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추 (극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추는 손진책 대표가 민예극장 대표 시절 설립한 '손진책 연출 연구실'에서 시작된 극단이다. 1987년 창단 공연으로 《지킴이》를 올린 후, 한국 연극의 정체성 찾기 작업을 지속해왔다. 마당놀이, 창극, 해외 공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심청전》, 《홍길동전》, 《놀부전》 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마당놀이 장르를 개척했다. 또한, 경기도 양주시에 미추신방을 설립하고 미추연극학교, 미추관현악단을 운영하며, 극단 자체의 시설과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 창단

극단 '''미추'''는 손진책 대표가 민예극장 대표였던 시절 문을 연 '손진책 연출 연구실'로부터 시작됐다. 손진책은 “당시의 한국적인 연극이라는 것이 너무 형식에 치우치지 않았나 하는 염려가 들었다. 그래서 내가 예술의 전반적인 것과 극단 운영과 레퍼토리 선정 등 모든 것을 책임질 수 있는 전문단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한 끝에 윤문식, 김종엽, 경기소리꾼인 초란이 김영화, 정태화, 송용태, 박혜진, 이명수, 이기봉 등과 함께 '''미추'''를 탄생시킨다.

2. 1. 창단 배경

극단 '''미추'''는 손진책 대표가 민예극장 대표였던 시절 문을 연 '손진책 연출 연구실'로부터 시작됐다. 손진책은 당시의 한국적인 연극이 형식에 치우쳤다고 염려하여, 예술 전반, 극단 운영, 레퍼토리 선정 등을 모두 책임질 수 있는 전문단체를 만들고자 결심했다. 그 결과 윤문식, 김종엽, 경기소리꾼인 초란이 김영화, 정태화, 송용태, 박혜진, 이명수, 이기봉 등과 함께 '''미추'''를 창단하였다.

2. 2. 창단 멤버

극단 '''미추'''는 손진책 대표가 민예극장 대표였던 시절 문을 연 '손진책 연출 연구실'로부터 시작됐다. 손진책은 “당시의 한국적인 연극이라는 것이 너무 형식에 치우치지 않았나 하는 염려가 들었다. 그래서 내가 예술의 전반적인 것과 극단 운영과 레퍼토리 선정 등 모든 것을 책임질 수 있는 전문단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하였다. 윤문식, 김종엽, 경기소리꾼인 초란이 김영화, 정태화, 송용태, 박혜진, 이명수, 이기봉 등이 창단 멤버이다.

2. 3. 극단 이름의 의미

'''미추'''는 김용옥이 지은 이름인데, 김용옥은 “아름다울 미(美)자는 양(羊)자 밑에 큰 대(大)자가 있으며, 이는 크고 건강한 양을 바친 제의를 뜻한다. 추(醜)자는 술 주(酉)자 옆에 귀신 귀(鬼)자를 쓰는데, 무당이 술병을 놓고 춤을 추는 모양새로 역시 제의의 표현이다”라는 뜻풀이를 하였다.

2. 4. 창단 선언문

우리는 마당을 추구한다.

마당이란 무엇인가?

그곳은 오늘이다. 그곳은 영원한 현재다.

미래와 과거를 융해하는 살아 움직이는 현재다.

우리에게는 오늘의 마당을 무시한

내일과 어제의 마당은 없다.

마당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여기다.

그것은 여기 우리 삶의 생활공간 속에서 창출되는

새로운 예술의 내용과 형식이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성을 전제로 한

우리의 고유한 삶의 형식이다.

그것은 일체의 권위에 굴종할 수 없는

우리의 독자적인 삶의 과정이다.

마당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인간의 운명에 안위로서 제공되는 카타르시스가 아니라

운명적 삶의 영원한 개혁이다.

우리에게는 오늘을 개혁하는 오늘이 있을 뿐이다.

마당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주객이 일체가 되는 영원한 역동성이다.

그것은 전통적 인습을 타파하는 끊임없이 새로운 전통이다.

마당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아름다움과 추함을 동시에 표출하는

우리 몸의 느낌이다.

우리 삶의 어둠과 맑음을 동시에 조명하는 몸부림이다.

우리에게는 醜를 떠난 美가 없고 美를 떠난 醜가 없다.

美醜!

美醜는 우리의 영원한 마당이다.

3. 주요 활동

1987년 창단공연으로 《지킴이》를 올렸다. 이후 미추는 형식보다 정신을 강조한 한국 연극의 정체성 찾기 작업을 지속한다.

1987년부터 미추는 마당놀이 작품을 매년 올리고 있다. 미추 마당놀이의 주된 레퍼토리로는 《심청전》, 《홍길동전》, 《놀부전》 등이 있다. 미추는 이러한 레퍼토리를 활용하여 고전을 현대적으로 패러디한 일련의 마당놀이라는 장르를 우리 땅에 정착시켰다.

미추는 판소리의 '듣는' 재미를 연극적 상상력으로 바꾸는 노력을 기울이며 창극의 완성도를 계속 실험하고 있다. 1987년부터 지금까지 총 여섯 편의 창극이 공연되었다.

미추는 베세토 연극제 참가 등의 해외 활동을 하였다.

《남사당의 하늘》은 전통을 현대적 감각으로 계승한 작품이며, 《오장군의 발톱》은 체제 비판적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 아리엘 도르프만의 《죽음과 소녀》를 공연했으며, 2005년에는 도르프만의 신작 《The Other Side》를 국내에서 연출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허삼관 매혈기》, 《최승희》, 《정글 이야기》, 《벽속의 요정》 등의 신작을 발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996년 경기도 양주시로 이전하여 200석 규모의 극장과 야외극장 등의 시설이 갖춰진 미추신방을 설립하고, 1998년 연기자 교육 프로그램으로 미추연극학교를 설립하고 미추관현악단을 창립하였다.

