속 ''Haideotriton''은 ''Eurycea''의 동의어로 밝혀졌고, 속 ''Lineatriton''은 ''Pseudoeurycea''의 동의어로 간주되었다.[22]
미오세 화석 유해로 보존된 단 하나의 헤미닥틸리인(''Palaeoplethodon'')이 도미니카 호박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카리브해에서 도롱뇽이 기록된 유일한 사례이다.[23]
6. 2. 계통 분류
도롱뇽목(Caudata) 영원아목(Salamandroidea)에 속하는 과이다.[27] 미주도롱뇽과(Plethodontidae)는 현존하는 도롱뇽 중 가장 큰 과로, 알려진 도롱뇽 종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2개의 아과와 약 516~520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29개 속으로 나뉜다:아과 | 속 (학명) | 일반명 | 종 수 |
---|---|---|---|
Hemidactyliinae | Aquiloeurycea | 6 - 7 | |
Batrachoseps | 가는도롱뇽 | 23 | |
Bolitoglossa | 열대나무도롱뇽 | 139 - 140 | |
Bradytriton | 핀카 치블락 도롱뇽 | 1 | |
Chiropterotriton | 벌어진발 도롱뇽 | 23 | |
Cryptotriton | 숨겨진 도롱뇽 | 7 | |
Dendrotriton | 파인애플 도롱뇽 | 8 | |
Eurycea | 북아메리카 개울 도롱뇽 | 34 | |
Gyrinophilus | 샘 도롱뇽 | 4 | |
Hemidactylium | 네발가락 도롱뇽 | 1 | |
Isthmura | 7 | ||
Ixalotriton | 점핑 도롱뇽 | 2 | |
Nototriton | 이끼 도롱뇽 | 22 | |
Nyctanolis | 긴 팔다리 도롱뇽 | 1 | |
Oedipina | 벌레 도롱뇽 | 40 | |
Parvimolge | 열대 난쟁이 도롱뇽 | 1 | |
Pseudoeurycea | 가짜 개울 도롱뇽 | 41 | |
Pseudotriton | 진흙 및 붉은 도롱뇽 | 2 - 4 | |
Stereochilus | 줄무늬 도롱뇽 | 1 | |
Thorius | 미세 도롱뇽 | 29 | |
Urspelerpes | 패치코 도롱뇽 | 1 | |
Plethodontinae | Aneides | 나무 도롱뇽 | 10 |
Desmognathus | 검은 도롱뇽 | 39 | |
Ensatina | 엔사티나 | 1 | |
Hydromantes | 물갈퀴 도롱뇽 | 5 | |
Karsenia | 한국 틈새 도롱뇽 | 1 | |
Phaeognathus | 레드 힐스 도롱뇽 | 1 | |
Plethodon | 끈적이고 산 도롱뇽 | 58 | |
Speleomantes | 유럽 동굴 도롱뇽 | 8 |
2006년의 주요 분류 개정에서는 ''Haideotriton'' 속이 ''Eurycea'' 속의 동의어로, ''Lineatriton'' 속이 ''Pseudoeurycea'' 속의 동의어로 간주되었다.[22]
미오세 도미니카 호박에서 발견된 헤미닥틸리우스아과 화석(''Palaeoplethodon'')은 카리브해 지역에서 유일하게 기록된 도롱뇽 화석이다.[23]
7. 보존 상태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2]
논문
Lung development in lungless salamanders!
2011
[3]
웹사이트
Bell's False Brook Salamander - World Land Trust
https://www.worldlan[...]
[4]
서적
Community ecology and salamander gui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
웹사이트
Salamanders a more abundant food source in forest ecosystems than previously thought
https://www.scienced[...]
2014-11-18
[6]
서적
Reproductive biology and phylogeny of Urodela
Science Publishers
2003
[7]
논문
Phylogeny of Mental Glands, Revisited
2016-03-17
[8]
논문
Ultrastructure of the mental gland of the Red-Backed Salamander, ''Plethodon cinereus'' (Amphibia: Plethodontidae)
https://onlinelibrar[...]
2016-01-18
[9]
논문
Histology of mental and caudal courtship glands in three genera of plethodontid salamanders (Amphibia: Plethodontidae)
http://www2.southeas[...]
2022-07-05
[10]
논문
Male courtship pheromones increase female receptivity in a plethodontid salamander
1990
[11]
서적
Fossil Salamanders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2]
논문
Salamanders
https://doi.org/10.1[...]
2024-04-26
[13]
논문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respiration in the Amphibia
1973
[14]
논문
Macroevolution of desiccation-related morphology in plethodontid salamanders as inferred from a novel surface area to volume ratio estimation approach
2020
[15]
논문
Respiratory properties of the blood of a lungless and gill-less salamander, ''Desmognathus fuscus''
https://dx.doi.org/1[...]
1974-02-01
[16]
논문
Metabolic and heart rate response of the plethodontid salamander ''Desmognathus fuscus'' to hypoxia
https://dx.doi.org/1[...]
1974-02-01
[17]
논문
Developmental basis of evolutionary lung loss in plethodontid salamanders
2022-08-19
[18]
웹사이트
Expression of a novel surfactant protein gene is associated with sites of extrapulmonary respiration in a lungless salamander
https://royalsociety[...]
[19]
논문
The Function of the Naso-Labial Groove of Plethodontid Salamanders
1966-10-01
[20]
논문
Enlarged Multilocus Data set Provides Surprisingly Younger Time of Origin for the Plethodontidae, the Largest Family of Salamanders
2016-01
[21]
논문
A fossil plethodontid salamander from the Middle Miocene of Slovakia (Caudata, Plethodontidae)
https://brill.com/vi[...]
2005
[22]
논문
The amphibian tree of life
[23]
논문
''Palaeoplethodon hispaniolae'' gen. n., sp. n. (Amphibia: Caudata), a fossil salamander from the Caribbean
http://www.palaeodiv[...]
[24]
웹사이트
Plethodontidae
https://www.iucnredl[...]
IUCN RedList
2020
[25]
간행물
Discovery of the first Asian plethodontid salamander
2005
[26]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27]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