3. 1. 마당놀이

1987년부터 미추는 마당놀이 작품을 매년 올리고 있다. 미추 마당놀이의 주된 레퍼토리로는 《심청전》, 《홍길동전》, 《놀부전》 등이 있다. 미추는 이러한 레퍼토리를 활용하여 고전을 현대적으로 패러디한 일련의 마당놀이라는 장르를 우리 땅에 정착시켰다.

3. 2. 창극

미추는 판소리의 '듣는' 재미를 연극적 상상력으로 바꾸는 노력을 기울이며 창극의 완성도를 계속 실험하고 있다. 1987년부터 지금까지 총 여섯 편의 창극이 공연되었다.

3. 3. 해외 활동

미추는 베세토 연극제 참가 등의 해외 활동을 하였다.

3. 4. 기타 주요 작품

미추는 마당놀이, 창극, 번역극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공연했다. 마당놀이는 《심청전》, 《홍길동전》, 《놀부전》 등을 통해 고전을 현대적으로 패러디하여 한국에 정착시켰다. 창극은 판소리의 ‘듣는’ 재미를 연극적 상상력으로 풀어내는 실험을 지속했다.

《남사당의 하늘》은 전통을 현대적 감각으로 계승한 작품이며, 《오장군의 발톱》은 체제 비판적 주제 의식을 담고 있다. 아리엘 도르프만의 《죽음과 소녀》를 공연했으며, 2005년에는 도르프만의 신작 《The Other Side》를 국내에서 연출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허삼관 매혈기》, 《최승희》, 《정글 이야기》, 《벽속의 요정》 등의 신작을 발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4. 시설 및 교육

4. 1. 미추신방

4. 2. 미추연극학교

4. 3. 미추관현악단

5. 작품 목록

연도작품명작가연출
2009김성녀의 벽속의 요정》배삼식손진책
2009리어왕W. 셰익스피어이병훈
2009《템페스트》배삼식손진책
2008김성녀의 벽속의 요정》배삼식손진책
2008《남사당(男寺堂)의 하늘》윤대성손진책
2008리어왕W. 셰익스피어이병훈
2008《마당놀이 심청》김지일손진책
2008《은세계 銀世界》배삼식손진책
2007《2007 MBC 마당놀이 쾌걸 박씨》배삼식손진책
2007김성녀의 벽속의 요정》배삼식손진책
2007《열하일기만보(熱河日記漫步)》배삼식손진책
2006김성녀의 벽속의 요정》배삼식손진책
2006《MBC 마당놀이 변강쇠》김지일손진책
2006《조씨고아》티엔친신
2006《주공행장》배삼식손진책
2005《THE OTHER SIDE》A. 돌프만손진책
2005《마포황부자》배삼식손진책
2005《벽속의 요정》배삼식손진책
2005《철수이야기》다니엘 키이스배삼식
2004《뮤지컬 정글이야기》배삼식정호붕
2004《빵집》배삼식미뉴엘 루트겐홀스트
2004《삼국지》배삼식손진책
2004최승희배삼식손진책
2004《허삼관 매혈기》배삼식강대홍
2003《뮤지컬 정글이야기》배삼식정호붕
2003《마당놀이 이춘풍전》김지일손진책
2003최승희김지일, 배삼식손진책
2003《허삼관매혈기》배삼식강대홍
2002《마당놀이 심청전》김지일손진책
2002《한여름밤의 꿈》박수진(번안)신용수
2001《마당놀이 변강쇠전》김지일손진책
2001《영광의 탈출》박수진강대홍
2001《히바카리-400년의 초상》시나카와 마사요시손진책
2000《마당놀이 춘향전》김지일손진책
2000《용병》박수진강대홍
2000《MBC 마당놀이 홍길동》김지일손진책
1999《그, 불》김용옥손진책
1999《MBC 마당놀이 변학도전》김지일손진책
1999《춘궁기》박수진강대홍
1998《뙤약볕》박상륭김광보
1998《MBC 마당놀이 봉이김선달》김지일손진책
1998《죽음과 소녀》A. 돌프만 / 번역:허순자손진책
1997《MBC 마당놀이 애랑전》김지일손진책
1997《오장군의 발톱》박조열손진책
1996《둥둥 낙랑둥》최인훈손진책
1996《봄이오면 산에들에》최인훈손진책
1996《사천사는 착한사람》B. 브레히트 번역:윤영선 윤색:엄인희이병훈
1996《옛날옛적에 훠어이훠이》최인훈M.루트겐홀스트
1995《오장군의 발톱》박조열손진책
1994《남사당의 하늘》윤대성손진책
1994《MBC 마당놀이 심청전》김지일손진책
1994《맥베드》W. 셰익스피어K.바비츠키
1994《뺑파전》김지일손진책
1993《남사당의 하늘》윤대성손진책
1993《홍길동전》김지일손진책
1992《MBC 마당놀이 신 이춘풍전》김지일손진책
1992《죽음과 소녀》A. 돌프만 번역:허순자손진책
1991《시간의 그림자》M.루트겐홀스트 번안:김용옥M.루트겐홀스트, 김용옥, 손진책
1990《영웅만들기》김지일손진책
1990《MBC 마당놀이 춘향전》김지일손진책
1989《신이국기》최인석손진책
1988《MBC 마당놀이 심청전》김지일손진책
1988《오장군의 발톱》박조열손진책
1987《MBC 마당놀이 배비장전》김지일손진책
1987《지킴이》정복근손진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